웡곡대구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웡곡대구장은 홍콩 몽콕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이다. 1961년 육군 스포츠 그라운드로 개장하여, 시정 구장을 거쳐 1973년 웡곡대구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90년과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두 차례의 개보수를 거쳤으며, 2011년 재개장 이후 홍콩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주요 국제 경기 및 홍콩 최초의 슈퍼 럭비 경기가 개최되었으며, 국제 표준 천연 잔디 구장과 다양한 부대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웡곡대구장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전 명칭 | 육군 구장 (1961년 이전), 시립 경기장 (1961년–1973년) |
위치 | 중국 홍콩 가우룽 몽콕 플라워 마켓 로드 37 |
개장 | 1961년 |
리모델링 | 2011년 |
소유주 | 여가문화복지사무서 |
운영자 | 여가문화복지사무서 |
표면 | 잔디 |
수용 인원 | 6,664명 |
경기장 규격 | 106 x 66 미터 (116 x 72 야드) |
대중 교통 | 프린스 에드워드 역 B1 출구 |
사용 팀 | |
현재 | 홍콩 축구 국가대표팀 (2011년–) 키치 (2013년–) 이스턴 (2015년–2018년, 2020년–) |
과거 | 시티즌 (2005년–2013년) 선 헤이 (2011년–2013년) 페가수스 (2013년–2014년, 2018년–2019년) 사우스 (2019년–2020년) |
2. 역사
웡곡대구장은 초기에는 '''육군 스포츠 경기장'''(Army Sports Groundeng)으로 불렸으며, 1961년 시의회로 관리 주체가 변경되면서 '''시정 구장'''이라는 이름으로 운영되었다.[21][3][10] 이후 1973년 6월 16일부터 일반 대중에게 개방되며 현재의 이름인 '''웡곡대구장'''으로 불리게 되었다.[10][11]
경기장은 여러 차례 개보수를 거쳤다. 1990년 9월에는 첫 번째 개수 공사를 통해 육상 트랙을 없애고 좌석 수를 7,500석으로 늘렸다.[10] 1992년에는 관중 증가와 홍콩 대구장의 개축 공사로 인해 임시 스탠드를 추가하여 1,000석을 더 확보했다.[10] 이후에도 시설 개선을 위한 대규모 개보수가 진행되었다.
2. 1. 초기 역사 (1961년 ~ 1973년)
웡곡대구장은 1961년 홍콩 시의회가 관리하기 전까지 '''육군 스포츠 경기장'''(Army Sports Groundeng)으로 알려져 있었다.[21][3][10] 1961년 시의회로 이관된 초기에는 '''시정 구장'''이라고 불렸으나[10], 1973년 6월 16일부터 시정국이 일반 대중에게 개방하면서 현재의 이름인 '''웡곡대구장'''으로 변경했다.[10][11]2. 2. 1차 개보수 (1990년)
1990년 9월에 첫 번째 개수 공사가 진행되어 육상 경기용 트랙이 철거되고, 경기장을 확대하여 좌석을 7,500석으로 증축했다. 개수 공사 기간 동안 홍콩 갑조 축구 리그 경기는 샴수이포 운동장으로 대체 개최되었다. 그리고 다음 해 연말에 개수 공사가 완료되었다.2. 3. 임시 스탠드 증설 (1992년)
1992년에 들어서면서 경기장을 찾는 관람객 수가 증가했다. 또한, 당시 홍콩 대구장이 개축 공사에 들어가 1994년 완공 예정이었기 때문에, 시정국은 늘어난 관람 수요에 대응하고자 알루미늄으로 만든 임시 스탠드 2개를 추가로 설치하여 좌석 수를 1,000석 늘렸다.2. 4. 대규모 개보수 (2009년 ~ 2011년)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웡곡 대구장에 도핑 검사 시설이 없고 기자실 및 인터넷 환경이 미비하여 경기 정보 발신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한 경기장이 여러 차례 만석을 기록하는 등 시설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12]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홍콩 축구 협회는 2008년 홍콩 정부에 관중 수용 인원을 1만 명으로 늘리고 지붕이 있는 스탠드를 설치하는 등의 개축을 제안했다.[12]그러나 정부 검토 후, 개축 계획은 관중 수용 인원을 6,680명으로 조정하고 남북 메인 스탠드와 백 스탠드에만 지붕을 설치하는 것으로 축소되었다. 대신 심판 및 선수 휴게실 개선, 도핑 검사 시설 및 감시 카메라 설치, 주차장 확장 등이 포함되었으며,[13] 폐쇄회로 텔레비전 설치, 좌석 개보수, 조명 개선, 탈의실 개보수, 기자실 추가 등 전반적인 시설 개선도 함께 이루어졌다.[4] 개보수 공사는 2009년 9월 1일에 시작되어[13] 2011년 10월 14일에 완료되었다.[13] 총 공사 비용은 당초 계획했던 2.5억홍콩 달러[13]를 초과하여 실제로는 2.755억홍콩 달러가 소요되었다.[13]
개보수 기간 중 시티즌 AA, 포웨이 레인저스, 선 헤이 SC 등 3개의 1부 리그 클럽이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기를 희망했으나, 시설 소유주인 여가문화서비스부는 여러 클럽이 경기장을 함께 사용하는 것에 대한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5]
2011년 10월 16일, 개보수를 마친 웡곡대구장이 재개장했다.[4] 재개장 첫 경기는 홍콩 1부 리그의 선 헤이 SC와 샴 수이 포 SA의 경기였다.[4] 홈팀인 선 헤이 SC는 더 많은 팬들이 경기를 관람할 수 있도록 입장료를 60 홍콩 달러에서 20 홍콩 달러로 특별 할인했다.[14] 이날 경기에는 4,499명의 관중이 찾아와 시즌 최고 관람객 수를 기록했다.[14][15] 경기는 선 헤이 SC가 5-0으로 승리했으며, 선 헤이 SC의 선수 청 샤우 와이가 개장 후 첫 골을 기록했고, 마마두 배리는 재개장 후 첫 해트트릭을 달성한 선수가 되었다.[4]
2. 5. 재개장 이후 (2011년 ~ 현재)
2011년 10월 16일, 개보수된 몽콕 대구장이 재개장했다. 첫 경기는 홍콩 1부 리그의 선 헤이와 샴 수이 포의 경기였으며, 4,499명의 관중이 관람했다. 선 헤이가 5-0으로 승리했고, 선 헤이의 선수 청 샤우 와이가 재개장 첫 득점을 기록했으며, 마마두 배리는 재개장 후 첫 해트트릭을 기록한 선수가 되었다.
쩡 탁싱 (曾德成) 당시 홍콩 민정 사무국장은 웡곡 경기장 공식 재개장 기념식에 참석했다. 경기장 재개장을 기념하기 위해 레저 문화 서비스 부서는 2011년 11월 15일 기념식을 열고 러시아 청소년 국가대표팀을 초청하여 홍콩 청소년 대표팀과 친선 축구 경기를 가졌다. 이 날을 기념하기 위해 특별 제작된 한정판 기념품인 스포츠 타월이 참석자들에게 배포되었다. 또한 깃발 흔들기, 북 공연, 무술 공연, 사자춤 등 중국 전통 분위기를 보여주는 공연과 함께 응원팀과 홍콩 경찰 악대의 공연도 펼쳐졌다.[8]
재개장 이후 웡곡대구장은 홍콩 대표팀의 주요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2013년 3월 22일, 홍콩은 베트남을 상대로 2015년 AFC 아시안컵 예선 경기를 치렀다. 이 경기는 6,639명의 관중을 동원하며 경기장 개보수 이후 첫 만원 관중을 기록했으며, 후반 87분에 터진 주장 찬와이호의 헤딩 결승골로 홍콩이 1-0으로 극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2015년 11월 17일, 홍콩은 중국을 상대로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 - AFC 2차 예선 경기를 치렀다. 이 경기 역시 만원 관중 속에서 열렸으며, 양 팀은 득점 없이 0-0으로 비겼다.
2017년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이스턴 SC의 홈 3경기가 모두 매진되었고, 2017년 5월에는 이스턴 SC와 키체 SC가 2016-17 홍콩 프리미어 리그 우승을 결정짓는 최종전을 치러 키체 SC가 4-1로 승리했다. 2018년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키체 SC가 만원 관중 앞에서 톈진 취안젠 FC와 경기를 치렀다.
2018년 5월 19일에는 홍콩에서 처음으로 슈퍼 럭비 경기가 개최되었다. 일본의 선울브스는 이 경기장에서 홈 경기를 치러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의 스토머스를 26-23으로 꺾었다.
3. 시설
웡곡대구장은 국제 표준 규격의 천연 잔디 구장과 관람석을 기본으로 갖추고 있다.[1][2] 경기 운영을 위한 선수 및 심판 탈의실, 도핑 검사실, 프레스룸 등 전문 시설과 함께, 관중 편의를 위한 화장실, 매점, 유아 휴게실 등 다양한 부대 시설을 포함한다.[1][17]
과거 시설 노후화 및 아시아 축구 연맹(AFC)의 지적 사항[12] 등을 개선하고 관람 환경을 향상시키기 위해, 2009년 9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대대적인 개축 공사가 진행되었다.[13] 이 공사를 통해 좌석 교체, 배리어 프리 설비 확충, 전광판 설치, 탈의실 확장 등 시설 개선이 이루어졌으며,[16][17] 태양열 온수 시스템과 빗물 재활용 시스템 같은 친환경 설비도 도입되었다.[16] 개축 공사에는 총 2.755억홍콩 달러가 소요되었다.
자세한 시설 구성 및 개축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경기장
웡곡대구장은 국제 표준 규격의 천연 잔디 구장이며, 1200룩스의 조명 시설을 갖추고 있다.[1] 가로 9.28m x 세로 5.76m 크기의 컬러 LED 전광판이 설치되어 있다.[1] 관람석은 총 6,600석 규모이며,[2] 이 중 VIP석은 127석,[2] 휠체어석은 42석이다.[1] 이 외에도 32명을 수용할 수 있는 VIP실 1개,[1] 경찰 통제 타워, 방송 타워, 27면의 주차 공간, 공중 화장실 12개,[1] 장애인 화장실 8개,[1] 입구 회전식 출입구/매표소 8개,[1] 4개 팀을 위한 탈의실, 심판 탈의실 2개, 패스트푸드 키오스크 1개, 프레스룸 1개, 유아 휴게실 1개,[1] 반도핑 룸 1개[1] 등의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과거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웡곡대구장에 도핑 검사 시설 부재와 기자실 및 인터넷 환경 미비로 인한 정보 발신 어려움을 지적한 바 있다. 또한 경기장은 여러 차례 만석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에 홍콩 축구 협회는 2008년 홍콩 정부에 기존 스탠드를 철거하고, 약 1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지붕 있는 스탠드로 개축하여 관람 환경을 개선해달라고 제안했다.[12] 그러나 계획 검토 후, 개축 후 수용 인원은 6,680명으로 조정되었고, 지붕은 남북 메인 스탠드와 백 스탠드에만 설치되었다. 대신 심판 및 선수 휴게실 개선, 도핑 검사 시설 및 감시 카메라 설치, 주차장 확장 등이 이루어졌다.[13] 개축 공사는 2009년 9월 1일부터 2011년 10월 14일까지 진행되었으며, 공사 비용은 당초 계획했던 2.5억홍콩 달러[13]보다 증가한 2.755억홍콩 달러가 소요되었다.
개축 후 첫 경기는 2011년 10월 16일 저녁에 열린 홍콩 1부 리그 선라이즈 JC 청시와 셴수이뽀의 경기였다. 홈팀 청시는 팬들의 관람을 독려하기 위해 입장료를 60HKD에서 20HKD로 할인했고, 이날 경기에는 4,499명의 관중이 찾아 시즌 최고 기록을 세웠다.[14][15]
개축된 웡곡대구장은 환경 친화적인 요소를 도입했다. 사무동 옥상에는 태양열 온수기를 설치하여 탈의실 온수를 공급하고, 빗물 순환 시스템을 통해 모은 빗물을 잔디 관리 등에 활용한다. 또한 1층 옥상과 남쪽 스탠드 상부에 정원을 조성하여 인근 화훼 시장 및 원포가작조화원(통칭 "작자 거리")과의 연계성을 높였다. 홍콩 정부는 이를 통해 웡곡대구장이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는 랜드마크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주요 변경 사항으로는 남북 스탠드의 유연한 텐트형 지붕 설치, 동쪽 스탠드의 대형 전광판 설치 등이 있다. 좌석은 기존 금속제 긴 의자에서 개별 플라스틱 좌석으로 교체되었으며, 수용 인원은 8,500명에서 6,664명으로 줄었으나, 42석의 휠체어석과 전동 리프트 등 배리어 프리 설비를 확충하고 스탠드 높이를 1.5m 높여 관람 시야를 개선했다. 8곳에 분산되어 있던 티켓 판매소는 화서도 쪽 입구로 통합되었고, 기존 경계 거리 쪽 티켓 판매소 자리는 주차 공간으로 변경되었다.[16]
내부 시설 역시 개선되어 도핑 검사실 및 보육 시설이 신설되었고, 탈의실은 기존 2개에서 4개로 늘리고 면적도 2배로 확장했다. 샤워실은 22실 늘어난 40실이 되었으며, 탈의실 내에는 최첨단 용구 관리 설비가 갖춰졌다. 프레스룸 면적 또한 확장되었다.[17][18][19]
3. 2. 부대 시설
웡곡대구장은 다양한 부대 시설을 갖추고 있다. 관중석은 총 6,664석이며[16], 이 중 127석은 VIP석[2], 42석은 휠체어석[1]이다. 32명을 수용할 수 있는 VIP실 1개도 마련되어 있다.[1]경기 관련 시설로는 국제 표준에 맞는 천연 잔디 구장과 1200룩스 조명[1], 가로 9.28m x 세로 5.76m 크기의 컬러 LED 전광판이 설치되어 있다.[1] 2011년 개축 공사 이후 남북 스탠드에는 유연한 텐트 모양의 지붕이 설치되었고[13][16], 동쪽 스탠드에는 대형 전광 게시판이 새로 들어섰다.[16]
선수와 심판을 위한 시설도 개선되었다. 4개 팀이 사용할 수 있는 탈의실은 개축을 통해 면적이 2배로 넓어졌으며[17], 샤워룸도 40실로 늘어났다.[17] 탈의실 내부에는 최첨단 신발이나 공 등 용구의 유지 보수 설비도 갖추어져 있다.[17] 심판 전용 탈의실 2개와 도핑 검사를 위한 반도핑 룸(도핑 검사실) 1개도 설치되었다.[1][13][17]
운영 및 관리를 위한 시설로는 경찰 통제 타워, 방송 타워, 감시 카메라[13], 그리고 면적이 확장된 프레스룸 1개가 있다.[17]
관중 편의 시설로는 주차 공간 27면[13][16], 공중 화장실 12개[1], 장애인 화장실 8개[1], 입구 회전식 출입구/매표소 8개[1], 패스트푸드 키오스크 1개, 유아 휴게실(보육 시설) 1개가 마련되어 있다.[1][17]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전동 리프트 등 배리어 프리 설비도 설치되었다.[16]
또한, 개축 과정에서 환경 친화적인 요소들이 도입되었다. 사무동 옥상에는 태양열 온수기가 설치되어 탈의실 온수를 공급하고, 빗물 순환 시스템을 통해 모은 빗물은 경기장 녹지나 잔디에 사용된다.[16] 1층 옥상과 남쪽 스탠드 상부에는 정원이 조성되었다.[16]
3. 3. 친환경 시설
2011년 개축 공사 이후 웡곡 대구장은 환경 문제를 중요한 주제로 삼았다.[16] 사무동 옥상에는 태양열 온수기를 설치하여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를 탈의실에서 사용할 수 있게 했다.[16] 또한, 빗물 순환 시스템을 설치하여 모은 빗물을 경기장 내 녹지나 잔디 구장에 뿌리는 데 활용한다.[16] 1층 옥상과 남쪽 스탠드 상부에는 정원을 조성했는데, 이는 인접한 화훼 시장이나 통칭 "작자 거리"라고 불리는 원포가작조화원과의 연관성을 고려한 것이다.[16] 홍콩 정부는 이러한 친환경적인 개선을 통해 웡곡 대구장이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는 랜드마크 중 하나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16]4. 주요 경기 및 기록
2017년 5월, 이스턴 SC와 키체 SC는 2016-17 홍콩 프리미어 리그의 최종전을 치렀으며, 이 경기에서 키체가 4-1로 승리했다.
4. 1. 만원 관중 기록
- '''개보수 전'''
- * 2007년 4월 15일: 사우스 차이나와 키체이의 홍콩 축구 리그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이 경기는 11년 만에 웡곡 대구장에서 열린 홍콩 리그 경기 중 처음으로 8,500명 이상의 관중이 들어차 만원을 이루었다.
- '''개보수 후'''
- * 2013년 3월 22일: 홍콩과 베트남의 2015년 AFC 아시안컵 예선 경기가 열렸다. 6,639명의 관중이 입장하여 경기장 개보수 이후 첫 만원을 기록했다. 홍콩은 후반 87분 주장 찬와이호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 * 2015년 11월 17일: 홍콩과 중국의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 - AFC 2차 예선 경기가 만원 관중 속에서 열렸으며, 양 팀은 0-0으로 비겼다.
- * 2017년: 이스턴 SC가 참가한 2017년 AFC 챔피언스 리그 조별 예선 세 경기 모두 매진되었다.
- * 2018년: 키체 SC와 톈진 취안젠 FC의 2018년 AFC 챔피언스 리그 경기가 만원 관중 앞에서 치러졌다.
4. 2. EAFF 동아시안컵/E-1 풋볼 챔피언십
wikitext날짜 | 팀 1 | 스코어 | 팀 2 | 라운드 | |
---|---|---|---|---|---|
2016년 11월 6일 | 2 - 0 | 1차전 | |||
2016년 11월 6일 | 3 - 2 | 1차전 | |||
2016년 11월 9일 | 0 - 2 | 2차전 | |||
2016년 11월 9일 | 4 - 2 | 2차전 | |||
2016년 11월 12일 | 2 - 0 | 3차전 | |||
2016년 11월 12일 | 0 - 1 | 3차전 |
4. 3. 아시안 5 네이션스 럭비 토너먼트
홍콩 럭비 풋볼 연맹(Hong Kong Rugby Football Union, HKRFU)의 회장 트레버 그레고리는 HSBC 아시안 5 네이션스 (A5N) 홈 경기를 유치하기 위해 웡곡 대구장 사용 가능성을 검토한다고 밝혔다. 홍콩은 이번 시즌 2,500석 규모의 홍콩 풋볼 클럽에서 열린 A5N 럭비 경기에서 매진을 기록하자, HKRFU는 새롭게 6,650석으로 확장된 웡곡 대구장으로의 이전을 긍정적으로 검토했다.[5]2012년 5월 26일, 홍콩은 새로 개조된 웡곡 대구장에서 13년 만에 국제 경기를 치렀다. 이 경기는 2012 HSBC 아시안 5 네이션스 톱 5 대회 경기로, 홍콩은 카자흐스탄을 55-0으로 크게 이기고 3위를 차지했다.[9]
4. 4. 슈퍼 럭비
2018년 5월 19일, 홍콩에서 처음으로 슈퍼 럭비 경기가 웡곡대구장에서 열렸다. 이 경기에서 일본의 선울브스는 홈 경기로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을 연고로 하는 스토머스를 상대하여 26-23으로 승리했다.5. 교통
MTR 프린스 에드워드 역에서 취안완 선과 쿤통 선을 이용하면 경기장에 갈 수 있다. 또한 동철 선이 지나는 몽콕 이스트 역에서도 가깝다.
6. 갤러리
참조
[1]
뉴스
新旺角場靚中藏險
http://football.on.c[...]
Oriental Daily
2011-10-15
[2]
웹사이트
Facilities - Mong Kok Stadium
http://sc.lcsd.gov.h[...]
2015-09-14
[3]
웹사이트
Aerial view of Mong Kok
https://web.archive.[...]
Hong Kong Memory Project
2014-11-17
[4]
뉴스
旺角球場加上蓋減座位
http://the-sun.on.cc[...]
The Sun
2008-08-01
[5]
뉴스
Clubs lay claim to revamped Mong Kok
http://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11-07-03
[6]
뉴스
旺角場 10月重開成疑
http://hk.apple.next[...]
Apple Daily
2011-08-17
[7]
뉴스
旺角場重開 4,499球迷湧入 鄭少偉首球締歷史
http://hk.apple.next[...]
Apple Daily
2011-10-17
[8]
웹사이트
Mong Kok Stadium celebrates its re-opening with international friendly football match
http://www.lcsd.gov.[...]
Leisure and Cultural Services Department press release
2011-11-15
[9]
웹사이트
Hong Kong blitz Kazakhstan, UAE run Korea close in exciting Top 5 finale
http://www.asian5nat[...]
Asian 5 Nations
2012-05-27
[10]
뉴스
市政球場下月開放 夏令杯賽飲頭啖湯
大公報
1973-05-14
[11]
뉴스
旺角大球場啓用儀式 夏令杯今揭幕
大公報
1973-06-16
[12]
뉴스
旺角球場加上蓋減座位
http://the-sun.on.cc[...]
太陽報
2008-08-01
[13]
문서
旺角大球場改善工程
http://www.legco.gov[...]
民政事務局
2008-11
[14]
뉴스
旺角場重開 4,499球迷湧入 鄭少偉首球締歷史
蘋果日報
2011-10-17
[15]
뉴스
旺角球場 盛況重現
成報
2011-10-17
[16]
뉴스
旺角大球場環保概念登場
http://www.singtao.c[...]
星島日報
2011-10-15
[17]
뉴스
旺角大球場明日重開 首場波甲組賽晨曦對深水埗
蘋果日報
2011-10-15
[18]
뉴스
旺角場翻新無加場租
成報
2011-10-15
[19]
뉴스
旺角場重開3彈2讚 座位設上蓋明午演首戰
明報
2011-10-15
[20]
뉴스
新旺角場靚中藏險
http://football.on.c[...]
Oriental Daily
2011-10-15
[21]
웹인용
Aerial view of Mong Kok
https://web.archive.[...]
Hong Kong Memory Project
2014-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