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저드리 V: 대격동의 중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저드리 V: 대격동의 중심은 1988년에 출시된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으로, 위저드리 III: 릴가민의 유산의 사건 이후 혼돈의 힘이 세상에 나타나면서 시작된다. 플레이어는 혼돈의 에너지를 봉인하기 위해 게이트키퍼를 소환해야 하며, 이를 위해 사악한 마법사 소른에게 갇힌 게이트키퍼를 구출하고, 카드 군주들을 달래는 등의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 게임은 비선형적 던전 디자인, 비적대적 몬스터, 퍼즐과 수수께끼를 특징으로 하며,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게임 진행 속도와 그래픽, 세이브 시스템 등에서 단점이 지적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테라뷰 게임 - 로드 모나크
로드 모나크는 팔콤에서 1991년 PC-9800 시리즈용으로 처음 발매한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4개의 국가 중 하나를 선택해 나머지 국가들을 멸망시키는 목표를 가지며 다양한 플랫폼 이식과 온라인 버전 출시를 통해 시리즈를 이루며 인기를 얻었다. - 사테라뷰 게임 - 에프제로 (비디오 게임)
에프제로 (비디오 게임)는 닌텐도에서 제작한 미래형 레이싱 게임으로, 플라즈마 호버카를 이용하여 400km/h가 넘는 속도로 은하계 그랑프리 경주를 펼치는 것이 특징이다. - PC-8800 시리즈 게임 - 리틀 컴퓨터 피플
리틀 컴퓨터 피플은 1985년 액티비전에서 발매한 인공생명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플레이어는 가상의 캐릭터와 상호작용하며 일상적인 활동을 관찰하거나 명령을 내리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되었으며, 심즈 시리즈의 전신으로 여겨져 1986년 골든 조이스틱 어워드에서 올해의 최고 오리지널 게임으로 선정되었다. - PC-8800 시리즈 게임 - 미스터리 하우스
미스터리 하우스는 1980년 출시된 어드벤처 게임으로, 그래픽을 도입하여 혁신을 시도했으며, 버려진 저택에서 단서를 찾아 살인자를 밝혀내는 내용을 담고 있다. - 1988년 비디오 게임 - 마스 사가
마스 사가는 화성에 고립된 톰 제트랜드가 턴제 및 실시간 전투 시스템을 사용하여 화성의 도시를 탐험하며 탈출을 시도하는 게임으로, 독특한 설정과 분위기는 호평을 받았지만 게임 플레이와 기술적인 문제점은 비판을 받았다. - 1988년 비디오 게임 - 아키라 (만화)
아키라는 오토모 가쓰히로가 1982년부터 1990년까지 영 매거진에 연재한 만화로, 제3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된 네오 도쿄를 배경으로 폭주족 소년 가네다 쇼타로와 초능력에 눈을 뜨는 그의 친구 시마 테츠오, 그리고 '아키라'라는 초능력의 근원을 둘러싼 이야기를 그린 사이버펑크 장르의 작품이며 애니메이션 영화,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로 제작되었다.
위저드리 V: 대격동의 중심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롤플레잉 |
플랫폼 | 애플 II 코모도어 64 MS-DOS 슈퍼 패미컴 사테라뷰 PC-88 PC-98 FM 타운즈 PC 엔진 CD |
모드 | 일인용 |
시리즈 | 위저드리 |
개발 | |
개발사 | 서테크 |
디자이너 | 앤드류 C. 그린버그 데이빗 W. 브래들리 |
출시 | |
애플 II, 코모도어 64, IBM PC | 1988년 4분기 |
PC-88, PC-98 | 1990년 6월 8일 |
FM Towns | 1990년 12월 |
PC 엔진 CD | 1992년 9월 25일 |
슈퍼 NES (일본) | 1992년 11월 20일 |
슈퍼 NES (북미) | 1994년 4월 |
배급 | |
배급사 (원작) | 서테크 |
배급사 (PC-88, PC-98, 일본 슈퍼 패미컴, 사테라뷰) | ASCII 엔터테인먼트 |
배급사 (PC 엔진 CD) | 낙사트 소프트 |
배급사 (북미 슈퍼 NES) | 캡콤 |
2. 스토리
위저드리 III: 릴가민의 유산 사건 이후, L'Kbreth의 구슬을 사용하여 가져온 평화가 깨지고, 혼돈의 힘이 문자 그대로 세상에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대격동의 중심''이 시작된다. 이러한 부자연스러운 에너지들은 릴가민의 현자 사원 아래에 있는 일련의 터널에 특히 집중되어 있으며, 이는 적절하게 소용돌이라고 불린다. 모험가들, 즉 플레이어 파티는 이 동굴로 들어가 다시 한번 이러한 혼돈의 에너지를 봉인할 수 있는 게이트키퍼라고 알려진 존재를 소환하는 수단을 추적하기 위해 모집된다. 불행히도, 그는 소른이라고 알려진 사악한 마법사에 의해 갇혀 있다.[1]
파티는 L'Kbreth의 구슬의 고위 사제이자 수호자인 G'bli Gedook을 찾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는 파티에게 동굴 안으로 더 깊이 들어가라고 지시한다. 8층까지 내려간 후, 파티는 각각의 수트를 가져다 줌으로써 카드 군주라고 알려진 네 존재를 달래야 한다. 이 임무가 완료되면 파티는 소용돌이의 심장부로 가서 게이트키퍼를 소환할 수 있다. 이 일이 발생하면 소른과 그녀 자신의 모험가 파티가 공격을 시작하여 마지막 전투를 유발한다. 그녀가 패배하면 게이트키퍼는 파티에게 아브리엘의 심장을 수여한다. 그들은 이것을 가지고 지상으로 돌아가고 릴가민에 질서가 회복된다.[1]
2. 1. 릴가민의 위기
위저드리 III: 릴가민의 유산 사건 이후, L'Kbreth의 구슬을 사용하여 가져온 평화가 깨지면서, 혼돈의 힘이 문자 그대로 세상에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대격동의 중심'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부자연스러운 에너지들은 릴가민의 현자 사원 아래에 있는 일련의 터널에 특히 집중되어 있으며, 이는 적절하게 소용돌이라고 불린다. 모험가들, 즉 플레이어 파티는 이 동굴로 들어가 다시 한번 이러한 혼돈의 에너지를 봉인할 수 있는 게이트키퍼라고 알려진 존재를 소환하는 수단을 추적하기 위해 모집된다. 불행히도, 그는 소른이라고 알려진 사악한 마법사에 의해 갇혀 있다.[1]파티는 L'Kbreth의 구슬의 고위 사제이자 수호자인 G'bli Gedook을 찾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는 파티에게 동굴 안으로 더 깊이 들어가라고 지시한다. 8층까지 내려간 후, 파티는 각각의 수트를 가져다 줌으로써 카드 군주라고 알려진 네 존재를 달래야 한다. 이 임무가 완료되면 파티는 소용돌이의 심장부로 가서 게이트키퍼를 소환할 수 있다. 이 일이 발생하면 소른과 그녀 자신의 모험가 파티가 공격을 시작하여 마지막 전투를 유발한다. 그녀가 패배하면 게이트키퍼는 파티에게 아브리엘의 심장을 수여한다. 그들은 이것을 가지고 지상으로 돌아가고 릴가민에 질서가 회복된다.[1]
2. 2. 소용돌이의 부름
위저드리 III: 릴가민의 유산 사건 이후, L'Kbreth의 구슬을 사용하여 가져온 평화가 깨지면서, 혼돈의 힘이 세상에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대격동의 중심'이 시작된다. 이러한 부자연스러운 에너지들은 릴가민의 현자 사원 아래에 있는 일련의 터널에 특히 집중되어 있으며, 이는 소용돌이라고 불린다. 모험가들, 즉 플레이어 파티는 이 동굴로 들어가 다시 한번 이러한 혼돈의 에너지를 봉인할 수 있는 게이트키퍼라고 알려진 존재를 소환하는 수단을 추적하기 위해 모집된다. 불행히도, 그는 소른이라고 알려진 사악한 마법사에 의해 갇혀 있다.[1]파티는 L'Kbreth의 구슬의 고위 사제이자 수호자인 G'bli Gedook을 찾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는 파티에게 동굴 안으로 더 깊이 들어가라고 지시한다. 8층까지 내려간 후, 파티는 각각의 수트를 가져다 줌으로써 카드 군주라고 알려진 네 존재를 달래야 한다. 이 임무가 완료되면 파티는 소용돌이의 심장부로 가서 게이트키퍼를 소환할 수 있다. 이 일이 발생하면 소른과 그녀 자신의 모험가 파티가 공격을 시작하여 마지막 전투를 유발한다. 그녀가 패배하면 게이트키퍼는 파티에게 아브리엘의 심장을 수여한다. 그들은 이것을 가지고 지상으로 돌아가고 릴가민에 질서가 회복된다.[1]
2. 3. 사악한 마법사 소른
위저드리 III: 릴가민의 유산 사건 이후, L'Kbreth의 구슬을 사용하여 가져온 평화가 깨지고 혼돈의 힘이 세상에 나타나면서 '대격동의 중심'이 시작된다. 불행히도, 게이트키퍼는 소른이라는 사악한 마법사에게 갇혀 있다.[1]플레이어 파티는 L'Kbreth 구슬의 고위 사제이자 수호자인 G'bli Gedook을 찾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는 파티에게 동굴 안으로 더 깊이 들어가라고 지시한다. 8층까지 내려간 후, 파티는 각각의 수트를 가져다 줌으로써 카드 군주라고 알려진 네 존재를 달래야 한다. 이 임무가 완료되면 파티는 소용돌이의 심장부로 가서 게이트키퍼를 소환할 수 있다. 이때 소른과 그녀의 모험가 파티가 공격해 와 마지막 전투가 벌어진다. 소른을 물리치면 게이트키퍼는 파티에게 아브리엘의 심장을 준다.[1]
2. 4. 카드 군주와 아브리엘의 심장
위저드리 III: 릴가민의 유산 사건 이후, L'Kbreth의 구슬로 인한 평화가 깨지고 혼돈의 힘이 세상에 나타나면서 ''대격동의 중심''이 시작된다. 모험가 파티는 소용돌이 동굴로 들어가 혼돈의 에너지를 봉인할 수 있는 게이트키퍼를 소환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파티는 소용돌이 8층에서 각각의 수트를 가져다 줌으로써 카드 군주 네 명을 달래야 한다. 이 임무가 완료되면, 소용돌이 심장부에서 게이트키퍼를 소환할 수 있다. 그러면 소른과 그녀의 모험가 파티가 공격해 오고, 마지막 전투가 벌어진다. 소른을 물리치면 게이트키퍼는 파티에게 아브리엘의 심장을 준다.
2. 5. 질서 회복
위저드리 III: 릴가민의 유산 사건 이후, L'Kbreth의 구슬로 평화를 되찾았으나, 다시 혼돈의 힘이 세상에 나타나면서 '대격동의 중심'이 시작되었다. 모험가 파티는 혼돈의 에너지를 봉인할 수 있는 게이트키퍼를 소환해야 했다. 게이트키퍼는 소른이라는 사악한 마법사에게 갇혀 있었다.모험가 파티는 소용돌이 중심부에서 게이트키퍼를 소환하고, 소른과 그녀의 모험가 파티를 물리친 후 게이트키퍼에게서 아브리엘의 심장을 받았다. 모험가 파티는 이것을 가지고 지상으로 돌아갔고, 릴가민에는 질서가 회복되었다.[1]
3. 게임 시스템
위저드리 V: 대격동의 중심은 이전 시리즈의 던전 탐험, 몬스터와의 전투, 캐릭터 성장 시스템을 계승하면서도 몇 가지 새로운 요소를 도입했다.
4. 개발 과정
''위저드리 V''는 데이비드 W. 브래들리가 디자인했으며, Sir-Tech는 그에게 이 게임을 위저드리 프랜차이즈에 맞게 재작성하도록 요청했다. 개발은 1986년에 완료되었지만, 위저드리 IV: 워드나의 귀환의 출시 지연으로 인해 1988년에야 출시되었다.[3]
4. 1. 그래픽 개선
위저드리 IV: 워드나의 귀환은 시리즈 첫 번째 게임에서 그래픽이 개선되지 않아 판매 부진을 겪었다.[4] Sir-Tech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위저드리 V''를 "과거의 위저드리 시스템에서 벗어난" 게임이라고 광고했다.[5]5. 평가
《위저드리 V》는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드래곤 리뷰어들은 별 5개 중 4개를 부여했고,[6] 컴퓨터 게이밍 월드의 데니스 오웬스는 이전 시리즈보다 개선되었다고 평가했다.[7] 스코피아는 "어떤 게임보다 낫고, 다른 게임만큼 좋지 않다"고 평가했다.[8][9]
하지만 몇 가지 단점도 지적되었다. 게임프로는 슈퍼 패미컴판에서 세이브 파일을 하나만 지원하고 같은 던전을 여러 번 방문해야 하는 점을 비판했고,[12] 컴퓨트!는 IBM PC 버전의 그래픽 문제를 지적했다.[10]
5. 1. 긍정적 평가
드래곤 1989년 145호의 "컴퓨터의 역할" 칼럼에서 하틀리, 패트리샤, 커크 레서는 이 게임에 별 5개 중 4개를 부여했다.[6] 컴퓨터 게이밍 월드의 데니스 오웬스는 1989년에 이 게임이 처음 세 게임과 유사하며 "대격동의 중심은 워드나의 귀환보다 더 단순하면서도 처음 세 시나리오보다 개선되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또한 광범위한 디스크 접근으로 인해 게임 진행 속도가 느리다고 지적했다.[7] 같은 잡지의 스코피아는 1991년과 1993년에 이 게임이 "어떤 게임보다 낫고, 다른 게임만큼 좋지 않다"고 평가했다.[8][9] 컴퓨트!는 이 게임이 시리즈를 처음 접하는 사람과 익숙한 사람 모두에게 좋다고 평가했지만, IBM PC 버전이 CGA 대신 EGA 또는 VGA 그래픽을 사용한 점을 비판했다.[10]게임프로는 SNES 버전을 리뷰하면서, 적대적이지 않은 몬스터, 수수께끼, 퍼즐이 이전 위저드리 게임보다 훌륭하게 개선되었지만, 위저드리 V의 게임 플레이는 동일한 던전에 반복적으로 재진입해야 하고 여러 개의 저장 슬롯이 없는 점을 특히 지적하며 파이널 판타지 IV와 같은 다른 SNES RPG에 비해 여전히 구식이라고 평가했다.[11]
5. 2. 부정적 평가
〈게임프로〉는 슈퍼 패미컴판 《위저드리 V》에 대해 비적대적 괴물의 등장과 수수께끼 추가는 이전 《위저드리》보다 발전했으나, 게임플레이 방면에선 세이브 파일을 하나만 지원하고 같은 던전을 여러 차례 방문해야 한다는 점에서 《파이널 판타지 IV》같은 동시대 슈퍼 패미컴 RPG보다 뒤떨어졌다고 평가했다.[12] ''컴퓨트!''는 IBM PC 버전이 CGA 대신 EGA 또는 VGA 그래픽을 사용한 점을 비판했다.[10]참조
[1]
뉴스
Holidays draw near, new games introduced
https://www.newspape[...]
2024-04-22
[2]
간행물
Eye of the Monitor
https://annarchive.c[...]
TSR,.
1994-04
[3]
웹사이트
Wizards & Warriors Interview
https://web.archive.[...]
2016-11-07
[4]
웹사이트
Of Wizards and Bards
http://www.filfre.ne[...]
2014-07-11
[5]
advertisement
Buy the Best of '93
http://www.cgwmuseum[...]
2016-03-28
[6]
간행물
The Role of Computers
https://archive.org/[...]
1989-05
[7]
간행물
Descent Into The Maelstrom
http://www.cgwmuseum[...]
1989-02
[8]
간행물
C*R*P*G*S / Computer Role-Playing Game Survey
http://www.cgwmuseum[...]
2013-11-18
[9]
간행물
Scorpia's Magic Scroll Of Games
http://www.cgwmuseum[...]
2016-03-25
[10]
간행물
Wizardry V: Heart of the Maelstrom
https://archive.org/[...]
2013-11-11
[11]
간행물
Wizardry V: Heart of the Maelstrom review
International Data Group
1994-06
[12]
간행물
Wizardry V: Heart of the Maelstrom review
International Data Group
199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