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위트니 (영국 의회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트니 선거구는 영국 옥스퍼드셔에 위치한 지역구로, 보수당의 지배적인 텃밭으로 여겨져 왔다. 1983년 선거구 신설 이후 더글러스 허드가 당선되었으며, 1997년 숀 우드워드가 당선되었지만, 1999년 노동당으로 당적을 바꾸는 이변이 발생했다. 2001년 데이비드 캐머런이 당선되어 2015년까지 4선에 성공했으며, 2016년 EU 국민투표 이후 사퇴했다. 이후 로버트 코츠가 보궐선거에서 당선되었지만, 2024년 총선에서 자유민주당의 찰스 메이너드에게 패배하며 보수당의 장기 집권이 종료되었다. 선거구는 시대에 따라 경계가 여러 번 바뀌었으며, 최근에는 2023년 웨스트민스터 선거구 정기 검토에 따라 2024년 총선부터 화이트호스 계곡 지구와 서옥스퍼드셔 지구로 재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우스이스트잉글랜드의 영국 의회 선거구 - 메이든헤드 (영국 의회 선거구)
    1997년 신설된 메이든헤드 선거구는 테리사 메이 전 총리의 지역구였으나 2024년 총선에서 자유민주당에 의석을 내주며, 버크셔주 소재, 높은 주택 가격, M4 회랑 위치, 보수당 강세 지역이라는 특징에도 불구하고 유권자 성향 변화 가능성을 보여주는 영국 정치 지형의 중요 지표이다.
  • 총리가 대표하는 영국 의회 선거구 - 메이든헤드 (영국 의회 선거구)
    1997년 신설된 메이든헤드 선거구는 테리사 메이 전 총리의 지역구였으나 2024년 총선에서 자유민주당에 의석을 내주며, 버크셔주 소재, 높은 주택 가격, M4 회랑 위치, 보수당 강세 지역이라는 특징에도 불구하고 유권자 성향 변화 가능성을 보여주는 영국 정치 지형의 중요 지표이다.
  • 총리가 대표하는 영국 의회 선거구 - 애버라본 (영국 의회 선거구)
    애버라본은 1918년 신설된 영국 의회 선거구로, 노동당의 안전 지역구 중 하나이며, 램지 맥도널드가 이 지역구 의원을 지내기도 했다.
  • 영국 선거구 - 메이든헤드 (영국 의회 선거구)
    1997년 신설된 메이든헤드 선거구는 테리사 메이 전 총리의 지역구였으나 2024년 총선에서 자유민주당에 의석을 내주며, 버크셔주 소재, 높은 주택 가격, M4 회랑 위치, 보수당 강세 지역이라는 특징에도 불구하고 유권자 성향 변화 가능성을 보여주는 영국 정치 지형의 중요 지표이다.
  • 영국 선거구 - 셰필드할람 (영국 의회 선거구)
    셰필드할람은 1885년 신설된 영국 의회 선거구로, 보수당 텃밭에서 자유민주당, 노동당으로 이어지는 정치적 변화를 겪었으며, 셰필드 시 일부를 포함하며 아동 빈곤율이 낮고 전문직 종사자 비율이 높은 특징을 보인다.
위트니 (영국 의회 선거구)
지도 정보
2024년 이후의 경계
사우스이스트잉글랜드의 위트니 선거구 경계 지도
사우스이스트잉글랜드의 위트니 경계
기본 정보
선거구 명칭위트니
의회영국
설치 연도1983년
선거구 유형자치주
이전 선거구미드옥스포드셔
밴버리
유권자 수70,042명 (2023년)
국회의원찰리 메이너드
정당자유민주당
지역잉글랜드
자치주옥스퍼드셔
주요 도시위트니
카터턴
패링던
선출 의원 수1인
선거구 정보 (영국)
유권자 수 (2010년 12월)78,220명
유럽 의회사우스이스트잉글랜드
참고 자료
데이비드 캐머런 (보수당)위트니 보수당

2. 역사

== 역사 ==

위트니 선거구는 보수당의 텃밭으로 여겨진다. 첫 번째 국회의원은 더글러스 허드로, 마거릿 대처와 존 메이저 내각에서 장관을 지냈으며 1997년에 은퇴했다. 1997년 총선에서 허드의 뒤를 이어 숀 우드워드가 당선되었지만, 1999년 노동당으로 당적을 바꾸는 이변이 발생했다. 우드워드는 위트니에서 노동당 후보로 재출마하지 않고 세인트헬렌스사우스로 지역구를 옮겼다.

2001년 총선에서는 데이비드 캐머런이 당선되어 2015년 총선까지 4선에 성공했다. 특히 2015년 총선에서 보수당은 330석을 확보하며 예상 밖의 승리를 거두었다. 하지만 2016년 EU 국민투표 결과에 따라 캐머런은 총리직에서 사퇴했고, 같은 해 9월 위트니 의원직에서도 사퇴했다. 이후 치러진 보궐선거에서는 로버트 코츠가 보수당 후보로 당선되었지만, 득표율은 다소 감소했다. 2017년과 2019년 총선에서 코츠의 득표율은 55%까지 회복되었다. 2019년 총선에서는 자유민주당과 녹색당이 "연합하여 남으라" 동맹을 맺어 녹색당 후보가 출마를 포기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그러나 2024년 총선에서 코츠는 자유민주당 후보에게 20% 이상의 표차로 패배하며 장기집권이 막을 내렸다. [41][6][7][8][9]

19세기 후반, 위트니를 중심으로 한 밤프턴 이스트 소구역은 우드스톡 선거구의 일부였다.[4] 1974년까지 이 지역 대부분은 우드스톡 선거구, 그리고 후에는 배너버리 선거구의 일부였다.[5] 1974년부터 1983년까지는 불링던과 플라우리의 일부와 함께 옥스퍼드셔 중부 선거구에 포함되었다. 1983년 이후 위트니는 독립적인 의회 선거구가 되었고, 1997년까지 주변 마을들과 함께 서옥스퍼드셔 지구 전체를 포함했다. 카터턴은 14,000명의 인구를 가진 두 번째로 큰 도시이며, 지역 경제에 매우 중요한 RAF 브라이즈 노턴 옆에 위치한다. RAF 브라이즈 노턴은 영국에서 가장 크고 바쁜 왕립 공군 기지 중 하나이다.

2. 1. 초기 역사

19세기 후반, 위트니는 옥스퍼드셔의 우드스톡 선거구에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당시 위트니는 주로 농업 기반의 지역이었으며, 인구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했습니다. 산업혁명의 영향은 제한적이었고, 사회적 계층은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었습니다. 정치적으로는 보수당의 영향력이 강했으나, 19세기 후반 자유주의 사상의 확산과 노동운동의 성장으로 점차 변화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20세기 들어 위트니 선거구의 형성과 정치적 지형 변화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하지만 당시 구체적인 선거 결과나 주요 정치 인물에 대한 기록은 부족합니다.

2. 2. 20세기 중반

1974년까지 위트니 지역은 우드스톡 및 밴버리 선거구에 속해 있었습니다. 1974년 선거구 개편으로 위트니는 미드옥스퍼드셔 선거구에 편입되었고, 1983년까지 이 선거구에 속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의 정치적 상황과 선거 결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추가적인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3. 1983년 이후

1983년 위트니가 독립 선거구가 된 이후, 보수당의 압승이 이어졌다. 첫 번째 국회의원인 더글러스 허드는 마거릿 대처와 존 메이저 내각에서 장관을 역임했으나, 1997년 총선에서 숀 우드워드에게 의석을 내주었다. 하지만 우드워드는 1999년 노동당으로 당적을 바꾸는 이변을 일으켰다. 그는 위트니에서 노동당 후보로 재출마하지 않고, 세인트헬렌스사우스로 지역구를 옮겼다.

2001년 총선에서는 데이비드 캐머런이 위트니의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이후 2015년 총선까지 압도적인 득표율로 4선에 성공했다. 특히 2015년 총선에서 보수당은 330석을 확보하며 예상 밖의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2016년 EU 국민투표 결과에 따라 캐머런은 총리직에서 사퇴했고, 같은 해 9월 위트니 의원직에서도 사퇴했다. 이후 치러진 보궐선거에서는 로버트 코츠가 보수당 후보로 당선되었으나, 득표율은 다소 감소했다. 2017년과 2019년 총선에서 코츠의 득표율은 55%까지 회복되었다. 2019년 총선에서는 자유민주당과 녹색당이 "연합하여 남으라" 동맹을 맺어 녹색당 후보가 출마를 포기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그러나 2024년 총선에서 코츠는 자유민주당 후보에게 20% 이상의 표차로 패배하며 장기집권이 막을 내렸다. [41] [6] [7] [8] [9]

2. 4. 최근의 변화

2016년 데이비드 캐머런의 사임 이후 치러진 위트니 보궐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의 로버트 코츠가 당선되었다. 이 결과는 당시 보수당에 대한 국민들의 불만을 반영하는 결과로 해석되었으며, 브렉시트 국민투표 이후 정치적 혼란 속에서 이루어진 승리였다. 하지만, 2024년 총선에서는 보수당이 다시 위트니 선거구를 탈환하였다. 자유민주당 후보 찰스 메이너드의 당선은 보수당의 지역 기반 약화를 보여주는 사례로 분석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보수당의 전략적 변화와 지역 사회에 대한 집중적인 공략이 결실을 맺은 결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영국 정치 지형의 유동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선거 결과가 단순히 당파적 대립만으로 설명될 수 없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브렉시트 이후의 정치적 불확실성과 지역 경제 여건 변화가 선거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3. 선거구 경계 변화

선거구 경계 변화

위트니 선거구의 경계는 시대에 따라 여러 차례 변화해왔다. 19세기 후반에는 위트니와 브램턴이스트 지방행정구가 우드스톡 선거구의 일부였다.[46] 1974년까지 위트니 지역의 대부분은 우드스톡 선거구, 혹은 밴버리 선거구에 속해 있었다.[47] 1974년부터 1983년까지는 불링던과 플러플리 일부 지역과 함께 미드옥스퍼드셔 선거구에 포함되었다. 1983년부터 1997년까지 위트니는 독립적인 의회 선거구가 되었고, 웨스트옥스퍼드셔 구의 애스콧 십턴, 애스턴뱀튼 스탠드레이크, 뱀튼, 블레이든 카싱턴, 브라이즈노턴 커브릿지, 버포드, 카터턴노스, 카터턴사우스, 차들링턴, 찰버리, 치핑노턴, 클랜필드 실턴, 컴브 스톤스필드, 더클링턴, 엔스턴, 아인셤, 필킨스 랭퍼드, 핀스톡 리필드, 프릴랜드 핸버러, 헤일리, 킹엄, 밀턴언더위치우드, 민스터러벨, 노스레이프, 롤라잇, 스탠턴하코트, 위트니이스트, 위트니노스, 위트니사우스, 위트니웨스트, 우드스톡과 체어웰 구의 고스퍼드, 노스웨스트키들링턴, 사우스이스트키들링턴, 얀턴 등 광범위한 지역을 포함했다.

1997년 선거구 개편으로 위트니 선거구는 웨스트옥스퍼드셔 구와 체어웰 구의 얀턴 구 지역으로 축소되었다. 2004년 영국 구획위원회의 제5차 웨스트민스터 선거구 정례검토[42]에서 위트니 선거구가 웨스트옥스퍼드셔 구 전체로 구성될 수 있다는 보도[43]가 있었지만, 7년 뒤[44] 변경 권고는 없었다.[45] 2010년 총선 이후, 위트니 선거구는 웨스트옥스퍼드셔 구의회 경계와 거의 일치하게 되었다. 이는 웨스트옥스퍼드셔 구의 대부분 지역과 체어웰 구의 얀턴 구역을 포함하며, 바턴즈와 태클리 앤 우튼 지역은 밴버리에서 이관되었다.[11]

2023년 웨스트민스터 선거구 정기 검토(2023 periodic review of Westminster constituencies)에 따라 2024년 총선(2024년 총선)부터 위트니 선거구는 화이트호스 계곡 지구(페어링던, 킹스턴 배그퓨즈, 테임스, 와치필드 앤드 슈리븐햄)와 서옥스퍼드셔 지구(알브스콧 앤드 필킨스, 애스콧 앤드 쉬프턴, 뱀프턴 앤드 클랜필드, 브라이즈 노턴 앤드 쉴턴, 버포드, 카터턴 노스 이스트, 카터턴 노스 웨스트, 카터턴 사우스, 덕링턴, 헤일리, 민스터 러벨 앤드 리필드, 밀턴 언더 위치우드, 스탠드레이크, 애스턴 앤드 스탠턴 하코트, 위트니 센트럴, 위트니 이스트, 위트니 노스, 위트니 사우스, 위트니 웨스트)로 재편되었다.[13] 변경된 경계는 2020년 12월 1일 기준이며, 치핑 노턴과 찰버리는 배너리 선거구로, 우드스톡과 주변 지역은 새롭게 만들어진 비스터 앤드 우드스톡 선거구로 재편되었다.

3. 1. 1983년 ~ 1997년

1983년부터 1997년까지 위트니 선거구는 다음 지역들을 포함했다. 웨스트옥스퍼드셔 구의 애스콧 십턴, 애스턴뱀튼 스탠드레이크, 뱀튼, 블레이든 카싱턴, 브라이즈노턴 커브릿지, 버포드, 카터턴 노스, 카터턴 사우스, 차들링턴, 찰버리, 치핑노턴, 클랜필드 실턴, 컴브 스톤스필드, 더클링턴, 엔스턴, 아인셤, 필킨스 랭퍼드, 핀스톡 리필드, 프릴랜드 핸버러, 헤일리, 킹엄, 밀턴언더위치우드, 민스터러벨, 노스레이프, 롤라잇, 스탠턴하코트, 위트니 이스트, 위트니 노스, 위트니 사우스, 위트니 웨스트, 우드스톡 그리고 체어웰 구의 고스퍼드, 노스웨스트키들링턴, 사우스이스트키들링턴, 얀턴. [42] [43] [44] [45] [46] [47] [10]

3. 2. 1997년 ~ 2010년

1997년 선거구 개편으로 위트니 선거구는 웨스트옥스퍼드셔 구와 체어웰 구의 얀턴 구 지역으로 재편되었다. 웨스트옥스퍼드셔 구의 애스콧 십턴, 애스턴뱀튼 스탠드레이크, 뱀튼, 블레이든 카싱턴, 브라이즈노턴 커브릿지, 버포드, 카터턴노스, 카터턴사우스, 차들링턴, 찰버리, 치핑노턴, 클랜필드 실턴, 컴브 스톤스필드, 더클링턴, 엔스턴, 아인셤, 필킨스 랭퍼드, 핀스톡 리필드, 프릴랜드 핸버러, 헤일리, 킹엄, 밀턴언더위치우드, 민스터러벨, 노스레이프, 롤라잇, 스탠턴하코트, 위트니이스트, 위트니노스, 위트니사우스, 위트니웨스트, 우드스톡 등 광범위한 지역은 제외되었다. 키들링턴 지역은 옥스퍼드 웨스트 앤드 애빙던 선거구로 이관되었는데, 이는 2004년 영국 구획위원회의 제 5차 웨스트민스터 선거구 정례검토[42] 결과 위트니 선거구가 웨스트옥스퍼드셔 구 전체로 구성될 수 있다는 보도[43]에도 불구하고, 7년 후[44] 변경 권고가 없었기 때문이다.[45] 2010년 총선 이후 위트니 선거구는 웨스트옥스퍼드셔 구의회 경계와 거의 일치하게 되었다. 이는 웨스트옥스퍼드셔 구의 대부분 지역과 체어웰 구의 얀턴 구역을 포함한다.[11] 바턴즈와 태클리 앤 우튼 지역은 밴버리에서 이관되었다.

3. 3. 2010년 ~ 2024년

2010년 총선을 기점으로 위트니 선거구의 경계가 변경되어 웨스트옥스퍼드셔 구의 경계와 거의 일치하게 되었다. 이는 2004년 영국 구획위원회의 제5차 웨스트민스터 선거구 정례검토[42] 보도에 따라 위트니 선거구가 웨스트옥스퍼드셔 구 전체로 구성될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된 후,[43] 7년 뒤[44] 구획위원회가 변경하지 말 것을 권고[45]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진 변화이다. 같은 검토를 통해 체러웰 구의 야턴 지역은 옥스퍼드 웨스트 앤드 애빙던으로 이관되었다.[12] 이전에는 1983년부터 1997년까지 위트니 선거구는 웨스트옥스퍼드셔 구와 체어웰 구의 일부 지역을 포함했으며, 1997년부터 2010년까지는 웨스트옥스퍼드셔 구와 체어웰 구의 얀턴 구를 포함했다. 1974년 이전에는 위트니 지역 대부분이 우드스톡 선거구 또는 밴버리 선거구에 속해 있었다.[47] 1974년부터 1983년까지는 불링던과 플러플리 일부 지역과 함께 미드옥스퍼드셔 선거구에 포함되었다.

3. 4. 2024년 ~ 현재

2023년 웨스트민스터 선거구 정기 검토(2023 periodic review of Westminster constituencies)에 따라 2024년 영국 총선(2024년 총선)부터 위트니 선거구는 다음과 같은 지역으로 구성됩니다. 변경된 경계는 2020년 12월 1일 기준입니다.

  • 화이트호스 계곡 지구(District of Vale of White Horse): 페어링던(Faringdon), 킹스턴 배그퓨즈(Kingston Bagpuize), 테임스(Thames), 와치필드 앤드 슈리븐햄(Watchfield & Shrivenham). 완티지 선거구에서 편입된 지역입니다.
  • 서옥스퍼드셔 지구(District of West Oxfordshire): 알브스콧 앤드 필킨스(Alvescot and Filkins), 애스콧 앤드 쉬프턴(Ascott and Shipton), 뱀프턴 앤드 클랜필드(Bampton and Clanfield), 브라이즈 노턴 앤드 쉴턴(Brize Norton and Shilton), 버포드(Burford), 카터턴 노스 이스트(Carterton North East), 카터턴 노스 웨스트(Carterton North West), 카터턴 사우스(Carterton South), 덕링턴(Ducklington), 헤일리, 민스터 러벨 앤드 리필드(Hailey, Minster Lovell and Leafield), 밀턴 언더 위치우드(Milton-under-Wychwood), 스탠드레이크, 애스턴 앤드 스탠턴 하코트(Standlake, Aston and Stanton Harcourt), 위트니 센트럴(Witney Central), 위트니 이스트(Witney East), 위트니 노스(Witney North), 위트니 사우스(Witney South), 위트니 웨스트(Witney West).[13]


주요 변경 사항으로는, 기존 위트니 선거구에 포함되었던 치핑 노턴(Chipping Norton)과 찰버리(Charlbury)는 배너리(배너리) 선거구로, 우드스톡(우드스톡)과 주변 지역은 새롭게 만들어진 비스터 앤드 우드스톡(Bicester and Woodstock) 선거구로 재편되었습니다.

4. 역대 국회의원

선거의원정당비고
더글러스 허드 | 보수당 | 이후 웨스트웰의 허드 남작이 됨. 1984년 ~ 1995년 내각장관 재직.
숀 우드워드 | 보수당 | 2001년부터는 세인트헬렌스사우스 선거구의 의원이 됨. 이후 북아일랜드 장관으로 재직.
로버트 코츠 | 노동당 |
데이비드 캐머런 | 보수당 | 2005년 ~ 2016년 보수당 대표. 2010년 ~ 2016년 영국 총리. 보수당의 대표적인 인물이었으나, 여러 논란과 비판을 받았다.
로버트 코츠 | 보수당 |
찰스 메이나드 | 자유민주당 |


4. 1. 국회의원 목록

선거의원정당비고
1983년 영국 총선더글러스 허드보수당이후 웨스트웰의 허드 남작이 됨. 1984년 ~ 1995년 내각장관 재직.
1997년 영국 총선션 우드워드보수당2001년부터는 세인트헬렌스사우스 선거구의 의원이 됨. 이후 북아일랜드 장관으로 재직.
1999션 우드워드노동당
2001년 영국 총선데이비드 캐머런보수당2005년 ~ 2016년 보수당 대표. 2010년 ~ 2016년 영국 총리.
2016년 위트니 재보궐선거로버트 코츠보수당
2024년 영국 총선찰스 메이나드자유민주당2024년 자유민주당의 찰스 메이나드 당선은 보수당의 텃밭이었던 위트니에서의 이변으로, 보수당 지지 기반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5. 역대 선거 결과

역대 선거 결과

위트니 선거구의 역대 총선 및 보궐선거 결과는 보수당의 압도적 승리로 시작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유민주당의 약진과 보수당의 지지율 하락이라는 변화를 보여준다. 특히 브렉시트 국민투표 이후 정치적 혼란과 사회적 갈등이 선거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1983년 선거구 신설 이후 1997년까지 보수당의 더글러스 허드가 의원직을 유지했다. 1983년 총선에서는 55.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고, 1987년에는 57.5%로 재선에 성공했다. 1992년에도 56.4%의 득표율로 3선에 성공했지만, 노동당의 약진이 눈에 띄었다. 하지만 1997년 총선에서는 보수당의 숀 우드워드가 4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나, 1999년 보궐선거에서 노동당에 패배하는 이변이 발생했다. 이후 2001년 총선부터는 데이비드 캐머런이 보수당 후보로 출마하여 의원직을 이어받았다.

2001년 총선에서 캐머런은 45.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고, 2005년에는 49.3%로 득표율을 높였다. 2010년 총선에서는 58.8%의 득표율로 압승을 거두었지만, 2015년에는 60.2%로 소폭 상승하는데 그쳤다. 2016년 보궐선거에서는 45.0%로 득표율이 크게 하락했지만, 로버트 코츠가 보수당 후보로 당선되었다. 2017년 총선에서는 55.5%로 득표율이 감소했지만, 역시 로버트 코츠가 재선에 성공했다. 2019년 총선에서도 코츠가 58.1%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했지만, 자유민주당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최근 2024년 총선에서는 자유민주당 후보가 당선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항목을 참고.[62][63][52][53][54][55][56][57][58][19][20][21][17][18][67][68][69][64][65][66][41]

5. 1. 2020년대 선거

2024년 영국 총선에서 위트니 선거구는 자유민주당의 찰스 메이나드 후보가 20,832표(41.2%)를 얻어 당선되었다. 이는 전 선거 대비 15.2% 증가한 수치이며, 보수당의 로버트 코츠 후보(16,493표, 32.6%)를 크게 앞섰다. 보수당은 전 선거 대비 25.5%의 득표율 하락을 기록했다. 자유민주당의 압승은 보수당 정부에 대한 지역 유권자들의 불만과, 진보적인 정책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의 결집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개혁 UK는 6,307표(12.5%)를 얻었고, 노동당은 4,773표(9.4%)를 얻는데 그쳤다. 녹색당(1,661표, 3.3%), 무소속(350표, 0.7%), 헤리티지당(168표, 0.3%) 등 기타 정당들은 미미한 득표율을 기록했다. 자유민주당의 승리는 20.4%의 스윙을 기록하며 보수당의 텃밭이었던 위트니 선거구의 정치 지형을 완전히 뒤바꾸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전체 투표율은 67.1%로 전 선거 대비 2.6% 감소했다.

5. 1. 1. 2024년 총선

2024년 영국 총선에서 위트니 선거구에서는 자유민주당의 찰스 메이나드가 당선되었다. 보수당은 25.5%p 감소한 32.6%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패배했다. 메이나드는 20,832표(41.2%)를 얻어 4,339표(8.6%p) 차이로 승리했다. 이는 전 선거 대비 15.2%p 증가한 결과이다. 반면 보수당의 로버트 코츠는 16,493표(32.6%)를 획득하는데 그쳤다. 개혁 UK는 6,307표(12.5%)를 얻으며 약진했고, 노동당은 4,773표(9.4%)를 얻는데 그치며 전 선거 대비 6.0%p 하락했다. 녹색당은 1,661표(3.3%), 무소속은 350표(0.7%), 헤리티지당은 168표(0.3%)를 각각 획득했다. 전체 투표율은 67.1%로 전 선거 대비 2.6%p 감소했다. 이번 선거 결과는 보수당의 몰락과 자유민주당의 부상을 보여주는 동시에, 개혁 UK와 같은 새로운 정당의 등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보수당의 압도적인 패배는 보수정권에 대한 유권자들의 불만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5. 2. 2010년대 선거

2010년대 위트니 선거구에서는 보수당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지만, 그 강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2010년 총선에서 보수당의 데이비드 캐머런은 58.8%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자유민주당과 노동당을 크게 앞섰다. 이는 전년 대비 9.4% 증가한 수치이며, 자유민주당으로부터 6.3%의 지지율을 흡수한 결과였다. [62][63] 하지만 2015년 총선에서는 보수당의 득표율이 60.2%로 소폭 상승했지만, 자유민주당의 지지율은 12.6%p나 감소하며 보수당의 승리는 다소 둔화되었다. [52][53][54][55][56][57][58] 2017년 총선에서도 보수당 후보 로버트 코츠가 당선되었으나, 득표율은 55.5%로 감소했고, 자유민주당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19][20] 특히 2016년 위트니 재보궐선거에서는 보수당의 득표율이 45%까지 떨어지며 자유민주당의 맹추격을 받았다. [21] 이는 보수당의 지지율 하락과 자유민주당의 부상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2019년 총선에서는 보수당의 득표율이 58.1%로 다시 상승하며, 여전히 선거구의 주도권을 유지했지만, 자유민주당의 약진이 이어지면서 보수당의 우위가 위협받고 있음을 보여준다.[17] [18]

5. 2. 1. 2019년 총선

2019년 영국 총선에서 위트니 선거구에서는 보수당의 로버트 코츠가 재선에 성공했다. 그는 28,355표 (58.1%)를 획득하여 압승을 거두었다. 이는 2017년 총선 대비 득표율이 소폭 감소한 결과이지만, 여전히 압도적인 승리를 거둔 것으로 분석된다. 코츠의 재선은 지역 유권자들의 보수당에 대한 꾸준한 지지와 브렉시트 이후의 불확실한 정치 상황 속에서 안정적인 지도자에 대한 요구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보수당은 지역 경제 발전 및 사회 안정에 대한 공약을 통해 유권자들의 지지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반면, 자유민주당은 12,681표 (26.0%)를 얻으며 2017년 대비 큰 폭으로 약진했다. 이는 전반적인 자유민주당의 지지율 상승과 더불어, 브렉시트 반대를 표명하며 유럽연합 잔류를 지지하는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노동당은 7,520표 (15.4%)를 얻는데 그치며 2017년 총선에 비해 큰 폭으로 하락했다. 노동당의 지지율 하락은 전반적인 노동당의 전국적 부진과 더불어, 브렉시트 문제에 대한 명확한 입장 부재로 인한 유권자들의 실망감이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기타 정당들은 미미한 득표율을 기록했다. 전체 투표율은 69.7%로 나타났다. 보수당의 압승과 자유민주당의 약진, 그리고 노동당의 몰락은 2019년 영국 총선의 주요 특징 중 하나로 기록될 만하다.

5. 2. 2. 2017년 총선

2017년 총선에서 위트니 선거구에서는 보수당의 로버트 코츠가 당선되었다. 그는 33,839표(55.5%)를 얻어 당선되었는데, 이는 2015년 총선 대비 득표율이 4.7% 감소한 결과이다. 하지만 여전히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노동당 후보 레티시아 카터는 12,598표(20.7%)를 얻었고, 자유민주당 후보 리즈 레프만은 12,457표(20.4%)를 획득하며 약진했다. 레프만 후보의 득표율 상승은 13.6%p에 달했는데, 이는 보수당의 지지율 하락과 자유민주당의 지지율 상승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다. 녹색당과 영국 독립당은 각각 1.7%, 1.6%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지지율이 감소했다. 보수당의 득표율 감소에도 불구하고, 로버트 코츠는 21,241표 차이로 당선되어 보수당의 위트니 선거구 장악력을 유지했다. 하지만 자유민주당의 약진은 향후 선거에서 보수당에 대한 도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5. 2. 3. 2016년 보궐선거

2016년 보궐선거는 데이비드 캐머런 전 총리의 사임으로 인해 치러졌다. 보수당의 로버트 코츠가 당선되었지만, 보수당의 득표율은 2015년 총선 대비 15.2%p 감소한 45.0%에 그쳤다. 반면 자유민주당은 득표율이 23.4%p 증가하여 30.2%를 기록하며 약진했다. 노동당은 15.0%의 득표율을 얻었고, 녹색당과 영국 독립당은 각각 3.5%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기타 정당들의 득표율은 미미했다. 이번 보궐선거 결과는 보수당의 지지율 하락과 자유민주당의 부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평가된다. 특히, 보수당의 득표율 감소는 브렉시트 국민투표 이후 불거진 정치적 혼란과 사회적 갈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자유민주당의 약진은 브렉시트 반대 여론을 효과적으로 결집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영국 정치 지형 변화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5. 2. 4. 2015년 총선

2015년 영국 총선에서 위트니 선거구에서는 보수당의 데이비드 캐머런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캐머런은 35,201표(60.2%)를 얻어 당선되었는데, 이는 2010년 총선 대비 1.4% 증가한 수치이다. 이는 보수당의 전반적인 선전과 지역 내 지지 기반의 견고함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반면, 제1야당인 노동당은 10,046표(17.2%)를 얻는데 그쳐 2010년 대비 4.2% 증가했지만 여전히 보수당에 크게 뒤쳐졌다. 영국 독립당은 5,352표(9.2%)를 얻어 2010년 대비 5.7%의 큰 폭으로 득표율이 상승했는데, 이것은 당시 브렉시트 논의가 확산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분석된다. 자유민주당은 3,953표(6.8%)를 얻는데 그치며 2010년 대비 12.6%나 득표율이 급감했다. 이는 자유민주당의 전반적인 약세를 반영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녹색당은 2,970표(5.1%)를 획득하여 1%p 증가했고, 그 외 소수 정당들은 1%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전반적으로 보수당의 압승이 두드러졌으며, 다른 정당들은 상대적으로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다. [22] [23] [24]

5. 2. 5. 2010년 총선

2010년 영국 총선에서 위트니 선거구에서는 보수당의 데이비드 캐머런이 압승을 거두었다. 그는 33,973표(58.8%)를 획득하여 당선되었으며, 이는 전 총선 대비 9.4% 증가한 수치다. 이는 보수당의 전반적인 승리와 데이비드 캐머런의 인기에 힘입은 결과로 분석된다. 반면 자유민주당은 11,233표(19.4%)를 얻는데 그치며 전 총선 대비 3.1% 하락했고, 노동당은 7,511표(13.0%)를 획득하는데 그쳐 전 총선 대비 9.4%라는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이는 노동당의 당시 부진과 정치적 위기를 반영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녹색당은 2,385표(4.1%), 영국 독립당은 2,001표(3.5%)를 얻었으며, 그 외 소수 정당들은 미미한 득표율에 그쳤다. 보수당의 압도적인 승리는 보수당 정부 출범과 이후 정치적 지형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자유민주당의 지지율 하락과 노동당의 부진은 향후 영국 정치의 큰 변화를 예고하는 신호탄이었다.

5. 3. 2000년대 선거

2000년대 위트니 선거구에서는 데이비드 캐머런의 정치적 성장이 두드러졌다. 2001년 총선에서 그는 보수당 후보로 출마하여 45.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고, 이는 2.0%p 증가한 수치였다. 노동당은 28.8%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1.8%p 감소했다. 2005년 총선에서는 49.3%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당선, 4.3%p 상승했다. 노동당은 22.0%로 6.8%p 하락했다. 이러한 결과는 데이비드 캐머런의 인기 상승과 보수당의 약진을 보여주는 동시에, 노동당의 지지율 하락을 반영한다. 이러한 추세는 이후 2010년대 선거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된다. 자유민주당은 꾸준히 20% 안팎의 지지율을 유지하며 제3당의 위치를 공고히 했다. 하지만 녹색당과 영국 독립당 등 다른 정당들의 약진도 주목할 만하다. 특히 영국 독립당은 2001년 1.6%에서 2005년 2.5%로 지지율이 상승하는 등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5. 3. 1. 2005년 총선

2005년 영국 총선에서 위트니 선거구에서는 보수당의 데이비드 캐머런이 26,571표(49.3%)를 얻어 당선되었다. 이는 전 선거 대비 4.3%p 증가한 수치이다. 자유민주당의 리즈 레프먼은 12,415표(23.0%)를 얻었고, 노동당의 토니 그레이는 11,845표(22.0%)를 획득하며 캐머런에 이어 2, 3위를 차지했다. 특히 노동당은 전 선거 대비 6.8%p나 하락하며 침체를 보였다. 녹색당과 영국 독립당은 각각 1,682표(3.2%), 1,356표(2.5%)를 얻는 데 그쳤다. 보수당의 압승 속에서 자유민주당은 전 선거 대비 2.7%p 상승했지만, 노동당의 몰락이 두드러진 선거였다. 과반수 득표율은 26.3%로 전 선거 대비 10.1%p 상승했다. 총 투표율은 69.0%로 전 선거 대비 3.1%p 증가했다. 보수당의 승리는 전반적인 보수당의 선전과 노동당의 약세가 결합된 결과로 분석된다. 이 선거 결과는 진보 진영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켰고, 이후 보수당 정부의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5. 3. 2. 2001년 총선

2001년 영국 총선에서 위트니 선거구에서는 보수당의 데이비드 캐머런이 당선되었다. 그는 22,153표(45.0%)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이는 전 선거 대비 득표율 2.0% 증가한 결과였다. 노동당의 마이클 바틀렛은 14,180표(28.8%)를 얻었지만, 전 선거 대비 1.8% 감소하며 하락세를 보였다. 자유민주당의 가레스 엡스는 10,000표(20.3%)를 얻었고, 전 선거 대비 0.4% 증가했다. 이 결과는 노동당의 전반적인 하락세와 자유민주당의 꾸준한 성장세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보수당의 승리는 7,973표(16.2%)의 과반수 득표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는 전 선거 대비 3.8% 증가한 수치이다. 전체 투표율은 65.9%로, 전 선거 대비 10.8% 감소했다. 이 선거에서 데이비드 캐머런의 당선은 그가 정계에 처음 발을 들여놓은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5. 4. 1990년대 선거

1990년대 위트니 선거구는 보수당의 텃밭으로 여겨졌다. 처음으로 당선된 의원은 더글러스 허드로, 마거릿 대처와 존 메이저 내각에서 장관을 역임했으며 1997년까지 의원직을 수행했다.

1997년 총선에서는 허드가 숀 우드워드에게 의원직을 물려주었으나, 우드워드는 1999년 예상 밖으로 노동당 후보에게 패배하면서 위트니 선거구에 노동당 의원이 탄생하는 이변이 발생했다. [41] 우드워드는 위트니에서 노동당 후보로 다시 출마하지 않고, 노동당의 텃밭인 세인트헬렌스사우스 선거구로 지역구를 옮겼다. 이는 1997년 앨런 호워스가 보여준 관행을 따른 것이다.

2001년 총선에서는 데이비드 캐머런이 위트니의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이후로도 꾸준히 의석을 유지했다. 캐머런은 2005년 12월 보수당 대표가 되었고, 2010년 5월에는 영국 수상에 올랐다. 2015년 총선에서 캐머런은 위트니에서 25,155표를 획득하며 4선에 성공했는데, 이는 그의 정치 경력 중 최고 득표율이었다. 당시 보수당은 하원에서 330석을 확보하며 예상을 뛰어넘는 과반 의석을 차지, 다수당 내각을 구성할 수 있었다. 반면 노동당은 232석에 그쳤다.

1992년 총선에서도 보수당의 더글러스 허드가 당선되었으나, 노동당의 약진이 눈에 띄었다. 1987년 총선과 비교했을 때, 노동당의 득표율은 상승했으며, 자유민주당의 득표율은 하락했다. 이는 당시 영국의 정치 지형 변화를 반영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특히 1997년 총선의 보수당 득표율 급락은 당시 노동당의 압승과 보수당의 몰락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5. 4. 1. 1997년 총선

1997년 총선에서 기존 의원 더글러스 허드는 보수당 후보 숀 우드워드에게 의석을 내주었다. 숀 우드워드는 43.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나, 이는 전 선거 대비 14.8%p 감소한 수치였다. 노동당은 30.6%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전 선거 대비 12.5%p 증가했고, 자유민주당은 19.9%로 2.7%p 감소하였다. 이는 1997년 토니 블레어가 이끄는 노동당의 압승으로 이어진 전반적인 정치 지형 변화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우드워드는 1999년 보궐선거에서 노동당에 패배했으며, 이는 위트니 선거구에 예상치 못한 노동당 의원이 등장하게 된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우드워드는 위트니에서 노동당 후보로 출마하지 않고 세인트헬렌스사우스로 지역구를 옮겼다. 이러한 결과는 보수당의 전통적인 강세 지역인 위트니에서조차 노동당의 약진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이러한 변화는 당시 영국 사회 전반의 정치적 좌경화 흐름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5. 4. 2. 1992년 총선

1992년 영국 총선에서 위트니 선거구에서는 보수당의 더글러스 허드가 당선되었다. 그는 마거릿 대처와 존 메이저 내각에서 장관직을 역임한 인물로, 이 선거에서 36,256표(56.4%)를 얻어 당선되었다. [67] 노동당의 제임스 플래스킷은 13,688표(21.3%)를 얻었고, 자유민주당의 이언 블레어는 13,393표(20.8%)를 획득했다. [67] 보수당은 이 선거에서 과반수 의석을 확보하며 승리하였고, 자유민주당은 전 선거 대비 득표율이 5%p 감소하였지만, 노동당은 4.6%p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67] 이 선거에서 녹색당과 자연법당, 무소속 보수당 후보가 출마하였으나, 상대적으로 적은 표를 얻었다. 보수당의 승리는 당시 보수적인 분위기와 더글러스 허드의 인지도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노동당의 약진은 향후 선거에서의 변화를 예고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5. 5. 1980년대 선거

1983년 영국 총선에서 위트니 선거구는 신설되었고, 보수당의 더글러스 허드가 당선되었다. 허드는 마거릿 대처와 존 메이저 내각에서 장관을 역임한 인물로, 55.4%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자유당과 노동당 후보를 제치고 승리했다. 보수당은 압도적인 과반수(24.5%)를 차지했다. [69]

1987년 영국 총선에서도 허드는 보수당 후보로 출마하여 재선에 성공했다. 57.5%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자유당과 노동당 후보를 압도적인 차이로 물리쳤다. 보수당의 과반수는 31.7%로 더욱 확대되었다. 이는 보수당의 강세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68]

1992년 영국 총선에서 허드는 3선에 성공했지만, 득표율은 56.4%로 소폭 감소했다. 노동당의 약진이 눈에 띄었으나, 보수당은 여전히 압도적인 과반수(35.1%)를 확보했다. [67] 이 시기 보수당의 압승은 대처리즘의 영향력이 여전했던 시대적 배경과 무관하지 않다. 하지만 1997년 총선에서 보수당의 숀 우드워드는 노동당에 패하며, 위트니 선거구에서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대처리즘의 쇠퇴와 신노동당의 부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된다.[64] [65] [66]

5. 5. 1. 1987년 총선

1987년 영국 총선에서 위트니 선거구에서는 보수당의 더글러스 허드가 재선에 성공했다. 허드는 57.5%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33,458표를 얻었고, 이는 1983년 총선 대비 2.1%p 증가한 수치다. 자유당은 25.8%의 득표율(14,994표)로 2위를 차지했지만, 1983년 대비 5.0%p 감소했다. 노동당은 16.7%의 득표율(9,733표)로 3위에 머물렀으나, 1983년 대비 2.9%p 증가했다. 보수당의 압승 속에 더글러스 허드는 당선되었고, 이는 보수당의 전반적인 압승과 맥을 같이한다. 보수당은 과반수 의석을 확보하며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반적인 영국 정치 풍토를 반영하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68]

5. 5. 2. 1983년 총선

1983년 영국 총선에서 위트니 선거구가 신설되었고, 이 선거구에서 더글러스 허드가 보수당 후보로 당선되었다. 그는 마거릿 대처와 존 메이저 내각에서 장관직을 역임했으며, 1997년까지 의원직을 유지했다. 이 선거에서 허드는 28,695표(55.4%)를 얻어 당선되었고, 자유당 후보 J. 바스턴(15,983표, 30.8%), 노동당 후보 캐롤 B. 도우스(7,145표, 13.8%)를 제쳤다. 보수당은 압도적인 과반수(12,712표, 24.5%)를 확보하며 승리했다. 총 투표율은 74.7%였다.[69] 이 결과는 위트니 선거구가 보수당의 텃밭임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Witney, June 1983 up to May 1997' http://electionweb.c[...] Cognitive Computing Limited 2016-03-14
[2] 웹사이트 The 2023 Review of Parliamentary Constituency Boundaries in England – Volume two: Constituency names, designations and composition – South East https://boundarycomm[...] Boundary Commission for England 2024-06-04
[3] 웹사이트 David Cameron https://web.archive.[...] Witney Conservatives 2011-12-22
[4] 웹사이트 1885 Boundary Commission map https://web.archive.[...] H.M.S.O. 2014-02-19
[5] 웹사이트 1917 Boundary Commission map https://web.archive.[...] H.M.S.O. 2014-10-06
[6] 웹사이트 Anger as Tory defects to Labour http://news.bbc.co.u[...] BBC News 2011-01-05
[7] 웹사이트 David Cameron resigns as an MP https://www.itv.com/[...] 2016-09-12
[8] 웹사이트 General election: Is your seat part of anti-Brexit parties' electoral pact? https://news.sky.com[...] 2019-11-07
[9] 웹사이트 Prospective General Election Candidates https://my.greenpart[...] Green Party 2019-10-13
[10] 웹사이트 The Parliamentary Constituencies (England) Order 1983 http://www.legislati[...] 2019-02-13
[11] 웹사이트 The Parliamentary Constituencies (England) Order 1995 http://www.legislati[...] 2019-02-13
[12] 웹사이트 Final Recommendations – Oxfordshire http://webarchive.na[...] 2010-02-21
[13] 웹사이트 The Parliamentary Constituencies Order 2023 https://www.legislat[...] null
[14] 웹사이트 null null 2012-03-00
[15] 웹사이트 Election of a Member of Parliament for Witney Constituency https://www.westoxon[...] 2024-06-07
[16] 뉴스 Witney – General election results 2024 https://www.bbc.co.u[...]
[17] 웹사이트 Notional results for a UK general election on 12 December 2019 https://electionresu[...] UK Parliament 2024-07-11
[18] 뉴스 Witney Parliamentary constituency https://www.bbc.co.u[...] BBC 2019-11-27
[19] 뉴스 Parties race against time to choose candidates https://www.bbc.com/[...] 2017-04-22
[20] null null null null
[21] 웹사이트 AS IT HAPPENED: Conservative Robert Courts elected as Witney's new MP https://www.witneyga[...] 2016-10-20
[22] 웹사이트 Election Data 2015 https://web.archive.[...] Electoral Calculus 2015-10-17
[23] 웹사이트 Election of a Member of Parliament for the Witney Constituency https://web.archive.[...] 2015-04-10
[24] 뉴스 Witney parliamentary constituency – Election 2017 https://www.bbc.com/[...]
[25] 웹사이트 Election Data 2010 https://web.archive.[...] Electoral Calculus 2015-10-17
[26] 웹사이트 Election Data 2005 https://web.archive.[...] Electoral Calculus 2015-10-18
[27] 웹사이트 Election Data 2001 https://web.archive.[...] Electoral Calculus 2015-10-18
[28] 웹사이트 Election Data 1997 https://web.archive.[...] Electoral Calculus 2015-10-18
[29] 웹사이트 Politics Resources http://www.politicsr[...] Politics Resources 2011-01-07
[30] 서적 The Media Guide to the New Parliamentary Constituencies LGC Elections Centre null
[31] null null null null
[32] 웹사이트 Election Data 1992 https://web.archive.[...] Electoral Calculus 2015-10-18
[33] 웹사이트 Politics Resources http://www.politicsr[...] Politics Resources 2010-12-06
[34] 웹사이트 Election Data 1987 https://web.archive.[...] Electoral Calculus 2015-10-18
[35] 웹사이트 UK General Election results June 1987 http://www.politicsr[...] 2011-02-05
[36] 웹사이트 Election Data 1983 http://www.electoral[...] Electoral Calculus 2015-10-18
[37] 웹사이트 UK General Election results June 1983 http://www.politicsr[...] 2011-02-05
[38] 웹인용 Electorate Figures – Boundary Commission for England http://www.boundaryc[...] 잉글랜드 구획위원회 (Boundary Commission for England) 2011-03-04
[39] 웹인용 David Cameron http://www.witneycon[...] Witney Conservatives 2010-05-06
[40] 웹사이트 david-cameron-resigns-his-seat-as-an-mp http://www.itv.com/n[...]
[41] 웹인용 Anger as Tory defects to Labour http://news.bbc.co.u[...] BBC News 2011-01-05
[42] 웹사이트 Review area- Oxfordshire http://webarchive.na[...] Boundary Commission for England
[43] 웹사이트 Final Recommendations – Oxfordshire http://webarchive.na[...] BCE
[44] 웹사이트 What's Proposed – Oxfordshire http://consultation.[...] 잉글랜드 구획위원회 (Boundary Commission for England) 2011-10-14
[45] 웹사이트 South West recommendations http://consultation.[...] BCE 2012-10-22
[46] 웹사이트 1885년 구획위원회 경계도 (1885 Boundary Commission map) http://visionofbrita[...] H.M.S.O. 2014-02-19
[47] 웹사이트 1917년 구획위원회 경계도 (Boundary Commission map) http://visionofbrita[...] H.M.S.O. 2014-10-06
[48] 간행물 Rayment-hc 2012-03
[49] 웹사이트 Statement of Persons Nominated and Notice of Poll https://www.westoxon[...] West Oxfordshire District Council 2017-01-15
[50] 트위터 Witney Result https://twitter.com/[...] Britain Elects
[51] 웹인용 Deleleration of Results of Poll http://www.westoxon.[...] West Oxfordshire District Council 2017-02-03
[52] 웹인용 Stuart Macdonald at Oxfordshire Green Party http://www.greenoxfo[...] Oxfordshire Green Party 2015-06-19
[53] 웹인용 I'm standing against Cameron in Witney, announces Dr Clive Peedell – NHA Party http://nhap.org/im-s[...] NHA Party 2015-06-19
[54] 웹인용 Duncan Enright http://www.labour.or[...] labour.org.uk 2015-06-19
[55] 웹인용 Six UKIP candidates http://www.oxfordmai[...] Oxford Mail
[56] 웹인용 CLASS WAR TO FIGHT DAVID CAMERON SEAT AT GENERAL ELECTION http://ianbone.wordp[...] Ian Bone
[5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westoxon.[...] 2015-06-19
[58] 웹사이트 http://www.bbc.co.uk[...]
[59] 웹인용 Candidates (PPCs) for Witney in the UK 2015 General Election https://yournextmp.c[...] YourNextMP 2015-06-19
[60] 웹사이트 http://www.bbc.co.uk[...]
[6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nathanhan[...] 2020-06-09
[62] 웹사이트 Statement of Persons Nominated http://www.westoxon.[...] West Oxfordshire District Council 2013-06-18
[63] 웹인용 2010 Witney Election 결과 http://news.bbc.co.u[...] BBC News 2011-01-05
[64] 웹인용 Politics Resources http://www.politicsr[...] Politics Resources 2011-02-07
[65] 서적 The Media Guide to the New Parliamentary Constituencies LGC Elections Centre 1995
[66] 기타
[67] 웹인용 Politics Resources http://www.politicsr[...] Politics Resources 2010-02-16
[68] 웹인용 UK General Election results June 1987 http://www.politicsr[...] Richard Kimber's Political Science Resources 2011-02-05
[69] 웹인용 UK General Election 결과s June 1983 http://www.politicsr[...] 2011-0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