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윈강 석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윈강 석굴은 중국 산시성 다퉁시에 위치한 석굴 유적으로, 북위 시대에 조성되었다. 460년 담요가 무주천 절벽에 굴착한 '담요 오굴'에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윈강 시대(460-494년)로 불리는 시기에 대규모 석굴 조성이 이루어졌다. 초기의 석굴은 간다라 미술과 굽타 양식의 영향을 받았고, 후기에는 서방 기원의 디자인이 사용되었으나, 494년 낙양 천도 이후에는 조형이 쇠퇴하는 경향을 보였다. 윈강 석굴은 용문석굴 등 다른 석굴 사원에 영향을 미쳤으며, 1961년 중화인민공화국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 2001년에는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윈강 석굴은 풍화 작용과 대기 오염으로 인해 보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최근에는 게임 '블랙 미스: 오공'의 배경으로 등장하면서 관광객 수가 증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퉁시의 건축물 - 현공사
    현공사는 중국 산시성 절벽에 지어진 1400년 역사의 사찰로, 유교, 불교, 도교를 융합한 건축 양식과 공중에 매달린 듯한 독특한 모습, 그리고 삼교의 조화를 보여주는 종교적 의미를 지닌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이다.
  • 중국의 석굴 사찰 - 막고굴
    중국 돈황에 위치한 막고굴은 4세기부터 14세기까지 조성된 석굴 사원으로, 수많은 석굴, 불상, 벽화와 둔황문서 발견으로 불교 미술의 중요한 문화유산이자 세계적인 주목을 받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 중국의 석굴 사찰 - 룽먼 석굴
    룽먼 석굴은 뤄양 부근 뤄허 강가에 위치한 중국 3대 석굴 중 하나로, 5세기 후반부터 북위, 수, 당나라 시대를 거치며 1,400여 개의 석굴과 10만여 점의 불상, 2,500여 개의 비석 등이 만들어졌으며, 중국 5A급 관광지로 보호받고 있다.
  • 불교 순례지 - 보로부두르
    보로부두르는 인도네시아 자와섬 중부에 위치한 9세기 대승불교 유적으로, 샤일렌드라 왕조 시대에 건설된 계단식 피라미드 형태의 만다라 구조물이며, 19세기 재발견 후 복원을 거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불교 순례지 및 관광 명소로 활용된다.
  • 불교 순례지 - 루앙프라방
    루앙프라방은 라오스 북부 메콩 강 유역에 위치한 도시로, 란쌍 왕국의 수도로서 라오스의 문화적, 정신적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 역사적 건축물과 문화 유산,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자랑하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도시이자 활발한 관광 산업 도시이다.
윈강 석굴
개요
윈강 석굴 파노라마
윈강 석굴 파노라마
중국어 간체云冈石窟
중국어 정체雲崗石窟
병음Yúngāng Shíkū
웨이드-자일스Yün-kang Shih-k'u
위치
장소산시 성, 중국
좌표40° 06′ 38″ N, 113° 07′ 33″ E
유네스코 세계유산
유형문화
기준i, ii, iii, iv
ID1039
등재 연도2001년
면적348.75 헥타르
완충 구역846.81 헥타르
상세 정보
다른 이름무저우 산 (武州山)
우저우 산 (武周山)
추가 정보
AAAAA급 관광지중국국가여유국
문화관광부대동시 윈강 석굴

2. 역사

서진 멸망 이후, 선비족이 세운 북위가 중국 북부 지역을 다스렸다. 북위는 다퉁을 수도로 삼고 불교를 국교로 채택하여 장려했다. 불교는 고대 실크로드 북쪽 경로를 통해 이 지역에 전래되었다.[4]

윈강 석굴은 원래 영암사(靈巖寺)라고 불렸으며, 현재는 석불사(石佛寺) 등으로도 불린다. 북위 시대 460년경부터 석굴 조성이 시작되어, 윈강 시대(460년 - 494년)라고 불리는 중국 불교 조각사의 한 시기를 형성했다.

중일 전쟁 중인 1937년부터 1944년까지 윈강 석굴에 대한 전체적인 조사가 이루어졌으며,[12] 1961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14] 2001년에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부근 노천탄광에서 나오는 석탄 가루로 인해 오염이 심각해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2. 1. 북위 시대 석굴 조성

북위의 사문통인 담요가 문제에게 상주해 460년(화평 원년)경, 상건하의 지류인 무주천의 절벽에 굴착한 이른바 "'''담요 오굴'''" (제16굴, 제17굴, 제18굴, 제19굴, 제20굴)에서 윈강 석굴 조성이 시작되었다.[4] 삼무일종의 불교 탄압 중 첫 번째 사건인 태무제의 불교 탄압 이후, 불교 부흥 사업의 상징적인 존재가 이 5개의 거대한 석불이었다.

이후에도 제1·2굴, 제3굴, 제5·6굴, 제7·8굴, 제9·10굴, 제11·12·13굴과 같은 대규모 석굴 조영이 계속되어 윈강 시대(460년 - 494년)라고 불리는 중국 불교 조각사의 한 시기를 형성했다.

양식은, 초기의 "담요 오굴"에는 간다라 미술이나 굽타 왕조 양식의 영향이 짙다. 그 후의 석굴에서는 그리스 양식의 덩굴무늬로 대표되는 서방 기원의 디자인도 사용되었으며, 당시의 건축 양식을 모방한 장식도 풍부하게 보인다. 그러나 낙양으로 천도하는 494년 이후의 말기에는 초기의 웅대한 질감은 사라지고 가냘프고 힘이 느껴지지 않는 조형이 증가하는 경향이 현저해진다. 그리고 이 경향의 연장선상에 이어지는 용문 시대가 기다리고 있다.

윈강의 양식은 량저우의 석굴에 그 연원을 두고 있다고 생각되지만, 윈강의 영향은 용문·톈룽산·남북의 샹탕산 등 광범위한 석굴 사원에 미치고 있다.

9굴

2. 2. 양식 변화

북위의 사문통인 담요가 문제에게 상주하여 460년(화평 원년)경에 시작된 이른바 '담요오굴(제16굴, 제17굴, 제18굴, 제19굴, 제20굴)'에서부터 윈강 석굴의 양식 변화가 시작되었다. 삼무일종의 불교 탄압 중 첫 번째 사건인 태무제의 불교 탄압 이후, 불교 부흥 사업의 상징으로 이 5굴의 거대한 석불이 조성되었다.

이후 대규모 석굴 조성이 계속되어 윈강 시대(460년 - 494년)는 중국 불교 조각사에서 중요한 시기로 꼽힌다. 초기 '담요 오굴'에는 간다라 미술이나 굽타 왕조 양식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그 후의 석굴에서는 그리스 양식의 덩굴무늬 등 서방에서 기원한 디자인과 당시 건축 양식을 모방한 장식이 풍부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494년 낙양 천도 이후, 초기의 웅대한 질감은 사라지고 가냘프고 힘이 없는 조형이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이러한 경향은 용문 시대로 이어진다. 윈강 양식은 량저우 석굴에 기원을 두고 있지만, 윈강의 영향은 용문, 톈룽산, 남북의 샹탕산 등 광범위한 석굴 사원에 영향을 미쳤다.[12]

2. 3. 근현대

북위의 사문통인 담요가 문제에게 상주하여 460년(화평 원년)경, 상건하의 지류인 무주천의 절벽에 굴착한 이른바 "'''담요 오굴'''" (제16굴, 제17굴, 제18굴, 제19굴, 제20굴)에서 시작되었다. 삼무일종의 불교 탄압의 첫 번째 사건, 태무제의 불교 탄압 이후에 이루어진 불교 부흥 사업의 상징적인 존재가 이 5개의 거대한 석불이었다.

이후에도 제1·2굴, 제3굴, 제5·6굴, 제7·8굴, 제9·10굴, 제11·12·13굴과 같은 대규모 석굴 조영이 계속되어 윈강 시대(460년 - 494년)라고 불리는 중국 불교 조각사 상의 한 시기를 형성했다.

양식은, 초기의 "담요 오굴"에는 간다라 미술이나 굽타 왕조의 양식의 영향이 짙다. 그 후의 석굴에서는 그리스 양식의 덩굴무늬로 대표되는 서방 기원의 디자인도 사용되었으며, 당시의 건축 양식을 모방한 장식도 풍부하게 보인다. 그러나 낙양으로 천도하는 494년 이후의 말기에는 초기의 웅대한 질감은 사라지고 가냘프고 힘이 느껴지지 않는 조형이 증가하는 경향이 현저해진다. 그리고 이 경향의 연장선상에 이어지는 용문 시대가 기다리고 있다.

또한, 그 영향 관계를 말하자면, 윈강의 양식은 량저우의 석굴에 그 연원을 두고 있다고 생각되지만, 윈강의 영향은 용문·톈룽산·남북의 샹탕산 등 광범위한 석굴 사원에 미치고 있다.

중일 전쟁 중인 1937년부터 1944년에 걸쳐, 동방 문화 학원의 미즈노 세이이치, 나가히로 토시오 등에 의한 전체적인 조사가 이루어졌다.[12] 전후 그들에 의해 출판된 『윈강 석굴』 전 16권 32책은, 21세기에 들어서도 중국 초기 불교 문화의 학술 자료로서 평가받고 있다.[13] 1961년에 중화인민공화국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의 첫 번째 인정을,[14] 2001년에 세계 문화 유산 지정을 받았다.

부근에 노천탄광이 있어 석탄 가루에 의한 오염이 진행되고 있어 대책이 시급해지고 있다. 작업이 완료된 이후 석굴의 사암은 심한 풍화 작용에 노출되었다. 많은 석굴이 노천에 노출되어 있어 다양한 형태의 오염과 열화에 취약하다. 다퉁의 산업 도시에서 날아오는 먼지와 대기 오염, 광산과 고속도로에서 발생하는 먼지는 고대 조각의 보존에 위협이 된다. 이 유적은 또한 고비 사막과 가까워, 사막의 폭풍이 조각의 부식을 악화시킬 수 있다.[5] 따라서 그 후 수 세기 동안 동굴을 보존하고 손상된 부분을 복구하려는 시도가 여러 차례 있었다. 요나라 시대에는 조각을 새롭게 하고, 1049년부터 1060년까지는 주요 동굴을 보호하기 위한 "윈강 10사찰"이 건설되었다. 그러나 약 60년 후 화재로 다시 파괴되었다. 5호와 6호 동굴 앞에 있는 나무 건물은 청나라 초기인 1621년에 건설되었다. 1950년대부터 사암의 균열은 그라우팅으로 밀봉되었고, 모래 폭풍으로 인한 풍화를 줄이기 위해 조림 사업이 시행되었다.[6]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홍위병들은 많은 조각을 훼손했으며, 총알 자국이 여전히 관찰자들에게 보인다. 1991년 4월과 5월,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Caltech) 관계자는 윈강 석굴에서 대기 오염 물질 측정 실험을 수행했다. 거의 모든 공기 중의 물질이 광물 먼지 또는 탄소 입자임이 밝혀졌으며, 이러한 종류의 물질의 발생원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었다.[7]

3. 보존 및 관리

북위 시대부터 조성된 윈강 석굴은 오랜 세월 동안 풍화와 오염에 노출되어 왔다. 특히 다퉁(大同)의 산업화와 인근 노천 탄광에서 발생하는 석탄 가루, 고비 사막의 모래 폭풍은 석굴의 부식을 심화시키는 주요 원인이다.[5]

요나라 시대에는 조각을 보수하고 주요 동굴을 보호하기 위한 "윈강 10사찰"을 건설했으나, 화재로 소실되었다.[6] 청나라 초기인 1621년에는 제5굴과 제6굴 앞에 목조 건물을 세웠다.[6] 1950년대부터는 사암 균열을 메우고, 모래 폭풍을 막기 위한 조림 사업을 시행했다.[6]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홍위병에 의해 많은 조각이 훼손되기도 했다.[6]

1991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Caltech)의 조사 결과, 윈강 석굴의 대기 오염 물질 대부분은 광물 먼지와 탄소 입자인 것으로 밝혀졌다.[7]

4. 주요 석굴

북위 사문통 담요가 문제에게 상주하여 460년(화평 원년)경 상건하 지류 무주천 절벽에 굴착한 "'''담요 오굴'''"(제16굴, 제17굴, 제18굴, 제19굴, 제20굴)에서 시작되었다. 삼무일종의 불교 탄압 중 첫 번째 사건인 태무제의 불교 탄압 이후 이루어진 불교 부흥 사업의 상징적인 존재가 이 5개의 거대한 석불이었다.

이후 제1·2굴, 제3굴, 제7·8굴, 제11·13굴 등 대규모 석굴 조영이 계속되어 윈강 시대(460년~494년)는 중국 불교 조각사의 한 시기를 이루었다.

초기 "담요 오굴"에는 간다라 미술이나 굽타 왕조 양식의 영향이 짙었다. 그 후 석굴에서는 그리스 양식 덩굴무늬 등 서방 기원 디자인, 당시 건축 양식을 모방한 장식도 나타난다. 그러나 494년 낙양 천도 이후에는 초기의 웅대한 질감이 사라지고 가냘프고 힘이 없는 조형이 증가하는 경향이 현저해지며, 이는 용문 시대로 이어진다.

윈강 양식은 량저우 석굴에 연원을 두고 있지만, 용문, 톈룽산, 남북의 샹탕산 등 광범위한 석굴 사원에 영향을 미쳤다.

4. 1. 담요오굴 (제16굴~제20굴)

북위 사문통 담요가 문제에게 상주하여 460년(화평 원년)경 상건하 지류 무주천 절벽에 굴착한 이른바 "'''담요 오굴'''"(제16굴, 제17굴, 제18굴, 제19굴, 제20굴)에서 시작되었다.[12] 삼무일종의 불교 탄압 중 첫 번째 사건인 태무제의 불교 탄압 이후 이루어진 불교 부흥 사업의 상징적인 존재가 이 5개의 거대한 석불이었다.

초기 "담요 오굴"에는 간다라 미술이나 굽타 왕조 양식의 영향이 짙다.

4. 2. 제5·6굴

제6굴은 윈강 석굴 유적 중 가장 풍부한 곳 중 하나이다. 이 굴은 북위 효문제(孝文帝)에 의해 465년부터 494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굴의 표면적은 약 1000m2이다. 굴의 전체 내부는 조각과 채색으로 장식되어 있다. 방 중앙에는 바닥에서 천장까지 뻗어 있는 탑 기둥이 있다. 벽은 2층으로 나뉘어 있다. 윗층 벽에는 서 있는 부처, 보살, 승려, 그리고 다른 천상의 존재들의 조각이 있다. 모든 조각은 채색되었지만, 굴이 최대 12번까지 재채색된 것으로 보여 원래의 색상을 파악하기는 어렵다.[8]

4. 3. 제9·10굴

제9·10굴은 윈강기(460년-494년)에 축조된 대규모 석굴 중 하나이다. 이 시기는 중국 불교조각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윈강 석굴의 양식은 초기에는 간다라굽타 제국의 영향을 받았지만, 후기에는 서방에서 기원한 그리스 양식의 당초문양(唐草文様) 등 다양한 양식이 나타난다. 그러나 낙양 천도(494년) 이후에는 초기의 웅대한 느낌이 사라지고, 가늘고 약한 조형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4. 4. 제12굴

북위의 사문통인 담요가 문성제(文成帝)에게 상주하여 화평 원년(460) 경에 '담요5굴(제16굴, 제17굴, 제18굴, 제19굴, 제20굴)'을 시작한 이후, 제1·2굴, 제3굴, 제5·6굴, 제7·8굴, 제9·10굴, 제11·12·13굴과 같이 대규모 석굴들이 계속해서 축조되었다. 이러한 윈강 석굴의 조성 시기(460년-494년)는 중국 불교조각사에서 윈강기로 불린다.[1]

5. 대중문화 속 윈강 석굴

윈강 석굴은 AAA 게임 블랙 미스: 오공에서 등장인물이 방문하는 장소로 매우 자세하게 묘사되었다. 게임 출시 몇 주 만에 윈강 석굴은 북위 시대 주요 3대 석굴 중 가장 방문객이 적은 곳에서 가장 많은 곳으로 관광객 수가 크게 증가했다. 2024년 산시성은 관광 위원회 광고에서 게임의 시각적 이미지와 비교하며 윈강 석굴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다.[9]

참조

[1] 서적 Conservation of Ancient Sites on the Silk Road: Proceedings of a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Conservation of Grotto Sites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1997-06-19
[2] 웹사이트 Yungang Grottoes https://whc.unesco.o[...] UNESCO 2007-09-06
[3] 웹사이트 AAAAA Scenic Areas http://en.cnta.gov.c[...] 2008-11-16
[4] 웹사이트 Silk Road, North China http://www.megalithi[...] the Megalithic Portal 2007
[5] 간행물 Airborne Pollutants in the Buddhist Cave Temples at the Yungang Grottoes, China
[6] 웹사이트 report of the UNESCO advisory board https://whc.unesco.o[...]
[7] 간행물 Airborne Pollutants in the Buddhist Cave Temples at the Yungang Grottoes, China
[8] 서적 Conservation of Ancient Sites on the Silk Road: Proceedings of a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Conservation of Grotto Sites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1997-06-19
[9] 웹사이트 Black Myth: Wukong boom plays into China's desire to lift demand, economy https://www.scmp.com[...] 2024-08-27
[10] 웹사이트 3Dプリンターを用い、雲崗石窟を世界へ公開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20-07-13
[11] 웹사이트 大同市云冈石窟 https://www.mct.gov.[...] 중화인민공화국문화관광부 2021-07-22
[12] 서적 雲岡石窟 : 西暦五世紀における中國北部佛教窟院の考古學的調査報告 : 東方文化研究所調査 昭和十三年-昭和二十年. 第一巻 第一洞-第四洞( 本文 ) https://hdl.handle.n[...] 京都大學人文科學研究所雲岡刊行會
[13] 웹사이트 雲岡石窟の研究 << 京都大学人文科学研究所 https://www.zinbun.k[...] 京都大学人文科学研究所
[14] 웹사이트 国務院関於公布第一批全国重点文物保護単位名単的通知 http://www.ncha.gov.[...] 중화인민공화국국무원 1961-0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