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윌리엄 모리스 데이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모리스 데이비스는 1850년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나 1869년 하버드 대학교를 졸업하고 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지형 윤회(침식 윤회) 모델을 제창하여 지형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미국지리학회 창설과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와의 협력을 통해 지리학의 독립을 위해 노력했다. 1911년 하버드 대학교를 퇴관한 후 여러 차례 결혼했으며, 1934년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에서 사망했다. 그의 이론은 후대 지형학자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으며, 환경 결정론과 과학적 인종차별적 견해를 보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라델피아 출신 과학자 - 앨런 코톡
    앨런 코톡은 MIT에서 전기 공학 학위를 받고 DEC에서 근무하며 초기 체스 프로그램 개발, 인터랙티브 게임 개발에 기여하고 컴퓨터 시스템 설계에 참여했으며 W3C 부의장으로 웹 표준 개발에도 기여하다가 2006년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
  • 필라델피아 출신 과학자 - J. 프레스퍼 에커트
    J. 프레스퍼 에커트는 사회 자유주의를 옹호하며 개인의 자유와 사회적 정의를 동시에 추구하는 정치 이념이다.
  • 미국의 지리학자 - 데이비드 하비
    데이비드 하비는 마르크스주의 지리학의 선구자로, 자본주의, 도시화,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제시하며 사회 불평등과 환경 문제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는 영국의 지리학자이자 사회비평가이다.
  • 미국의 지리학자 - 이 푸 투안
    이 푸 투안은 인문지리학 발전에 기여한 중국계 미국인 지리학자로, 공간, 장소, 인간과 자연의 관계, 인간 경험의 양가성 연구, 특히 토포필리아 개념 제시를 통해 인간과 장소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으며, 여러 대학의 교수를 역임하고 학문적 업적을 인정받았다.
  • 미국의 남자 작가 - 조 패터노
    조 패터노는 1966년부터 2011년까지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 니타니 라이언스 풋볼팀의 헤드 코치로서 NCAA 디비전 I FBS 역사상 최다승을 기록하고 두 번의 전국 챔피언십 우승을 이끌었으나, 2011년 아동 성 학대 스캔들 연루로 해고되어 그의 업적은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 미국의 남자 작가 - 데이비드 아이젠하워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손자이자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딸과 결혼한 데이비드 아이젠하워는 미국의 작가, 강사, 공공 정책 연구원으로서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교육 부교수로 재직하며 외교 정책 연구소에서도 활동했고, 저서로 퓰리처상 역사 부문 최종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윌리엄 모리스 데이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분야지리학, 지형학, 지질학, 기상학
주요 업적침식 윤회; 준평원; "미국 지리학의 아버지"로 불림
수상헤이든 기념 지질학상 (1917년)
베가 메달 (1920년)
펜로즈 메달 (1931년)
출생일1850년 2월 12일
출생지펜실베이니아주필라델피아
사망일1934년 2월 5일
사망지캘리포니아주패서디나
가족에드워드 M. 데이비스 (아버지)
마리아 모트 데이비스 (어머니)
학력 및 경력
모교하버드 대학교
직장하버드 대학교
영향
영향을 준 인물엘즈워스 헌팅턴
아이자이어 보먼
영향을 받은 인물해당 사항 없음

2. 생애

윌리엄 모리스 데이비스는 지형 윤회(침식 윤회) 개념을 제창하여, 하천지형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모델을 제시했다. 1889년 펜실베이니아의 하곡 발달을 설명하는 문장에서 처음 언급되었고,[2] 1899년 학술 논문으로 발표되었다.[2] 데이비스의 지형 윤회는 하천을 상류, 중류, 하류의 세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이 고유한 지형 및 지형학적 특성을 가진다고 설명한다. 이 개념은 찰스 다윈의 진화론에 영향을 받았다.[4]

데이비스는 인문지리학에서 자연 환경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기계론적으로 설명하며 환경 결정론적 견해를 보였다.[4] 그의 제자 중에는 환경 결정론으로 알려진 엘즈워스 헌팅턴이 있다.[4]

데이비스는 지형학 초창기에 중요한 공헌을 했지만, 그의 이론은 현대 지형학자들로부터 비판받기도 했다. "데이비스류 지형학(Davisian geomorphology)"이라는 용어는 때때로 타인의 과학 논문에 대해 회의적인 태도를 비판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1904년 미국지리학회(AAG)를 창설하고, 초기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의 학회지 『내셔널 지오그래픽』에 다수의 기사를 기고하여 협회를 이끌었다. 이 시기에 데이비스는 지리학을 지질학으로부터 독립시키려 노력했다.[4]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윌리엄 모리스 데이비스는 1850년 펜실베이니아주필라델피아에서 퀘이커 교도 집안에서 태어났다. 1869년 하버드 대학교를 졸업하고, 이듬해 공학 석사(Master of Engineering) 학위를 받았다. 데이비스는 평생 Ph.D.를 취득하지 않았지만, 학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많은 업적을 남겼다.[1]

2. 2. 학문적 경력

데이비스는 처음 3년 동안 아르헨티나 코르도바에서 기상학자로 일했으며, 너새니얼 셰일러의 조수로 일한 후 1879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지질학 강사가 되었다. 같은 해 매사추세츠주 스프링필드 출신의 엘렌 B. 워너와 결혼했다. 박사 학위를 받지 못했지만, 1890년에 정교수로 임명되었으며 평생 학계와 교육 분야에 종사했다. 1911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퇴관했다.[3]

2. 3. 결혼과 가족

데이비스는 1879년 매사추세츠주 스프링필드 출신의 엘렌 B. 워너(Ellen B. Warner)와 결혼했다. 첫 번째 아내가 사망한 후, 1914년 매사추세츠주 캠브리지의 메리 M. 와이먼(Mary M. Wyman)과 재혼했으며, 메리 와이먼이 사망한 후에는 매사추세츠주 밀턴의 루시 L. 테넌트(Lucy L. Tennant)와 결혼했다.

2. 4. 사망

1934년, 84세 생일을 앞두고 캘리포니아주패서디나에서 사망했다.

3. 주요 업적 및 이론

데이비스는 훌륭한 자연 관찰자이자 논리적 추론의 대가였으며, 다양한 관찰과 아이디어를 통합하는 능력이 뛰어났다.[4] 그의 가장 영향력 있는 과학적 업적은 지형 윤회 이론으로, 이는 이 융기된 땅을 기준면까지 침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모델이다.[1] 이 이론은 1889년 논문 "펜실베이니아의 강과 계곡"에서 처음 제시되었으며,[1] 에라스무스 다윈, 찰스 다윈, 장바티스트 라마르크 등의 진화론적 사고에 영향을 받았다.[5]

데이비스의 지형 윤회 이론은 강이 유년기, 성숙기, 노년기의 세 단계를 거치며 발달한다고 보았으며, 각 단계는 상류, 중류, 하류에서 뚜렷한 지형적 특성을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이 이론은 지형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데이비스식 지형학'으로 불리는 그의 이론은 후대 학자들에게 많은 비판을 받았다.[6] 특히 발터 펭크를 중심으로 한 독일 지형학자들의 비판에 대해 데이비스는 격렬하게 반응했다.[6] 현대에는 판 구조론의 등장으로 펭크와 데이비스의 이론이 상호 보완적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7]

데이비스는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가지고 자연 환경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강조했다.[14] 그는 풍경의 물리적 지리학이 "야만인에서 문명인으로의 인간의 진보"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으며, 과학적 인종차별을 옹호하기도 했다.[14] 그의 제자 엘스워스 헌팅턴은 기후와 지리학으로 인간 문화의 차이를 설명하려 했다.[3]

데이비스는 지리학지질학으로부터 독립시키기 위해 노력했으며, 1904년 미국 지리학 협회(AAG) 창설에 기여했다.[10] 또한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 초기에도 많은 기여를 했다.[10]

3. 1. 침식 윤회 이론

데이비스는 끈기 있고 예리한 자연 관찰자였으며, 논리적 추론의 대가이자, 서로 다른 관찰과 아이디어를 훌륭하게 종합하는 사람이었다.[4] 그는 자신의 현장 관찰과 19세기 초 미국 서부 지역의 측량가들이 수행한 연구를 바탕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과학적 기여를 했는데, 그것이 바로 "지형 윤회"이다. 1889년 논문 "펜실베이니아의 강과 계곡"에서 처음 정의된 그의 이론은[1] 이 융기된 땅을 기준면까지 침식하는 방법에 대한 모델로, 에라스무스 다윈, 찰스 다윈, 장바티스트 라마르크의 연구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강력한 진화론적 성격을 띠었다. 그의 침식 윤회는 (더 큰) 강이 일반적으로 유년기, 성숙기, 노년기의 세 가지 주요 발달 단계를 거친다고 제안한다.[5] 각 단계는 강의 상류, 중류, 하류에 걸쳐 나타날 수 있는 뚜렷한 지형 및 기타 특성을 갖는다.

침식 윤회는 지형학 발전에 결정적인 초기 기여를 했지만, 데이비스의 조경 진화에 관한 많은 이론(때로는 '데이비스식 지형학'이라고 불림)은 후기 지형학자들로부터 심한 비판을 받았다. 데이비스가 1911년 하버드를 은퇴했을 때, 조경 진화 연구는 그의 이론에 의해 거의 독점되었다. 데이비스는 비판, 특히 발터 펭크가 주도한 1920년대 독일의 비판에 격렬하고 경멸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특징이었으며, 또한 그 비판의 가장 취약한 부분을 공격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도 그의 특징이었다.[6] 그 이후, 덜 독단적인 접근 방식과 더 많은 지식을 바탕으로, 일부 저자들은 현대 판 구조론의 등장 이후 펭크와 데이비스의 아이디어가 더욱 호환 가능해지고 심지어 상호 보완적이 되었다고 지적한다. 그들은 데이비스의 아이디어가 지각 변동이 "격변적"인 활동적 경계 근처에서 더 적용 가능하며, 펭크의 아이디어가 수동적 경계와 대륙 플랫폼 모델에 더 잘 들어맞는다고 주장한다.[7]

3. 2. 환경결정론과 과학적 인종차별

데이비스는 그의 교과서 《초등 물리 지리학》(1902)에서 풍경의 물리 지리학이 "야만인에서 문명인으로의 인간의 진보"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14] 그는 "유럽 인종의 주요 국가들이 세계에서 가장 진보된 사람들"이며, "검은색, 갈색, 빨간색 인종 중 문명으로의 중요한 발전을 이룬 나라는 거의 없다"고 주장하며 과학적 인종차별을 옹호했다.[14] 이러한 주장은 그의 멘토인 너새니얼 셰일러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데이비스는 다윈의 생물학적 개념을 차용하여 물리적 풍경과 기후에 적용하는 "환경결정론"이라는 사회 진화론적 사고 방식을 사용했다. 그의 제자인 엘스워스 헌팅턴은 기후와 지리학으로 인간 문화의 차이를 설명하려 했다.[3] 예를 들어, 캐나다와 바하마에 있는 영국계 커뮤니티를 비교하며 앵글로 바하마인이 기후와 흑인과의 근접성 때문에 더 느리다고 주장했다.[3]

3. 3. 지리학의 독립성 추구

데이비스는 지질학으로부터 지리학을 독립시키기 위해 노력했다.[10] 그는 1904년에 미국 지리학 협회(AAG)를 창설하는 데 기여했다.[10] 또한,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 설립 초기에 많은 기여를 했고, 학회지 《내셔널 지오그래픽》에 다수의 기사를 투고했다.[10]

4. 비판과 논란

데이비스의 침식 윤회 이론은 지형학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지만, 후대 지형학자들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았다. 특히 발터 펭크를 비롯한 독일 지형학자들은 데이비스의 이론을 강하게 비판했다.[6] 데이비스는 이러한 비판에 대해 격렬하고 경멸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비판의 가장 취약한 부분을 공격하는 경향이 있었다.[6]

현대 판 구조론의 등장 이후, 펭크와 데이비스의 이론이 상호 보완적이라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데이비스의 이론이 지각 변동이 활발한 활동적 경계 근처에 더 적합하고, 펭크의 이론이 수동적 경계와 대륙 플랫폼 모델에 더 잘 들어맞는다고 주장한다.[7]

데이비스는 그의 교과서 《초등 물리 지리학》(1902)에서 "식물, 동물, 그리고 인간의 분포"라는 장을 통해 과학적 인종차별 이론을 전파했다는 비판을 받는다.[14] 그는 "유럽 인종의 주요 국가들이 세계에서 가장 진보된 사람들"이며 "검은색, 갈색, 빨간색 인종 중 문명으로의 중요한 발전을 이룬 나라는 거의 없다"고 주장했다.[14] 이러한 주장은 너새니얼 셰일러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환경결정론적 사고 방식을 보여준다. 데이비스의 제자인 엘스워스 헌팅턴은 기후와 지리학으로 인간 문화의 차이를 설명하려고 시도했다.[3] 이러한 데이비스의 환경결정론과 과학적 인종차별은 현대 사회에서 용납될 수 없는 주장으로 비판받고 있다.

5. 한국 지형학에 미친 영향

데이비스의 지형 윤회 이론은 20세기 초 한국 지형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Davis영어의 이론은 이 융기된 땅을 기준면까지 침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모델로, 한국의 하천 지형과 산지 지형 연구에 활발하게 적용되었다.

특히, 한국의 감입곡류 하천은 데이비스의 침식 윤회 이론으로 설명하려는 시도가 많았다. 하천의 발달 단계를 유년기, 성숙기, 노년기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특징을 한국의 하천 지형에 적용하여 해석하였다.

그러나 한국 지형은 판 구조론적 관점에서 볼 때 신생대 제3기의 격렬한 지각 운동의 영향을 받았고, 빙하기의 해수면 변동을 겪는 등 데이비스가 이론을 정립했던 지역과는 다른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데이비스의 이론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발터 펭크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 지형을 설명하기도 하였으며, 최근에는 판 구조론의 관점에서 데이비스와 펭크의 이론을 상호 보완적으로 적용하려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7]

6. 저서 및 논문

'''저서:'''


  • 『기상학 개론』
  • 『물리 지리학 개론』
  • 『지리학 에세이』


'''논문:'''

6. 1. 저서


  • 《기상학 개론》 (Elementary Meteorology|엘리멘털리 미티어롤로지영어) (1893)
  • 《물리 지리학 개론》 (Elementary Physical Geography|엘리멘털리 피지컬 지오그래피영어) (1902)
  • 《지리학 에세이》 (Geographical Essays|지오그래피컬 에세이스영어) (1909)
  • 《지형의 설명적 묘사》 (Die erklärende Beschreibung der Landformen|디 에어클레렌데 베슈라이붕 데어 란트포르멘de) (1912, 독일어)

'''논문:'''

  • 〈지질학적 연구에서의 지리적 방법〉, 《내셔널 지오그래픽》 1: 11–26쪽 (1888)
  • 〈펜실베이니아의 강과 계곡〉, 《내셔널 지오그래픽》 1: 183–253쪽 (1889)
  • 〈지리적 주기〉, 《지리학 저널》, 14권, 481–504쪽 (1899)
  • 〈육지의 물리 지리학〉, 《대중 과학 월간지》 2: 157–170쪽 (1900)

6. 2. 논문

참조

[1] 웹사이트 William Morris Davis http://www.valpo.edu[...] Valparaiso University Department of Geography and Meteorology 1996-11-02
[2] 뉴스 William Morris Davis: Brief live of a pioneering geomorphologist: 1850-1934 https://harvardmagaz[...] Harvard 2018-09-07
[3] 서적 Race And Place: Equity Issues In Urban Americ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5-20
[4] 뉴스 William Morris Davis: Brief live of a pioneering geomorphologist: 1850-1934 https://harvardmagaz[...] Harvard 2018-09-07
[5] 서적 Dictionary of Geological Terms: Third Edition American Geological Institute 1984
[6] 문서 Chorley et al. 2005
[7] 간행물 Modelos morfogenéticos e tectônica global: Reflexőes conciliatórias http://igc.ufmg.br/p[...]
[8] 웹사이트 William Morris Davis https://www.amacad.o[...] 2023-02-09
[9]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10] 웹사이트 William M. Davis https://www.nasonlin[...]
[11] 서적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1888-1930, a Chapter in Earth Science History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1932
[12] 서적 GSA Memoir 155,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 Life History of a Learned Society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1982
[13] 웹사이트 List of Past Gold Medal Winners http://www.rgs.org/N[...] Royal Geographical Society
[14] 서적 Elementary physical geography https://catalog.hath[...] Ginn 1902
[15] 웹사이트 Davisdalen (Svalbard) http://placenames.np[...] Norwegian Polar Institute
[16] 문서 Robert L Bates and Julia A Jacks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