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샌크로프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샌크로프트는 17세기 영국의 성직자이자 캔터베리 대주교였다. 그는 케임브리지 이매뉴얼 칼리지의 학장을 역임했으며, 런던 대화재 이후 세인트 폴 대성당 재건에 기여했다. 샌크로프트는 제임스 2세의 관용 선언에 반대하여 런던탑에 투옥되었고,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에게 충성 서약을 거부하여 직무가 정지되고 박탈되었다. 그는 신학자이자 작가인 헨리 와튼을 후원했으며, 생애 말년에는 프레싱필드에서 은둔 생활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17년 출생 - 바르톨로메 에스테반 무리요
바르톨로메 에스테반 무리요는 17세기 스페인 바로크 화가로, 세비야에서 활동하며 종교화와 풍속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뛰어난 솜씨를 보였고, 특히 어린이와 성모 마리아를 묘사한 작품으로 유명하며, 그의 작품은 세계 유수의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 1617년 출생 - 사카이 다다마사 (1617년)
사카이 다다마사는 에도 시대 쇼나이 번의 2대 번주로, 초대 번주 사카이 다다카쓰의 아들이며 숙부의 후계자 다툼 속에서 번주가 되어 동생들에게 영지를 나누어준 후 사망, 장남이 뒤를 이었다. - 1693년 사망 - 마르크바르트 제바스티안 솅크 폰 슈타우펜베르크
마르크바르트 제바스티안 솅크 폰 슈타우펜베르크는 가톨릭 성직자로서 밤베르크 주교령의 제후-주교로 선출되어 제호프 성 건설과 그라이펜슈타인 성 재건축 등 건축에도 관여했다. - 1693년 사망 - 메흐메트 4세
메흐메트 4세는 6세에 오스만 제국의 술탄으로 즉위하여 쾨프륄뤼 가문의 재상들이 제국을 이끌었으나, 빈 전투 패배 후 폐위되어 '사냥꾼 메흐메트'로 불리기도 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엠마뉴엘 칼리지 동문 - 존 에버라드
존 에버라드는 영국 외교관으로 벨라루스, 우루과이, 북한 대사를 지냈으며 유엔 북한제재 전문가패널 조정관을 역임했고, 북한 주재 경험을 바탕으로 저서를 출판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엠마뉴엘 칼리지 동문 - 헨리 크롬웰
헨리 크롬웰은 올리버 크롬웰의 아들로 잉글랜드 내전에서 군인으로 활동했고 아일랜드 통치에 참여한 정치가였으나 왕정 복고 후 은퇴했다.
윌리엄 샌크로프트 | |
---|---|
기본 정보 | |
![]() | |
직함 | 캔터베리 대주교 |
교구 | 캔터베리 |
임기 시작 | 1677년 |
임기 종료 | 1690년 |
전임자 | 길버트 셸던 |
후임자 | 존 틸럿슨 |
서품 | 알 수 없음 |
주교 서임 | 1677년 1월 27일 |
주교 서임자 | 헨리 컴프턴 |
출생일 | 1617년 1월 30일 |
출생지 | 서퍽 프레싱필드 어퍼드 홀 |
사망일 | 1693년 11월 24일 |
사망지 | 서퍽 프레싱필드 어퍼드 홀 |
매장지 | 프레싱필드 성 베드로와 성 바울 교회 |
국적 | 잉글랜드 |
종교 | 성공회 |
개인 정보 | |
부모 | 알 수 없음 |
배우자 | 알 수 없음 |
자녀 | 알 수 없음 |
직업 | 알 수 없음 |
학력 | 킹 에드워드 6세 학교 |
모교 | 임마누엘 칼리지, 케임브리지 |
2. 생애
영국 왕정 복고 이후 샌크로프트는 대학교 강사로 선출되었다. 1662년 모교인 케임브리지 이매뉴얼 칼리지 학장으로 선출되어 1665년까지 재임했다. 1663년 크리스토퍼 렌이 설계한 새로운 예배당 건축 기금을 모금하기 시작하여 상당한 금액을 기부했고, 예배당은 1667년에 완공되었다.[6]
1663년 요크 대주교로 지명되었다. 1664년 세인트 폴 대성당 학장이 되었고, 런던 대화재 이후 세인트 폴 대성당 재건에 크게 기여하여 1400GBP를 기부했다.[7] 교구청을 재건하고 수입도 개선했다. 1665년 런던 대역병 기간에 런던을 떠난 것에 대해 비판받았지만, 당시 상류층은 모두 런던을 떠났기 때문에 변호할 여지가 있었다.
1668년 국왕의 추천으로 캔터베리 부제로 임명되었으나, 1670년 사임했다. 1677년 영국 성직자 회의 의장이었고, 국왕의 강력한 요청으로 예상과 달리 캔터베리 대주교로 승진했다. 국왕은 그의 온건함을 신뢰했다. 샌크로프트는 대주교직을 맡는 것을 매우 꺼렸지만, 국왕은 이미 세인트 폴 대성당의 새로운 학장을 임명했다는 말로 그를 설득했다. 그는 찰스 2세 임종 시 "매우 중요한 권고를 했으며, 상당한 자유를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제임스 2세에게 왕관을 씌워주기도 했다.[7] 1688년 관용 선언 낭독에 반대하는 청원서를 직접 작성하고 자신과 주교 6명(이들을 7명의 주교라 부른다)의 서명을 받았다. 이 일로 71세였던 샌크로프트를 포함한 주교들은 런던탑에 투옥되었다가 무죄로 풀려났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샌크로프트는 서퍽주 프레싱필드의 어포드 홀에서 프란시스 샌크로프트(1580–1647)와 마가렛 샌크로프트(결혼 전 성씨: 부처, 1594–1631)의 아들로 태어났다.[3] 세인트 에드먼즈베리 킹 에드워드 6세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고, 1633년 9월에 케임브리지 이매뉴얼 칼리지에 입학하여[3] 1634년에 입학했다.[4] 그의 삼촌인 윌리엄 샌크로프트 1세는 당시 칼리지의 학장이었다. 1638년에 문학사 학위를, 1641년에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1642년에 펠로우가 되었지만,[5] "약혼 논쟁"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하여 1649년에 추방되었다.
2. 2. 초기 경력
샌크로프트는 서퍽주 프레싱필드의 어포드 홀에서 태어났다. 세인트 에드먼즈베리 킹 에드워드 6세 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후, 1633년 9월 케임브리지 이매뉴얼 칼리지에 입학하여[3] 1634년에 입학했다.[4] 그의 삼촌인 윌리엄 샌크로프트 1세는 당시 칼리지의 학장이었다. 1638년에 문학사, 1641년에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1642년에 펠로우가 되었다.[5] 그러나 "약혼 논쟁"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하여 1649년에 추방되었다. 영국 왕정 복고까지 해외에 머물렀고, 그 후 대학교 강사로 선출되었으며, 1662년에는 이매뉴얼 칼리지의 학장으로 선출되어 1665년까지 재임했다. 1663년 칼리지 예배당 건축 기금을 모금하기 시작하여 상당한 기여를 했다. 크리스토퍼 렌의 설계에 따라 1667년에 예배당이 완공되었다.[6]
1663년, 요크 대주교로 지명되었다. 1664년에는 세인트 폴 대성당의 학장이 되었고, 런던 대화재 이후 세인트 폴 대성당 재건에 크게 기여했으며, 1400GBP를 기부했다.[7] 또한 교구청을 재건하고 그 수입을 개선했다. 1665년 런던 대역병 기간에 런던을 떠난 것으로 비판받았지만, 사실상 모든 상류층이 똑같이 행동했으므로 변호할 여지가 있었다.
1668년, 국왕의 추천으로 캔터베리 부제로 임명되었으나, 1670년에 사임했다.
2. 3. 캔터베리 대주교
1677년, 샌크로프트는 영국 성직자 회의의 의장이었고, 국왕의 간절한 바람에 따라 예상치 못하게 캔터베리 대주교로 승진했다. 국왕은 그의 온건함을 신뢰했다.[7] 샌크로프트는 그 자리를 맡는 것을 매우 꺼려했기에, 국왕은 이미 세인트 폴 대성당의 새로운 학장을 임명했다는 설명으로 그를 설득했다. 그는 찰스 2세의 임종에 참석하여 "매우 중요한 권고를 했으며, 상당한 자유를 사용했다."라고 평가했다. 또한 제임스 2세에게 왕관을 씌워주었다.[7] 1688년에 샌크로프트는 관용 선언의 낭독에 반대하는 청원을 직접 작성했으며, 그 청원에는 그 자신과 6명의 주교가 서명했다. 이들을 통칭하여 7명의 주교라고 한다. 이 일로 그들(샌크로프트는 71세로 가장 나이가 많았다)은 모두 런던탑에 투옥되었지만, 무죄로 풀려났다.
2. 4. 비국교도 분열과 말년
제임스 2세가 퇴위한 후, 샌크로프트는 자유로운 의회를 요구하는 선언에서 귀족원과 뜻을 같이 했으며, 개신교 이교도들에게 적절한 관용을 베풀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윌리엄과 그의 아내(제임스의 딸) 메리가 왕과 여왕으로 선포되자, 그는 그들에게 충성 서약을 거부하여 1690년에 직무가 정지되고 박탈되었다.[8] 1690년 8월 존 틸롯슨이 그의 직무를 맡았고, 1691년 4월 공식적으로 샌크로프트의 후임자가 되었다.존 오버럴의 ''소집 회의록''은 샌크로프트가 그의 비선서파 원칙을 정당화하기 위해 여러 해가 지난 후에 출판한 책이다. 이 책은 "정부, 즉 신성한 제도의 문제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주장"했으며, 부분적으로는 교회법으로, 부분적으로는 교회법에 대한 서론 및 설명적 논문으로 구성되어 1610년 소집 회의에서 정식으로 승인되었다. 그러나 샌크로프트 파벌이 이 책을 출판한 것은 이상한 실수였는데, 그 이유는 이 책에 완벽하게 확립된 사실상의 정부는 법률상의 정부로 간주해야 한다고 명확히 규정하는 여러 교회법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바로 이 책에 명시된 근거에 따라 윌리엄 셜록은 윌리엄 왕에게 충성 서약을 했다.[9]
샌크로프트는 신학자이자 교회 역사가인 헨리 와튼 (1664–1695)의 후원자였으며, 와튼은 죽음을 앞두고 그의 원고와 로마 대주교 로드의 유해를 그에게 맡겼다(1695년 출판).[10] 샌크로프트는 메리 아스텔에게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고 그녀의 미래 출판업자를 소개했으며, 아스텔은 나중에 그에게 시집을 헌정했다.
1691년 8월 5일부터 2년 후 사망할 때까지, 샌크로프트는 자신의 고향인 프레싱필드에서 매우 은둔적인 삶을 살았다. 그는 그의 가족 저택인 어포드 홀에서 사망했으며, 프레싱필드 교회 묘지에 묻혔으며, 그곳에는 그의 기억을 기리는 라틴어 묘비명이 있다.[7]
3. 신념과 사상
샌크로프트는 신학자이자 교회 역사가인 헨리 와튼 (1664–1695)을 후원했다. 와튼은 죽기 직전 자신의 원고와 로마 대주교 로드의 유해를 샌크로프트에게 맡겼고, 이는 1695년에 출판되었다.[10] 샌크로프트는 메리 아스텔에게 재정적 지원을 하고 그녀의 미래 출판업자를 소개해 주었으며, 아스텔은 훗날 그에게 시집을 헌정했다.[10]
3. 1. 정치적 견해
제임스 2세가 왕위에서 물러난 후, 샌크로프트는 자유로운 의회를 요구하는 귀족원의 선언에 동참하였으며, 개신교 이교도들에게 적절한 관용을 베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윌리엄과 그의 아내(제임스 2세의 딸) 메리가 왕과 여왕으로 선포되자, 샌크로프트는 이들에게 충성 서약을 거부하였다. 그 결과 1690년에 직무가 정지되고 박탈되었다.[8]존 오버럴의 ''소집 회의록''은 샌크로프트가 자신의 비선서파 원칙을 정당화하기 위해 출판하였다. 이 책은 "정부, 즉 신성한 제도의 문제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주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책의 내용은 부분적으로는 교회법으로, 부분적으로는 교회법에 대한 서론 및 설명적 논문으로 구성되었으며, 1610년 소집 회의에서 정식으로 승인되었다. 그러나 샌크로프트의 파벌이 이 책을 출판한 것은 아이러니한 실수였는데, 그 이유는 이 책에 이미 완전히 확립된 사실상의 정부는 법률상의 정부로 간주해야 한다는 내용을 명확히 규정하는 여러 교회법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바로 이 책에 명시된 근거에 따라 윌리엄 셜록은 윌리엄 왕에게 충성 서약을 했다.[9]
4. 저술 및 작품
윌리엄 샌크로프트는 《예정된 자에 관하여》(1651), 《현대 정책》(1652), 《세 설교》(1694) 등을 저술하여 자신의 신념과 사상을 펼쳤다. 1757년에는 헨리 노스 경에게 보낸 19통의 편지를 모은 《노스 씨에게 보낸 19통의 친숙한 편지》가 출판되었다. 조지 도일리가 1821년에 출간한 《윌리엄 샌크로프트, 캔터베리 대주교의 생애》 1권과 2권은 샌크로프트의 생애와 사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4. 1. 주요 저서
- 《예정된 자에 관하여(Fur praedestinatus, 1651)
- 《현대 정책(Modern Policies, 1652)
- 《세 설교(Three Sermons, 1694)
- 《노스 씨에게 보낸 19통의 친숙한 편지》(Nineteen Familiar Letters to Mr North, 후에 헨리 노스 경이 됨), 1757년 출판
- 조지 도일리 저, [https://archive.org/details/lifewilliamsanc01slatgoog 윌리엄 샌크로프트, 캔터베리 대주교의 생애, 1권] (1821)
- 조지 도일리 저, [https://archive.org/details/lifewilliamsanc00slatgoog 윌리엄 샌크로프트, 캔터베리 대주교의 생애, 2권] (1821)
4. 2. 서신 및 기타 자료
- 1757년에 출판된 《노스 씨에게 보낸 19통의 친숙한 편지》(Nineteen Familiar Letters to Mr North, 후에 헨리 노스 경)[1]
- 조지 D'Oyly 저, [https://archive.org/details/lifewilliamsanc01slatgoog 윌리엄 샌크로프트, 캔터베리 대주교의 생애, 1권] (1821)[2]
- 조지 D'Oyly 저, [https://archive.org/details/lifewilliamsanc00slatgoog 윌리엄 샌크로프트, 캔터베리 대주교의 생애, 2권] (1821)[3]
5. 유산과 영향
윌리엄 샌크로프트는 제임스 2세 퇴위 이후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에게 충성 서약을 거부하여 직무가 정지되고 박탈되었지만, 잉글랜드 종교와 정치에 중요한 영향을 남겼다. 그는 비선서파의 원칙을 옹호하며 존 오버럴의 ''소집 회의록''을 출판하여 신성한 제도로서의 정부를 주장했다.[9] 그러나 이 책은 사실상의 정부를 법률상의 정부로 간주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어, 결과적으로 윌리엄 셜록이 윌리엄 3세에게 충성 서약을 하는 근거를 제공하기도 했다.[9]
샌크로프트는 신학자이자 교회 역사가인 헨리 와튼을 후원했으며,[10] 메리 아스텔에게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고 그녀의 출판업자를 소개하기도 했다.[10]
5. 1. 종교적 영향
제임스 2세가 퇴위한 후, 샌크로프트는 자유로운 의회를 요구하는 선언에서 귀족원과 뜻을 같이 했으며, 개신교 이교도들에게 적절한 관용을 베풀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윌리엄과 그의 아내(제임스 2세의 딸) 메리가 왕과 여왕으로 선포되자, 그는 그들에게 충성 서약을 거부하여 1690년에 직무가 정지되고 박탈되었다.[8] 존 틸롯슨이 1690년 8월 그의 직무를 맡았고, 1691년 4월 공식적으로 샌크로프트의 후임자가 되었다.존 오버럴의 ''소집 회의록''은 샌크로프트에 의해 출판되었으며, 이는 그의 비선서파의 원칙을 정당화하기 위해 여러 해가 지난 후에 작성되었다. 이 책은 "정부, 즉 신성한 제도의 문제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주장"했다. 그것은 부분적으로는 교회법으로 구성되었고, 부분적으로는 교회법에 대한 서론 및 설명적 논문으로 구성되었으며, 1610년 소집 회의에서 정식으로 승인되었다. 그러나 샌크로프트의 파벌이 이 책을 출판한 것은 이상한 실수였는데, 그 이유는 이 책에 완벽하게 확립된 사실상의 정부는 법률상의 정부로 간주해야 한다고 명확히 규정하는 여러 교회법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바로 이 책에 명시된 근거에 따라 윌리엄 셜록은 윌리엄 왕에게 충성 서약을 했다.[9]
샌크로프트는 신학자이자 교회 역사가인 헨리 와튼 (1664–1695)의 후원자였으며, 와튼은 죽음을 앞두고 그의 원고와 로마 대주교 로드의 유해를 그에게 맡겼다(1695년 출판).[10] 샌크로프트는 메리 아스텔에게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고 그녀의 미래 출판업자를 소개했으며, 아스텔은 나중에 그에게 시집을 헌정했다.[10]
5. 2. 정치적 유산
제임스 2세가 퇴위한 후, 샌크로프트는 자유로운 의회를 요구하는 선언에서 귀족원과 뜻을 같이 했으며, 개신교 이교도들에게 적절한 관용을 베풀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윌리엄과 그의 아내(제임스 2세의 딸) 메리 2세가 왕과 여왕으로 선포되자, 그는 그들에게 충성 서약을 거부하여 1690년에 직무가 정지되고 박탈되었다.[8] 1690년 8월 존 틸롯슨이 그의 직무를 맡았고, 1691년 4월에는 공식적으로 샌크로프트의 후임자가 되었다.존 오버럴의 ''소집 회의록''은 샌크로프트에 의해 출판되었는데, 이는 그의 비선서파의 원칙을 정당화하기 위해 여러 해가 지난 후에 작성되었다. 이 책은 "정부, 즉 신성한 제도의 문제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주장"했으며, 부분적으로는 교회법으로, 부분적으로는 교회법에 대한 서론 및 설명적 논문으로 구성되어 1610년 소집 회의에서 정식으로 승인되었다. 그러나 샌크로프트의 파벌이 이 책을 출판한 것은 이상한 실수였는데, 그 이유는 이 책에 완벽하게 확립된 사실상의 정부는 법률상의 정부로 간주해야 한다고 명확히 규정하는 여러 교회법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바로 이 책에 명시된 근거에 따라 윌리엄 셜록은 윌리엄 왕에게 충성 서약을 했다.[9]
샌크로프트는 신학자이자 교회 역사가인 헨리 와튼 (1664–1695)의 후원자였으며, 와튼은 죽음을 앞두고 그의 원고와 로마 대주교 로드의 유해를 그에게 맡겼다(1695년 출판).[10]
참조
[1]
웹사이트
'Panel of the Month | Vidimus'
https://vidimus.org/[...]
[2]
웹사이트
'William Sancroft (1617 - 1693) | Famous Members | History & Archives | About | Emmanuel College, Cambridge'
https://www.emma.cam[...]
[3]
서적
"A History of Emmanuel College, Cambridge"
Woodbridge, Boydell
2000
[4]
acad
[5]
간행물
Alumni Cantabrigienses: A Biographical List of All Known Students, Graduates and Holders of Office at the University of Cambridge, from the Earliest Times to 1900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문서
'Emmanuel College'
http://www.british-h[...]
British History Online
1959
[7]
웹사이트
William Sancroft
http://www.onesuffol[...]
2007-07-05
[8]
웹사이트
William Sancroft
http://www.onesuffol[...]
2007-07-05
[9]
서적
King's Handbook to the Cathedrals of England
John Murray, Albemarle Street, Oxford
1862
[10]
웹사이트
'Mary Astell: the first feminist? • The Crown Chronicles'
https://www.thecrown[...]
2018-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