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가면 피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성가면 피터는 1970년 일본에서 제작된 SF 애니메이션으로, 지구와 피네론 행성 간의 전쟁을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피터는 지구인 아버지와 피네론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아로, 유성가면으로 활동하며 전쟁의 진실을 파헤친다. 작품은 1화 완결 형식으로, 피터와 주변 인물들의 갈등과 성장을 다루며, 현실적인 묘사와 반전 있는 스토리 전개로 호평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6년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사이보그 009
《사이보그 009》는 이시노모리 쇼타로가 그린, 9명의 사이보그 전사들이 활약하는 만화로, 냉전 시대를 배경으로 반전 메시지와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으며, 2001년 애니메이션 방영을 통해 한국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 1966년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요술공주 샐리
요술공주 샐리는 요코야마 미쓰테루의 만화를 원작으로 1966년 일본에서 처음 애니메이션화된 작품으로, 일본 최초의 소녀향 애니메이션이자 토에이 마법소녀 시리즈의 첫 작품이며, 대한민국에서도 방영되었다. - 1966년 애니메이션 - 사이보그 009
《사이보그 009》는 이시노모리 쇼타로가 그린, 9명의 사이보그 전사들이 활약하는 만화로, 냉전 시대를 배경으로 반전 메시지와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으며, 2001년 애니메이션 방영을 통해 한국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 1966년 애니메이션 - 오소마츠군
아카츠카 후지오의 만화 《오소마츠군》은 외모가 똑같은 여섯 쌍둥이와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이야미와 치비타의 비중 변화를 거쳤으며, 여러 차례 애니메이션화되었고 후속작 《오소마츠상》으로 이어졌다. - 1967년 애니메이션 - 사이보그 009
《사이보그 009》는 이시노모리 쇼타로가 그린, 9명의 사이보그 전사들이 활약하는 만화로, 냉전 시대를 배경으로 반전 메시지와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으며, 2001년 애니메이션 방영을 통해 한국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 1967년 애니메이션 - 파만
파만은 후지코 F. 후지오가 제작한 만화 시리즈로, 주인공 스와 미쓰오가 파만으로 선택되어 악당들과 싸우는 이야기를 다루며, 1966년부터 1968년, 1983년부터 1986년까지 연재되었고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되었다.
유성가면 피터 | |
---|---|
작품 정보 | |
원작 | 니타 노부오 |
장르 | 애니메이션 만화 |
TV 애니메이션 | |
제목 | 유성가면 |
원작 | 니타 노부오 |
총감독 | (정보 없음) |
감독 | (정보 없음) |
시리즈 디렉터 | (정보 없음) |
시리즈 구성 | (정보 없음) |
각본 | 아다치 아키라 |
캐릭터 디자인 | 구스노키 다카하루 |
메카닉 디자인 | (정보 없음) |
음악 | 아라시노 히데히코 하야시 코바 |
애니메이션 제작 | TCJ (현 에이켄) |
제작 | (정보 없음) |
방송국 | 후지 TV 계열 |
방송 기간 | 1966년 6월 3일 ~ 1967년 2월 21일 |
화수 | 전 39화 |
인터넷 | (정보 없음) |
만화 | |
제목 | 유성가면 |
작가 | 니타 노부오 |
작화 | 구스노키 다카하루 |
출판사 | 슈에이샤 |
게재지 | 소년 북 |
레이블 | (정보 없음) |
발행일 | (정보 없음) |
발매일 | (정보 없음) |
시작호 | 1966년 7월호 별책 부록 |
종료호 | 1966년 12월호 별책 부록 |
시작일 | (정보 없음) |
종료일 | (정보 없음) |
발표 기간 | (정보 없음) |
권수 | (정보 없음) |
화수 | (정보 없음) |
기타 | (정보 없음) |
인터넷 | (정보 없음) |
2. 등장인물
wikitext
; 피터/유성가면
: 성우 - 후지타 토시코
: 본편의 주인공. 지구인 로버트와 피네론인 마리아 사이에서 태어난 우주 혼혈아. 나이는 15세. 로버트가 죽고, 마리아가 수용된 후 소크라톤 교수가 거두어 비밀리에 유성가면으로 행동한다. 아틀란타로부터 받은 가방을 항상 휴대하고 있는데, 이 가방에는 유성가면의 수트가 들어있다.
; 소크라톤 교수
: 성우 - 하라다 카즈오
: 지구의 과학자. 피터와 린다를 거두고 있다.
; 린다
: 성우 - 쿠리바 요코
: 소크라톤 교수의 손녀. 머리 모양은 트윈테일이며, 항상 원피스를 입고 펜던트를 목에 걸고 있다. 피터가 유성가면이라는 것을 모르기 때문에, 금세 모습을 감췄다가 다시 나타나는 피터를 놀리지만, 형제처럼 사이가 좋다. 제18화에서 교수의 친손녀가 아닌, 교수가 거둔 고아임이 밝혀진다.
; 이모시 박사
: 성우 - 카이 류지
: 호이헨스의 군사. 지구에 대한 작전이나 삿푸스의 제안 등은 그에 의한 것이다. 호이헨스에게 아첨하며 그와 함께 지구를 진공했지만, 그것은 겉모습일 뿐이며, 전쟁의 원인인 수송 로켓의 폭발, 피네론성에 대한 피해 등을 일으킨 장본인이다. 뒤에서는 지구를 멸망시킨 시점에서 호이헨스 살해 및 정권 장악을 꾀하고 있으며, 그러기 위해서라면 부하와 같은 피네론인조차 희생시켰다. 그의 한쪽 눈에는 안경이 있지만, 그 눈은 멀었다.
; 호이헨스
: 성우 - 나야 고로
: 피네론성의 독재자이며, 군의 권력도 쥐고 있다. 전쟁 발생을 틈타 정권을 장악하고, 지구에 대한 보복을 명분으로 자신이 우주를 지배하기 위한 전쟁을 시작한다. 전자 채찍을 소지하고 있으며, 마음에 안 드는 일이 있으면 그것을 휘두르며, 전쟁은 즐겁다고 발언하는 등, 가학적인 면이 있다. 그러나 마지막까지 이 사건을 지구에 의한 것이라고 굳건한 집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피네론성과 국민에 대한 애착은 강했다. 마지막에 진상을 알고, 원흉인 이모시를 끌고 함께 장렬한 최후를 맞이한다.
; 그레고리 비츠
: 성우 - 무라코시 이치로
: 지구방위군의 지휘관. 초반까지는 독재자의 면모가 있어, 자주 지구에 있는 피네론인에게 심하게 대하거나, 부하에게 마지막까지 싸울 것을 명령하는 등, 피터와의 관계도 좋지 않았다. 이야기 중반부터는 점차 성격이 좋아지고, 피터와의 관계도 좋아지면서, 독재적인 면모는 옅어졌다.
; 닉
: 성우 - 불명
: 지구방위군의 중령. 비츠의 수행원이기도 하다. 온건한 성격이지만, 피네론인의 구속을 지지한 인물이기도 하다 (구속은 피네론인 측의 안전 등을 고려한 것).
; 파이크
: 성우 - 토미야마 케이
: 지구인의 악당 콤비 중 한 명으로 키가 작다. 첫 등장은 제2화로, 맥과 함께 우주 정거장 멤버였으며, 피네론에게 인질로 잡히지만 귀환, 그 후 유성가면의 존재를 알게 되자, 맥과 함께 유성가면의 비밀을 파헤쳐 피네론에게 팔아넘기고, 피네론으로 망명하려 했다. 그러나 제35화에서 유성가면에게 구출되어, 맥과 함께 개심. 최종화에서는 피터의 조수가 되었다. 대체로 지구와 피네론의 전투 장면과는 다른 곳에서 암약하는, 이야기를 꼬이게 만드는 존재.
; 맥
: 성우 - 후지모토 죠
: 악당 콤비 중 한 명으로 파이크의 파트너. 덩치가 크고 뚱뚱하며 바보 역할.
; 로버트 요한센
: 성우 - 코바야시 키요시
: 피터의 아버지. 지구의 우주 파일럿으로, 피네론인 마리아와 결혼했다. 그러나 피네론에 핵물질을 전달할 때, 수수께끼의 로켓 폭발에 휘말려 사망. 제1화 회상 장면에서 "25세"로 소개되었기 때문에, 향년 40세.
; 마리아
: 성우 - 에미 쿄코
: 피터의 어머니이자 피네론인. 남편 로버트가 폭사하자, 피네론인이라는 이유로 강제 수용소에 수용되었으나, 최종화에서 구출되었다.
; 아틀란타
: 성우 - 이시하라 료
: 로버트의 조수 로봇. 로버트가 마리아와 결혼하기 전부터 조수를 맡았다. 그러나 로버트가 폭사하기 전에, 로버트의 부탁으로 가방을 가지고 간신히 지구로 귀환, 피터에게 모든 것을 알려주고 고장났다. 그 후 제37화에서 전자 두뇌로부터, 로켓 폭발 이유의 상세한 내용이 밝혀지게 된다.
; 키니스키
: 성우 - 야스다 타카시
: 지구방위군의 젊은 소위. 외모도 성격도 까칠하며, 피터나 피네론인에게 심하게 대하지만, 성실하고 직무에도 충실하다. 이야기 종반에서 피터 일행을 돕고 전사한다.
; 하춘
: 성우 - 카모 키쿠
; 스테키
: 성우 - 우치우미 켄지
; 스피델
: 성우 - 치바 코이치
; 나레이터
: 성우 - 나야 고로
이 외에도, 나가이 이치로와 노모토 레이조 등도 등장인물들의 목소리를 맡았다.
2. 1. 지구
지구에는 소크라톤 교수와 그의 손녀 린다가 살고 있다. 소크라톤 교수는 하라다 카즈오가 목소리를 연기했다. 린다는 소크라톤 교수의 손녀로, 머리 모양은 트윈테일이며, 항상 원피스를 입고 펜던트를 목에 걸고 있다. 린다는 쿠리바 요코가 목소리를 연기했다. 린다는 피터가 유성가면이라는 것을 모르기 때문에, 금세 모습을 감췄다가 다시 나타나는 피터를 놀리지만, 형제처럼 사이가 좋다. 제18화에서 린다가 교수의 친손녀가 아닌, 교수가 거둔 고아임이 밝혀진다.지구방위군의 지휘관 그레고리 비츠는 무라코시 이치로가 목소리를 연기했다. 초반까지는 독재자의 면모가 있어, 자주 지구에 있는 피네론인에게 심하게 대하거나, 부하에게 마지막까지 싸울 것을 명령하는 등, 피터와의 관계도 좋지 않았다. 이야기 중반부터는 점차 성격이 좋아지고, 피터와의 관계도 좋아지면서, 독재적인 면모는 옅어졌다. 지구방위군의 중령 닉은 비츠의 수행원이기도 하다. 닉은 온건한 성격이지만, 피네론인의 구속을 지지한 인물이기도 하다. 지구방위군의 젊은 소위 키니스키는 야스다 타카시가 목소리를 연기했다. 외모도 성격도 까칠하며, 피터나 피네론인에게 심하게 대하지만, 성실하고 직무에도 충실하다. 이야기 종반에서 피터 일행을 돕고 전사한다.
지구인 악당 콤비 중 한 명인 파이크는 토미야마 케이가 목소리를 연기했으며, 키가 작다. 파이크의 파트너인 맥은 덩치가 크고 뚱뚱하며 바보 역할이고 후지모토 죠가 목소리를 연기했다.
피터의 아버지 로버트 요한센은 지구의 우주 파일럿으로, 코바야시 키요시가 목소리를 연기했다. 로버트는 피네론인 마리아와 결혼했다. 그러나 피네론에 핵물질을 전달할 때, 수수께끼의 로켓 폭발에 휘말려 사망했다. 제1화 회상 장면에서 "25세"로 소개되었기 때문에, 향년 40세이다.
로버트의 조수 로봇 아틀란타는 이시하라 료가 목소리를 연기했다. 아틀란타는 로버트가 마리아와 결혼하기 전부터 조수를 맡았다. 그러나 로버트가 폭사하기 전에, 로버트의 부탁으로 가방을 가지고 간신히 지구로 귀환, 피터에게 모든 것을 알려주고 고장났다. 그 후 제37화에서 전자 두뇌로부터, 로켓 폭발 이유의 상세한 내용이 밝혀지게 된다.
2. 2. 삐네론
피네론은 유성가면 피터에 등장하는 가공의 행성이다.피네론성의 독재자 호이헨스는 군의 권력을 쥐고 전쟁 발생을 틈타 정권을 장악하고, 지구에 대한 보복을 명분으로 자신이 우주를 지배하기 위한 전쟁을 시작한다. 가학적인 면이 있는 호이헨스는 전자 채찍을 소지하고 있으며, 마음에 안 드는 일이 있으면 그것을 휘두르며, 전쟁은 즐겁다고 발언한다. 그러나 마지막까지 이 사건을 지구에 의한 것이라고 굳건한 집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피네론성과 국민에 대한 애착은 강했다. 마지막에 진상을 알고, 원흉인 이모시를 끌고 함께 장렬한 최후를 맞이한다.
이모시 박사는 호이헨스의 군사로, 지구에 대한 작전이나 삿푸스의 제안 등은 그에 의한 것이다. 호이헨스에게 아첨하며 그와 함께 지구를 진공했지만, 그것은 겉모습일 뿐이며, 전쟁의 원인인 수송 로켓의 폭발, 피네론성에 대한 피해 등을 일으킨 장본인이다. 뒤에서는 지구를 멸망시킨 시점에서 호이헨스 살해 및 정권 장악을 꾀하고 있으며, 그러기 위해서라면 부하와 같은 피네론인조차 희생시켰다. 그의 한쪽 눈에는 안경이 있지만, 그 눈은 멀었다.
피네론인 마리아는 로버트 요한센과 결혼하여 주인공 피터를 낳았다.
2. 3. 기타
후지타 토시코는 주인공 피터/유성가면의 성우를 맡았다. 피터는 지구인 아버지 로버트와 피네론인 어머니 마리아 사이에서 태어난 15세 우주 혼혈아이다. 로버트가 죽고 마리아가 수용된 후, 소크라톤 교수가 피터를 거두어 유성가면으로 활동하게 한다. 피터는 항상 아틀란타에게 받은 가방을 휴대하는데, 이 가방에는 유성가면 수트가 들어있다.하라다 카즈오는 피터와 린다를 거두는 지구 과학자 소크라톤 교수의 성우를 맡았다. 쿠리바 요코는 소크라톤 교수의 손녀 린다의 성우를 맡았다. 린다는 트윈테일 머리에 원피스를 입고 펜던트를 목에 걸고 다닌다. 린다는 피터가 유성가면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그를 형제처럼 따르지만, 사실 교수의 친손녀가 아닌 고아이다.
카이 류지는 호이헨스의 군사 이모시 박사의 성우를 맡았다. 이모시는 지구에 대한 작전과 삿푸스의 제안 등을 주도하며, 호이헨스에게 아첨하지만 실제로는 전쟁의 원흉이다. 그는 수송 로켓 폭발과 피네론성 피해를 일으키고, 지구 멸망 후 호이헨스를 살해하고 정권을 장악하려는 음모를 꾸민다.
나야 고로는 피네론성의 독재자 호이헨스의 성우를 맡았다. 그는 전쟁을 틈타 정권을 잡고 지구에 대한 보복을 명분으로 우주 지배 전쟁을 일으킨다. 그는 전자 채찍을 휘두르며 전쟁을 즐기는 가학적인 면모를 보이지만, 피네론성과 국민에 대한 애착은 강하다. 마지막에 진실을 알고 이모시와 함께 최후를 맞는다. 나야 고로는 나레이터의 성우도 겸했다.
무라코시 이치로는 지구방위군 지휘관 그레고리 비츠의 성우를 맡았다. 초기에는 독재적인 면모로 피네론인에게 심하게 대하고 피터와 갈등했지만, 점차 성격이 좋아지고 피터와의 관계도 개선된다. 불명의 성우는 지구방위군 중령 닉의 성우를 맡았다. 닉은 온건한 성격이지만 피네론인 구속을 지지하기도 했다.
토미야마 케이는 지구인 악당 콤비 중 한 명인 파이크의 성우를 맡았다. 후지모토 죠는 파이크의 파트너 맥의 성우를 맡았다. 이들은 유성가면의 비밀을 파헤쳐 피네론에 팔아넘기려 했으나, 유성가면에게 구출된 후 개심하여 피터의 조수가 된다.
코바야시 키요시는 피터의 아버지 로버트 요한센의 성우를 맡았다. 그는 피네론인 마리아와 결혼했지만, 핵물질 수송 중 로켓 폭발로 사망했다. 에미 쿄코는 피터의 어머니 마리아의 성우를 맡았다. 마리아는 남편 사망 후 피네론인이라는 이유로 강제 수용소에 수용되지만, 최종화에서 구출된다.
이시하라 료는 로버트의 조수 로봇 아틀란타의 성우를 맡았다. 아틀란타는 로버트 사망 전 그의 부탁으로 가방을 피터에게 전달하고 고장 난다. 이후 아틀란타의 전자 두뇌에서 로켓 폭발의 진실이 밝혀진다.
야스다 타카시는 지구방위군의 젊은 소위 키니스키의 성우를 맡았다. 그는 피터와 피네론인에게 까칠하지만 성실하며, 이야기 종반에서 피터 일행을 돕다 전사한다.
그 외에도 카모 키쿠가 하춘, 우치우미 켄지가 스테키, 치바 코이치가 스피델의 성우를 맡았으며, 나가이 이치로, 노모토 레이조 등도 등장인물들의 목소리를 연기했다.
3. 줄거리
2001년에 새로 발견되어 지구와 같은 공전 궤도로 항상 태양을 사이에 두고 지구와 반대 위치에 있는 행성 삐네론과 지구는 우호 관계가 되었고, 지구의 로켓 조종사 '''요한센'''과 삐네론인 '''마리아'''의 성간 결혼에 의한 첫 번째 아이 피터가 태어난다. 지구인과 삐네론인은 똑같은 모습을 하고 있으며, 다만 삐네론인과 그 혼혈아의 관자놀이 부근에는 십자형 “삐네론 마크”가 있는 점이 다르다.
피터 탄생 후 15년, 지구와 삐네론 별 간의 교류로 인해 이민자와 혼혈인도 많이 늘어나게 되었다. 그때 삐네론 별에 핵 물질을 수송하던 요한센의 로켓이 삐네론 대도시 상공에서 폭발 사고를 일으켜 사망하게 되고, 삐네론 측에도 막대한 인명 피해를 입히게 된다. 이로 인해 삐네론 별에서는 지구의 공격이라는 오해가 퍼지고, 삐네론의 권력자 '''호이겐스'''는 이때를 틈타 참모 이모시 박사와 함께 독재 권력을 손에 넣고 지구와의 전쟁을 일으킨다. 지구에서도 체재 혹은 이주한 삐네론인이나 그 혼혈아를 강제 수용소에 보내는 등의 조치를 취해 피터의 어머니 마리아도 수용소에 끌려가지만 피터는 지구인 소쿠라돈 교수에 의해 보호를 받게 된다. 한편 30년 정도 앞선 삐네론의 과학력으로 인해 지구군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이때 유성가면이라고 자칭하는 수수께끼의 소년이 등장하여 위기에 빠진 지구군을 도와 삐네론과 싸운다.
유성 가면의 등장으로 삐네론은 최신 병기를 투입하고, “삿뿌스(우주 닌자)”라는 특수 능력을 가진 전투원을 보낸다. 유성 가면은 공격을 저지하지만 결국 삐네론군은 지구에 진격을 하게 된다.
한편, 지구 방위군의 비츠 사령관과 소쿠라돈 교수는 요한센의 조난 폭발 사고 당시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모든 것이 삐네론 측의 계략임을 밝혀내고, 이를 호이겐스에게 알려준다. 사실 이 모든 것은 이모시 박사의 음모였던 것이다. 본색을 드러낸 이모시는 호이겐스를 죽이려 하지만 호이겐스가 우주선을 자폭시켜 이모시와 함께 동귀어진을 한다.
그리고 비츠 사령관과 소쿠라톤 교수 앞에 정체를 들어내는 피터.
마침내 지구와 삐네론간의 오해는 풀리고 다시 평화를 되찾는다. 피터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지구와 삐네란간의 왕복 우주선의 조종사가 된다.
3. 1. 배경
본작은 1화 완결로 방송되었지만, 제1화에서 갑작스러운 개전에 당황하는 지구인의 모습에 중점을 두었다. 최초에 발생한 의문의 우주선 사고가 실은 조작된 것이라는 사실이 최종화에 가서야 판명되는 등 정교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지금까지 평화적으로 교류하던 두 행성이 갑자기 개전함으로써 혼란 상태가 되어 이성(異星)의 인간이 체포되고 수용소에 보내지거나, 피터가 삐네론인과의 혼혈이라는 이유로 주위 사람들에게 차별과 의혹을 받는 등 현실감 있는 묘사도 보인다. 맥과 파이크라는 우스꽝스러운 등장인물도 있고, 설정이나 움직임 묘사가 치졸한 부분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전작인 “유성소년 빠삐”에 비해 화풍이나 이야기 전개가 중후한 시리어스 드라마의 스타일이 있다.3. 2. 전개
본작은 1화 완결의 방송이지만, 제1화에서 갑작스런 개전에 당혹해 하는 지구인의 모습에 중점을 두었다. 최초에 발생한 의문의 우주선사고가 실은 조작된 것이다라는게 최종화에 다다라서 판명되는 등 정교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지금까지 평화적으로 교류하던 두 행성이 갑자기 개전에 의해 혼란상태가 되어 이성의 인간이 체포되고 수용소에 보내지거나, 피터가 삐네론간의 혼혈아라는 이유로 주위사람들에게 차별과 의혹을 받은 등의 현실감 있는 묘사도 보인다. 맥과 파이크라는 우수꽝스러운 등장인물도 있고, 설정이나 움직임묘사가 치졸한 부분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전작인 “유성소년 빠삐”에 비해, 화풍이나 이야기전개가 중후한 시리어스드라마의 스타일이 있다.2001년에 새로 발견된, 지구와 같은 공전 궤도로 항상 태양을 사이에 두고 지구와 반대 위치에 있는 행성 피네론과 지구는 우호 관계가 되었고, 지구의 로켓 조종사 '''요한센'''과 피네론인 '''마리아''' 사이에 "우주 결혼"을 통해 첫 번째 아이 '''피터'''가 태어났다. 지구인과 피네론인은 완전히 똑같은 외모를 하고 있으며, 다만, 피네론인 및 그 혼혈아의 관자놀이 부근에 십자형의 "피네론 마크"가 있다는 점이 다르다.
피터 탄생 후 15년, 지구와 피네론 별의 교류가 진행되어 이주자와 혼혈아도 많이 있었다. 그러던 중, 피네론 별에 핵 물질을 수송하던 요한센의 로켓이 피네론의 대도시 상공에서 폭발 사고를 일으켜, 그는 사망하고, 피네론 측에도 많은 희생자가 발생한다. 피네론 별에서는 지구에 의한 공격이라는 오해가 퍼져, 피네론의 권력자 '''호이헨스'''는 그 기회를 틈타 참모 역할을 하는 '''이모시''' 박사와 함께 독재적 권력을 손에 넣고, 지구와 전쟁을 일으킨다. 지구에서도, 체류·이주하던 피네론인의 성인을 강제 수용소로 보내고, 혼혈 아동은 고아원으로 보내는 등의 강경한 대항 조치를 취하지만, 피터는 지구인 '''소크라톤''' 교수에게 구출된다. 지구의 과학은 피네론 별과 비교하여 30년 늦어져, 지구군은 고전을 면치 못한다. 그때, "유성 가면"이라고 불리는 한 명의 수수께끼 소년이 나타나, 위기에 빠진 지구를 돕고 피네론 군과 싸운다.
유성 가면의 등장으로 좋은 전과를 올리지 못하게 된 피네론 측은 최신 병기를 투입하고, 또한 "삽스"(우주 닌자)라고 불리는, 특수한 능력을 가진 전투원을 보내는 등 대항한다. 유성 가면은 이러한 공격을 모조리 물리치지만, 피네론 군은 마침내 지구로 진격해 왔다. 한편, 지구 방위군의 '''비츠''' 사령관과 소크라톤 교수 등은, 요한센의 조난·폭발 사고 당시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것이 피네론 측의 책략임을 밝혀내고, 지구에 온 호이헨스에게 통고한다. 호이헨스는 몰랐지만, 사실은 모두, 우주의 지배자가 되려고 꾀한 이모시 박사의 음모였다. 본성을 드러내 호이헨스를 죽이려 하는 이모시. 그러나 결투로 호이헨스는 탑승하는 우주선과 함께 자폭하고, 이모시를 함께 데려가 자결했다. 멍하니 바라보는 비츠 등 앞에 나타나, 맨 얼굴을 보이는 유성 가면. 그 정체는 피터였다.
평화가 돌아온 우주에서 피터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지구·피네론 간의 우주선 조종사가 된다.
기본적으로 1화 완결형 작품이지만, 제1화에서는 갑작스러운 개전에 당황하는 피네론인과 지구인의 모습에 중점을 두거나, 처음에 일어난 수수께끼의 우주선 사고가 사실은 음모였다는 것이 최종화 가까이 되어서 밝혀지는 등, 정교한 구성을 이루고 있다. 또한, 그 전까지 평화적으로 교류하던 두 행성이 갑작스러운 개전으로 혼란 상태가 되어, 이성의 인간이 체포되어 수용소에 보내지거나, 피터가 피네론인의 피를 이어받았기 때문에 차별과 의혹을 받아, 자신도 크게 고뇌하는 등, 진솔한 묘사도 보인다. 유성 가면은 지구를 구하는 우주의 전사라고 자칭하며 지구 편에 서 있지만, 어머니를 붙잡고 있는 방위군에게는 도움을 줄 뿐이며, 방위군의 병기를 기지에 침입하여 강탈하는 등 결코 방위군의 일부는 아니며, 동료라고 할 수도 없고, 방위군도 초기에는 유성 가면의 등장을 반드시 좋게만 생각하지 않았다. 당시 작품과는 선을 긋는 듯한 부분도 많고, 최종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우주의 어둠 속으로 사라져가는 로켓과 함께 흐르는 어두운 BGM에 나타나듯이, 이 이야기의 끝에 반드시 밝은 미래가 온다고 단정할 수 없는 구성이라는, 하드한 내용도 있었다. 맥과 파이크라는 익살꾼 같은 개그 메이커도 존재하지만, 이 인물들의 배경도 호이헨스에 가까워 피네론 별로 망명하는 목적이었던 등, 철저하게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선행 작품인 『유성 소년 파피』에 비해 그림체나 이야기 전개가 다소 중후하고, 시리어스 드라마의 풍취가 있다.
3. 3. 결말
본작은 1화 완결의 방송이지만, 제1화에서 갑작스런 개전에 당혹해 하는 지구인의 모습에 중점을 두었으며, 최초에 발생한 의문의 우주선사고가 실은 조작된 것이다라는게 최종화에 다다라서 판명되는 등 정교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지금까지 평화적으로 교류하던 두 행성이 갑자기 개전에 의해 혼란상태가 되어 이성의 인간이 체포되고 수용소에 보내지거나, 피터가 삐네론간의 혼혈아라는 이유로 주위사람들에게 차별과 의혹을 받은 등의 현실감 있는 묘사도 보인다. 맥과 파이크라는 우수꽝스러운 등장인물도 있고, 설정이나 움직임묘사가 치졸한 부분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전작인 “유성소년 빠삐”에 비해, 화풍이나 이야기전개가 중후한 시리어스드라마의 스타일이 있다.지구와 같은 공전 궤도로 항상 태양을 사이에 두고 지구와 반대 위치에 있는 행성 피네론과 지구는 우호 관계였으나, 피네론 별에 핵 물질을 수송하던 요한센의 로켓이 피네론의 대도시 상공에서 폭발 사고를 일으킨다. 피네론 별에서는 지구에 의한 공격이라는 오해가 퍼져, 피네론의 권력자 '''호이헨스'''는 독재적 권력을 손에 넣고, 지구와 전쟁을 일으킨다.
유성 가면의 등장으로 좋은 전과를 올리지 못하게 된 피네론 측은 최신 병기를 투입하고, 또한 "삽스"(우주 닌자)라고 불리는, 특수한 능력을 가진 전투원을 보낸다. 유성 가면은 이러한 공격을 모조리 물리치지만, 피네론 군은 마침내 지구로 진격해 왔다. 한편, 지구 방위군의 '''비츠''' 사령관과 소크라톤 교수 등은, 요한센의 조난·폭발 사고 당시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것이 피네론 측의 책략임을 밝혀내고, 지구에 온 호이헨스에게 통고한다. 사실은 모두, 우주의 지배자가 되려고 꾀한 이모시 박사의 음모였다. 본성을 드러내 호이헨스를 죽이려 하는 이모시. 그러나 결투로 호이헨스는 탑승하는 우주선과 함께 자폭하고, 이모시를 함께 데려가 자결했다. 멍하니 바라보는 비츠 등 앞에 나타나, 맨 얼굴을 보이는 유성 가면. 그 정체는 피터였다.
평화가 돌아온 우주에서 피터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지구·피네론 간의 우주선 조종사가 된다.
4. 용어
유성가면의 등장 장면은 다소 정형화되어 있는데, 적이 "누구냐"라고 물으면 "사람들이 부르길 유성가면"이라고 답한다. '유성가면'이라는 이름은 피터가 지은 것이 아니고, 방송 제1화 후반부에 전쟁으로 인해 혼란에 빠진 군중들을 내려다보며 등장한 정체불명의 가면을 보고 사람들이 "유성가면이다"라고 외치기 시작한 데서 비롯되었다. 유성가면의 정체는 이야기 마지막 회까지 아무도 몰랐고, 극 중에서 피터가 유성가면으로 변신하는 장면도 없었기 때문에 시청자에게 공식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한국에서는 제목 자체가 '유성가면 피터'였기 때문에 제목에서부터 이미 정체가 드러났다.
유성가면은 소형 단좌 로켓 "로켓라이더"를 이용하여 우주의 어떤 먼 전장이라도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주 무기는 "울트라슈터"인데, 수리검처럼 손으로 던지는 물건으로 강철도 자를 수 있는 위력이 있다.
한국어 제목 때문에 당시 시청자들은 "유성가면"의 유성이 별똥별(流星)을 의미하는 것으로 오해했다. 실제로는 원제목인 "遊星仮面"에서 보듯이 한자가 다르며, 여기서 유성(遊星)은 행성을 의미한다. 즉, 실제로는 "행성가면 피터"라는 제목이며, 여기서 행성은 지구와 삐네론을 의미한다. 이는 전작인 "유성(遊星)소년 빠삐"도 마찬가지였으며, 이를 반영하여 빠삐의 영문판 제목은 "Prince Planet"이었다. 그러나 빠삐는 국내 방영 시 제목이 "우주의 왕자 빠삐"였으므로 유성에 대한 오해는 없었다.
5. 제작진
원작・기획은 니타 노부오가 담당했다. 제작 보조는 시부야 이사오가 맡았다. 각본은 아다치 아키라가 담당했으며, 캐릭터 디자인은 쿠스노키 타카하루가 원화를 담당했다. 작화는 코무로 츠네오, 쿠스모토 카츠토시, 오야마 타카시, 오카다 우케, 야마기시 히로시 등이 담당했다. 미술은 호시 슌로쿠가 담당했다. 음악은 아라시노 히데히코와 하야시 코바가 담당했다. 오프닝은 미키 토리로 작사・작곡, 듀크 에이세스가 부르고, 후지타 토시코가 대사를 맡은 '유성가면'이다. 애니메이션 제작은 TCJ에서 담당했다. 스폰서는 에자키 글리코와 글리코 유업이었다.
6. 주제가
윤석중 작사, 마상원 작곡, 별넷 노래의 오프닝 곡 「유성가면」이 사용되었다. 오프닝 곡은 미키 토리로가 작사, 작곡하고 듀크 에이세스와 후지타 토시코가 불렀다. 영상 소프트에 수록된 오프닝에는 오프닝 캐치가 없고, 주제가 마지막의 "구리코 콜"도 수록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당시 발매된 레코드판 일부에는 "구리코 콜"이 수록된 버전이 있으며, 영상 소프트에 수록된 오프닝도 처음 음성이 잘려 있기 때문에, 본 방송 당시에는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7. 한국어판 주제가
8. 평가 및 영향
참조
[1]
서적
朝日新聞 縮刷版
朝日新聞社
1967-02-28
[2]
뉴스
北海道新聞
1966-06-03
[3]
뉴스
河北新報
1966-07-01
[4]
뉴스
河北新報
1966-07-02
[5]
뉴스
福島民報
1966-06-17
[6]
뉴스
福島民報
1966-06-03
[7]
뉴스
福島民報
1966-06-15
[8]
뉴스
北國新聞
1966-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