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수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수일은 1945년 충청남도 논산에서 태어나, 가톨릭 군종교구장 주교를 역임한 인물이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개신교 선교사로 활동하다가 천주교로 개종하여 작은형제회에 입회했다. 1979년 종신서원 후 사제 서품을 받았으며, 군종교구장 주교로 임명되어 사목 활동을 펼쳤다. 그의 문장은 방탄모, 물고기, 비둘기를 통해 군종교구장으로서의 특수성을 나타내며, '끊임없이 기도하며'를 사목 표어로 삼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주교 군종교구장 - 이기헌 (주교)
이기헌은 1975년 사제 서품을 받고 서울대교구에서 활동하다가 2010년 천주교 의정부교구장 주교로 임명된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주교이다. - 천주교 군종교구장 - 정명조
정명조는 1935년 출생하여 1962년 사제 서품을 받고 군종 장교, 부산교구 교구장 등을 역임했으며 2007년 선종한 한국 천주교의 주교이다. -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성직자 - 김동한 (1919년)
김동한은 천주교 순교자 집안 출신으로 대한민국 해군의 초대 군종 신부이자 김수환 추기경의 형이며, 사제 서품 후 사목 활동과 해군 군종 신부로 복무하며 한국 가톨릭 결핵 시설 연합회를 설립하여 초대 회장으로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성직자 - 염수정
염수정은 1943년 안성에서 태어나 5대째 가톨릭 신앙을 이어온 가정에서 성장하여 사제가 되었고, 서울대교구장 겸 평양교구장 대행 대주교를 거쳐 2014년 추기경으로 서임되어 생명 존중, 사회 정의, 남북 화해를 위해 활동하다 2021년 서울대교구장직에서 사임한 대한민국의 천주교 추기경이다. - 강릉 유씨 - 유옥우
유옥우는 자유당에서 정계 입문 후 야당에서 활동하며 여러 차례 국회의원을 지냈고, 한일협정 반대 운동 중 옥고를 치렀으며 정치 테러를 당하기도 했으나, 국가보위입법회의 참여 경력으로 비판받기도 한 정치인이다. - 강릉 유씨 - 유지태
유지태는 1998년 영화 《바이 준》으로 데뷔하여 《올드보이》 등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인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마이 라띠마》를 연출한 영화 감독으로, 배우 김효진과 결혼하여 사회 활동과 자선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유수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주교 정보 | |
제목 모양 | 주교 |
접두어 | F. 하비에르 |
이름 | 유수일 |
접미어 | 주교 |
전임자 | 이기헌(베드로) |
후임자 | 서상범 (티토) |
사제 서품일 | 1980년 2월 25일 |
주교 서품일 | 2010년 7월 16일 |
주교 서품자 | 이기헌 주교 |
출생지 | 충청남도 논산 |
종교 | 천주교 |
학력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
좌우명 | 끊임없이 기도하며 |
![]() | |
경력 | |
사제 서품 | 1980년 2월 25일 |
주교 서품 | 2010년 7월 16일 |
전임 군종교구장 | 이기헌 (베드로) |
제3대 군종교구장 | 2010년 7월 17일 |
참고 자료 | |
뉴스 인용 | 유수일 신부, 제3대 군종교구장에 |
2. 생애
1974년 유수일은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2학년으로 편입했고, 1979년 종신서원을 한 이듬해 사제서품을 받았다. 수원교구 세류동본당과 마산교구 칠암동본당에서 3개월 동안 본당사제로 사목활동을 했다. 이후 작은형제회 한국 준관구장, 수도자 신학원장, 한국관구장, 본부 총평의원, 정동 성 프란치스코 수도원 수호자, 서울 청원소 부수호자 등을 역임하다가 2010년 7월 16일 군종교구장 주교로 임명되었다.[4]
2. 1. 어린 시절과 개종
1945년 3월 23일 충청남도 논산에서 4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불교와 미신 등 토속신앙을 믿는 집안에서 성장한 그는 중학교를 수석으로 합격할 만큼 학업에 남다른 재능을 가지고 있었다. 이후 대전고등학교에 진학하였으며, 가난한 형편 때문에 장학금과 가정교사를 하면서 번 돈으로 학업을 이어갔다. 천주교를 처음 접한 것도 이즈음이었다.누구의 인도를 받은 것도 아닌데, 그는 홀로 대전 대흥동성당을 찾아갔다. 반기는 사람도 없었고, 챙겨주는 사람들도 없었다. 하지만 당시 성당을 다녔던 3개월의 기억은 유수일에게 평생 잊지 못할 깊은 여운을 남겼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에 입학한 유수일은 같은 반 친구를 통해 개신교의 한 선교회를 알게 됐다. 이곳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와 삼위일체 등 하느님에 대한 신앙을 갖게 됐다. 당시 가난으로 괴로움을 겪었던 그에게 있어 예수와 영접할 기회를 준 신앙은 큰 기쁨이자 힘이었다.
1969년 대학을 졸업하고 대기업에 입사했지만, 1년 후 선교사로서의 삶을 살기 위해 안정된 삶을 포기했다. 선교사 교육을 받으면서 유수일은 처음으로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성인을 접했다. 그의 삶에 감명을 받아 성인전도 단숨에 읽어 버릴 정도였다. 그러면서 점차 개신교에 대한 회의가 들기 시작했다. 3개월이라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천주교 미사의 거룩함과 성스러움에 대한 여운이 마음 속 깊은 곳에서 피어 올라왔다.
마침 잠시 근무하던 대전 대성고등학교 근처엔 작은형제회 수도원이 있었다. 수도회측으로부터 입회하려면 3년이라는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는 말을 들은 그는 강원도 강릉에 있는 학교로 이동하면서까지 그 시간을 기다렸다. 그동안 교리를 받고 세례를 받았다. 그리고 약 1년 3개월 만인 1973년 유수일은 결국 수도회에 입회했다.[4]
2. 2. 수도자의 길
1945년 3월 23일 충청남도 논산에서 태어난 그는 대전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에 입학하여 개신교 선교회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와 삼위일체 등 하느님에 대한 신앙을 갖게 되었다. 1969년 대학 졸업 후 대기업에 입사했지만, 1년 후 선교사의 삶을 위해 퇴사했다. 선교사 교육 중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성인의 삶에 감명을 받았고, 천주교에 대한 깊은 여운을 다시 느끼게 되었다.작은형제회 수도원 근처 학교에서 근무하며 3년을 기다려 세례를 받고, 1973년 수도회에 입회했다. 1974년 서울 대신학교(현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2학년으로 편입, 1979년 종신서원을 한 이듬해 사제서품을 받았다. 수원교구 세류동성당과 마산교구 칠암동성당에서 3개월간 본당사제로 근무했다. 이후 작은형제회 한국 준관구장, 수도자 신학원장, 한국관구장, 본부 총평의원, 정동 성 프란치스코 수도원 수호자, 서울 청원소 부수호자 등을 역임하다가 2010년 7월 16일 군종교구장 주교로 임명되었다.[4]
2. 3. 사목 활동
1974년 유수일은 서울 대신학교(현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2학년으로 편입했고, 1979년 종신서원을 한 이듬해 사제서품을 받았다. 이후 3개월 동안 수원교구 세류동성당과 마산교구 칠암동성당에서 본당사제로 사목활동을 했다.[4] 그는 본당사제 역할을 마친 후 작은형제회 한국 준관구장, 수도자 신학원장, 한국관구장, 본부 총평의원, 정동 성 프란치스코 수도원 수호자, 서울 청원소 부수호자 등을 역임하다가 2010년 7월 16일 군종교구장 주교로 임명되었다.[4]2. 4. 군종교구장 임명
1974년 서울 대신학교(현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2학년으로 편입했고, 1979년 종신서원을 한 이듬해 사제서품을 받았다. 이후 3개월 동안 수원교구 세류동본당과 마산교구 칠암동본당에서 본당사제로 사목활동을 했다. 본당사제 역할을 마친 후에는 작은형제회 한국 준관구장, 수도자 신학원장, 한국관구장, 본부 총평의원, 정동 성 프란치스코 수도원 수호자, 서울 청원소 부수호자 등을 역임하다가 2010년 7월 16일 군종교구장 주교로 임명되었다.[4]3. 문장
유수일 주교의 문장은 방탄모, 물고기, 비둘기를 사용하여 육군, 해군, 공군을 형상화함으로써 군종교구장이라는 특수한 사목 직책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이 문장은 성경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상징물들을 모아 인류 구원을 위한 노아의 방주를 중심 개념으로 삼았다.[5]
문장 하단에는 유수일 주교의 사목 표어인 "끊임없이 기도하며"(1테살 5,17)가 적혀 있다. 이는 사도 바오로의 테살로니카 신자들에게 보낸 첫째 서간을 통해 영성 생활과 복음 전파 과업에서 가장 중요한 영적 양식이 기도 생활임을 나타낸 것이다.[5]
3. 1. 문장의 의미
유수일 주교의 문장은 방탄모와 물고기, 비둘기로 육ㆍ해ㆍ공군을 형상화해 군종교구장이라는 특수사목직을 명료하게 드러냈다. 성경의 의미가 깊은 상징물을 집약해 인류 구원을 위한 노아의 방주를 중심개념으로 삼았다.
방주의 돛대인 십자가는 하느님과 일치를 이루는 중심축이다. 십자가 3개 점은 그리스도가 십자가에서 흘린 피와 삼위일체 하느님을 상징한다.
비둘기는 노아가 방주에서 날려보낸 비둘기가 올리브 잎을 물고 온 것(창세 8)을 형상화한 것으로, 평화에 대한 희망과 회복의 표현이다. 예수가 제자들에게 “내 평화를 너희에게 준다. 내가 주는 평화는 세상이 주는 평화와 같지 않다.”(요한 14,27)라고 말한 것처럼 군이 사랑과 정의에 바탕을 두고 조국 평화통일을 위해 힘쓰고 있는 점을 부각시켰다.
물고기는 그리스도 신자와 구원받아야 할 영혼을 상징한다. 뒤집어 놓은 방탄모는 지상의 모든 생명을 구원할 방주를 연상시킨다.
문장 하단에는 유수일 주교의 사목표어인 “끊임없이 기도하며”(1테살 5,17)를 넣었다. 영성생활과 복음전파 과업에서 가장 중요한 영적 양식이 기도생활임을 사도 바오로의 테살로니카 신자들에게 보낸 첫째 서간을 통해 드러낸 것이다.[5]
참조
[1]
웹사이트
Bishop Francis Xavier Yu Soo-il, O.F.M.
http://www.catholic-[...]
Catholic Hierarchy
2021-12-21
[2]
웹사이트
Military Ordinariate of South Korea
http://www.gcatholic[...]
GCatholic
2021-12-21
[3]
뉴스
유수일 신부, 제3대 군종교구장에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07-17
[4]
뉴스
신임 군종교구장 유수일 주교 삶과 신앙
https://web.archive.[...]
가톨릭신문
2010-07-25
[5]
뉴스
신임 군종교구장 유수일 주교 문장 나와
https://web.archive.[...]
평화신문
2010-08-2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