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양 (제애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양(劉襄)은 전한 시대의 제나라 왕으로, 제도혜왕 유비의 아들이다. 기원전 188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제나라 왕이 되었으며, 여태후 사후 여씨 일족의 반란에 연루되어 황제 옹립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결국 전한 문제 유항이 황위에 오르면서 제나라로 돌아갔고, 문제 원년에 사망하여 애(哀)라는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79년 사망 - 필리포스 5세
    필리포스 5세는 기원전 221년부터 기원전 179년까지 마케도니아 왕국을 통치한 왕으로, 즉위 후 그리스 내 입지를 다지고 로마와 충돌했으며 말년에는 국가 재건에 힘썼다.
  • 기원전 179년 사망 - 임오 (전한)
    임오는 전한 초 고조를 도와 풍 땅을 지키고 상당태수를 지냈으며, 진희의 반란을 막은 공으로 광아후에 봉해졌으나 여후 시기에 어사대부에서 면직되었고 문제 원년에 사망한 인물이다.
  • 전한의 제후왕 - 전한 무제
    전한의 제7대 황제인 전한 무제는 54년간 재위하며 유교 기반 중앙집권 강화, 흉노 정벌을 통한 영토 확장, 소금과 철의 전매제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여 전한의 최전성기를 이끌었으나, 과도한 군사 지출, 사치스러운 생활, 무고의 난 등 부정적인 면모도 보였다.
  • 전한의 제후왕 - 유굉 (광릉왕)
  • 기원전 2세기 중국 사람 - 신도가
    신도가는 전한 시대의 무관 출신으로, 항우와의 싸움과 영포의 난에 참여하고 혜제 때 회양태수를 거쳐 승상에 올랐으며, 청렴한 성품으로 황제의 총애를 받던 등통을 처벌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조조와의 갈등 끝에 죽음을 맞이하여 절후의 시호를 받았다.
  • 기원전 2세기 중국 사람 - 사마천
    사마천은 중국 전한 시대의 역사가, 천문학자, 역법가로서 중국 최초의 통사로 평가받는 『사기』를 저술하여 기전체를 확립하고 역사 서술과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이릉 변호 사건으로 궁형을 받는 고난을 겪었으며 태초력 제정에도 참여하는 등 천문학과 역법에도 업적을 남겼다.
유양 (제애왕)
인물 정보
유양의 묘비
유양의 묘비
이름유양
로마자 표기Yu Xiang
생몰년기원전 230년 ~ 기원전 179년
봉호제애왕
작위
아버지유비
어머니사씨
형제유흥거, 유장, 유벽강, 유지, 유모
자녀유칙, 유현, 유앙, 유지
시대전한

2. 생애

혜제 7년(기원전 188년), 아버지 제도혜왕이 죽자 제왕의 자리를 이었다. 당시 여후가 태후, 태황태후로 임조칭제하며 권력을 잡고 있었다.[2] 여후 원년(기원전 187년), 여후는 여태를 왕으로 세우기 위해 제나라의 제남군을 여나라 봉토로 헌납하도록 강요했고, 여후 7년(기원전 181년)에는 유택을 왕으로 세우기 위해 낭야군을 분할하도록 했다.[2]

기원전 180년, 여후가 사망하자 여씨 일족은 반란을 계획했고, 유양은 장안에 있던 동생 성양경왕과 연락하여 거병을 준비했다.[2] 유양은 여씨가 파견한 승상 소평을 공격하여 자살로 내몰고, 군사를 일으켜 낭야왕 유택을 속여 군사를 빼앗고, 여나라를 공격했다. 또 제후왕들에게 여씨 일족을 규탄하는 서신을 보냈다.[2] 한나라 조정에서는 대장군 관영을 파견해 형양(滎陽)에 주둔시키며 사태를 관망하게 했고, 유양은 국경에서 대기하며 여씨 일족이 제거되기를 기다렸다.[2]

여후가 사망한 후 여산, 여록 등의 여씨 일족은 유장과 주발, 진평 등에 의해 제거되었고,(呂氏之亂|여씨의 난중국어) 대신들은 유양의 외가 사(駟)씨 가문에 악인이 많다는 이유를 들어 유항을 황제로 추대했다.[2] 유양은 군사를 이끌고 봉국으로 돌아갔고, 문제는 유양에게 성양군, 낭야군, 제남군을 반환했다.[2]

기원전 179년, 유양은 사망했다. 시호는 애왕(哀王)이며, 아들 유칙이 제왕의 자리를 계승했다.[2]

2. 1. 여후 집권기

혜제 7년(기원전 188년), 아버지 제도혜왕이 죽자 제왕의 자리를 이었다. 당시 여후가 태후, 태황태후로 임조칭제하며 권력을 잡고 있었다.[2]

여후 원년(기원전 187년), 여후는 여태를 왕으로 세우기 위해 제나라의 제남군을 여나라 봉토로 헌납하도록 강요했다. 여후 7년(기원전 181년)에는 고제의 종제이자 여씨 일족을 왕으로 세우는 데 동조한 유택을 왕으로 세우기 위해 낭야군을 분할하도록 했다.[2]

2. 2. 여씨의 난 진압

기원전 180년, 여후가 사망하자 여씨 일족은 반란을 계획했다. 유양은 장안에 있던 동생 성양경왕과 연락하여 거병을 준비했다. 유양은 여씨가 파견한 승상 소평을 공격하여 자살로 내몰고, 장인 사균, 낭중령 축오, 중위 위발과 함께 군사를 일으켰다.[2] 그리고 낭야왕 유택을 속여 군사를 빼앗고, 여나라를 공격했다. 또 제후왕들에게 여씨 일족을 규탄하는 서신을 보냈다.[2]

한나라 조정에서는 대장군 관영을 파견해 형양(滎陽)에 주둔시키며 사태를 관망하게 했다. 관영은 여씨 일족이 득을 보는 것을 원치 않았기 때문에 제나라를 공격하는 대신, 제후왕들에게 여씨 일족이 타도될 때까지 기다리라는 공문을 보냈다.[2] 유양은 국경에서 대기하며 여씨 일족이 제거되기를 기다렸다.[2]

2. 3. 황제 추대 실패와 사망

기원전 180년, 여후가 사망한 후 여산, 여록 등의 여씨 일족은 유장과 주발, 진평 등에 의해 제거되었다.(呂氏之亂|여씨의 난중국어) 대신들은 다음 황제를 누구로 할지에 대해 논의했는데, 제애왕(유양)의 외가 사(駟)씨 가문에 악인이 많다는 이유를 들어 제애왕 대신 고조의 넷째 아들인 대왕 유항을 황제로 추대했다. 이가 곧 문제이다.[2] 유양은 군사를 이끌고 봉국으로 돌아갔다. 문제는 유양에게 성양군, 낭야군, 제남군을 반환했다.

기원전 179년, 유양은 사망했다. 시호는 애왕(哀王)이다. 아들 유칙이 제왕의 자리를 계승했다.

참조

[1] 서적 Book of Han http://zh.wikisource[...] 2011-01-27
[2] 문서 문제는 기원전 202년생이며, 제애왕의 동생 성양경왕은 기원전 200년생이므로, 문제가 비록 제애왕의 작은아버지지만 나이는 오히려 제애왕이 더 많을 수도 있다.
[3] 문서 여나라가 도중에 제천나라로 이름이 바뀐 것으로, [[유명 (제천왕)|유명]]이 봉해진 [[진류군|제천나라]]와는 연관이 없다.
[4] 문서 작위만 추증된 것으로, 봉지는 없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