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441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441호는 2002년 11월 8일, 이라크의 대량 살상 무기 개발 의혹과 관련하여 만장일치로 채택되었다. 이 결의안은 이라크에 대량 살상 무기 및 관련 계획에 대한 전면적이고 완전한 신고를 요구하고, 유엔 사찰에 무조건 협력할 것을 촉구했다. 미국은 이라크가 결의안을 위반했다고 주장하며 유엔의 추가 결의 없이 2003년 이라크를 침공했고, 이후 이라크에서 대량 살상 무기가 발견되지 않아 전쟁 명분에 대한 논란이 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라크 관련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546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546호는 이라크 주권 정부의 조기 복원과 다국적군의 역할을 규정하며 이라크의 주권 회복과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국제 사회의 지지를 확인하고 이라크 내 테러 행위 규탄, 다국적군 주둔 승인, 이라크 개발 기금 설립, UNAMI의 역할 등을 명시한 결의안이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441호
결의 정보
결의 번호1441
기관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날짜2002년 11월 8일
회의4,644
코드S/RES/1441
문서S/RES/1441(2002)
찬성15
기권0
반대0
주제이라크쿠웨이트 간의 상황
결과채택
지도 정보
이라크 (초록)과 쿠웨이트 (주황)의 지도
이라크 (녹색)과 쿠웨이트 (주황색)의 지도
결의 내용
주요 내용이라크에 대량 살상 무기 폐기 요구
대통령 시설에 대한 사찰 실시 승인
위반 시 심각한 결과 초래 경고

2. 결의안 채택 배경

2002년 9월 12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유엔 총회 연설에서 이라크 정부에 대한 미국의 불만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5][6]


  • 이라크는 유엔 안보리 결의 1373을 위반하여 이란, 이스라엘, 서방 국가들을 공격하는 테러 조직을 지원하고 있으며, 알 카에다 조직원들이 이라크에 은신하고 있다.
  • 2001년 유엔 인권위원회는 이라크에서 심각한 인권 침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 이라크는 생물학 무기, 화학 무기, 장거리 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를 개발 및 보유하여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고 있다.
  • 이라크는 "석유 식량 교환 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수익을 식량이 아닌 무기 구매에 사용하고 있다.
  • 이라크는 UNMOVIC 및 IAEA의 무기 사찰단의 활동을 방해하고 있다.


조지 W. 부시는 2002년 9월 12일 유엔 총회에서 연설하여 미국이 이라크 정부에 제기한 불만을 개진했다.


부시 대통령의 연설 이후, 안전 보장 이사회의 다른 회원국들과 집중적인 협상이 시작되었다. 특히 러시아, 중국, 프랑스와 같은 상임 이사국들은 이라크 침공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결의안 문안은 미국과 영국이 공동으로 작성했으며, 특히 러시아와 프랑스와 8주간의 격렬한 협상 끝에 도출되었다. 프랑스는 "심각한 결과"라는 문구에 의문을 제기하며, 제7장에 따른 자동적인 군사 행동이 아닌, 추가적인 유엔 결의를 통해 행동 방침을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 1. 미국의 이라크 비난 내용 (2002년 9월 12일 유엔 총회 연설)

2002년 9월 12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유엔 총회 연설에서 이라크 정부에 대한 미국의 불만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5][6]

  • 이라크는 유엔 안보리 결의 1373을 위반하여 이란, 이스라엘, 서방 국가들을 공격하는 테러 조직을 지원하고 있으며, 알 카에다 조직원들이 이라크에 은신하고 있다.
  • 2001년 유엔 인권위원회는 이라크에서 심각한 인권 침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 이라크는 생물학 무기, 화학 무기, 장거리 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를 개발 및 보유하여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고 있다.
  • 이라크는 "석유 식량 교환 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수익을 식량이 아닌 무기 구매에 사용하고 있다.
  • 이라크는 UNMOVIC 및 IAEA의 무기 사찰단의 활동을 방해하고 있다.


부시 대통령의 연설 이후, 안전 보장 이사회의 다른 회원국들과 집중적인 협상이 시작되었다. 특히 러시아, 중국, 프랑스와 같은 상임 이사국들은 이라크 침공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결의안 문안은 미국과 영국이 공동으로 작성했으며, 특히 러시아와 프랑스와 8주간의 격렬한 협상 끝에 도출되었다. 프랑스는 "심각한 결과"라는 문구에 의문을 제기하며, 제7장에 따른 자동적인 군사 행동이 아닌, 추가적인 유엔 결의를 통해 행동 방침을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3. 결의안 주요 내용

조지 W. 부시는 2002년 9월 12일 유엔 총회에서 연설하여 미국이 이라크 정부에 제기한 불만을 개진했다.[6] 이라크가 UNMOVIC 및 IAEA의 사찰을 지원하도록 요구했을 뿐 결의안 자체는 전쟁에 대해 언급한 적이 없다.[5]

2002년 9월 12일, 미국 대통령 조지 W. 부시유엔 총회에서 이라크 정부에 대한 불만 사항을 열거했다.[6]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373호 위반으로, 이라크는 이란, 이스라엘 및 서방 정부를 대상으로 폭력을 행사하는 테러 조직을 지원한다...그리고 알 카에다 테러리스트들이 아프가니스탄에서 탈출하여 이라크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유엔 인권 위원회는 2001년에 "극도로 심각한" 인권 침해를 발견했다.
  • 유엔 결의안 위반으로, 이라크의 대량 살상 무기 생산 및 사용 (생물학 무기, 화학 무기 및 장거리 미사일).
  • 이라크는 자국민을 위한 식량 대신 무기를 구매하기 위해 "석유 식량 교환 프로그램" 유엔 프로그램의 수익금을 사용했다.
  • 이라크는 무기 사찰 프로그램을 완전히 중단하기 전에 그 조건을 노골적으로 위반했다.


결의안 문안은 미국과 영국이 공동으로 작성했으며, 특히 러시아와 프랑스와의 8주간의 격렬한 협상의 결과였다. 안전 보장 이사회의 다른 회원국들과의 집중적인 협상이 시작되었고, 특히 이사회의 세 상임 이사국(거부권 행사)은 이라크 침공에 대한 우려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 중국, 프랑스. 프랑스는 "심각한 결과"라는 문구에 의문을 제기했으며, 사찰관에 의해 발견된 "중대한 위반"이 자동으로 전쟁으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고 반복해서 밝혔다; 대신 유엔은 행동 방침을 결정하는 또 다른 결의안을 통과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견해를 지지하는 요인은 제7장에 따라 전쟁을 합법화하는 이전 결의안이 1990년 결의안 678호에서 "...모든 필요한 수단..."과 같은 훨씬 더 강력한 용어를 사용했으며, 결의안 1441호는 안전 보장 이사회가 "이 문제에 계속 관여해야 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결의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이라크가 무장 해제 의무를 계속 심각하게 불이행하고 있다고 판단
  • 이라크에 대량 살상 무기 및 관련 계획에 대한 전면적이고 완전한 신고를 30일 이내에 제출할 것을 요구
  • 이라크에 즉시 무제한적이고 무조건적으로 유엔의 사찰에 협력할 것을 요구
  • 이라크에 준수의 마지막 기회를 부여했다고 경고
  • 이전 결의(결의 1154)에서 사찰 대상에서 제외되었던 대통령 시설에 대해서도 사찰을 허용할 것을 요구
  • 이라크의 위반이 계속될 경우, 그것이 이라크에 중대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거듭 경고했음을 상기


4. 안전 보장 이사회 표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2002년 11월 8일 결의안 1441호를 만장일치(15:0)로 통과시켰다.[7] 아랍 국가 중 유일하게 시리아를 포함하여, 러시아, 중국, 프랑스가 찬성표를 던졌다. 이는 1990년 걸프 전쟁 결의안보다 더 폭넓은 지지를 받은 결과였다.

일부 정치인들은 이 결의안이 특정 상황에서 전쟁을 승인할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회의에 참석한 대표들은 그렇지 않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유엔 주재 미국 대사 존 네그로폰테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 결의안에는 무력 사용에 관한 "숨겨진 방아쇠"나 "자동성"이 전혀 없습니다. 만약 UNMOVIC, IAEA 또는 회원국이 이사회에 보고한 추가적인 이라크 위반 사항이 발생할 경우, 12항에 규정된 대로 이 문제가 이사회로 돌아가 논의될 것입니다. 결의안은 이라크가 불이행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으며 이라크는 무장 해제되어야 함을 명확히 합니다. 그리고 어떤 식으로든 이라크는 무장 해제될 것입니다. 만약 안전 보장 이사회가 추가적인 이라크 위반 사항 발생 시 단호하게 대처하지 못할 경우, 이 결의안은 이라크가 제기하는 위협으로부터 자국을 방어하거나 관련 유엔 결의안을 집행하고 세계 평화와 안보를 보호하기 위해 행동하는 것을 어떤 회원국도 제약하지 않습니다."[7]

결의안의 공동 발의국인 영국 대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는 협상 과정에서 "자동성"과 "숨겨진 방아쇠"에 대한 우려, 즉 이처럼 중대한 결정에 군사 행동을 서두르지 않아야 한다는 우려, 그리고 이처럼 중대한 결정에 이라크의 위반 사항이 이사회에서 논의되어야 한다는 우려를 분명히 들었습니다. 이에 대한 답변도 명확히 하겠습니다... 이 결의안에는 "자동성"이 없습니다. 만약 이라크가 무장 해제 의무를 추가적으로 위반할 경우, 12항에 규정된 대로 이 문제가 이사회로 돌아가 논의될 것입니다. 우리는 안전 보장 이사회가 그때 책임을 다할 것으로 기대합니다."[8]

시리아 대사는 이 메시지를 다시 한번 확인했다.

"시리아는 미국과 영국, 그리고 프랑스와 러시아로부터 고위급 접촉을 통해 이 결의안이 이라크에 대한 공격의 구실로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이라크에 대한 어떠한 자동 공격의 근거도 되지 않는다는 확신을 받은 후 결의안에 찬성표를 던졌습니다. 이 결의안은 특정 조항을 통해 어떤 국가도 무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됩니다. 이 결의안은 이라크 문제의 모든 단계를 해결하는 데 있어 안전 보장 이사회의 중심 역할을 재확인합니다."[9]

4. 1. 표결 이후 주요국 입장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2002년 11월 8일 결의안 1441호를 만장일치(15:0)로 통과시켰다.[7] 아랍 국가 중 유일하게 시리아를 포함하여, 러시아, 중국, 프랑스가 찬성표를 던졌다.[7] 이는 1990년 걸프 전쟁 결의안보다 더 폭넓은 지지를 받은 결과였다.

유엔 주재 미국 대사 존 네그로폰테는 "결의안에는 무력 사용에 관한 '숨겨진 방아쇠'나 '자동성'이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7] 그는 UNMOVIC, IAEA 또는 회원국이 이라크의 추가 위반 사항을 보고하면, 이 문제가 이사회로 돌아가 논의될 것이라고 밝혔다.[7] 그는 "어떤 식으로든 이라크는 무장 해제될 것"이며, 안전 보장 이사회가 대처하지 못할 경우, "이 결의안은 이라크가 제기하는 위협으로부터 자국을 방어하거나 관련 유엔 결의안을 집행하고 세계 평화와 안보를 보호하기 위해 행동하는 것을 어떤 회원국도 제약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7]

결의안 공동 발의국인 영국 대사는 "이 결의안에는 '자동성'이 없다"고 재확인하며, 이라크가 무장 해제 의무를 추가적으로 위반할 경우 이사회에서 논의될 것이라고 강조했다.[8]

시리아 대사는 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로부터 "이 결의안이 이라크에 대한 공격의 구실로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이라크에 대한 어떠한 자동 공격의 근거도 되지 않는다"는 확답을 받고 찬성표를 던졌다고 밝혔다.[9] 또한, 이 결의안이 특정 조항을 통해 어떤 국가도 무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9]

5. 결의안 이행 과정

이라크는 2002년 11월 13일에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441호를 수용했다.[10] 11월 27일, 유엔 감시·검증·사찰 위원회(UNMOVIC)의 한스 블릭스국제 원자력 기구(IAEA)의 모하메드 엘바라데이가 이끄는 사찰단이 이라크에서 사찰 활동을 재개했다.[10]

2002년 12월 7일, 이라크는 12,000페이지 분량의 무기 신고서를 유엔에 제출했다. 그러나 미국은 이 신고서가 불충분하며 이라크가 결의안을 위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은 이 신고서가 이라크의 시간 끌기라고 비난했고, 생물 및 화학 무기 신고가 누락되었다는 점을 들어 '중대한 위반'이라고 주장했다.

한스 블릭스와 모하메드 엘바라데이는 이라크의 결의안 준수와 관련하여 여러 차례 유엔에 보고했다.[12][13][14] 블릭스는 이라크의 보고서에 대해 과거 신고서와 마찬가지로 부정확하고 불완전하며 증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이라크가 과거에 생산했던 탄저균, VX 신경 작용제 등 화학 및 생물학 무기의 행방을 명확히 밝히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2003년 1월 9일, 사찰단은 안전보장이사회에 중간 보고를 통해 이라크 정부가 제출한 신고서 내용에 불만을 표하면서도, 이라크가 대량살상무기를 보유하고 있다는 확증은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1월 27일, 블릭스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 "이라크는 오늘날까지도 세계의 신뢰를 얻고 평화롭게 살기 위해 필요한 무장 해제를 진정으로 수용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12] 그는 이라크가 VX 신경 작용제 "1,000톤"을 잘못 배치했다고 주장했다.[12]

3월 7일 보고서에서 블릭스는 "고도로 발달된 행정 시스템을 갖춘 이라크는 금지된 무기 프로그램에 대한 더 많은 문서 증거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라크의 협력에 대해 "이라크 측은 지금까지 우리의 사찰 권한 행사에 대한 어떠한 조건도 고수하지 않았다"라고 언급하면서도, "이라크가 결의안 1441(2002)의 9항에서 요구하는 바와 같이 '즉시, 무조건적이고 적극적으로' 협력했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해 "이러한 이니셔티브가 '즉각적인' 협력을 구성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라고 답했다.

5. 1. 한스 블릭스와 모하메드 엘바라데이의 보고 (요약)

한스 블릭스와 모하메드 엘바라데이 IAEA 사무총장은 이라크의 결의안 1441 준수 수준에 대한 여러 보고서를 유엔에 제출했다.[12][13][14] 이라크는 11월 13일 결의안에 동의했고,[10] 무기 사찰단은 11월 27일 유엔 감시·검증·사찰 위원회(UNMOVIC)의 한스 블릭스와 국제 원자력 기구(IAEA)의 모하메드 엘바라데이의 지휘하에 이라크에 복귀했다.[10]

2002년 12월 7일, 이라크는 이 결의안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12,000페이지 분량의 무기 신고서를 유엔에 제출했다. 그러나 한스 블릭스는 이라크의 보고서가 과거 신고서와 마찬가지로 부정확하거나 불완전한 부분이 많다고 지적했다. 또한 이라크는 과거 생산했던 탄저균, VX 신경 작용제 등 화학 및 생물학 무기의 행방에 대해 명확하게 해명하지 못했다.

2003년 1월 27일, 블릭스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 이라크가 무장 해제를 진정으로 수용하지 않았다고 말했다.[12] 그는 이라크가 VX 신경 작용제 "1,000톤"을 잘못 배치했다고 주장했다.[12] 3월 7일 보고서에서 블릭스는 이라크가 금지된 무기 프로그램에 대한 더 많은 문서 증거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블릭스는 이라크의 협력에 대해 "이라크 측은 지금까지 우리의 사찰 권한 행사에 대한 어떠한 조건도 고수하지 않았다"고 언급하면서도, "이라크가 결의안 1441(2002)의 9항에서 요구하는 바와 같이 '즉시, 무조건적이고 적극적으로' 협력했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해 "이러한 이니셔티브가 '즉각적인' 협력을 구성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고 답변했다.

6. 이라크 전쟁 발발

2003년 3월, 미국영국이라크가 결의안 1441호를 위반했다고 주장하며 추가적인 유엔 안보리 결의 없이 이라크를 침공했다. 이라크 침공 직전, 토니 블레어, 조지 W. 부시, 스페인 총리 호세 마리아 아스나르, 포르투갈 총리 조제 마누엘 바호주는 아조레스 정상 회담에서 3월 17일을 이라크의 완전한 준수 마감일로 발표했다. 같은 날, 부시와 영국 외무부 장관 잭 스트로는 이라크 침공 전에 유엔의 추가 승인을 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15][16][17]

프랑스 대통령 자크 시라크는 전쟁으로 자동적으로 이어지는 모든 결의안에 거부권을 행사할 것이라고 선언했고, 프랑스, 러시아, 독일 등은 미국의 군사 행동에 반대하며, 유엔 안보리의 추가 결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미국영국이라크가 대량살상무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해 군사 행동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전쟁 이후 이라크에서 대량살상무기가 발견되지 않으면서, 전쟁 명분에 대한 국제적인 논란이 일었다. 유엔 안보리 상임 이사국 대다수는 결의안의 집행 권한은 개별 국가가 아닌 안보리에 있다고 주장하며 미국의 군사 행동을 비판했다.

침공 이후 부시 행정부는 이라크 조사 그룹에 이라크에 실제로 대량 살상 무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의뢰했다. 1년 반 동안 이라크를 세밀하게 수색한 조사관들은 이라크가 1991년에 신고하지 않은 화학 무기 비축분을 일방적으로 파괴했다고 판단했으며, 그 이후로 화학 무기 생산을 재개했다는 신뢰할 만한 징후는 없다고 보고했다. 이 조사는 찰스 A. 듀얼퍼와 이라크 조사 그룹에 의해 수행되었다. 2004년 10월 부시는 듀얼퍼의 분석에 대해 "수석 무기 조사관 찰스 듀얼퍼는 이제 데이비드 케이의 이전 결론, 즉 이라크가 우리 정보기관이 거기에 있다고 믿었던 무기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는 포괄적인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라고 말했다.

6. 1. 전쟁 명분 논란

미국영국이라크가 대량살상무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해 군사 행동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18] 그러나 전쟁 이후 이라크에서 대량살상무기가 발견되지 않으면서, 전쟁 명분에 대한 국제적인 논란이 일었다.[18] 유엔 안보리 상임 이사국 대다수는 결의안의 집행 권한은 개별 국가가 아닌 안보리에 있다고 주장하며 미국의 군사 행동을 비판했다.

침공 이후 부시 행정부는 이라크 조사 그룹에 이라크에 실제로 대량 살상 무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의뢰했다. 1년 반 동안 이라크를 세밀하게 수색한 조사관들은 이라크가 1991년에 신고하지 않은 화학 무기 비축분을 일방적으로 파괴했다고 판단했으며, 그 이후로 화학 무기 생산을 재개했다는 신뢰할 만한 징후는 없다고 보고했다.[18] 이 조사는 찰스 A. 듀얼퍼와 이라크 조사 그룹에 의해 수행되었다. 2004년 10월 부시는 듀얼퍼의 분석에 대해 "수석 무기 조사관 찰스 듀얼퍼는 이제 데이비드 케이의 이전 결론, 즉 이라크가 우리 정보기관이 거기에 있다고 믿었던 무기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는 포괄적인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라고 말했다.[19]

7. 이라크 전쟁 이후

침공 이후 부시 행정부는 이라크 조사 그룹에 이라크의 대량살상무기 존재 여부를 확인하도록 의뢰했다. 조사 결과, 이라크 조사단(ISG)은 이라크가 1991년에 화학 무기 비축분을 폐기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보고했다.[18] 찰스 듀얼퍼와 데이비드 케이 등 미국의 무기 사찰 책임자들은 이라크에 대량살상무기가 없었다는 결론을 내렸다.[19]

8. 한국의 입장 및 역할

참조

[1] 웹사이트 Text of U.N. resolution on Iraq - Nov. 8, 2002 http://archives.cnn.[...] 2007-12-08
[2] 뉴스 Gulf war - PBS Frontline Interviews https://www.pbs.org/[...] PBS Frontline 2019-03-28
[3] 웹사이트 The invasion of Iraq was lawful http://www.headofleg[...] 2024-01-19
[4] 웹사이트 UK Government Web Archive https://web.archive.[...] 2003-01-01
[5] 웹사이트 Resolution 1441 (2002) - Adopted by the Security Council at its 4644th meeting, on 8 November 2002 https://undocs.org/S[...] United Nations 2019-03-28
[6] UN document 2002-09-12
[7] UN document 2002-11-08
[8] UN document 2002-11-08
[9] UN document 2002-11-08
[10] 간행물 Letter dated 13 November 2002 from the Secretary-General addressed to the President of the Security Council, S/2002/1242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Document 2017-02-22
[11] UN document Thirteenth quarterly report of the Executive Chairman of the United Nations Monitoring, Verification and Inspection Commission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12 of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284 (1999) 2003-05-30
[12] 뉴스 Transcript of Blix's remarks http://www.cnn.com/2[...] 2003-01-27
[13] 뉴스 Full text: Blix address http://news.bbc.co.u[...] 2003-01-27
[14] 뉴스 Full text: ElBaradei report http://news.bbc.co.u[...] 2003-02-14
[15] 뉴스 Iraq war illegal, says Annan http://news.bbc.co.u[...] 2004-09-16
[16] 웹사이트 JURIST - O'Connell: UN Resolution 1441 - Compelling Saddam, Restraining Bush http://jurist.law.pi[...] 2006-05-25
[17] 뉴스 The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Law, and the war in Iraq http://www.worldpres[...]
[18] 웹사이트 Iraq Survey Group Final Report http://www.globalsec[...] 2015-07-07
[19] 웹사이트 Transcript: Bush Responds to WMD Report https://www.washingt[...] 2004-10-07
[20] 웹사이트 https://news.sbs.co.[...]
[21] 웹사이트 https://www.joonga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