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하 얀후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하 얀후넨은 북아시아 언어, 특히 몽골어족, 우랄어족, 거란 소자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언어학자이다. 그는 몽골어족 연구와 관련하여 "The Mongolic languages", "Khamnigan Mongol", "Mongolian" 등의 저서를 출판했으며, 거란 소자 연구에도 참여하여 "거란 소자 신자료: 샤오 디루와 예루 샹원 비평판"을 공동 출판했다. 또한 일본어의 기원에 대한 독자적인 가설을 제시하며, 일본어가 산둥반도 동이족 언어에서 기원하여 한반도를 거쳐 일본 열도로 유입되었다고 주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헬싱키 대학교 교수 - 빌호 안날라
핀란드의 극우 정치인이자 교수인 빌호 안날라는 라푸아 운동과 애국 인민 운동에서 활동하며 극우 정치의 중심 인물로 활동했고, 핀란드 의회 의원과 교통부 장관을 지냈으며, 정계 은퇴 후 헬싱키 대학교에서 정치경제학 교수로 활동했다. - 핀란드의 대학 교수 - 폴 키파스키
폴 키파스키는 핀란드 태생의 미국 언어학자로, 생성 문법적 입장에서 역사 음운론 확립에 기여하고 MIT와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어휘 음운 형태론 모델을 제창했고, 훔볼트 상을 수상하고 예테보리 대학교와 콘스탄츠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 핀란드의 언어학자 -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는 핀란드어 연구, 정치 활동, 외교관 경력을 가진 인물로, 핀란드어 통사론 연구를 시작으로 헬싱키 대학교 교수를 역임하며 핀란드어 연구에 기여했고, 국회의원, 교육부 장관, 외무부 장관을 거쳐 덴마크와 헝가리 주재 특명전권대사를 지냈다. - 핀란드의 언어학자 - 유시 할라아호
유시 할라아호는 핀란드의 정치인이자 언어학자로, 핀란드인당 대표, 헬싱키 시의회 의원, 국회의원, 유럽 의회 의원을 역임했으며, 핀란드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고, 이민 정책 비판과 정치적 견해 피력으로 인종차별 혐의를 받기도 했다.
유하 얀후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원어명 | Juha Janhunen |
출생일 | 1952년 2월 12일 |
국적 | 핀란드 |
직업 | 언어학자 |
경력 | 헬싱키 대학교 동아시아학연구실 교수 |
2. 주요 연구 분야
얀후넨 교수는 우랄어족, 알타이어족을 비롯한 북아시아(시베리아) 언어 연구에 광범위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특히 사모예드어와 캄니간 몽골어에 대한 현지 조사를 진행했으며, 요나라 비문에서 발견된 Khitan small script|거란 소자영어 연구 및 일본어의 기원에 대한 연구도 진행했다.[4]
그의 주요 연구 분야와 저서는 다음과 같다.
분야 | 저서 |
---|---|
몽골어족 | The Mongolic languages (2003), Khamnigan Mongol (2005), Mongolian (2012) |
Khitan small script|거란 소자영어 | New Materials on the Khitan Small Script: A Critical Edition of Xiao Dilu and Yelü Xiangwen (2010) |
2. 1. 우랄어족 및 알타이어족 연구
북아시아(시베리아)의 언어인 우랄어족, 알타이어족에 광범위한 관심을 가지고 연구했으며, 1994년 헬싱키 대학교 동아시아학 연구실 교수로 부임했다. 사모예드어와 캄니간 몽골어에 대한 현지 조사를 진행해왔다.[4] 최근에는 요나라의 비문에서 발견된 Khitan small script|거란 소자영어에 관한 저서를 중국인 학자와 공동으로 출판했다. 또한, "알타이어족" 가설을 비판하고 있다.[5]2. 2. 거란 소자 연구
요나라의 비문에서 발견된 Khitan small script|거란 소자영어에 관한 연구를 중국인 학자와 공동으로 진행하여 관련 저서를 출판했다.[4]2. 3. 일본어의 기원 연구
유하 얀후넨은 일본어의 기원에 관한 독자적인 가설을 제시했다. 그는 선일본조어(Pre-Proto Japanese)가 산둥 반도 부근 연안에 살았던 동이족 언어에서 기원하여 한반도로 유입되었고, 이 과정에서 고구려어 등과의 접촉을 통해 알타이적인 특징을 획득한 후 규슈를 거쳐 일본 열도로 들어갔다고 주장한다.[6]3. 주요 저서
출판 연도 | 저서명 | 출판사 | 비고 |
---|---|---|---|
2003년 | 몽골어 (The Mongolic languages) | 루틀리지 | 편집 |
2005년 | 캄니간 몽골어 (Khamnigan Mongol) | 린콤 유로파 | |
2010년 | 거란 소자 신자료: 샤오 디루와 예뤼 샹웬의 비평적 편집 (New Materials on the Khitan Small Script: A Critical Edition of Xiao Dilu and Yelü Xiangwen) | 글로벌 오리엔탈 | 우 잉저(Wu Yingzhe)와 공저 |
2012년 | 몽골어 (Mongolian) | 존 벤자민스 |
참조
[1]
간행물
Bibliography of the Publications of Juha Janhunen
http://www.sgr.fi/su[...]
[2]
웹사이트
REVITALIZING NIVKH (SAKHALIN, RUSSIA): Project on revitalization of the Nivkh language on Sakhalin
https://www.helsinki[...]
University of Helsinki
2024-03-25
[3]
서적
Proceedings of the 38th Permanent International Altaistic Conference
Harrassowitz Verlag
1996
[4]
간행물
Bibliography of the Publications of Juha Janhunen
http://www.sgr.fi/su[...]
[5]
문서
Prolegomena to a comparative analysis of Mongolic and Tungusic
https://www.academia[...]
Harrassowitz Verlag
[6]
서적
일본어계통론의 현재Perspectives on the Origins of the Japanese Language
국제일본문화센터
[7]
저널
Bibliography of the Publications of Juha Janhunen
http://www.sgr.fi/su[...]
[8]
문서
Prolegomena to a comparative analysis of Mongolic and Tungusic
https://www.academia[...]
Harrassowitz Verlag
[9]
서적
일본어계통론의 현재
국제일본문화센터
2017-05-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