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 퍼텐셜 우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한 퍼텐셜 우물은 1차원 공간에서 퍼텐셜이 특정 형태를 가질 때의 양자역학적 계를 의미한다. 이 계는 슈뢰딩거 방정식을 통해 분석되며, 에너지 준위가 우물 내부와 외부의 경계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유한 퍼텐셜 우물은 속박 상태와 비속박 상태를 가지며, 속박 상태에서는 에너지 준위가 양자화된다. 이 모델은 양자점, 양자 우물, 초격자 등 실제 물리 현상을 설명하는 데 활용되며, 비대칭 및 구형 유한 퍼텐셜 우물과 같은 변형된 형태로도 연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자역학 퍼텐셜 - 양자 우물
양자 우물은 띠 간격이 다른 반도체 물질을 층층이 쌓아 전하 캐리어를 가두는 퍼텐셜 우물을 형성하는 구조로, 광전자 및 전자 소자, 에너지 수확 분야에 응용되며, 한국은 관련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 - 양자역학 퍼텐셜 - 상자 속 입자
상자 속 입자는 양자역학에서 입자가 특정 영역에 갇혀 움직이는 이상적인 시스템으로, 슈뢰딩거 방정식을 통해 파동 함수와 양자화된 에너지 준위를 구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물리적 시스템을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된다. - 양자 모형 - 상자 속 입자
상자 속 입자는 양자역학에서 입자가 특정 영역에 갇혀 움직이는 이상적인 시스템으로, 슈뢰딩거 방정식을 통해 파동 함수와 양자화된 에너지 준위를 구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물리적 시스템을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된다. - 양자 모형 - 수소 분자 이온
수소 분자 이온은 수소 분자가 전자를 잃어 생성되는 분자 이온으로, 성간 물질 화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1/2의 결합 차수를 가지는 일전자 결합으로 설명된다.
유한 퍼텐셜 우물 | |
---|---|
양자 역학적 속성 | |
유형 | 1차원 퍼텐셜 |
관련 입자 | 단일 입자 |
시간 의존성 | 시간 무관 |
해의 종류 | 고정 상태 |
경계 조건 | 파동 함수와 그 도함수는 유한해야 함 파동 함수는 모든 곳에서 연속적이어야 함 |
해법 | 짝함수 및 홀함수 해의 초월 방정식 |
물리적 의미 | 유한한 깊이의 퍼텐셜 우물에 갇힌 입자의 양자화된 에너지 준위와 파동 함수 |
퍼텐셜 에너지 | |
정의 (x < -a) | V₀ |
정의 (-a ≤ x ≤ a) | 0 |
정의 (x > a) | V₀ |
변수 | V₀ = 퍼텐셜 장벽의 높이 a = 우물의 반너비 |
짝함수 해 (E < V₀) | |
파동 벡터 κ | κ = √((2mE) / ħ²) |
파동 벡터 k | k = √(2m(V₀ - E) / ħ²) |
초월 방정식 | tan(κa) = k/κ |
홀함수 해 (E < V₀) | |
파동 벡터 κ | κ = √((2mE) / ħ²) |
파동 벡터 k | k = √(2m(V₀ - E) / ħ²) |
초월 방정식 | -cot(κa) = k/κ |
2. 정의
1차원 공간에서 퍼텐셜이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때 이 계를 유한 퍼텐셜 우물이라고 한다.
:
1차원적인 경우, 즉 ''x'' 축에 대해 시간에 무관한 슈뢰딩거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여기서[1]
- 는 환원 플랑크 상수이고,
- 는 입자의 질량이며,
- 는 각 지점 ''x''에서의 퍼텐셜 에너지이고,
- 는 (복소수 값을 갖는) 파동 함수 또는 "고유 함수"이며,
- 는 에너지로, 실수이며 때로는 고유 에너지라고 불린다.
길이 ''L''의 1차원 상자 내 입자의 경우, 퍼텐셜은 상자 외부에서는 이고, 와 사이의 ''x''에서는 0이다. 파동 함수는 다음과 같이 상자 안과 밖에 따라 서로 다른 파동 함수로 구성된다.[2]
:
3. 유도
시간에 무관한 슈뢰딩거 방정식을 풀면 입자가 유한 퍼텐셜 우물 속에 있을 때의 현상을 살펴볼 수 있다. 1차원적인 경우, 즉 ''x'' 축에 대한 시간에 무관한 슈뢰딩거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1]
:
여기서
길이 ''L''의 1차원 상자 내 입자의 경우, 퍼텐셜은 상자 외부에서는 이고, 와 사이의 ''x''에서는 0이다. 파동 함수는 상자 안과 밖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서로 다른 파동 함수로 구성된다.[2]
:
상자 내부 영역에서, ''V''(''x'') = 0이고, 위 식은 다음과 같이 간단해진다.
:
이는 시간 독립 자유 슈뢰딩거 방정식과 ''유사''하며, 따라서
:
다음과 같이 정의하면
: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된다.
:
일반적인 해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A''와 ''B''는 임의의 복소수가 될 수 있고, ''k''는 임의의 실수일 수 있다.
상자 외부 영역의 경우, 퍼텐셜이 일정하므로 이고, 위 식은 다음과 같이 된다.
:
가 보다 작은지(, 입자가 속박 상태) 또는 큰지(, 입자가 비속박 상태)에 따라 두 가지 가능한 해 집합이 있다.
인 속박 상태를 분석해보면, 를 사용하면,
:
여기서 일반 해는 지수 함수이다.
:
마찬가지로 상자 외부의 다른 영역에 대해:
:
이제 이 문제에 대한 특정 해를 찾기 위해, 적절한 경계 조건을 찾아야 한다. 슈뢰딩거 방정식의 해는 연속적이고 연속적으로 미분 가능해야 한다.[2]
유한 퍼텐셜 우물은 대칭이므로 대칭성을 활용하여 필요한 계산을 줄일 수 있다. 가 로 갈 때 항, 가 로 갈 때 항이 무한대로 가므로, 파동 함수가 제곱 적분 가능하게 하려면 으로 설정해야 한다.
: 그리고
전체 함수는 연속적이고 미분 가능해야 하므로, 함수 값과 그 도함수는 분할점에서 일치해야 한다.
\left.\frac{d\psi_1}{dx}\right>_{x=-L/2} = \left.\frac{d\psi_2}{dx}\right|_{x=-L/2} | \left.\frac{d\psi_2}{dx}\right>_{x=L/2} = \left.\frac{d\psi_3}{dx}\right|_{x=L/2} |
이러한 방정식에는 두 가지 종류의 해가 있는데, 대칭적인 경우 이고 이며, 반대칭적인 경우에는 이고 이다. 대칭적인 경우
:
:
따라서 비율을 계산하면
:
마찬가지로 반대칭적인 경우에는
:
와 둘 다 에너지에 의존한다. 연속성 조건은 임의의 에너지 값에 대해 ''충족될 수 없다''. 이는 무한 퍼텐셜 우물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두 방정식 중 하나 또는 둘 다의 해인 특정 에너지 값만 허용된다. 즉, 미만의 시스템의 에너지 준위는 이산적이며, 해당 고유 함수는 ''결합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반대로, 위의 에너지 준위는 연속적이다.[3])
에너지 방정식은 해석적으로 풀 수 없지만, 대칭적인 경우 우물이 매우 얕더라도 항상 최소한 하나의 결합 상태가 존재한다.[4]
무차원 변수 및 를 도입하고, 와 의 정의로부터 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이고, 기본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인 경우, 파란색 반원이 보라색 또는 회색 곡선( 및 )과 교차하는 곳에 해가 존재한다. 각 보라색 또는 회색 곡선은 가능한 해 를 나타내며, 범위는 이다. 따라서 전체 해의 수 (파란색 원과 교차하는 보라색/회색 곡선의 수)는 파란색 원의 반경 를 각 해의 범위 로 나누고 바닥 또는 천장 함수를 사용하여 결정된다.[6]
:
및 이며, 해당 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
원한다면 방정식에서 상수 의 값을 찾을 수 있다(정규화 조건도 부과해야 한다).
특별한 경우로, 퍼텐셜의 높이가 커지면() 근이 값 에 점점 더 가까워지며, 무한 사각 우물의 경우를 복구한다.
다른 경우는 매우 좁고 깊은 우물(이고 이며 이 고정)의 경우이다. 이므로 0으로 경향, 결합 상태는 하나만 존재한다. 대략적인 해는 이고, 에너지는 로 경향한다. 이는 강도 의 델타 함수 퍼텐셜의 결합 상태의 에너지와 같다.
3. 1. 속박 상태 (E < V₀)
슈뢰딩거 방정식의 해는 연속적이고 미분 가능해야 한다.[2]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에너지 준위는 불연속적(양자화)이다. 인 속박 상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먼저 파동 함수를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
각 영역에서 슈뢰딩거 방정식을 풀면 다음과 같다.
:
:
:
여기서 , 라고 놓으면 각 영역의 해는 다음과 같다.
:
과 에서 와 가 연속이라는 경계 조건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얻는다.
:
이 연립방정식을 풀면 계수 를 구할 수 있다.
:
경계 조건을 정리하면 다음 식을 얻는다.
:
이 식과 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속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래프의 교점으로부터 속박 상태의 에너지를 구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에너지 준위는 불연속적이며, 이는 양자화된 값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3] 우물이 매우 얕거나 좁더라도 최소한 하나의 결합 상태가 항상 존재한다.[4]
3. 2. 비속박 상태 (E > V₀)
Schrödinger equation|슈뢰딩거 방정식영어을 에너지 에 대해 풀면, 를 사용하여,:
를 얻는다. 그러면 해는 우물 내부의 경우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
따라서 우물 내부와 외부 모두에서 진동한다. 해는 절대 제곱 적분 가능하지 않으므로, 항상 정규화할 수 없는 상태이다. 그러나 이것이 양자 입자가 보다 큰 에너지를 갖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단순히 시스템이 위에 연속 스펙트럼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정규화할 수 없는 상태는 여전히 비유계 연산자의 일반화된 고유 함수로 스펙트럼의 연속 부분에 기여한다.[1]
4. 비대칭 유한 퍼텐셜 우물
5. 구형 유한 퍼텐셜 우물
다음과 같은 구형 퍼텐셜 우물을 고려해 볼 수 있다.
:
0, & \text{if }r>a\text{ (우물 외부)}
\end{cases}
여기서
5. 1. 속박 상태의 존재 조건
각운동량이 0(:
\frac{A}{r}\sin kr, & \text{for }r
\frac{B}{r}e^{-\kappa r}, & \text{for }r>a, \text{where } \kappa = \sqrt{2m|E|/\hbar^2}=\sqrt{2mU_0/\hbar^2-k^2}.
\end{cases}
이때,
이 방정식은 항상 해를 가지는 것은 아니며, 이는 경우에 따라 속박 상태가 없을 수 있음을 뜻한다. 속박 상태가
:
이는 우물의 반지름(
우물 깊이가 최소값을 약간 초과하는 경우, 즉
:
6. 구형 대칭 고리형 우물
위의 결과는 1차원적인 경우처럼 구형 공동에서 두 개의 속박 상태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왜냐하면 구 좌표계는 모든 방향에서 반경을 동일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구 대칭 퍼텐셜의 바닥 상태 (''n'' = 1)는 항상 궤도 각운동량 0 (ℓ = n−1)을 가지며, 축소된 파동 함수
:
여기서
이것은 경계 조건을 제외하면 1차원 방정식과 동일하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
c_1 \sin({k_1 r}), & \text{for } r < a, \text{ where } k_1 = \sqrt {2m / \hbar^2 (U_{1}-E)} \\[1ex]
c \sin({kr + \delta}), & \text{for } a < r < b, \text{ where } k = \sqrt {2mE / \hbar ^2} \\[1ex]
c_2 e^{-k_2 r}, & \text{for } r > b, \text{ where } k_2 = \sqrt {2m / \hbar ^2 (U_2-E)}
\end{cases}
:
는
:
여기서
위 방정식의 근의 존재는 항상 보장된다. 결과는 항상 구 대칭성을 가진다. 파동이 구 내부에서 어떠한 퍼텐셜도 찾지 못하는 조건
ℓ ≠0일 때는 다른 미분 방정식이 놓이므로 위의 제목과 같이 다음과 같다.
:
해는 몇 가지 변수와 함수의 변경을 통해 베셀과 같은 미분 방정식을 얻을 수 있으며, 그 해는 다음과 같다.
:
A j_l({k_1 r}), & \text{for } r < a, \text{ where } k_1 = \sqrt {2m / \hbar^2 (U_{1}-E)} \\[1ex]
A j_l({kr})+B y_l({kr}), & \text{for } a < r < b, \text{ where } k = \sqrt {2mE / \hbar ^2} \\[1ex]
C h_l^{(1)}({k_2r}), & \text{for } r > b, \text{ where } k_2 = \sqrt {2m / \hbar ^2 (U_2-E)}
\end{cases}
여기서
:
는
:
여기서
또한 이 두 개의 초월 방정식은
:
:
위 방정식의 근의 존재는 항상 보장된다. 결과는 항상 구 대칭성을 가진다.
7. 응용
양자점(Quantum Dot), 양자 우물(Quantum well), 초격자(Superlattice)와 같은 구조를 갖는 계는 유한 퍼텐셜 우물의 관점에서 물리적인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1]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논문
A simpler graphical solution and an approximate formula for energy eigenvalues in finite square quantum wells
2020
[6]
서적
Topics in Quantum Mechanic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7]
간행물
A chart for the energy levels of the square quantum well
2016
[8]
서적
Quantum mechanics: non-relativistic theory
Elsevier
2013
[9]
서적
Quantum Mechanics, Selected Topics
World Scientific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