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유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유일은 조선 후기 천주교 신자로, 명례방 사건을 겪고 북경에 밀사를 파견하여 조선 천주교회의 자치 운영에 대한 의문을 해소하려 했다. 그는 조상 제사 금지령을 신자들에게 알리고, 신해박해 이후에도 신앙을 지키며 주문모 신부의 입국을 도왔다. 을묘박해 때 체포되어 고문 끝에 순교했다.

2. 생애

윤유일은 이승훈이 명례방에서 '명례방공동체'[3]라는 신앙 모임을 운영할 때, 그 모임의 일원이었던 권일신과 가깝게 지내며 천주교에 입교했다. 1785년 3월, 명례방에서 모임을 가지던 중 적발되어 체포되었으나,[4] 양반 출신이라는 이유로 훈방되었다.[4]

1789년, 윤유일은 조선 천주교회의 가성직 제도가 교회법에 위반될 수 있다는 의문을 해소하기 위해 밀사(密使)가 되어 동지사를 따라 북경에 가서 구베아 주교에게 서신을 전달했다. 그는 M.로 신부에게 세례, 성체성사, 견진성사를 받고 1790년 3월에 귀국하여 조선 천주교회에 회답을 전하고 가성직 제도를 해체했다.[12]

1790년 9월, 윤유일은 성직자 파견을 요청하기 위해 다시 북경에 밀사로 파견되었고, 구베아 주교로부터 조상 제사를 금지하는 명령을 받았다.[13][14][15] 1792년, 세 번째 밀사 임무를 맡아 북경에 가서 선교사 파견을 재차 요청하여 약속을 받아냈다.[19]

1794년 12월, 선교사로 임명된 중국인 주문모 신부가 조선으로 밀입국할 때, 윤유일은 지황과 함께 안내를 맡았고, 이듬해 초 주문모 신부를 서울로 잠입시키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주문모 신부의 은신과 밀입국을 도운 죄로 체포되어 고문 끝에 사망했고, 시신은 강물에 던져졌다.[23][24][25][26]

2. 1. 명례방 사건 (1785)

이승훈이 중국에서 세례를 받고 1784년에 귀국하여 서울 명동에서 '명례방공동체'[3]라는 신앙 모임을 운영할 때, 그 모임의 일원이었던 권일신과 평소 가깝게 지내던 윤유일은 천주교에 입교했다. 1785년 3월, 10여 명이 모임을 가지던 중 적발되어 체포되었는데,[4] 중인 신분인 김범우만 투옥되었고 윤유일을 비롯한 나머지 양반 출신들은 모두 훈방되었다.[4]

석방된 이윤하 등이 형조에서 압수한 성상과 물건들을 돌려달라고 항의하며 물의를 일으키자, 유생들의 상소가 빗발쳤다. 이에 정조김범우를 유배 보내며 사건을 마무리 짓고,[4] 천주교를 사교(邪敎)로 규정하는 금령을 내렸다.[5] 사건 직후 이승훈을 비롯한 양반 출신들이 배교하자 '명례방 공동체'는 와해되었다.[6]

2. 2. 밀사 파견과 북경 교회와의 교류 (1789-1794)

1789년 윤유일은 조선 천주교회의 가성직 제도가 교회법에 위반될 수 있다는 의문을 해소하기 위해 밀사(密使)가 되어 동지사(冬至使)를 따라 북경에 가서 구베아 주교에게 서신을 전달했다. 그리고 M.로 신부에게 세례와 성체성사 및 견진성사를 받았다. 1790년 3월에 귀국하여 조선 천주교회에 회답을 전하고 가성직 제도를 해체했다.[12]

1790년 9월, 윤유일은 성직자 파견을 요청하기 위해 다시 북경에 밀사로 파견되어 약속을 받았다. 그러나 이때 구베아 주교는 조선 천주교도들에게 조상 제사를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다.[13][14][15]

1792년, 윤유일은 세 번째로 밀사 임무를 맡아 북경에 가서 선교사 파견을 재차 요청했고, 중국 교회로부터 약속을 받아냈다.[19] 1794년 12월, 선교사로 임명된 중국인 주문모 신부가 조선으로 밀입국할 때 윤유일은 지황(池潢)과 함께 안내를 맡았고, 이듬해 초 주문모 신부를 서울로 잠입시키는 데 성공했다.

2. 2. 1. 조선 천주교회의 가성직 제도 논란

1786년에 이승훈은 은밀히 회심한 후[7] 다시 복교한 이들과 자치적인 조선 천주교회를 세웠다. 북경 교회 체제를 인용해 자신이 주교가 되고 권일신, 정약전, 최창현, 유항검, 이존창 등 10명에게 신부직을 수행하게 해 교회를 운영해 나갔다.[8][9][10] 교리 연구와 학습을 통하여 신앙생활을 하던 중, 평신도가 성사를 집전해서는 안 된다는 교리서의 내용을 접하게 되자[11] 사도적 계승을 받은 성직자 없이 자치 교회를 운영하는 것이 교회법에 위반될 수도 있다는 의문이 생겼다. 당시 조선 천주교회는 북경 교구가 담당하였으므로 의문점을 해소하기 위해 북경에 있는 주교에게 유권해석을 구해야 했다. 1789년 윤유일은 밀사(密使)가 되어 동지사(冬至使)를 따라 북경에 가서 구베아 주교에게 위법성을 문의하는 서신을 전했다.[12] 이 때 윤유일은 북경에서 M.로 신부에게 세례와 성체성사 및 견진성사를 받은 후 회신을 가지고 1790년 3월에 귀국하였다.

2. 2. 2. 조상 제사 문제와 신해박해 (1791)

1790년 9월, 북경교구 구베아 주교는 1715년 교황 클레멘스 11세의 선언을 근거로 조선 천주교도들에게 조상 제사가 우상숭배라며 제사 금지령을 내렸다.[14][15]

1791년 귀국한 윤유일은 신자들에게 조상 제사가 금지되었다는 것을 알렸고, 이는 신자들에게 큰 동요를 일으켰다. 이승훈조차 교회를 떠날 정도로, 양반 계층은 마테오 리치의 보유론(補儒論)에 따라 천주교를 유학의 보완재로 여겼으나, 유교적 가치와 천주교 교리가 충돌하자 고민에 빠졌다.[17][18]

윤유일은 이승훈과 달리 교회에 남아 권일신과 함께 조직을 추슬렀다. 1791년 신해박해가 발생하자 중국 교회는 선교사 파견을 보류했다. 1792년 윤유일은 다시 북경에 가서 선교사 파견을 요청해 약속을 받아냈다.[19]

2. 3. 주문모 신부 영입과 을묘박해 (1795)

주문모 신부는 서울에 들어온 후 역관 최인길의 집에서 비밀리에 전교활동을 하였다. 그러던 중 배교자 한영익의 밀고로[20] 6월 27일 조정에서 포도대장 조규진에게 체포령을 내렸다.[21][22] 포졸들이 최인길의 집을 덮쳤으나, 최인길이 자신이 주문모 신부인 척하며 대신 체포되어 주문모 신부의 탈출을 도왔다.[23] 탈출한 주문모 신부는 여신도 강완숙의 집으로 피신했다. 그러나 은신처를 제공하고 체포를 방해한 최인길과 주문모 신부의 밀입국을 도왔던 윤유일과 지황은 체포되었다. 윤유일은 주문모 신부의 거처를 묻는 추궁에 입을 열지 않았고, 모진 고문과 매질 끝에 사망하였다.[23][24] 시신은 강물에 던져졌다.[25][26]

3.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조선 최대갑부 역관 김영사 2006
[2] 웹사이트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 복자 124위 약전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명례방공동체 [明禮坊共同體] https://terms.naver.[...] 한국학중앙연구원
[4] 웹사이트 추조적발사건 [秋曹摘發事件]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5] 서적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03-31
[6] 웹사이트 이승훈(李承薰)
[7] 웹사이트 명례방공동체 [明禮坊共同體] 두산백과
[8] 웹사이트 권일신 http://100.naver.com[...] 2016-02-08
[9] 서적 이승훈 (1756년)#이덕일 (2009) 2009
[10] 서적 이덕일의 여인열전 김영사 2003
[11] 웹사이트 권일신 [權日身] 두산백과
[12] 웹사이트 윤유일 [尹有一]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13] 서적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 김영사 2004
[14] 서적 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2014-01
[15] 웹사이트 그림으로 보는 순교자 열전-(1) 윤지충 http://www.cpbc.co.k[...] 2009-03-08
[16] 웹사이트 윤유일 [Yoon, Yu-il, 尹有一] https://terms.naver.[...] 한국학중앙연구원
[17] 웹사이트 이승훈 (李承薰) http://encykorea.aks[...]
[18] 웹사이트 Ricci, Matteo https://terms.naver.[...] 백민관 2007-11-25
[19] 웹사이트 윤유일 [Yoon, Yu-il, 尹有一] https://terms.naver.[...] 한국학중앙연구원
[20] 웹사이트 최인길 [崔仁吉] 한국학중앙연구원
[21] 서적 이덕일의 여인열전 김영사 2003
[22] 서적 이덕일의 여인열전 김영사 2003
[23] 웹사이트 최인길 [崔仁吉] 두산백과
[24] 웹사이트 을묘박해 https://maria.cathol[...]
[25] 웹사이트 최인길 [崔仁吉] 인명사전편찬위원회 2002-01-10
[26] 웹사이트 윤유일 [Yoon, Yu-il, 尹有一]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