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도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도군은 중국 삼국 시대에 설치된 군으로, 형주 남군 지강현을 분할하여 임강군으로 시작되었다. 유비가 의도군으로 개칭하고 장비를 태수로 임명했으나, 손권에게 빼앗기기도 했다. 이후 오나라와 촉나라의 세력 다툼 속에서 건평군으로 분할되기도 했으며, 진나라 시대에는 이릉, 이도, 흔산 3개 현을 관할했다. 동진, 유송, 남제 시대를 거치며 이도, 흔산, 의창, 이릉 4개 현을 관할하였고, 수나라 때 폐지되어 협주에 편입되었다.
208년(건안 13년), 조조가 형주를 평정하자 남군의 지강현 이서를 분할하여 '''임강군'''을 설치했다. 210년(건안 15년), 유비가 임강군을 의도군으로 개칭하고[1] 장비를 의도태수에 임명했다.[2] 219년(건안 24년), 손권의 부하 육손이 의도군을 빼앗았다.[3] 221년, 관우의 주부였던 요화는 오나라를 탈출하여 유비와 만나 의도태수에 임명되었다. 260년(영안 3년), 오가 의도군을 분할하여 건평군을 설치하고[4] 왕기나 우충을 의도태수에 임명했다.
2. 연혁
진나라 때 의도군은 이릉, 이도, 흔산의 3개 현을 관할했다.[5] 남조 송과 남조 제나라 때 의도군은 이도, 흔산, 의창, 이릉의 4개 현을 관할했다.[1] [6]
남조 양나라 때 의주가 설치되었고, 의도군은 의주에 속했다. 서위나라 때 탁주가 설치되었고, 의도군은 탁주로 전속되었다. 북주나라 때 협주가 설치되었고, 의도군은 협주로 전속되었다.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의도군은 폐지되어 협주에 편입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협주는 이릉군으로 개칭되었다.[7]
2. 1. 후한
208년(건안 13년), 조조가 형주를 확보한 후 행정 구역을 개편하면서 남군 지강현(枝江縣)의 서쪽을 갈라 임강군(臨江郡)을 설치하였다. 210년 유비가 이곳을 점령하고 의도군(宜都郡)으로 개칭하였다.[8][9] 유비는 장비를 의도태수에 임명하였다.[2] 216년 유비가 익주에 고릉군(固陵郡)을 설치하면서 무현이 의도군에서 분리되었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이도현 | 夷道縣 | 이창시 이두 시 | 서북쪽에 의양산(宜陽山), 동남쪽에 양장산(羊腸山)이 있었다.[10] |
한산현 | 佷山縣 | 이창시 창양 현 | 전한 때는 무릉군에 속하였다. |
이릉현 | 夷陵縣 | 이창시 | 오는 서릉(西陵)이라 불렀다. 강남에 형문산(荊門山), 강북에 호아산(虎牙山)이 있었다.[10] |
무현 | 巫縣 | 충칭시 우산 현 | 216년 고릉군에 편입되었다. 곽박(郭璞)은 본 현에 무산(巫山)이 있다고 기록했다. |
자귀현 | 秭歸縣 | 이창시 쯔구이 현 |
2. 2. 오, 서진
219년 손권이 관우를 공격하여 의도군 등 형주 지역을 차지하고 고릉군 무현까지 진출하였다. 촉한의 고릉군에 대항하여 오나라가 무현과 자귀현에 오의 고릉군을 신설하고[11] 반장을 태수로 임명하였다.[12] 이릉 전투 이후 의도군은 다시 오의 영역으로 흡수되었다. 221년, 관우의 주부였던 요화는 오나라를 탈출하여 유비와 만나 의도태수에 임명되었다. 오나라는 왕기나 우충을 의도태수에 임명했다. 260년(영안 3년), 손휴가 자귀 등 의도군의 서부를 분리하여 건평군(建平郡)을 설치하였다.[13] 서진 시대에는 3현 8,700호를 거느렸다.[14]2. 3. 동진, 유송, 남제
동진 시대에는 4현 1,843호 34,220명을 거느렸다. 형주치소인 남군 강릉까지 수로로 350리였으나 육로로는 연결되지 않았다. 건강(난징)까지는 수로로 3,730리 거리였다.[15]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이도 | 夷道縣 | 이창 시 이두 시 | 령(令) | |
항산 | 佷山縣 | 이창 시 창양 현 | 남상(男相) | |
의창 | 宜昌縣 | 이창 시 쯔구이 현 동 백묘자(白廟子) 북서 장강 변 | 령(令) | 317년(동진 원제 건무 원년), 이도현과 항산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
이릉 | 夷陵縣 | 이창 시 | 령(令) |
조조가 208년(건안 13년) 형주를 확보한 후 행정 구역을 개편하면서 남군 지강현(枝江縣)의 서쪽을 갈라 임강군(臨江郡)을 세웠다. 210년 유비가 이곳을 취하여 의도군으로 이름을 바꿨다. 지금의 후베이성 이창시 서부, 언스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일대이다. 216년 유비가 익주에 고릉군(固陵郡)을 설치하면서 무현이 떨어져 나갔다.[8][9]
유송 시대와 남제 시대에는 이도, 흔산, 의창, 이릉의 4개 현을 관할했다.[1] [6]
3. 행정 구역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이도현 夷道縣 이창시 이두 시 서북쪽에 의양산(宜陽山), 동남쪽에 양장산(羊腸山)이 있다.[10] 한산현 佷山縣 이창시 창양 현 전한 때는 무릉군에 속하였다. 이릉현 夷陵縣 이창시 오는 서릉(西陵)이라 불렀다. 강남에 형문산(荊門山), 강북에 호아산(虎牙山)이 있다.[10] 무현 巫縣 충칭시 우산 현 216년 고릉군에 편입되었다. 곽박(郭璞)은 본 현에 무산(巫山)이 있다고 기록했다. 자귀현 秭歸縣 이창시 쯔구이 현
260년(영안 3년) 손휴가 자귀 등 의도군의 서부를 떼어내 건평군(建平郡)을 만들었다.[13] 서진 때는 3현 8,700호를 거느렸다.[14]현명 한자 비고 이릉현 夷陵縣 280년(서진 무제 태강 원년), 서릉현(西陵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15] 이도현 夷道縣 항산현 佷山縣 280년, 진나라가 흥산현(興山縣)으로 고쳐 부르다가 원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15]
동진, 유송, 남제 시기에는 4현 1,843호 34,220명을 거느렸다. 형주치소인 남군 강릉까지 수로로 350리였으나 육로로 강릉과 연결되진 않았다. 건강까지는 수로로 3,730리 거리였다.[15]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이도현 夷道縣 이창 시 이두 시 령(令) 항산현 佷山縣 이창 시 창양 현 남상(男相) 의창현 宜昌縣 이창 시 쯔구이 현 동 백묘자(白廟子) 북서 장강 변 령(令) 317년 (동진 원제 건무 원년), 이도현과 항산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이릉현 夷陵縣 이창 시 령(令)
3. 1. 후한
조조가 208년(건안 13년) 형주를 확보한 후 행정 구역을 개편하면서 남군 지강현(枝江縣)의 서쪽을 갈라 임강군(臨江郡)을 세웠다. 210년 유비가 이곳을 취하여 의도군으로 이름을 바꿨다. 지금의 후베이성 이창시 서부, 언스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일대이다. 216년 유비가 익주에 고릉군(固陵郡)을 설치하면서 무현이 떨어져 나갔다.[8][9]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이도현 | 夷道縣 | 이창시 이두 시 | 서북쪽에 의양산(宜陽山), 동남쪽에 양장산(羊腸山)이 있다.[10] |
한산현 | 佷山縣 | 이창시 창양 현 | 전한 때는 무릉군에 속하였다. |
이릉현 | 夷陵縣 | 이창시 | 오는 서릉(西陵)이라 불렀다. 강남에 형문산(荊門山), 강북에 호아산(虎牙山)이 있다.[10] |
무현 | 巫縣 | 충칭시 우산 현 | 216년 고릉군에 편입되었다. 곽박(郭璞)은 본 현에 무산(巫山)이 있다고 기록했다. |
자귀현 | 秭歸縣 | 이창시 쯔구이 현 |
3. 2. 오, 서진
260년(영안 3년) 손휴가 자귀 등 의도군의 서부를 떼어내 건평군(建平郡)을 만들었다.[13] 서진 때는 3현 8,700호를 거느렸다.[14]현명 | 한자 | 비고 |
---|---|---|
이릉현 | 夷陵縣 | 280년(서진 무제 태강 원년), 서릉현(西陵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15] |
이도현 | 夷道縣 | |
항산현 | 佷山縣 | 280년, 진나라가 흥산현(興山縣)으로 고쳐 부르다가 원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15] |
3. 3. 동진, 유송, 남제
동진, 유송, 남제 시기에는 4현 1,843호 34,220명을 거느렸다. 형주치소인 남군 강릉까지 수로로 350리였으나 육로로 강릉과 연결되진 않았다. 건강까지는 수로로 3,730리 거리였다.[15]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이도현 | 夷道縣 | 이창 시 이두 시 | 령(令) | |
항산현 | 佷山縣 | 이창 시 창양 현 | 남상(男相) | |
의창현 | 宜昌縣 | 이창 시 쯔구이 현 동 백묘자(白廟子) 북서 장강 변 | 령(令) | 317년 (동진 원제 건무 원년), 이도현과 항산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
이릉현 | 夷陵縣 | 이창 시 | 령(令) |
4. 이후
남조 양나라 때 의주(宜州)가 설치되었고, 의도군은 의주에 속했다. 서위 때 탁주(拓州)가 설치되었고, 의도군은 탁주로 전속되었다. 북주 때 협주(峽州)가 설치되었고, 의도군은 협주로 전속되었다.[7]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의도군은 폐지되어 협주에 편입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협주는 이릉군으로 개칭되었다.[7]
참조
[1]
서적
宋書
[2]
서적
三国志
[3]
서적
三国志
[4]
서적
三国志
[5]
서적
晋書
[6]
서적
南斉書
[7]
서적
隋書
[8]
서적
화양국지
[9]
웹사이트
《후한서》112권 제 22 군국 4 형주 남군
https://zh.wikisourc[...]
[10]
서적
형주기
[11]
서적
위씨춘추
[12]
서적
삼국지
[13]
웹사이트
《삼국지》48권 오서 제3 손휴
https://zh.wikisourc[...]
[14]
웹사이트
《진서》15권 지 제5 지리지 下 형주 의도군
https://zh.wikisourc[...]
[15]
웹사이트
《송서》27권 지 제 27 주군3 형주 의도태수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