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성자는 대한민국 화가로, 전라남도 광양 출신이다. 일본여자대학에서 수학 후 프랑스로 건너가 활동하며 동양적 정서를 담은 다양한 조형 작품을 제작했다. 그랑 쇼미에르 미술학교에서 수학했으며, 프랑스 예술문학훈장을 수여받았다. 파리 시립 미술관장은 그를 동양적인 유산을 간직한 채 서양 미술에 합류하는 본보기로 평했으며, 미쉘 뷔토르는 프랑스 자연에 정통한 한국의 대표적인 여인으로, 서정주는 한국의 전통 정신을 간직한 화가로 평가했다. 기하학적 패턴과 은은한 색채를 사용하는 추상 화풍을 구사했으며, 작품에 한국의 상징과 서체를 통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주여자고등학교 동문 - 박춘란
박춘란은 교육부 주요 보직, 충청북도 및 서울특별시교육청 부교육감, 교육부 차관,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원장을 역임하고 현재 서울대학교 이사로 재임 중인 대한민국의 교육 행정가이다. - 진주여자고등학교 동문 - 이우정 (작가)
이우정은 에그이즈커밍 설립자이자 《1박 2일》, 《꽃보다 할배》, 《삼시세끼》, 《신서유기》 등의 예능과 《응답하라》 시리즈, 《슬기로운 의사생활》 등의 드라마를 집필하며 방송계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대한민국의 방송 작가로, KBS 연예대상 작가상, 대한민국 콘텐츠 대상 대통령 표창 등을 수상했다. - 진주시 출신 - 문세광
문세광은 1974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박정희 대통령 암살 미수와 육영수 여사 살해를 저지른 범인으로, 조총련의 영향을 받아 좌익 사상에 심취하여 범행을 계획했으며 사형 집행되었다. - 진주시 출신 - 서주석
서주석은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외교안보 전문가로, 한국국방연구원에서 근무하며 민주당계 정권에서 외교안보 정책 수립에 관여했고,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각각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 수석비서관, 국방부 차관, 국가안보실 제1차장을 역임하며 남북 합의 도출에 기여했으나, 5.18 민주화운동 왜곡 활동에 참여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대한민국의 화가 - 윤석남
윤석남은 자연과 여성을 주제로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실험하며 독창적인 화풍을 선보이는 한국의 여성주의 미술가로, 1985년 '시월모임' 결성을 통해 한국 여성주의 미술 운동의 시작을 알렸고 국제적인 무대에서도 활동하며 여성의 삶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공감과 연대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대한민국의 화가 - 김종필
5·16 군사정변 주역이자 초대 중앙정보부장, 두 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김종필은 한일 국교 정상화 기여와 '김-오히라 메모' 논란, 9선 국회의원, DJP 연합을 통한 총리 재임 등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주의 시대의 어두운 면과 지역주의 정치의 상징으로도 평가받는 정치인이다.
이성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화가, 판화가, 도예가 |
모교 | 진주여자고등학교 짓센여자대학 아카데미 드 라 그랑드 쇼미에르 |
웹사이트 | Seund Ja Rhee 공식 웹사이트 |
로마자 표기 | Yi Seong-ja |
2. 생애
전라남도 광양시에서 태어나 일제강점기 진주 일신여자고등보통학교(현 진주여고)를 졸업했다.[13] 1951년 프랑스로 건너가 본격적인 창작활동을 시작했다. 유화, 목판화, 70년대 이후의 도자기 등 모든 조형작품에 동양적 향취와 이미지를 담아 꾸준히 제작하여 한국적 사상과 시정을 프랑스 미술계에 합류시키는 대표적인 본보기가 되었고, 이후 프랑스는 물론 세계적으로 작가로서의 지위를 굳혔다. 이성자는 어린 시절의 숲을 되찾기 위하여 나무 판을 조각하는 판화가이자, 구체적인 감성을 가지고 작업에 생기를 불어넣기 위하여 색을 쓰는 화가로서 두 예술가의 면모를 동시에 보여주었다. 바르 주 투레트에서 사망했다.
전라남도 광양시에서 태어나 일제강점기 진주 일신여자고등보통학교(현 진주여고)를 졸업했다.[13] 1951년 프랑스로 건너가 유화, 목판화, 70년대 이후의 도자기 등 동양적 향취와 이미지를 담은 작품을 꾸준히 제작하여 한국적 사상과 시정을 프랑스 미술계에 알렸다. 바르 주 투레트에는 이성자미술관이 있다.
진주시 충무공동 혁신도시에 이성자 미술관이 개관되었다.
경상남도 진주에서 태어난 이성자는 진주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938년 일본 도쿄의 일본여자대학에 진학하였다. 1938년 귀국하여 결혼하였고, 1951년 한국 전쟁으로 세 아들과 생이별하였다. 같은 해 파리로 건너가 1953년 그랑 쇼미에르 미술학교에 입학하여 이브 브레이에르와 앙리 괴츠에게 사사하였다.[5] 스탠리 윌리엄 헤이터의 "아틀리에 17"을 방문하면서 목판화와 조각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1958년 프랑스 리비에라 투레트쉬르루에 정착하여 옛 돌 목가의 오두막을 작업실로 사용하였다. 1996년에는 한국식 건축 양식의 더 큰 작업실 "은하수"를 건립하였다.[6][5]
1991년 프랑스 예술문학훈장(Ordre des Arts et des Lettres) 슈발리에 훈장을 받았다. 2009년 한국에는 그의 예술을 보존하고 알리기 위한 이성자미술재단이 설립되었다.[7]
3. 작품 세계 및 평가
파리 시립 미술관장 J. 라세뉴는 이성자를 “동양적인 유산을 간직한 채 서양미술의 흐름 속에 용기 있게 합류하는 본보기”라고 평하며 ‘동녘의 대사 (ambassadrice de l'aube)’라는 애칭으로 불렀다. 프랑스 문학가 미쉘 뷔또르는 “프랑스의 문화와 인정(人情) 세태(世態)뿐만 아니라 프랑스의 자연에 대해서도 가장 정통하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인 여인이다.”라고 평했으며, 서정주는 “어느 나라에 가서 얼마를 살건 간에 자기 조국 한국의 전통의 정신적인 장점과 그 끈기를 간직하고 있는 신화(神話)적인 화가다”라고 평했다.
이성자의 화풍은 기하학적 패턴과 은은한 색채를 사용하는 장식적인 추상(abstraction)이며, 작품에 한국의 상징과 서체를 통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50년대부터 형식적, 개념적으로 변화하여 페미니즘적 함축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주로 여성에게 독특한 경험에 관한 작품"으로 이어졌다.[8]
3. 1. 주요 전시
이성자의 작품은 파리 국립미술가협회(Salon de la Société Nationale des Beaux-Arts)(1956), 류블랴나 국제 비엔날레(1963, 1965, 1967), 제네바 미술관(1965), 부에노스아이레스 국제 판화 비엔날레(1968, 1970, 1972) 등 여러 박물관과 갤러리에서 열린 다양한 단체전에 출품되었다.[2] 유럽과 아시아의 미술 기관에서 이성자의 개인전이 열렸다.[2]
4. 가족
전라남도 광양시에서 태어나 일제강점기 진주 일신여자고등보통학교(현 진주여고)를 졸업했다.[13]
- 동생: 이한필
- 아들: 신용석
5. 기타
전라남도 광양시에서 태어나 일제강점기 진주 일신여자고등보통학교(현 진주여고)를 졸업했다.[13] 1951년 프랑스로 건너가 본격적인 창작활동을 시작하여 유화, 목판화, 70년대 이후의 도자기 등 모든 조형작품에 동양적 향취와 이미지를 담은 방대한 규모로 꾸준히 제작하여 한국적 사상과 시정을 프랑스 미술계의 흐름 속에 합류시키는 대표적인 본보기가 되었고, 이후 프랑스는 물론 세계전역에 걸쳐 작가로서의 지위를 굳혀온 원로이다. 이성자에게는 어린 시절의 숲을 되찾기 위하여 나무 판을 조각하는 판화가와 구체적인 감성을 가지고 작업에 생기를 불어넣기 위하여 색을 쓰는 화가, 두 명의 예술가가 항상 공존하였다. 바르 주 투레트에서 사망했다.
진주시 충무공동 혁신도시에 이성자 미술관이 개관되었다. 파리 시립 미술관장이었던 J.라세뉴는 이성자를 “이성자씨는 자신의 동양적인 유산에서 나온 오묘한 성격을 그대로 간직한 채 서양미술의 흐름 속에 용기 있게 합류하는 본보기”라고 하여 파리가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동양의 예술가로 평했으며, ‘동녘의 대사 (ambassadrice de l'aube)’라는 애칭으로 불렀다. 세계적인 프랑스 문학가인 미쉘·뷔또르는 이성자를 “프랑스의 문화와 인정(人情) 세태(世態)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프랑스의 깊숙한 시골의 야생의 들꽃들을 비롯한 프랑스의 자연에 대해서도 가장 정통하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인 여인이다.”라고 평했으며, 서정주는 “이성자는 어느 나라에 가서 얼마를 살건 간에 자기 조국 한국의 전통의 정신적인 장점과 그 끈기와 또 처녀적인 순수성을 언제나 잘 아울러 간직하고 있는 신화(神話)적인 화가다”라고 평했다.
참조
[1]
논문
Seund Ja Rhee ou l'intemporel
http://www.coree-cul[...]
1996-10-01
[2]
서적
Dictionary of Artists
https://uiuclib.on.w[...]
Gründ
[3]
웹사이트
Oeuvres
http://www.seundjarh[...]
[4]
웹사이트
Tourrettes Sur Loup
http://www.tourrette[...]
[5]
웹사이트
Seund Ja Rhee - Seund Ja Rhee Biography, Artwork, Galleries Online
http://www.blouinart[...]
2018-03-03
[6]
웹사이트
Rhee Seund-ja's Atelier in Tourrettes
http://koreana.kf.or[...]
[7]
웹사이트
Seundja Rhee
http://seundjarhee.c[...]
2018-03-03
[8]
논문
Seundja Rhee's Early Works: ’Woman-Earth’ in the 1960s, Longing and Painting
[9]
웹사이트
3 June: Remembering Seund Ja Rhee on Birthday
https://observervoic[...]
2023-06-02
[10]
웹사이트
Rhee Seund Ja’s 98th birthday
https://doodles.goog[...]
2023-06-02
[11]
웹인용
이성자 공식 홈페이지
http://www.seundjarh[...]
2016-07-14
[12]
웹인용
네이버 인물검색 - 김동유
http://people.search[...]
네이버
2013-12-05
[13]
뉴스
진주 혁신도시서 '이성자 미술관' 개관
http://news.naver.co[...]
2015-07-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