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현 (씨름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태현은 대한민국의 씨름 선수이자, 종합격투기 선수이다. 1976년 김천에서 태어나 구미초등학교, 의성중학교, 의성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용인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씨름 선수로 프로 데뷔하여 천하장사 3회, 백두장사 18회 우승을 기록하며 '모래판의 황태자'로 불렸다. 2006년 종합격투기 선수로 전향하여 PRIDE, HERO'S, DREAM 등에서 활동했으며, 이후 씨름으로 복귀하여 2011년 은퇴 후 용인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성고등학교 동문 - 김동호 (배우)
김동호는 2011년 드라마 《반짝반짝 빛나는》으로 데뷔하여 다수의 드라마, 뮤지컬, 영화에 출연하고 예능 프로그램에서도 활동하며, 2023년 가수 윤조와 결혼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구미초등학교 (경북) 동문 - 김성조
김성조는 1958년생으로 영남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동양전자화학 대표이사와 경상북도의회 의원을 거쳐 제16대 국회의원으로 3선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교육자로, 한나라당에서 주요 직책을 맡았으며 국립 한국체육대학교 총장을 지냈고 현재 경상북도문화관광공사 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구미초등학교 (경북) 동문 - 박정희
박정희는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으로서 5·16 군사정변을 통해 제2공화국을 무너뜨리고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을 거쳐 제5~9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유신 체제를 통해 장기 집권하며 민주주의를 억압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의성중학교 동문 - 김희국
김희국은 경북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건설교통부 및 국토해양부에서 다양한 직책을 수행하고 제19대와 제21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의성중학교 동문 - 임헌영 (문학평론가)
임헌영은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로, 경향신문 기자와 《월간 다리》 주간을 지냈으며, 1966년 《현대문학》을 통해 평론가로 등단, 민족문제연구소 소장과 한국문학평론가협회 회장, 세계한인작가연합 공동회장을 역임했다.
이태현 (씨름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별명 | 한국 씨름 최강의 남자, 씨름의 프린스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 | 1975년 1월 17일 |
출생지 | 경상북도 김천시 |
소속 팀 | Team Aegis → 프리랜스 → 현재 용인대학교 격기지도학과 교수 |
신장 | 196cm |
체중 | 138kg |
체급 | 헤비급 |
스타일 | 씨름 |
종합 격투 전적 | |
KO승 | 1 |
KO패 | 2 |
2. 개인 정보
이태현은 1976년 1월 17일 경상북도 김천시 황금동에서 태어났다. 아버지의 권유로 씨름에 입문했으며, 구미초등학교, 의성중학교, 의성고등학교를 졸업했다.
3. 학력
4. 경력
용인대학교 대학원 체육교육학과를 졸업한 후, 1993년 씨름 선수로 프로에 데뷔했다. 천하장사 3회, 백두장사 18회를 기록했다.
2006년 7월 20일 씨름 은퇴를 선언했으나, 8월 8일 PRIDE 참전을 발표했다. 2006년 9월 10일 PRIDE 무차별급 그랑프리 2006 결승전에서 히카르두 모라에스에게 TKO패했다. 2007년 10월 28일 HERO'S KOREA 2007에서 야마모토 요시히사를 상대로 TKO승을 거두었으며, 2008년 6월 15일 DREAM.4에서 알리스타 오브레임에게 TKO패했다.
2008년 종합격투기에서 은퇴하고 씨름에 복귀했으며, 2011년 씨름에서도 은퇴했다. 은퇴 후에는 용인대학교 격기지도학과 교수 겸 씨름부 고문으로 취임했다.[1]
4. 1. 씨름 경력
李太鉉일본어은 용인대학교 대학원 체육교육학과를 졸업한 후, 1993년 씨름으로 프로 데뷔했다. 통산 40회 우승(역대 2위), 금강장사 20회(역대 1위), 천하장사 3회(1997년, 2000년, 2002년, 역대 3위)를 기록했다.일본 스모의 요코즈나에 해당하는 '천하장사(天下壯士, 무차별급)'에 3번, '백두장사(白頭壯士, 헤비급)'에 18번(역대 1위 타이 기록) 올랐다.[1] 역대 최다경기, 최다승, 최다 타이틀, 최다 상금금액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소속팀은 다음과 같다.
기간 | 소속팀 |
---|---|
1997년~2000년 | 청구건설 씨름단 |
2000년~2005년 | 현대삼호중공업 씨름단 |
2009년~2011년 | 구미시청 씨름단 |
2006년 7월 20일 씨름 은퇴를 발표했지만, 2008년 종합격투기를 은퇴하고 씨름에 복귀했다. 2011년 씨름에서 은퇴했다.[1]
4. 2. 종합격투기 경력
2006년 8월 8일 한국에서 PRIDE 참전 발표 기자 회견이 열려 한국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2006년 9월 10일, PRIDE 데뷔전인 PRIDE 무차별급 그랑프리 2006 결승전에서 히카르두 모라에스와 대결하여 TKO패했다.
2007년 10월 28일, HERO'S 데뷔전인 HERO'S KOREA 2007에서 야마모토 요시히사와 대결하여 미들킥 이후 파운딩으로 TKO승을 거두었다.
2008년 6월 15일, DREAM 첫 참전인 DREAM.4에서 알리스타 오브레임과 대결하여 36초 만에 스탠딩 펀치 연타로 TKO패했다.
2008년 종합격투기를 은퇴하고 씨름에 복귀했다.
종합격투기 경험에 대해 나중에 "종합격투기를 너무 쉽게 생각했다. 넘어뜨린 후의 공격 방법을 몰랐다. 복잡한 규칙에 적응하는 것도 어려웠다."라고 말했다.[2]
종합격투기 전적 | ||||
---|---|---|---|---|
승패 | 상대 | 경기 결과 | 대회명 | 개최 연월일 |
× | 알리스타 오브레임 | 1R 0:36 TKO (스탠딩 펀치 연타) | DREAM.4 | 2008년 6월 15일 |
○ | 야마모토 요시히사 | 1R 1:03 TKO (파운드) | HERO'S KOREA 2007 | 2007년 10월 28일 |
× | 히카르두 모라에스 | 1R 8:08 TKO (타월 투척) | PRIDE 무차별급 그랑프리 2006 결승전 | 2006년 9월 10일 |
5. 방송 출연
6. 종합격투기 전적
경기일자 | 상대 | 결과 | 내용 | 대회 |
---|---|---|---|---|
2008년 6월 15일 | Alistair C. Overeem|알리스타이르 오버레임nl | 패 | 1R 36초 KO | DREAM.4 |
2007년 10월 28일 | 山本宜久|야마모토 요시히사일본어 | 승 | 1R 1분 03초 KO | HERO'S KOREA 2007 |
2006년 9월 10일 | Ricardo Morais|히카르두 모라이스pt | 패 | 1R 8분 08초 TKO | PRIDE 무차별급 그랑프리 2006 결승전 |
총합 | 승 | KO승 | 서브미션승 | 판정승 | 기타승 | 패 | KO패 | 서브미션패 | 판정패 | 기타패 | 무승부 | 무효 |
---|---|---|---|---|---|---|---|---|---|---|---|---|
3 | 1 | 1 | 0 | 0 | 0 | 2 | 2 | 0 | 0 | 0 | 0 | 0 |
참조
[1]
뉴스
"[김용일의 코리언 레전드]<4> ‘씨름의 전설’ 이만기 “최홍만 K-1 진출? 처음엔 씁쓸”"
http://www.seoul.co.[...]
ソウル新聞
2011-05-19
[2]
뉴스
이태현 “격투기 한다면 도시락 싸서 말릴 것”
https://web.archive.[...]
中央日報
2008-1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