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차이나타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 차이나타운은 1880년대 임오군란 이후 청나라 군대가 주둔하면서 형성된,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차이나타운이다. 1883년 제물포 조계지 형성 이후 화교들이 정착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으며, 1920년대 경제적 전성기를 누렸으나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차별 정책으로 인해 쇠퇴하기도 했다.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관광특구로 지정되어 재건되었으며, 현재는 중국 요리와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관광 명소로 자리 잡았다. 주요 시설로는 화교중산학교, 의선당, 한중문화관, 짜장면 박물관 등이 있으며, 한국식 중화 요리인 짜장면과 탕수육, 공갈빵, 월병 등 다양한 먹거리를 즐길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차이나타운 - 쩌런
호치민시 5군과 6군에 걸쳐 있는 쩌런은 18세기 후반 화교 공동체가 형성한 지역으로, 빈떠이 시장을 비롯한 중국 요리와 종교 시설로 유명한 관광 명소이다. - 차이나타운 - 차이나타운 (맨해튼)
차이나타운(맨해튼)은 뉴욕시 맨해튼에 위치하며 아시아 외 지역에서 가장 큰 중국계 인구 거주지로, 19세기 후반 중국 이민자 정착 이후 광둥어와 푸저우어 사용 커뮤니티를 포함하여 독특한 문화와 경제를 이루지만 최근 젠트리피케이션과 인구 변화를 겪고 있다. - 인천 중구 - 인천항
인천항은 조일수호조약 이후 개항되어 일본의 경제적 침탈과 함께 성장했으며, 갑문 설치와 항만 확장을 거쳐 현재 다양한 화물을 처리하는 항만으로 기능하고 있지만, 수심과 갑문 통과 시간으로 인해 경쟁력 확보를 위해 인천신항이 개발되었다. - 인천 중구 - 중구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광역시)는 백제 시대부터 어촌을 이루고 근대 문물이 유입된 곳으로, 인천항 개항 이후 한국 근대사의 중요한 무대가 되었으며, 현재는 인천국제공항과 다양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2026년 행정 구역 개편을 통해 영종구와 제물포구로 분리될 예정이다.
인천 차이나타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인천광역시 중구 북성동 및 선린동 일대 |
설립일 | 1884년경 |
일반 정보 | |
종류 | 차이나타운 |
한국어 표기 | 인천 차이나타운 |
2. 역사
조선 말 임오군란을 계기로 청나라 군대와 함께 상인들이 조선에 들어오면서 화교의 역사가 시작되었다.[50][51] 1883년 제물포가 개항되고 조계지가 형성되면서, 1884년에는 청국 조계지가 설치되어 많은 중국인이 인천에 자리를 잡았다.[54] 초기에는 광동, 홍콩 출신 상인들이 많았으나 점차 산둥성 출신 상인들이 늘어났고, 이들은 짜장면과 같은 한국식 중화 요리를 탄생시키는 배경이 되었다.[59]
1883년 개항 이후, 인천 차이나타운 내에는 중국의 종교시설인 의선당이 만들어졌다. 이 곳은 화교들의 흥망성쇠를 함께 했으며, 1970년대에 존폐 위기에 놓였다가 2005년 화교들의 모금과 중국 정부의 지원으로 복원되어 인천광역시 화교협회 지정 문화유산 제1호로 지정되었다.[56]
청일전쟁 발발 전까지 상하이와 인천을 오가는 해운 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1884년 조선의 무역 가운데 중국 무역은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활발했다.[58]
1901년에는 중산소학교(현 인천화교소·중산중고등학교)가 개교하여 한때 학생 수가 1,500명에 달하는 큰 학교였다. 1992년 한중수교 이후에도 중화민국의 지원을 받으며 운영되고 있다.[61]
1971년 대한민국 정부의 외국인 토지 소유 제한 정책으로 화교 경제는 큰 타격을 입었고,[62] 1973년에는 중국 식당에서 쌀밥 판매를 금지하는 등의 차별 정책으로 많은 화교들이 한국을 떠났다.[62]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말까지 차이나타운은 쇠퇴의 길을 걸었다.[61]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차이나타운은 다시 활기를 찾기 시작했고, 2001년 관광특구 지정으로 관광 명소로 자리 잡았다.[63][64]
2. 1. 개항과 조계지 형성 (1882년 ~ 1910년)
1882년 임오군란 당시 조선에 파견된 청나라 군대와 함께 화상들이 들어오면서 한국 화교 역사가 시작되었다.[50][51] 1883년 제물포가 개항하면서 청나라와 일본 등 열강들이 조계를 설치했고, 같은 해 인천제물포각국조계장정이 체결되어 제물포에 조계지가 형성되었다.[53] 1882년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54] 이후 청나라 상인들의 무역 활동이 활발해졌고, 1884년 3월 7일에는 인천화상조계장정(仁川華商租界章程)이 체결되어 청 조차지가 결정되면서[54] 인천은 화교들의 주요 거점이 되었다.산둥성 출신 화교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짜장면과 같은 한국식 중화 요리가 탄생하는 배경이 되었다.[59]
2. 2. 일제강점기와 화교 경제 (1910년 ~ 1945년)
1910년 한일병합 이후에도 화교들은 상업 활동을 지속하며 경제적 영향력을 유지했다. 1920년대는 화교 경제의 전성기로, 무역, 요식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했다.[32] 1923년 조선총독부의 통계에 따르면 서울과 인천 지역의 화교 수는 약 6천 명 정도였다. 이들이 40년간 중국으로 보낸 액수는 1000만엔에 달했다. 당시 경성 시민 중에서 세금을 가장 많이 내는 사람은 화상 동순태(同順泰) 사장 담걸생(譚傑生)이었다. 1920년대 화상이 경영하는 상점들은 대체로 잡화점, 비단가게, 양장점, 이발소 등이었으며, 후반기에는 요식업이 늘기 시작했다.[32]2. 3.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차별 정책 (1945년 ~ 1990년대)
1971년 대한민국 정부는 외국인이 한 가구에 200평 이하의 주택 한 채와 50평 이하의 점포 한 채만을 보유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외국인 토지 취득 및 관리에 관한 법〉을 시행하였다.[62] 이 때문에 화교들이 운영하는 대규모 음식점과 자영업은 큰 타격을 받았다. 서울의 태화관, 인천의 공화춘과 같은 대형 음식점은 문을 닫았다. 이후 중국음식점은 영세한 규모를 면하기 어려웠다. 1973년 정부는 분식 장려를 명목으로 중국식당에서 쌀밥을 팔지 못하게 하기도 하였다. 이 때문에 중국식당은 밀가루를 밥알처럼 떼어 말린 다음 쪄서 볶음밥을 만들어야 했다. 화교 단체들의 진정으로 3개월 만에 쌀밥 판매가 재개되었지만, 화교들은 큰 심리적 위축을 받게 되었다.[62] 대한민국 정부의 갖가지 규제를 견디지 못한 화교들은 한국을 떠나 미국과 대만 등지로 이주하기 시작하였고 화교 인구 자체가 줄어들기 시작하였다.[62]1970년대 중반에서 1980년대 말까지 차이나타운은 쓸쓸히 퇴락해가는 곳이었다. 인천항의 여객터미널과 어시장 등이 연안부두로 이전하면서 상권을 잃었다.[61]
2. 4. 한중 수교와 새로운 도약 (1990년대 ~ 현재)
1992년 대한민국이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면서 차이나타운은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였다.[63] 1998년에는 외국인 부동산 관련 법규가 완화되고, 외국인에게 호의적인 정책이 시행되면서 화교 인구가 점차 안정화되었다. 2001년 문화체육관광부는 차이나타운을 관광특구로 지정하고 근대문화재를 정비하여 관광 명소로 부상시켰다.[64]2005년 세계화상대회(世界華商大會)가 서울에서 개최되면서 한국 화교의 역할과 중요성이 재조명되었다. 오늘날 우리 사회는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은 한국 화교의 재도약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한국 화교는 전 세계 화교망을 이용하여 화교 자본 유치는 물론 우리 경제의 교역 활성화를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다문화 사회에서 서로에 대한 이해를 높여 나간다면 한국 화교는 우리 사회의 다양성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 주요 시설 및 볼거리
1883년 인천항 개항 이후, 인천 차이나타운에는 다양한 시설과 볼거리가 조성되었다.
- '''중국어마을 문화체험관''' : 인천광역시 중구청에서 운영하는 기관으로, 차이나타운을 활용하여 관광, 교육, 체험을 할 수 있다.
차이나타운에서는 정통 중국 요리와 한국식 중화 요리를 모두 맛볼 수 있다. 탕수육과 짜장면이 대표적인 한국식 중화 요리이다.[13] 공화춘은 이 지역에서 가장 유명한 중화요리집 가운데 하나이다.[39] 월병은 중추절을 상징하는 중국 음식이며,[40] 공갈빵은 속이 비어 있는 중국식 빵이다.[41]
상점에서는 치파오, 중국 도자기, 중국 차와 같은 중국 관련 상품과 다양한 보석 및 액세서리를 판매한다.[18][19]

- '''해안 천주교''' : 원래 가정집이었던 곳으로 현재 맞은편 해안 천주교 성당의 교육관으로 사용 중이다.
- '''청일 조계지 경계 계단''' : 삼국지 벽화거리 끝에 나오는 계단으로, 왼쪽에는 청국, 오른쪽에는 일본의 조계지가 형성되어 있었다.
3. 1. 중국 관련 시설
- 인천화교중산중고등학교: 1901년 중산소학교로 개교한 이 학교는 한때 학생 수가 1,500명에 달하는 큰 학교였다. 1992년 대한민국이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면서 중화민국과 단교했지만, 학교는 여전히 중화민국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매년 졸업생 중 10여 명이 대만으로 유학을 간다.[61]
- 의선당: 1883년 개항 이후 화교들이 세운 중국식 사당으로, 종교적, 문화적 중심지 역할을 한다. 화교들의 흥망성쇠를 함께 했으며, 1970년대 존폐 위기에 놓였다가 2005년 화교들의 모금과 중국 정부의 지원으로 대대적인 수리를 거쳐 재개관했다. 현재 인천광역시 화교협회 지정 문화유산 제1호이다.[56]
- 한중문화관: 2005년 건립된 문화관으로, 한중 양국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하고 교류하는 공간이다. 화교의 역사와 삶, 중국 자매결연도시의 문물, 경극, 기예공연, 중국어와 한국어 교실 등 다양한 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21][22][47]

- 짜장면 박물관: 짜장면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하는 박물관으로, 구)공화춘 건물을 활용하여 조성되었다. 1층에는 1960년대 공화춘 주방의 모습을 재현했으며, 2층에서는 짜장면의 역사를 엿볼 수 있다.[65]
- 삼국지 벽화거리: 삼국지연의의 주요 장면을 묘사한 벽화 거리로,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명소이다. 청일 조계지 계단 아래 길 양쪽 벽면에 삼국지의 중요 장면을 설명과 함께 타일로 제작하여 장식했다.[48]
- 청일 조계지 경계 계단: 청나라와 일본 조계지의 경계를 이루었던 계단으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삼국지 벽화거리 끝에 있으며, 계단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청국, 우측에는 일본 조계지가 형성되어 있었다.[66]

- 한중원 쉼터: 중국 전통 정원 양식을 활용하여 조성한 휴식 공간이다. 청나라 시대 중․후반기 소주지역 문인들의 정원 양식을 활용했으며, 영벽(影壁), 조벽(照壁), 정자, 목교와 연못, 대나무 및 용기와를 얹은 담장 등을 통해 중국적인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3. 2. 일본 관련 시설
1883년 인천항이 개항되고 조계지가 설정되면서 인천에 거주하는 일본인이 늘어나자, 일본은 자국민 보호를 위해 현재의 인천 중구청 자리에 일본 영사관을 설치하였다.[49] 현재 건물은 1933년에 2층으로 지어졌다가 1964년에 한 층을 증축한 것이다. 해방 이후에는 인천시청으로 사용되다가 1985년 시청이 구월동으로 이전하면서 현재는 중구청으로 사용되고 있다.[49]이 외에도 일본과 관련된 시설로 제일은행, 18은행, 58은행의 지점 터, 홍예문이 있다.[49]
3. 3. 인근 관광지
4. 음식
짜장면은 차이나타운에서 탄생한 대표적인 한국식 중화 요리이다. 공갈빵은 속이 비어 있는 중국식 빵으로, 차이나타운의 명물 중 하나이다. 월병은 중국 전통 과자로, 다양한 종류와 맛을 즐길 수 있다.[38] 이 외에도 탕수육, 깐쇼새우, 양장피 등 다양한 중국 요리를 맛볼 수 있다.[13][38]
공화춘은 이 지역에서 가장 유명한 중화요리집이다.[39] 월병은 중국에서 중추절을 상징하는 음식이다.[40] 공갈빵은 중국식 빵의 일종으로, 속은 비어 있고 겉면만 부풀어 있다.[41]
자장면 박물관은 이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1905년부터 1983년까지 한국 최초로 짜장면을 판매한 것으로 여겨지는 역사적인 중식당 공화춘의 옛터이다.[14][15] 2004년에는 "공화춘"이라는 이름으로 문을 연 또 다른 식당이 있으며, 이곳은 원래 식당의 역사를 잇는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원래 식당 창업 가족에 의해 이의가 제기되었다.[16][17]
5. 정치/사회적 관점
1882년 임오군란 당시 청나라 군대와 함께 조선에 들어온 상인들이 한국 화교의 시초로 여겨진다.[1] 이들은 청나라 정부의 지원과 조선과의 무역 협정을 통해 빠르게 성장했다.[2] 1884년에는 인천에 중국 조계지가 설치되면서 화교 사회가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했다.[3]
화교들은 다양한 상업 활동에 종사하며 조선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4] 초기에는 중국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받아 경제력을 키웠고, 1920년대에는 경제적으로 가장 강력한 시기를 맞이하기도 했다.[5] 그러나 이후 여러 요인으로 인해 위축되기도 했지만, IMF 외환 위기 이후 외국인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고 한중 교류가 증가하면서 재도약의 기회를 얻게 되었다.[6]
더불어민주당은 다문화 사회와 포용적 성장을 지향하며, 화교를 비롯한 이주민들의 권익 보호와 사회 통합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화교들은 과거 차별과 배제의 대상이었지만, 현재는 한국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존중받고 있으며, 그들의 문화와 역사가 재조명되어야 한다. 인천 차이나타운은 단순한 관광지를 넘어, 한중 양국의 우호 증진과 문화 교류의 상징적인 공간으로 발전해야 한다. 2005년에는 서울에서 세계화상대회가 개최되기도 하는 등, 한국 화교는 우리 사회의 다양성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조
[1]
웹사이트
중구시설관리공단 > 주요사업 > 근대건축전시관
https://web.archive.[...]
2015-12-07
[2]
웹사이트
"[인천 가볼만한 곳]차이나타운 한중문화관"
https://web.archive.[...]
2015-12-07
[3]
웹사이트
이국적이고 동심이 있는 차이나타운·동화마을 오세요
http://www.yonhapnew[...]
2015-12-02
[4]
웹사이트
인근관광지 > 자유공원 {{!}} 인천차이나타운
http://www.ichinatow[...]
2015-12-01
[5]
웹사이트
Incheon chinatown
http://www.ichinatow[...]
[6]
웹사이트
인천 차이나타운 ‘100년 캡슐’ 열렸다 : 뉴스 : 동아닷컴
http://news.donga.co[...]
2015-11-28
[7]
웹사이트
능허대~차이나타운 ‘통교’의 역사는 흐른다
http://www.kihoilbo.[...]
2015-11-28
[8]
웹사이트
Incheon China Town (인천 차이나타운)
http://english.visit[...]
2015-12-07
[9]
웹사이트
Guide to Incheon’s Chinatown
https://adventurekor[...]
2023-09-30
[10]
웹사이트
주간조선 -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http://weekly1.chosu[...]
2015-11-28
[11]
웹사이트
인천 개항누리길 도보여행
http://www.kookje.co[...]
2015-11-28
[12]
웹사이트
베이징로·난징로…인천 차이나타운에 중국 거리 조성
http://www.yonhapnew[...]
2015-12-14
[13]
웹사이트
먹거리종류 {{!}} 인천차이나타운
http://www.ichinatow[...]
2015-11-28
[14]
웹사이트
The birth of Jajangmyeon, “Incheon Gonghwachun” -
https://english.seou[...]
2024-06-27
[15]
웹사이트
다시 만난 공화춘 역사를 맛보다
https://www.incheoni[...]
2024-07-03
[16]
웹사이트
'중국집 원조' 공화춘 자장면 편의점서 맛 보세요
https://n.news.naver[...]
2024-07-03
[17]
웹사이트
"'제보자들' 100년 전통 공화춘 짜장면을 둘러싼 처절한 원조 싸움"
https://www.busan.co[...]
2024-07-03
[18]
웹사이트
살거리 {{!}} 인천차이나타운
http://www.ichinatow[...]
2015-11-28
[19]
웹사이트
중국옷
http://terms.naver.c[...]
2015-11-28
[20]
웹사이트
The Chosun Ilbo (English Edition): Daily News from Korea - Incheon's Chinatown a Home from Home for Taiwanese Visitor
http://english.chosu[...]
2015-12-01
[21]
웹사이트
"[SN여행] 볼거리와 먹을거리가 가득한 인천 속의 중국 '차이나타운' - 지식교양채널 시선뉴스"
http://www.sisunnews[...]
2015-12-02
[22]
웹사이트
한중문화관 관광축제 - 2015 문화를 관광하다
http://www.ajunews.c[...]
2015-12-01
[23]
웹사이트
가톨릭 신문 신문기사 보기
http://www.catholict[...]
2015-12-01
[24]
웹사이트
"[인천 가볼만한 곳]차이나타운 한중문화관"
http://incheonblog.k[...]
2015-12-07
[25]
웹사이트
중구시설관리공단 > 주요사업 > 근대건축전시관
http://www.icjgss.or[...]
2015-12-07
[26]
간행물
South Korea's Main Chinatown Lacks Only the Chines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5-03-08
[27]
간행물
No 'real' Chinatown in S. Korea, the result of xenophobic attitudes
http://english.hani.[...]
ハンギョレ
2006-08-29
[28]
웹사이트
인천 차이나타운맛집 중화요리 담, 여름철 냉짜장-중국식냉면 인기
http://news.mtn.co.k[...]
2015-12-02
[29]
웹사이트
인천 차이나타운 ‘100년 캡슐’ 열렸다 : 뉴스 : 동아닷컴
http://news.donga.co[...]
2015-11-28
[30]
웹사이트
능허대~차이나타운 ‘통교’의 역사는 흐른다
http://www.kihoilbo.[...]
2015-11-28
[31]
웹사이트
Incheon China Town (인천 차이나타운) {{!}} Official Korea Tourism Organization
http://english.visit[...]
2015-12-07
[32]
웹사이트
주간조선 -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http://weekly1.chosu[...]
2015-11-28
[33]
서적
짜장면뎐
프로네시스
[34]
간행물
골목, 살아(사라)지다, 선창가 바람, 붉은 풍등風登 흔들다
http://enews.incheon[...]
인천시 인터넷신문
2014-08-12
[35]
논문
인천 차이나타운의 관광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http://dspace.inha.a[...]
仁荷大学校
[36]
웹사이트
인천 개항누리길 도보여행
http://www.kookje.co[...]
2015-11-28
[37]
웹사이트
베이징로·난징로…인천 차이나타운에 중국 거리 조성
http://www.yonhapnew[...]
2015-12-14
[38]
웹사이트
먹거리종류 {{!}} 인천차이나타운
http://www.ichinatow[...]
2015-11-28
[39]
웹사이트
'[Weekender] Incheon’s 100 years of Chinese diaspora'
http://www.koreahera[...]
2015-11-28
[40]
웹사이트
'[영상중국] 중추절 앞두고 99.9% 순금 월병 등장'
http://www.ajunews.c[...]
2015-11-28
[41]
웹사이트
'[한국 속 작은 중국, 인천 차이나타운] 100년 자장면의 맛 ‘만다복’ 공갈빵·화덕만두 대명사 ‘송’'
http://www.kyeonggi.[...]
2015-11-28
[42]
웹사이트
살거리 {{!}} 인천차이나타운
http://www.ichinatow[...]
2015-11-28
[43]
웹사이트
'[SN여행] 볼거리와 먹을거리가 가득한 인천 속의 중국 \'차이나타운\' - 지식교양채널 시선뉴스'
http://www.sisunnews[...]
2015-12-02
[44]
웹사이트
이국적이고 동심이 있는 차이나타운·동화마을 오세요
http://www.yonhapnew[...]
2015-12-02
[45]
웹사이트
중국관련볼거리
http://www.ichinatow[...]
2015-12-01
[46]
웹사이트
가톨릭 신문 신문기사 보기
http://www.catholict[...]
2015-12-01
[47]
웹사이트
한중문화관 관광축제 - 2015 문화를 관광하다
http://www.ajunews.c[...]
2015-12-01
[48]
웹사이트
'The Chosun Ilbo (English Edition): Daily News from Korea - Incheon''s Chinatown a Home from Home for Taiwanese Visitor'
http://english.chosu[...]
2015-12-01
[49]
간행물
일본관련볼거리
http://www.ichinatow[...]
[50]
서적
짜장면뎐
프로네시스
2009
[51]
뉴스
재한화교의 비조(鼻祖) 오장경 제독을 아시나요
http://h21.hani.co.k[...]
한겨레21
2012-03-05
[52]
서적
인천개항사
미래지식
2006
[53]
서적
인천개항사
미래지식
2006
[54]
서적
인천개항사
미래지식
2006
[55]
간행물
골목 살아(사라)지다
인천광역시
2013
[56]
간행물
인천: 인천여행가이드북 코스 A
http://ridibooks.com[...]
DETO
2014
[57]
서적
마주보는 두 역사, 인천과 하이퐁
인천문화재단
2010
[58]
서적
역주 인천과 인천항
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2009
[59]
서적
근대제국과 만난 인천:충돌과 변화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60]
서적
외국인의 기록으로 보는 인천근대
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2007
[61]
뉴스
골목, 살아(사라)지다, 선창가 바람, 붉은 풍등風登 흔들다
http://enews.incheon[...]
인천시 인터넷신문
[62]
서적
짜장면뎐
프로네시스
2009
[63]
서적
짜장면뎐
프로네시스
2009
[64]
간행물
인천 차이나타운의 관광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http://dspace.inha.a[...]
인하대학교
[65]
웹인용
'[윤기자의 콕 찍어주는 그곳] 우리네 인생이 비벼져 있는 ‘인천 짜장면 박물관’'
https://nownews.seou[...]
[66]
뉴스
'[똑! 기자 꿀! 정보] 인천 개항장으로…100년 전 개화의 거리를 걷다'
http://news.kbs.c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