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루엔자바이러스 B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플루엔자바이러스 B형은 RNA 바이러스의 일종으로, 1940년 북아메리카에서 발생한 급성 호흡기 질환 유행을 통해 처음 발견되었다. 이 바이러스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는 항원 교차 반응이 없으며, B/야마가타 계통과 B/빅토리아 계통으로 나뉜다. 인플루엔자 B형은 A형보다 2~3배 느린 속도로 돌연변이를 일으키며, 항원 변이로 인해 매년 백신 성분이 변경된다.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해 B/야마가타 계통은 소멸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2024년 미국 식품의약국은 야마가타 계통을 제외한 인플루엔자 백신을 권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 -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은 헤마글루티닌(H)과 뉴라미니다아제(N) 조합에 따라 아형이 나뉘며 조류, 돼지, 사람 등 다양한 종에 감염될 수 있고, 높은 변이율로 팬데믹을 일으킬 수 있어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한 바이러스이다. -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 - 인플루엔자바이러스 D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 D형은 주로 가축의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RNA 바이러스로, 혈구응집소-에스테라제 융합 단백질을 가지며 사람 감염 사례는 드물고, 혈청학적 검사 등으로 진단하며 백신이나 특별한 치료법은 아직 없다. - 인플루엔자 - 백신
백신은 약화된 병원체나 일부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계를 활성화, 특정 질병에 대한 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의약품으로 감염병 예방에 효과적이지만, 부작용 발생 가능성과 효과의 다양성, 백신 거부와 오해로 인한 접종률 저하 및 감염병 확산의 위험이 존재하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안전성과 효능이 향상되고 새로운 기술을 이용한 백신들이 개발되고 있다. - 인플루엔자 - 인플루엔자 백신
인플루엔자 백신은 A형 및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질병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능동 면역 백신으로, 1918년 스페인 독감 유행 이후 개발되기 시작하여 현재는 다양한 제조 방식의 3가 또는 4가 백신이 사용되고 있으며 매년 유행하는 균주에 맞춰 재구성되지만 효능은 변동될 수 있고 부작용 가능성이 존재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감염병에 관한 - 피로
피로는 신체적, 정신적 에너지 고갈 상태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며, 약물 치료, 정신 건강 도구 활용, 생활 습관 개선 등 다양한 방식으로 관리될 수 있다. - 감염병에 관한 - SARS-CoV-2
SARS-CoV-2는 COVID-19 팬데믹을 일으킨 양성 단일 가닥 RNA 바이러스로, 스파이크 단백질의 후린 절단 부위와 다양한 변이체를 가지며, 말굽박쥐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RT-PCR 검사로 진단한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B형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바이러스 정보 | |
![]() | |
상위 분류 | 베타인플루엔자바이러스 |
종 |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
이명 |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 |
속 (이전 명칭) | 인플루엔자바이러스 B |
특징 | |
발견 위치 | 물개 |
유전 물질 | RNA |
유전자 분절 | 8개 |
인간 감염 | |
영향 | 인플루엔자 B형은 사람에게 영향을 미침 |
백신 | 4가 인플루엔자 백신 |
2. 형태
인플루엔자바이러스 B형 캡시드는 피막(껍질), 매트릭스 단백질, 핵 단백질 복합체, 뉴클리오캡시드, 폴리머라제 복합체로 구성된다. 바이러스 모양은 때로는 구형이며, 필라멘트 형태를 띌 때도 있다. 500개 정도의 표면 돌기는 헤마글루티닌과 뉴라미니다아제로 만들어져 있다.[49]
인플루엔자바이러스 B형 유전체는 14,548 뉴클리오타이드 길이이며, 8개의 선형 음성가닥 RNA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다중 입자 게놈은 캡슐화되고, 각각의 세그먼트는 별도의 뉴클리오캡시드로 구성되며, 뉴클리오캡시드는 하나의 외피로 둘러싸여 있다.[17]
1940년 북아메리카에서 발생한 급성 호흡기 질환 유행으로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IBV)가 처음 발견되었으며,[35] 이후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IAV)와는 항원 교차 반응이 없음이 밝혀졌다. HA 단백질의 아미노산 치환 속도를 계산한 결과, IBV와 IAV는 약 4000년 전에 서로 갈라진 것으로 추정되었다.[4]
3. 유전체 구조
인플루엔자 A형 및 B형 바이러스의 조상과 인플루엔자 C형 바이러스의 조상은 약 8,000년 전에 공통 조상으로부터 분기된 것으로 추정된다. 인플루엔자 A형과 B형 바이러스는 약 4,000년 전에 단일 조상으로부터 분기되었다.[18] 메타전사체학 연구를 통해 우한 가시 붕장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19]와 같은 "인플루엔자 B형 유사" 바이러스와 도롱뇽 및 어류와 같은 다양한 척추동물 종에서 "인플루엔자 B형 유사" 바이러스가 확인되었다.[20]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는 A형 바이러스보다 느리고 C형 바이러스보다 빠르게 진화한다.[21]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는 A형보다 2~3배 느린 속도로 돌연변이를 일으킨다.[22]
4. 역사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IBV)는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IAV)와 마찬가지로 혈구응집소(HA)와 뉴라미니다아제(NA)라는 두 가지 표면 항원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끊임없이 변화한다.[2] 항원 변이는 인간의 면역 체계가 식별할 수 없는 새로운 변종을 만들기 때문에, 매년 인플루엔자 백신의 성분 목록을 재평가하고 업데이트하는 것이 필수적이다.[2]
1980년대부터 B/야마가타 계통과 B/빅토리아 계통으로 나뉘었다.[31] 1987년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에서 분리된 빅토리아 계통과 1988년 일본 야마가타현에서 분리된 야마가타 계통이 있다.[36] 1988–1989년에 감염 후 페렛 혈청을 사용한 혈구 응집 억제 실험을 통해 두 가지 매우 다른 항원 인플루엔자 B형 변이체를 식별할 수 있었다.[32] 1985–1991년 일본에서는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 재감염이 바이러스학적으로 조사되었고, 1979–1991년에는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역학 조사가 이루어졌다.[33]
B형 인플루엔자는 사람과 기각류에만 감염되며,[38] 항원 변이와 유전자 재조합이 나타나는 A형 인플루엔자와 비교하여 B형 인플루엔자의 대유행이 발생하지 않는 이유는 숙주 범위가 좁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39][40][41]
미국에서는 1990년대에 야마가타 계통이 맹위를 떨쳤지만,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점차 환자가 감소했다. 코로나19 (COVID-19) 세계적 유행이 시작된 2020년 3월 이후 자연 유행주의 검출 사례가 없어졌다. 이를 받아들여 2024년 미국 식품의약국(FDA) 자문위원회는 야마가타 계통을 제외한 인플루엔자 백신을 만장일치로 권고했다.[37] 현재 B/야마가타 계통은 코로나19 범유행 조치로 인해 소멸되었을 수 있으며, 2020년 3월 이후 자연 발생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다.[13][14]
4. 1. 계통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의 유전체는 14,548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8개의 선형 음성 가닥 단일 가닥 RNA 분절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다분절 유전체는 각각의 분절이 별도의 캡시드 내부에 캡슐화되어 있으며, 이 뉴클레오캡시드는 하나의 외피로 둘러싸여 있다.[17]
인플루엔자 A형 및 B형 바이러스의 조상과 인플루엔자 C형 바이러스의 조상은 약 8,000년 전에 공통 조상으로부터 분기된 것으로 추정된다. 인플루엔자 A형과 B형 바이러스는 약 4,000년 전에 단일 조상으로부터 분기되었으며,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의 아형은 2,000년 전에 분기된 것으로 추정된다.[18] 메타전사체학 연구를 통해 우한 가시 붕장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19]와 도롱뇽 및 어류와 같은 다양한 척추동물 종에서 "인플루엔자 B형 유사" 바이러스가 확인되었다.[20]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는 A형보다 2~3배 느린 속도로 돌연변이를 일으킨다.[22] 1940년 북아메리카에서 발생한 급성 호흡기 질환 유행으로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IBV)가 발견되었으며, 이후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IAV)와 항원 교차 반응이 없음이 밝혀졌다. HA 단백질의 아미노산 치환 속도를 계산한 결과, IBV와 IAV는 약 4000년 전에 서로 갈라진 것으로 추정되었다.[4] IBV는 가끔 물개와 돼지에서도 발견되지만, 주된 숙주 종은 인간이다.[30]
IBV는 1980년대부터 B/야마가타 계통과 B/빅토리아 계통으로 나뉘었다.[31]
감염 후 페렛 혈청을 사용한 혈구 응집 억제 실험을 통해 1988–1989년에 두 가지 매우 다른 항원 인플루엔자 B형 변이체를 식별할 수 있었다. 이 바이러스는 1988년 5월 일본에서 발견된 변이체인 B/야마가타/16/88 또는 가장 최근의 참조 균주인 B/빅토리아/2/87과 항원을 공유했다.[32]
1985–1991년 일본에서는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 재감염이 바이러스학적으로 조사되었고, 1979–1991년에는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역학 조사가 이루어졌다.[33] 이 연구 과정에서 각 항원 변이를 포함하는 4건의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 유행이 발생했다. 1987–1988년과 1989–1990년 유행 사이에는 바이러스의 유전자 및 항원 변화가 컸다.[33]
현재 B/야마가타 계통은 코로나19 범유행 조치로 인해 소멸되었을 수 있으며,[12] 2020년 3월 이후 자연 발생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다.[13][14]
1940년 미국에서 새로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발견되어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명명되었다.[35]
1987년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에서 분리된 빅토리아 계통과 1988년 일본 야마가타현에서 분리된 야마가타 계통의 2가지 계통이 존재한다.[36]
미국에서는 1990년대에 야마가타 계통이 맹위를 떨쳤지만,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점차 환자가 감소했다. 코로나19 (COVID-19) 세계적 유행이 시작된 2020년 3월 이후 자연 유행주의 검출 사례가 없어졌다. 이를 받아들여 2024년 미국 식품의약국(FDA) 자문위원회는 야마가타 계통을 제외한 인플루엔자 백신을 만장일치로 권고했다.[37]
5. 백신
1940년 미국에서 새로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발견되어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명명되었다.[35]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는 1987년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에서 분리된 빅토리아 계통과 1988년 일본 야마가타현에서 분리된 야마가타 계통의 2가지 계통으로 나뉜다.[36] 미국에서는 1990년대에 야마가타 계통이 맹위를 떨쳤지만,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점차 환자가 감소했다. 코로나19 (세계적 유행)이 시작된 2020년 3월 이후 야마가타 계통의 자연 유행주 검출 사례는 없어졌다. 이를 받아들여 2024년 미국 식품의약국(FDA) 자문위원회는 야마가타 계통을 제외한 인플루엔자 백신을 만장일치로 권고했다.[37] 만약 야마가타 계통 바이러스가 실제로 소멸되었다면, 이는 인간의 행동 변화로 인해 바이러스가 소멸된 최초의 기록 사례가 될 것이다. 그러나 3가지 균주(A형 2가지, B형 빅토리아 계통)가 여전히 널리 유행하고 있기 때문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전체적인 부담은 과거 시즌과 유사할 것이다.[29]
5. 1. 백신 개발 과정
1936년, 토머스 프랜시스 주니어(Thomas Francis Jr.)는 족제비에게서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를 발견했다. 같은 해, 매컬레인 버넷(Macfarlane Burnet)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유정란에서 배양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23] 이는 바이러스의 특성에 대한 연구와 1930년대 후반 및 1940년대 초에 불활성화 백신의 개발 및 적용을 촉진했다. 불활성화 백신의 예방 효과는 1950년대에 입증되었다. 이후 2003년에 최초의 생 약독화 인플루엔자 백신이 승인되었다.[2]1942년에는 H1N1 인플루엔자 A형과 새롭게 발견된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에 모두 방어할 수 있는 새로운 2가 백신이 개발되었다.[25] 오늘날에는 일부 기술이 발전하고 독감 백신이 이제 인플루엔자 A형과 B형 모두를 다루고 있지만, 과학은 여전히 거의 한 세기 전의 발견에 기반하고 있다.[26] 독감 바이러스는 빠르게 변이할 수 있고 H1N1과 같이 매년 새로운 돌연변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독감 백신에 포함된 바이러스는 해당 연도에 사람들을 아프게 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독감 균주에 맞춰 매년 변경된다.[2]
대부분의 계절 동안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의 두 가지 다른 계통(야마가타, 빅토리아)이 유행했음에도 불구하고, 독감 예방 접종은 오랫동안 인플루엔자 A(H1N1), 인플루엔자 A(H3N2), 그리고 한 가지 유형의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 이렇게 세 가지 다른 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를 목표로 했다.[27] B형 바이러스의 두 번째 계통은 유행하는 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더 강력한 방어를 제공하기 위해 이후에 추가되었다.[2] 2023년까지 4가 백신이 방어하려는 4가지 독감 바이러스에는 2가지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와 2가지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가 포함되었다. 2022년 현재 미국에서 사용되는 모든 독감 백신은 4가 백신이었다.[2]
2022년-2023년 독감 시즌의 경우, 65세 이상에게 우선적으로 권장되는 세 가지 독감 백신이 있었으며, 다양한 인플루엔자(독감) 백신이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에게 사용하도록 승인되었다.[2]
그러나 B/야마가타 계통은 코로나19 범유행 조치로 인해 2020년/2021년에 소멸되었을 수 있으며,[12] 2020년 3월 이후 자연 발생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다.[13][14] 2023년 10월, 세계 보건 기구는 계절성 독감 백신에서 야마가타 계통에 대한 방어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결론을 내렸으며, 백신이 목표로 하는 계통의 수를 4개에서 3개로 줄였다.[13][14]
5. 2. 항원 변이와 백신
1936년, 토머스 프랜시스 주니어가 족제비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를 발견했고, 같은 해 매컬레인 버넷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유정란에서 배양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23] 이는 바이러스 연구와 1930년대 후반 및 1940년대 초 불활성화 백신 개발 및 적용을 촉진했다. 불활성화 백신의 예방 효과는 1950년대에 입증되었고, 2003년에 최초의 생 약독화 인플루엔자 백신이 승인되었다.[2]1942년에는 H1N1 인플루엔자 A형과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에 모두 방어할 수 있는 새로운 2가 백신이 개발되었다.[25] 독감 바이러스는 빠르게 변이하기 때문에 독감 백신에 포함된 바이러스는 매년 변경된다.[2]
대부분의 계절 동안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의 두 가지 다른 계통(B/야마가타 계통, B/빅토리아 계통)이 유행했음에도, 독감 예방 접종은 오랫동안 인플루엔자 A(H1N1), 인플루엔자 A(H3N2), 그리고 한 가지 유형의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 이렇게 세 가지 다른 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를 목표로 했다.[27] 이후 B형 바이러스의 두 번째 계통이 추가되었다.[2] 2023년까지 4가 백신은 2가지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와 2가지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를 방어했다. 2022년 현재 미국에서 사용되는 모든 독감 백신은 4가 백신이었다.[2]
2022년 3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백신 및 관련 생물학적 제품 자문 위원회는 미국에서 사용할 3가 인플루엔자 백신에 A(H1N1)pdm09, A(H3N2) 및 B/오스트리아/1359417/2021 유사 바이러스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B/야마가타 계통은 코로나19 범유행 조치로 인해 2020년/2021년에 소멸되었을 수 있으며,[12] 2020년 3월 이후 자연 발생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다.[13][14] 2023년 10월, 세계 보건 기구는 계절성 독감 백신에서 야마가타 계통에 대한 방어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결론을 내렸으며, 백신이 목표로 하는 계통의 수를 4개에서 3개로 줄였다.[13][14]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IBV)는 1940년 북아메리카에서 발생한 급성 호흡기 질환 유행으로 발견되었으며, 이후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IAV)와 항원 교차 반응이 없음이 밝혀졌다. IBV는 가끔 물개와 돼지에서도 발견되지만, 주된 숙주 종은 인간이다.[30] IBV는 1980년대부터 B/야마가타 계통과 B/빅토리아 계통으로 나뉘었다.[31]
혈구 응집소(HA)와 뉴라미니다제(NA)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두 가지 바이러스 표면 항원이다.[2] 항원 변이 또는 항원 이동은 가능한 두 가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변화이다. 항원 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A 및 NA의 작은 변화는 인간의 면역 체계가 식별할 수 없는 새로운 변종의 생성을 초래한다.[2] 연간 인플루엔자 유행은 항원 변이와 면역력 저하로 인해 발생한다. 항원 변이는 인플루엔자 A, B, C에서 발생한다.[2]
감염 후 페렛 혈청을 사용한 혈구 응집 억제 실험을 통해 1988–1989년에 두 가지 매우 다른 항원 인플루엔자 B형 변이체를 식별할 수 있었다. 이 바이러스는 B/야마가타/16/88 또는 B/빅토리아/2/87과 항원을 공유했다.[32]
1985–1991년 일본에서는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 재감염이 바이러스학적으로 조사되었고, 1979–1991년에는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역학 조사가 이루어졌다.[33] 1987–1988년과 1989–1990년 유행 사이에는 바이러스의 유전자 및 항원 변화가 컸다.[33]
현재 B/야마가타 계통은 코로나19 팬데믹 조치로 인해 소멸되었을 수 있으며,[12] 2020년 3월 이후 자연 발생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다.[13][14]
참조
[1]
논문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of viruses. Second report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https://ictv.global/[...]
2023-01-30
[2]
논문
Virus taxonomy: Sixth report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https://ictv.global/[...]
2023-01-30
[3]
웹사이트
Changing individual genus and species names in the family Orthomyxoviridae
https://ictv.global/[...]
2017-06-08
[4]
논문
Influenza C and D Viruses Package Eight Organized Ribonucleoprotein Complexes
2018-03
[5]
논문
Influenza B virus in seals
2000-05
[6]
논문
The evolution of human influenza viruses
2001-12
[7]
논문
Genetic diversity of influenza B virus: the frequent reassortment and cocirculation of the genetically distinct reassortant viruses in a community
2004-09
[8]
논문
Comparative analysis of evolutionary mechanisms of the hemagglutinin and three internal protein genes of influenza B virus: multiple cocirculating lineages and frequent reassortment of the NP, M, and NS genes
1999-05
[9]
논문
Influenza B viruses: not to be discounted
2015-09
[10]
논문
WHO recommendations for the viruses to be used in the 2012 Southern Hemisphere Influenza Vaccine: epidemiology, antigenic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influenza A(H1N1)pdm09, A(H3N2) and B influenza viruses collected from February to September 2011
2012-10
[11]
논문
Immunogenicity and safety of inactivated quadrivalent influenza vaccine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2016-07
[12]
논문
Influenza lineage extinc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2021-12
[13]
웹사이트
Questions and Answers: Recommended composition of influenza virus vaccines for use in the southern hemisphere 2024 influenza season and development of candidate vaccine viruses for pandemic preparedness
https://cdn.who.int/[...]
2023-10-26
[14]
웹사이트
WHO advisers recommend switch back to trivalent flu vaccines
https://www.cidrap.u[...]
2023-10-26
[15]
웹사이트
Use of Trivalent Influenza Vaccines for the 2024–2025 U.S. flu season
https://www.fda.gov/[...]
2024-03-07
[16]
웹사이트
EU recommendations for 2024/2025 seasonal flu vaccine composition
https://www.ema.euro[...]
2024-03-28
[17]
웹사이트
ICTVdB Virus Description—00.046.0.04. Influenzavirus B
https://www.ncbi.nlm[...]
Columbia University
2007-09-15
[18]
논문
Origin and evolution of influenza virus hemagglutinin genes
2002-04
[19]
논문
The evolutionary history of vertebrate RNA viruses
2018-04
[20]
논문
Divergent Influenza-Like Viruses of Amphibians and Fish Support an Ancient Evolutionary Association
2020-09
[21]
논문
Influenza B virus evolution: co-circulating lineages and comparison of evolutionary pattern with those of influenza A and C viruses
1988-03
[22]
논문
Comparison of the mutation rates of human influenza A and B viruses
2006-04
[23]
웹사이트
Chapter 12: Influenza
https://www.cdc.gov/[...]
2022-11-23
[24]
웹사이트
Influenza Historic Timeline {{!}} Pandemic Influenza (Flu)
https://www.cdc.gov/[...]
2022-11-23
[25]
웹사이트
History of influenza vaccination
https://www.who.int/[...]
2022-11-23
[26]
웹사이트
When was the Flu Vaccine Invented?
https://www.families[...]
2022-11-23
[27]
웹사이트
Quadrivalent Influenza Vaccine
https://www.cdc.gov/[...]
2022-11-23
[28]
웹사이트
Selecting Viruses for the Seasonal Flu Vaccine
https://www.cdc.gov/[...]
2022-11-23
[29]
뉴스
The flu shot is different this year, thanks to COVID
https://www.npr.org/[...]
NPR
2024-10-17
[30]
웹사이트
Influenza Historic Timeline {{!}} Pandemic Influenza (Flu) {{!}} CDC
https://www.cdc.gov/[...]
2022-11-23
[31]
논문
Influenza Viruses
https://www.scienced[...]
2022-11-23
[32]
논문
Cocirculation of two distinct evolutionary lineages of influenza type B virus since 1983
1990-03
[33]
논문
Reinfection with influenza B virus in children: analysis of the reinfection influenza B viruses
1994-08
[34]
논문
The Influenza B Virus Victoria and Yamagata Lineages Display Distinct Cell Tropism and Infection-Induced Host Gene Expression in Human Nasal Epithelial Cell Cultures
2023-09
[35]
뉴스
新型カゼが流行
日本経済新聞
1950-12-13
[36]
웹사이트
「山形系統」の名の由来
https://weathernews.[...]
ウェザーニュース
2020-02-04
[37]
웹사이트
インフルB型「山形系統」コロナ禍で消滅か、米で3価ワクチンに切り替え
https://www.cnn.co.j[...]
CNN
2024-03-06
[38]
논문
Influenza B virus in seals
[39]
논문
The evolution of human influenza viruses
[40]
논문
Genetic diversity of influenza B virus: the frequent reassortment and cocirculation of the genetically distinct reassortant viruses in a community
[41]
논문
Comparative analysis of evolutionary mechanisms of the hemagglutinin and three internal protein genes of influenza B virus: multiple cocirculating lineages and frequent reassortment of the NP, M, and NS genes
[42]
저널
[43]
저널
https://www.ncbi.nlm[...]
[44]
저널
https://www.ncbi.nlm[...]
[45]
저널
https://www.ncbi.nlm[...]
[46]
저널
https://www.ncbi.nlm[...]
[47]
저널
https://www.ncbi.nlm[...]
[48]
저널
https://www.ncbi.nlm[...]
[49]
웹인용
Ictvdb.org
http://www.ictvdb.or[...]
2020-04-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