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회황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회황후는 북송 흠종의 황후이다. 주백재의 딸로, 1116년 황태자비가 되었으며 흠종 즉위 후 황후로 책봉되었다. 흠종과의 사이에서 태자 조심과 유가공주를 낳았으며, 시화와 산수화에 능했다. 1127년 정강의 변으로 금나라에 포로로 끌려가 모욕을 겪던 중, 1128년 견양례에 수치심을 느껴 자결했다. 남송 영종 때 인회라는 시호가 추증되었고 경령궁에 신위가 봉안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송 사람 - 송강 (수호전)
    송강은 12세기 중국 북송 시대의 반란 지도자이자 《수호전》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로, 역사적으로는 반란을 일으켰다가 항복하고, 소설에서는 양산박 두령이 되어 요나라와 방랍 토벌에 참여하지만 독살당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 북송 사람 - 범관
    범관은 북송 시대 화가로, 자연에 대한 깊은 관찰을 바탕으로 웅장하고 현실적인 산수화풍을 구축하여 당대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대표작으로 《계산행려도》가 있다.
  • 1128년 사망 - 후지와라노 기요히라
    후지와라노 기요히라는 헤이안 시대 후기 오슈 후지와라 씨의 초대 당주로, 전9년의 역과 후3년의 역을 거치며 오슈 지방의 실력자로 부상하여 히라이즈미를 거점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꽃피우고 북방 무역으로 부를 축적했다.
  • 1128년 사망 - 대방공
    고려 숙종과 명의왕후의 아들인 대방공은 왕자로 책봉되어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왕족으로서 지위를 누렸으나, 이자겸의 모함으로 유배 후 사망했다.
  • 1102년 출생 - 마틸다 (잉글랜드)
    잉글랜드 왕 헨리 1세의 딸이자 신성 로마 제국 황후였던 마틸다는 12세기 잉글랜드 왕위 계승 분쟁 시기에 왕위를 주장했으나, 비록 왕위에 오르지 못했지만 아들 헨리 2세가 왕위를 계승하며 플랜태저넷 왕조를 열었다.
  • 1102년 출생 - 양홍옥
    양홍옥은 송나라 시대의 여성으로, 무술에 능하며 남편 한세충과 함께 항금 전쟁에 참여하여 황천탕 전투에서 북을 치며 군대를 지휘해 승리에 기여했고, 빈국부인으로 추증되었다.
인회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인회황후 (仁懷皇后)
원래 이름주련 (朱璉)
작위 정보
작위송나라의 황후
재위 기간1126년 1월 20일 ~ 1127년
즉위 날짜선화(宣和) 7년 12월 25일 (1126년 1월 20일)
전임자현숙황후 정씨
후임자헌절황후 형씨
작위 2송나라의 황태자비
재위 기간 21116년 8월 1일 ~ 1126년 1월 20일
즉위 날짜 2정화(政和) 6년 6월 21일 (1116년 8월 1일)
전임자 2없음
후임자 2황태자비 이씨(자의황후)
존호 및 시호
별호정강군정절부인 (靖康郡貞節夫人)
시호인회 (仁懷)
생애
출생숭녕(崇寧) 원년 (1102년)
출생지북송 개봉부(開封府)
사망1127년 또는 1128년
사망지금나라 회령부(會寧府)
능묘없음
가족 관계
아버지은평군왕(恩平郡王) 주백재(朱伯材)
어머니정보 없음
배우자흠종(欽宗) 조환(趙桓)
자녀황태자(皇太子) 조심(趙諶), 유가공주(柔嘉公主)
가문
성씨주 (朱)
가문 유형씨족
이미지
흠종 황후
흠종 황후

2. 생애

1116년 흠종의 황태자비가 되었고, 1126년 흠종 즉위 후 황후가 되었다. 슬하에 태자 조심(趙諶)과 유가공주(柔嘉公主)를 두었으며, 성품이 섬세하고 부드러워 흠종의 총애를 받았다. 시화와 산수화에도 능했다.

1127년 정강의 변으로 금나라에 압송되어 갖은 고초를 겪다 1128년 견양례에 모욕을 느껴 자결하였다.[3]

남송 영종 때인 1197년 '인회(仁懷)' 시호가 추증되었고, 1199년 경령궁(景靈宮)에 신위가 봉안되었다.[4]

2. 1. 초기 생애 및 황후 책봉

변경(汴京) 상부현(祥符縣) 출신으로, 무강군절도사를 지낸 주백재(朱伯材)의 딸로 태어났다.

1116년 황태자비로 책봉되었다. 1126년 흠종이 즉위하자 황후가 되었다. 흠종과의 사이에서 태자 조심(趙諶)과 유가공주(柔嘉公主)를 낳았다. 주황후는 성격이 섬세하고 부드러워 흠종의 총애를 받았다. 또한 시화에 능하고 산수화를 잘 그렸다.

2. 2. 정강의 변과 비극적 죽음

1127년 정강의 변이 발생하여 휘종, 흠종을 비롯한 황족들과 함께 금나라로 압송되었다. 금나라로 끌려가는 동안 추위와 굶주림, 금나라 병사들의 희롱과 모욕 등 갖은 고초를 겪었다.[3]

1128년 8월, 금나라 회령에서 휘종과 흠종을 비롯하여 송나라인들에게 금나라의 복장을 입히고 견양례(牽羊禮)를 실시하자, 이에 큰 모욕감을 느끼고 물에 투신하여 자결하였다.[3]

2. 3. 사후

남송에서는 오랫동안 그녀의 생사 여부를 알지 못하다가, 영종 때인 1197년 '''인회(仁懷)'''라는 시호를 추증하고, 1199년 경령궁(景靈宮)에 신위를 봉안하였다.[4]

3. 가계

인회황후는 주백재의 딸로, 주효손, 주효장, 주봉영[5] 등의 형제가 있었다. 흠종[1]의 황후였으며, 슬하에 조심과 유가공주를 두었다.

3. 1. 부모

아버지는 주백재이다.

3. 2. 형제

이름
주효손
주효장
주봉영[5]


3. 3. 남편

흠종(1100년 ~ 1161년)은 북송의 마지막 황제이다.[1]

3. 4. 자녀

이름출생사망
조심1117년?
유가공주1121년?


참조

[1] 서적 宋史 http://ctext.org/wik[...] 1346
[2] 서적 Emperor Huizong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3] 서적 『정강패사(靖康稗史)』卷6
[4] 서적 송사(宋史)
[5] 문서 휘종의 3남 가왕(嘉王) 조해(趙楷)의 아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