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계 러시아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계 러시아인은 러시아에 거주하거나 러시아 국적을 가진 일본인 또는 그 후손을 가리킨다. 1701년 또는 1702년 캄차카 반도에 표류한 덴베이가 러시아에 정착한 최초의 일본인으로 여겨지며, 이후 러시아 극동 지역을 중심으로 일본인 정착이 시작되었다. 19세기 후반 블라디보스토크를 중심으로 일본인 사회가 형성되었으나, 러시아 혁명, 시베리아 출병,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많은 일본인이 일본으로 귀국했다.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정부는 일본인의 출국과 거주를 완화했으며, 2002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서 835명이 일본 민족으로 답했다. 현재 러시아에는 1,000명 이상의 일본 국적자가 거주하고 있으며, 모스크바에는 일본인 학교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계 러시아인 - 이리나 하카마다
이리나 하카마다는 일본계 아버지와 러시아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소련 시대 정치적 격변기를 거쳐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사업가로 활동하다가, 러시아 하원 의원, 우파 연합 공동 의장, 대통령 후보 등을 역임하며 자유주의적 시장경제와 서구식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러시아의 정치인이자 사업가, 작가이다. - 일본계 러시아인 - 덴베에
17세기 일본 오사카 출신 덴베이는 표류 후 러시아에 정착하여 러시아 최초의 일본어 교사가 되었고, 표트르 1세에게 일본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며 러시아의 일본어 교육에 기여했으며, 일본인 최초로 정교회 신자가 되었다. - 일본에서 러시아로 이민간 사람 - 덴베에
17세기 일본 오사카 출신 덴베이는 표류 후 러시아에 정착하여 러시아 최초의 일본어 교사가 되었고, 표트르 1세에게 일본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며 러시아의 일본어 교육에 기여했으며, 일본인 최초로 정교회 신자가 되었다. - 일본에서 러시아로 이민간 사람 - 케리히로유키 다가와
케리히로유키 다가와는 일본 출신의 배우로, 영화 《마지막 황제》로 데뷔하여 《모탈 컴뱃》 등 할리우드 영화에 출연했으며, 액션 영화에서 주로 악역을 맡았고, 2015년에는 동방 정교회로 개종하여 러시아 국적을 취득했다. - 사할린주 - 시코탄섬
시코탄섬은 쿠릴 열도에 위치한 섬으로, 러시아와 일본 간 영유권 분쟁 지역이며, 어업이 주요 산업이다. - 사할린주 - 하보마이 군도
하보마이 군도는 홋카이도 네무로반도 근처의 섬들로, 일본은 북방 영토라 주장하며 반환을 요구하지만 현재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다.
일본계 러시아인 | |
---|---|
기본 정보 | |
![]() | |
그룹 | 일본계 러시아인 |
총 인구 | 1,321명 (2022년) |
주요 거주 지역 | 모스크바, 프리모르스키 지방, 사할린 주 |
사용 언어 | 러시아어, 일본어 |
종교 | 불교, 신토, 정교회 |
관련 민족 | 닛케이진 |
러시아어 명칭 | |
러시아어 | Росси́йские япо́нцы (로시스키예 야폰치) |
2. 역사
러시아 내 일본인 이주는 17세기 말 덴베에라는 표류민으로부터 시작되었다.[4] 덴베에는 도쿠가와 막부의 쇄국 정책으로 인해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표트르 1세의 명으로 모스크바에서 일본어를 가르치게 되어, 러시아의 일본어 교육의 아버지로 불리게 되었다. 초기 일본인 정착은 러시아 극동 지역에 국한되었고, 대부분 덴베이처럼 사고로 인해 러시아에 도착하여 일본으로 돌아갈 수 없었던 어부들이었다.[5]
1705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일본어 학교가 개설되었고, 1738년에는 곤자에 의해 최초의 노일 사전이 편집되었다. 1753년 일본어 학교는 이르쿠츠크로 이전되었고, 이곳에서 일본어 교사가 된 젠로쿠는 1813년 골로닌 사건 당시 러시아 측 통역을 맡는 등 초기 러일 관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855년 러일 화친 조약, 1858년 러일 수호 통상 조약을 통해 러시아 제국과 일본 간 정식 국교가 수립되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과 러시아 극동 간 무역이 활발해지면서 블라디보스토크는 중요한 거점이 되었다. 1910년대 중반, 블라디보스토크에는 일본인 거리가 조성되어 약 6,000명의 일본인이 거주하기도 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과 시베리아 출병 중 발생한 니콜라예프스크 사건으로 많은 일본인이 일본으로 귀국해야 했고, 블라디보스토크의 일본인 사회는 붕괴되었다. 1925년 일소 기본 조약으로 일본과 소련의 국교가 회복되었으나, 1941년 태평양 전쟁 발발로 북양 어업은 중단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군 포로 약 70만 명이 시베리아 억류 대상자가 되었다. 이들 중 약 6만 명이 사망했고, 생존자 대부분은 1956년 일소 공동 선언 이후 일본으로 귀국했다. 그러나 우에노 이시노스케나 카자흐스탄의 아히코 테츠로(아히코 테츠로|아히코 데쓰로일본어)처럼 소련에 귀화하거나,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등 다른 지역에 정착한 사람들도 있었다.
1945년 소련군이 사할린 남부를 점령하면서, 대부분의 일본인은 일본으로 돌아갔지만 일부는 사할린 한인들과 함께 남았다. 2001년 기준 약 400명의 잔류 일본인이 사할린에 존재한다.
1985년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소련 및 러시아 정부는 일본인의 출국 및 거주를 완화했다.[19]
2. 1. 초기 정착 (17세기 말 ~ 19세기 중반)
1696년 캄차카 반도에 표류하여 러시아로 귀화한 덴베에는 러시아에 정착한 최초의 일본인으로 알려져 있다. 도쿠가와 막부의 쇄국 정책으로 인해 오사카로 돌아갈 수 없었던 덴베에는 1701년 또는 1702년에 모스크바로 이송되어 표트르 1세의 명으로 일본어를 가르치게 되었고, "러시아의 일본어 교육의 아버지"로 불리게 되었다.[4]1705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일본어 학교가 개설되었고, 1738년 곤자에 의해 최초의 노일 사전이 편집되었다. 1753년 일본어 학교는 이르쿠츠크로 이전되었는데, 이곳에서 일본어 교사가 된 젠로쿠는 1813년 골로닌 사건 당시 디아나 호 방문에 동행하여 러시아 측 통역을 맡는 등 러일 관계 초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2. 일본 개항 이후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
일본의 개항 이후, 블라디보스토크는 러시아로 이주하는 일본인들의 주요 정착지 중 하나였다. 1876년 일본 제국 상업 기구의 지부가 블라디보스토크에 개설되었다.[7] 1877년 일본인 인구는 80명, 1890년에는 392명으로 증가했는데, 여성의 수가 남성보다 많았고, 이들 중 상당수는 매춘부로 일했다.[8]러일 관계는 러시아 내 일본인 정착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92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여러 일본인 전문직 조합을 통합하기 위해 "기업 협회"가 설립되었고, 당시 블라디보스토크의 일본인 인구는 1,000명으로 추산되었다. 이 단체는 1895년 "동포회", 1902년 "블라디보스토크 거류민회"로 개칭되었다.[7]
1855년 러일 화친 조약, 1858년 러일 수호 통상 조약 체결로 러시아 제국과 일본(에도 막부) 간 정식 국교가 수립되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과 러시아 극동 간 무역이 활발해지면서 블라디보스토크는 중요한 거점이 되었다. 러일 전쟁(1904년~1905년) 이후에도 러일 무역은 일본해 연안 도시와 만주에서 재개되었고, 1910년대 중반 블라디보스토크에는 일본인 거리가 조성되어 약 6,000명의 일본인이 거주하기도 했다.
2. 3. 러시아 혁명과 소련 시대 (20세기 초 ~ 20세기 중반)
1917년 러시아 혁명과 시베리아 출병 중 발생한 니콜라예프스크 사건(일본인 거류민 학살 사건)으로 많은 일본인이 일본으로 귀국해야 했고, 블라디보스토크의 일본인 사회는 붕괴되었다. 1925년 일소 기본 조약 체결로 일본과 소련의 국교가 회복되었으나, 1941년 태평양 전쟁 발발로 북양 어업은 중단되었다.소련 수립 후, 일본 공산당 당원을 포함한 일부 일본 사회주의자들은 소련에서 교육받거나 체류하며 그곳에 정착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군 포로 약 70만 명이 시베리아 억류 대상자가 되었다. 남사할린의 일본인 약 40만 명 중 대부분은 일본으로 귀환했지만, 조선인이나 러시아인과 결혼하는 등의 이유로 잔류한 사람들도 있었다. 2001년 기준 사할린에는 약 400명의 잔류 일본인이 있었다.
시베리아 억류자 중 약 6만 명이 사망했고, 생존자 대부분은 1956년 일소 공동 선언 이후 일본으로 귀국했다. 그러나 우에노 이시노스케나 카자흐스탄의 아히코 테츠로아히코 테츠로|아히코 데쓰로일본어처럼 소련에 귀화하거나,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등 다른 지역에 정착한 사람들도 있었다. 키무라 미츠히로의 현지 조사에서 조지아 내 압하지야 공화국에도 시베리아 억류자의 후손이 거주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칼미크 공화국에 사는 나카가와 요시테루처럼, 러시아 잔류 고아도 다수 존재한다.
2.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러일 전쟁 이후 일본 영토였던 사할린 남부는 1945년 소련의 침공으로 소련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대부분의 일본인은 일본으로 돌아갔지만, 일부는 사할린에 남거나 소련 본토의 노동 수용소에 구금되었다.[12]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사할린섬 남부의 일본인 대부분은 일본으로 돌아갔지만, 일부는 사할린 한인들과 함께 남아있었다. 이들은 한반도 남쪽으로 돌아갈 수 없었고, 북한 또는 소련 국적을 취득해야 했다.[13] 2001년 기준 약 400명의 잔류 일본인이 사할린에 존재한다.
일본의 항복 이후, 만주, 사할린, 한반도에서 붉은 군대에 포로로 잡힌 일본군 575,000명은 시베리아 등지의 굴라그 수용소로 보내졌다.[14] 일본 후생노동성 자료에 따르면, 473,000명이 일소 관계 정상화 이후 일본으로 송환되었고, 55,000명이 러시아에서 사망했으며, 47,000명은 실종되었다. 2005년 러시아 보고서는 강제 노동을 위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보내진 27,000명의 이름을 열거했다.[14] 2006년까지 일부는 귀향을 계속했다.[16]
2. 4. 1. 사할린
러일 전쟁이 포츠머스 조약으로 1905년에 종결된 후, 사할린 남쪽 절반은 공식적으로 일본 영토가 되어 가라후토로 개칭되었고, 일본인 정착민들의 유입이 이루어졌다.[6] 일본인들은 가라후토 북쪽에도 정착했다.[6]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일본 영토에 머물렀고, 이때 사할린 전체가 소련의 만주 침공의 일환으로 소련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6] 대부분의 일본인들은 진격하는 붉은 군대를 피해 달아났고, 소련 점령 후 일본으로 돌아갔지만, 일부는 주로 군인들이었는데, 러시아 본토로 끌려가 노동 수용소에 구금되었다.[12]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자 사할린섬 남부의 일본인들 대부분이 일본으로 돌아갔지만, 일부는 사할린 한인들과 함께 남아 지금도 살고 있다. 약 4만 명의 한국인 정착민들은 여전히 일본 국적을 유지하며 한반도 남쪽 고향으로 귀환하기 위해 일본을 통과하는 것을 소련 정부로부터 허가받지 못했다.[13] 그들은 북한 국적을 취득하거나 소련 국적을 취득하라는 요구를 받았다.[13] 이들은 사할린 한인으로 알려졌으며, 거의 40년 동안 섬에 갇혀 있었다.[13]
전후, 소련에 침공·점령된 남사할린에 거주한 약 40만 명의 일본인 중 대부분은 일본으로 귀환했지만, 조선인이나 러시아인과 결혼하는 등 귀국하지 못한 사람도 적지 않았고, 2001년 시점에서 사할린에는 잔류 일본인 약 400명이 존재한다.
2. 4. 2. 전쟁 포로
일본의 항복 이후, 만주, 사할린, 한반도에서 붉은 군대에 의해 포로로 잡힌 일본군 575,000명이 시베리아 등지의 굴라그 수용소로 보내졌다.[14] 일본 후생노동성 자료에 따르면, 473,000명이 일소 관계 정상화 이후 일본으로 송환되었고, 55,000명이 러시아에서 사망했으며, 47,000명은 실종되었다. 2005년 러시아 보고서는 강제 노동을 위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보내진 27,000명의 이름을 열거했다.[14] 1954년 미국 공군과의 인터뷰에서 한 아르메니아인은 1951년 5월부터 1953년 6월 사이에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추노야르 수용소에서 일본군 장성을 만났다고 주장한다.[15] 2006년까지 일부는 귀향을 계속했다.[16]2. 5. 현대 (20세기 후반 ~ 현재)
1985년 고르바초프가 시작한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소련 및 러시아 정부는 일본인의 출국 및 거주를 완화했다.[19] 1965년에는 모스크바에 일본인 학교가 설립되었다.[17]2002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835명이 일본 민족(국적)이라고 답했다.[18] 2023년 일본 외무성 자료에 따르면, 1,003명의 일본 국적자가 러시아에 거주하고 있다.[19]
3. 교육
모스크바에는 일본 국제 학교인 모스크바 일본 학교가 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는 보충 일본 학교인 상트페테르부르크 일본어 학교가 있으며, 이 학교는 앵글로-아메리칸 학교 상트페테르부르크 분교에서 수업을 진행한다.[20]
4. 주요 인물
- 오카다 요시코 - 배우, 아나운서. 1938년 사할린에서 소련으로 망명했다.[1]
- 이리나 무츠오브나 하카마다 - 러시아의 정치인. 아버지는 일본 공산당원 하카마다 무츠오이다.[2]
- 니시야마 소키치 - 러시아의 정치인, 실업가. 사할린 잔류 일본인 출신이다.[3]
- 가와구치 유코 - 피겨 스케이팅 선수. 선수 생활 중 러시아 국적을 취득했다.[4]
- 잇페이 시노즈카 - 축구 선수. 일본과 러시아 혼혈로, 러시아 국적 선택 후 일본 J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5]
(참고: 이전 출력과 동일합니다. 주어진 지시사항 및 허용된 문법에 따라 이미 최적화되어 있으며, 추가적인 수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Annual Report of Statistics on Japanese Nationals Overseas
https://www.mofa.go.[...]
[2]
웹사이트
海外在留邦人数調査統計
https://www.mofa.go.[...]
[3]
웹사이트
ロシア連邦(Russian Federation)
https://www.mofa.go.[...]
[4]
논문
The Russian Push Toward Japan: Russo-Japanese Relations, 1697-1895
American Slavic and East European Review, Vol. 20, No. 2
1961-04
[5]
서적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Russia
http://www.erina.or.[...]
Economic Research Institute for Northeast Asia
2009-08-14
[6]
논문
Building Construction in Southern Sakhali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05-1945)
http://src-h.slav.ho[...]
2007-02-22
[7]
논문
Dangerous Rapprochement: Russia and Japan in the First World War, 1914-1916
http://src-h.slav.ho[...]
2007-02-22
[8]
서적
Japan's Competing Modernities: Issues in Culture and Democracy 1900-1930
University of Hawaii Press
[9]
논문
"A Great Disobedience Against the People": Popular Press Criticism of Japan's Siberian Intervention
http://muse.jhu.edu/[...]
2007-02-22
[10]
서적
The World Was Going Our Way: The KGB and the Battle for the Third World
Basic Books
[11]
논문
The Japanese Victims of Stalinist Terror in the USSR
https://hermes-ir.li[...]
2000-07
[12]
뉴스
War-displaced Japanese Returns Home After 67 Years in Russia
http://www.mosnews.c[...]
Mosnews.com
2007-02-23
[13]
뉴스
Koreans in Russia: Historical Perspective
http://times.hankook[...]
2006-11-20
[14]
뉴스
Russia Acknowledges Sending Japanese Prisoners of War to North Korea
http://www.mosnews.c[...]
Mosnews.com
2007-02-23
[15]
논문
Air Intelligence Information Report: Info on US Civilians held in the Forced Labor Camp in CHUNOYAR
http://lcweb2.loc.go[...]
United States Air Force
2007-02-23
[16]
뉴스
67 YEARS IN RUSSIA: War-displaced man visits home
http://www.japantime[...]
2013-04-11
[17]
웹사이트
モスクワ日本人 学校の歩み
http://www.mosnichi.[...]
Japanese School in Moscow
2006-12-01
[18]
웹사이트
Население по национальности и владению русским языком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www.perepis20[...]
Федеральная служба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статистики
2006-12-01
[19]
웹사이트
海外在留邦人数調査統計
https://www.mofa.go.[...]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24-08-17
[20]
간행물
欧州の補習授業校一覧(平成25年4月15日現在)
http://www.mext.go.j[...]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2014-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