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의 캄보디아 점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의 캄보디아 점령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침공하면서 시작되었다. 일본은 1941년 8월 캄보디아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비시 프랑스 식민 정부를 통해 간접 통치를 유지했다. 1945년 3월에는 프랑스 식민 통치를 무너뜨리고 캄푸치아 왕국을 수립하도록 지원했으며, 노로돔 시하누크 국왕이 독립을 선포했다. 일본의 지원을 받은 캄푸치아 왕국은 크메르 문자를 부활시키고 불교 음력을 사용하는 등 민족주의적 정책을 펼쳤다. 그러나 일본의 항복 이후 프랑스가 캄보디아에 대한 통치를 재개하면서 손 응옥 탄 등 친일 인사들은 실각하고, 캄보디아는 다시 프랑스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일본의 캄보디아 점령
개요
명칭일본 점령 시기의 캄보디아
원어 명칭(크메르어)
日本占領時期のカンボジア (일본어)
주요 사건프랑스-태국 전쟁
일본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침공
1945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일본 쿠데타
관련 전쟁제2차 세계 대전
정치
정부 형태괴뢰 정부
국가 수반시소와트 모니봉 (국왕)
총리응옥 캄 (1941년 ~ 1945년)
손 산 (1945년)
일본 제국 대표일본 제국
역사
시대제2차 세계 대전
주요 사건일본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침공 (1941년)
프랑스-태국 전쟁 종결 (1941년)
1945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일본 쿠데타 (1945년 3월 9일)
캄보디아 왕국 선포 (1945년 3월 9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재건립 (1945년)
경제
통화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피아스트르
기타
선행프랑스령 캄보디아
후행프랑스령 인도차이나

2. 역사적 배경

1940년부터 1941년까지 이어진 프랑스-태국 전쟁으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식민 당국은 약화되었다. 비시 정부일본군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통과하는 것과 베트남 북부에 최대 2만 5천 명의 병력을 주둔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협정을 일본과 체결했다.[3]

한편, 친일 성향의 플렉 피분송크람 원수가 이끄는 태국 정부는 일본과의 우호 조약에 힘입어 프랑스의 약화된 입지를 이용하여 역사적으로 영유권을 주장해 온 캄보디아 서부 지역을 침략했다. 이후 도쿄에서 1941년 3월 조약이 체결되어 프랑스는 바탐방, 씨엠립, 꼬꽁 주와 15도선과 당렉 산맥[4] 사이의 좁은 지역(스텅트렝 주)을 태국에 할양해야 했다.

그 결과, 캄보디아는 인구의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50만 명과 국토의 3분의 1을 태국에 빼앗겼다.[5]

2. 1. 프랑스-태국 전쟁 (1940-1941)

1940년부터 1941년까지 진행된 프랑스-태국 전쟁으로 인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식민 당국은 약화되었다. 비시 정부일본군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통과하는 것과 베트남 북부에 최대 2만 5천 명의 병력을 주둔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협정을 일본과 체결했다.[3]

한편, 친일 성향의 플렉 피분송크람 원수가 이끄는 태국 정부는 일본과의 우호 조약에 힘입어 프랑스의 약화된 입지를 이용, 역사적으로 영유권을 주장해 온 캄보디아 서부 지역을 침략했다. 이후 도쿄에서 1941년 3월 조약이 체결되어 프랑스는 바탐방, 씨엠립, 꼬꽁 주와 15도선과 당렉 산맥[4] 사이의 좁은 지역(스텅트렝 주)을 태국에 할양해야 했다.

그 결과, 캄보디아는 인구의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50만 명과 국토의 3분의 1을 태국에 빼앗겼다.[5]

2. 2. 일본의 인도차이나 침공

1940년 ~ 1941년 프랑스-타이 전쟁으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식민지 당국은 취약한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 비시 정부는 일본과 일본군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고 북베트남에 병력을 25,000명까지 주둔시키는 협정을 체결하였다.[1]

한편, 플랙 피분송크람 원수의 친일 지도력 하에, 일본과의 우호 조약으로 강화된 태국 정부는 프랑스의 약화된 지위를 이용했고, 역사적인 영유권을 주장했던 캄보디아의 서부 지방들을 침략했다.[1] 도쿄는 1941년 3월 프랑스가 바탐방, 시엠립, 코콩 지방을 포기하도록 공식적으로 강요하는 조약의 서명을 주최했고, 15도선과 스퉁트렝 지방의 당렉 산맥 사이의 좁은 영토 확장을 주최했다.[1]

그 결과 캄보디아는 태국에 50만 명의 시민과 이전 지표면 면적의 3분의 1을 잃었다.[1]

3. 일본의 캄보디아 점령 (1941-1945)

1941년 8월, 일본 제국 육군은 프랑스령 캄보디아에 진주하여 8천 명 규모의 주둔지를 설치했다. 일본은 프랑스 비시 정부와 협력하여 식민 통치를 유지했다.

1942년 7월 20일, 프놈펜에서 대규모 반프랑스 시위가 발생했는데, 이는 저명한 승려 헴 치우(Hem Chieu)의 체포가 원인이었다. 프랑스 당국은 시위 지도자 파치 초은(Pach Chhoeun)을 꼰다오 군도의 형무소로 보냈다.[13] 파치 초은(Pach Chhoeun)은 불교 연구소와 협력했고, 1936년 심 바(Sim Var)와 함께 크메르어 정치 신문 「나가라바타(Nagara Vat)」를 창간했다.[17]

3. 1. 프랑스와 일본의 이중 지배

1941년 8월, 일본군이 프랑스령 캄보디아에 진주하여 8,000명의 병력을 주둔시켰다. 군사적 존재에도 불구하고 일본 당국은 협력적인 비시 프랑스 식민 관리들이 행정직에 남도록 허용했다.[2]

1942년 7월 20일, 저명한 승려 헴 치우(Hem Chieu)가 식민지 민병대에게 반란을 선동하는 설교를 했다는 혐의로 체포된 후 프놈펜에서 대규모 반프랑스 시위가 발생했다. 프랑스 당국은 시위의 지도자 파치 초은(Pach Chhoeun)을 체포하여 꼰손(Con Son) 교도소 섬으로 유배 보냈다. 파치 초은(Pach Chhoeun)은 불교 연구소와 관련된 존경받는 캄보디아 지식인이었으며, 심 바(Sim Var)와 함께 1936년 크메르어로 된 최초의 공개적인 정치 신문인 ''Nagaravatta''를 창간했다.[6][13][17]

3. 2. 반프랑스 시위와 헴 치우, 파치 초은

1942년 7월 20일, 저명한 승려 헴 치우(Hem Chieu)가 식민지 민병대에게 반란을 선동하는 설교를 했다는 혐의로 체포된 후 프놈펜에서 대규모 반프랑스 시위가 발생했다.[2] 프랑스 당국은 시위 지도자인 파치 초은(Pach Chhoeun)을 체포하여 꼰손(Con Son) 교도소 섬으로 유배 보냈다.[2] 파치 초은(Pach Chhoeun)은 불교 연구소와 관련된 존경받는 캄보디아 지식인이었으며, 심 바(Sim Var)와 함께 1936년 크메르어로 된 최초의 공개적인 정치 신문인 ''Nagaravatta''를 창간했다.[6][13][17]

4. 캄푸치아 왕국 (1945)

1945년 8월 일본이 공식적으로 항복하면서 일본의 캄보디아 점령은 끝났다. 연합군 부대가 캄보디아에 진입하자, 그곳에 주둔하던 일본군은 무장 해제되어 본국으로 송환되었다. 프랑스는 같은 해 10월 프놈펜에서 식민 통치를 재개할 수 있었다.

4. 1. 일본의 괴뢰 정권 수립 시도

1945년 3월 9일, 일본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프랑스 통치를 전복시켰다. 프랑스 식민 행정관들은 해임되었고, 프랑스군은 무장 해제를 명령받았다. 이는 현지 주민들의 약해진 지지를 되살리기 위해, 토착 지배자들이 독립을 선포하도록 장려하여 일본의 전쟁 수행에 협력하도록 하는 의도였다.[7]

3월 13일, 노로돔 시하누크는 일본의 공식 요청에 따라 캄푸치아 왕국의 독립을 선포하고, 프랑스어 국명을 "Cambodge"에서 "Kampuchea"로 변경했다. 곧이어 일본 정부는 캄보디아의 독립을 명목상 승인하고 프놈펜에 영사관을 설치했다.[8] 시하누크의 칙령은 이전의 프랑스-캄보디아 조약을 폐지하고, 일본과의 협력 및 동맹을 약속했다.[9]

새 정부는 프랑스 식민 행정부가 시행했던 로마자 표기를 폐지하고 공식적으로 크메르 문자를 복원했다. 이 조치는 이후 캄보디아의 어떤 정부도 크메르어를 로마자 표기하려고 시도하지 않았을 정도로 널리 지지를 받았다.[9] 다른 변화로는 불교 음력의 부활이 있었다.[9]

노로돔 시하누크는 1945년 3월 18일부터 총리를 겸임했다. 그러나 1942년 반프랑스 시위 이후 일본으로 도피했던 손 응옥 탄이 1945년 4월 외무장관으로 귀국했다. 손 응옥 탄은 일본의 항복 후 총리직을 맡아 1945년 10월 프랑스에 의해 축출될 때까지 재임했다.[9][10]

4. 2. 캄푸치아 왕국의 정책

새 정부는 프랑스 식민 행정부가 시행하기 시작한 로마자 표기를 폐지하고 공식적으로 크메르 문자를 복원했다. 이 조치는 이후 캄보디아의 어떤 정부도 크메르어를 다시 로마자 표기하려고 시도하지 않았을 정도로 큰 영향을 주었다.[9] 또한, 불교 음력을 부활시켰다.[9]

4. 3. 손 응옥 탄의 역할

1942년 반프랑스 시위 이후 일본으로 도피했던 손 응옥 탄은 1945년 4월 캄보디아로 귀국하여 외무장관이 되었다.[9][10] 일본의 항복 이후에는 총리직을 맡았으나, 1945년 10월 프랑스 식민 통치가 복원되면서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다.[9][10]

1945년 10월, 프랑스는 프놈펜에서 식민 통치를 재개하면서 손 응옥 탄을 일본과의 협력 혐의로 체포했다.[9] 그 후 프랑스 식민 당국은 그를 프랑스로 추방하여 가택 연금 상태에 두었다.[11] 그의 지지자들 중 일부는 지하로 숨거나 태국이 통제하는 캄보디아 북서부로 도피하여 독립 지지 단체인 크메르 이사락에 합류했다.[11] 이들은 태국의 지원을 받아 반프랑스적이고 정치적으로 이질적인 민족주의 운동을 조직했지만, 나중에 여러 파벌로 분열되었다.[11]

5. 종전과 프랑스의 식민 통치 재개

1945년 8월 일본이 항복하면서 캄보디아 점령은 끝났다. 연합군 부대가 캄보디아에 진입하여 주둔 일본군을 무장 해제하고 본국으로 송환했다. 같은 해 10월, 프랑스는 프놈펜에서 식민 통치를 다시 시작할 수 있었다.[9]

5. 1. 손 응옥 탄 체포와 크메르 이사락

1945년 8월 일본의 공식 항복과 함께 일본의 캄보디아 점령은 끝났다. 연합군이 캄보디아에 진입하면서 주둔 중이던 일본군은 무장 해제되어 본국으로 송환되었다. 프랑스는 같은 해 10월 프놈펜에서 식민 통치를 재개했다. 프랑스 식민 당국은 10월 12일, 일본과의 협력 혐의로 손 응옥 탄을 체포하고,[9] 그를 프랑스로 추방하여 가택 연금 상태에 두었다. 손 응옥 탄의 지지자들 중 일부는 지하로 숨어들어 태국이 통제하는 캄보디아 북서부로 도피했고, 결국 독립 지지 단체인 크메르 이사락에 합류했다. 이 반프랑스적이고 정치적으로 이질적인 민족주의 운동은 태국의 지원을 받아 조직되었지만, 나중에 여러 파벌로 분열되었다.[11]

참조

[1] 서적 Cambodia and the West, 1500-2000
[2] 서적 Sihanouk, Prince of Light, Prince of Darkness Silkworm
[3] 웹사이트 L'Indochine française pendant la Seconde Guerre mondiale; Les accords de septembre 1940 http://www.net4war.c[...]
[4] 웹사이트 L'Indochine française pendant la Seconde Guerre mondiale; La guerre contre le Siam, 1940-41 http://www.net4war.c[...]
[5] 웹사이트 Cambodia, The Japanese Occupation, 1941-45 http://www.country-d[...]
[6] 서적 Buddhism and politics in twentieth-century Asia
[7] 서적 Monarchical Manipulation in Cambodia: France, Japan, and the Sihanouk Crusade for Independence Nordic Institute for Asian Studies
[8] 서적 Southeast Asia: a historical encyclopedia
[9] 서적 A History of Cambodia Silkworm
[10] 웹사이트 Cambodia https://www.worldsta[...] 2019-09-01
[11] 웹사이트 Cambodia, Appendix B - Major Political and Military Organizations http://www.country-d[...]
[12] 서적 Cambodia and the West, 1500-2000
[13] 서적 Sihanouk, Prince of Light, Prince of Darkness Silkworm
[14] 웹사이트 L'Indochine française pendant la Seconde Guerre mondiale; Les accords de septembre 1940 http://www.net4war.c[...]
[15] 웹사이트 L'Indochine française pendant la Seconde Guerre mondiale; La guerre contre le Siam, 1940-41 http://www.net4war.c[...]
[16] 웹사이트 Cambodia, The Japanese Occupation, 1941-45 http://www.country-d[...]
[17] 서적 Buddhism and politics in twentieth-century Asia
[18] 서적 Monarchical Manipulation in Cambodia: France, Japan, and the Sihanouk Crusade for Independence Nordic Institute for Asian Studies
[19] 서적 Southeast Asia: a historical encyclopedia
[20] 서적 A History of Cambodia Silkworm
[21] 웹사이트 Cambodia https://www.worldsta[...] 2019-09-01
[22] 웹사이트 Cambodia, Appendix B - Major Political and Military Organizations http://www.country-d[...]
[23] 서적 Cambodia and the West, 1500-2000
[24] 서적 Sihanouk, Prince of Light, Prince of Darkness Silkwor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