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호출부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의 호출 부호는 일본 내 방송국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로, 방송국 종류와 지역을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NHK는 JO\*T, JO\*Y, JO\*Z, JO\*K, JO\*B, JO\*G, JO\*D, JO\*P, JO\*Q, JO\*C 등 다양한 호출 부호를 사용해왔으며, 현재는 종합 텔레비전 및 FM 방송에 JO\*P, 교육 텔레비전에 JO\*C, JO\*D, JO\*B 등을 사용한다. 민간 방송 사업자에게는 JO\*F, JO\*L, JO\*M, JO\*W, JO\*X, JO\*Y, JO\*U, JO\*V 등이 할당되었고, 단파 방송에는 JOB, JOD, JOZ 등이 사용되었다. 과거에는 한국 및 만주, 타이완 관련 호출 부호도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출부호 - 마린 원
마린 원은 미국 대통령을 수송하는 미국 해병대 소속 헬리콥터의 호출 부호이자 명칭으로, 대통령의 이동 편의와 안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현재는 VH-3D 시 킹과 VH-60N 화이트호크가 주로 사용된다. - 호출부호 - 에어 포스 원
에어 포스 원은 대통령이 탑승한 미국 공군 항공기의 호출 부호이자 대통령 전용기를 지칭하는 용어로, VC-137, VC-25 등이 이용되며 안전을 위해 위장 호출 부호를 사용하고 핵전쟁 대비 E-4B 나이트워치가 임무를 수행하며, 부통령 탑승 시에는 에어 포스 투가 사용된다.
일본의 호출부호 | |
---|---|
호출부호 | |
호출부호란 | 무선국을 식별하기 위해 할당된 고유한 기호 |
용도 | 방송국 식별 통신망 관리 긴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 |
일본의 호출부호 | |
특징 | 일본의 호출부호는 일본의 전파법 및 관련 법규에 따라 총무성이 관리 호출부호는 무선국의 종류, 용도, 설치 장소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 일본의 호출부호는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에서 할당받은 국제 호출부호 HL, JA-JS를 사용 |
구성 | **기본 구성**: 2개의 문자(HL, JA-JS) + 숫자 + 1~3개의 문자 **예시**: JOAK (NHK 도쿄 방송국) JOLF (닛폰 방송) JOQR (분카 방송) |
할당 기관 | 총무성 |
호출부호의 종류 | |
방송국 호출부호 | **지상파 방송**: JO**-TV (텔레비전), JO**-DTV (디지털 텔레비전), JO** (라디오) **위성 방송**: JX** **단파 방송**: JJD~JJZ **예시**: JOAK-TV (NHK 도쿄 종합 텔레비전) JOAX-DTV (TV 아사히 디지털) JOQR (분카 방송) |
아마추어 무선 호출부호 | **개인**: JA** 또는 JR** **클럽**: JE**~JS** **예시**: JA1AA (개인 아마추어 무선국) JE1YEU (아마추어 무선 클럽) |
선박, 항공기 호출부호 | **선박**: J**A~J**Z **항공기**: J**A~J**Z **예시**: JAAA (선박) JA1001 (항공기) |
기타 무선국 호출부호 | **업무용 무선국**: 다양한 형태의 호출부호 사용 **실험국**: DS, DT, DU, DV, JW, 7J, 8J **예시**: JAA (해상보안청) DS1234 (실험국) |
관련 법규 | |
주요 법규 | 전파법 방송법 |
관련 기관 | 총무성 |
참고 자료 | |
관련 링크 | 총무성 홈페이지 전파 이용 홈페이지 |
2. 호출 부호의 체계
일본의 호출 부호는 일본 내 방송국, 특히 NHK(일본방송협회)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어 왔다. 호출 부호는 방송국의 종류와 지역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며, 일본 통신 연맹이 관리한다.
NHK는 과거 JO\*T, JO\*Y, JO\*Z, JO\*K, JO\*B, JO\*G, JO\*D, JO\*P, JO\*Q, JO\*C 등 다양한 호출 부호를 사용해왔다.
1925년 3월 22일, NHK는 국내 방송을 시작하며 JO\*T 호출 부호를 사용했다. 이 부호는 종합 방송에 할당되었으나, 태평양 전쟁 발발 이후인 1941년 12월 8일에 폐지되었다.
1950년대 초, NHK의 교육 방송국에 JO\*Y 호출 부호가 할당되었으나, 이후 민간 방송국에 할당되었다.
NHK 종합 텔레비전은 JO\*Q 호출 부호를 사용했으며, 1950년 2월 28일 할당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1953년 2월 1일 방송을 시작했다.
NHK는 교육 방송국에 JO\*Z 계열의 호출 부호를 할당했다. 1950년 4월 10일 제1 교육 텔레비전 방송국 JO\*Z-TV가 개국했고, 6월 12일에는 제2 교육 텔레비전 방송국 JO\*Z-TV가 개국했다. 그러나 주파수 혼신 문제로 인해, 1953년 5월 10일 제1 교육 텔레비전 방송국, 1959년 11월 30일 제2 교육 텔레비전 방송국이 폐지되면서 JO\*Z 계열의 호출 부호는 더 이상 NHK 교육 방송과는 관련이 없어졌다.
NHK 교육 텔레비전 방송국은 JO\*D 호출 부호를 사용하며, 1959년 1월 10일에 개국 당시에는 "라디오 제2 텔레비전"이라는 채널명으로 시작했다. 1960년 3월 1일 "교육 텔레비전"으로 변경되었고, 2010년 4월 1일부터는 현재의 명칭인 "NHK 교육 텔레비전"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방송대학의 도쿄 본국에도 JO\*D 호출 부호가 할당되어 교육 방송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NHK 교육 텔레비전(JO\*C)은 각 지역별로 다음과 같은 호출 부호를 사용한다.
- 홋카이도: JOJC-DTV
- 도호쿠: JOEC-DTV
- 간토: JOAB-DTV
- 주부: JOCB-DTV
- 간사이: JOBB-DTV
- 주고쿠: JODC-DTV
- 시코쿠: JOZC-DTV
- 규슈: JOKC-DTV
NHK 종합 텔레비전 및 FM 방송은 JO\*P 호출 부호를 사용한다.
- JO는 일본에 할당된 호출 부호 프리픽스이며, 다음 문자는 *로 표기한다.
- P는 텔레비전 방송국 또는 FM 방송국에 할당된 호출 부호의 접미사이다.
각 지역별 할당 현황은 다음과 같다.
- 홋카이도 지역:
- 종합 텔레비전: JOPK-TV (삿포로), JOPL-TV (하코다테), JOPM-TV (구시로), JOPN-TV (아사히카와), JOPO-TV (기타미)
- FM 방송: JOPK-FM (삿포로), JOPL-FM (하코다테), JOPM-FM (구시로), JOPN-FM (아사히카와), JOPO-FM (기타미)
- 도호쿠 지역:
- 종합 텔레비전: JOPK-TV (센다이), JOPL-TV (모리오카), JOPM-TV (후쿠시마), JOPN-TV (아키타), JOPO-TV (야마가타), JOPP-TV (히로사키)
- FM 방송: JOPK-FM (센다이), JOPL-FM (모리오카), JOPM-FM (후쿠시마), JOPN-FM (아키타), JOPO-FM (야마가타), JOPP-FM (히로사키)
- 간토 지역:
- 종합 텔레비전: JOAK-TV (도쿄)
- FM 방송: JOAK-FM (도쿄)
- 주부 지역:
- 종합 텔레비전: JOIK-TV (나고야), JOIL-TV (후쿠이), JOIM-TV (가나자와), JOIN-TV (나가노), JOIO-TV (시즈오카), JOIP-TV (토야마), JOIQ-TV (기후)
- FM 방송: JOIK-FM (나고야), JOIL-FM (후쿠이), JOIM-FM (가나자와), JOIN-FM (나가노), JOIO-FM (시즈오카), JOIP-FM (토야마), JOIQ-FM (기후)
- 긴키 지역:
- 종합 텔레비전: JOBK-TV (오사카), JOBL-TV (교토), JOBM-TV (고베), JOBN-TV (나라), JOBO-TV (오쓰)
- FM 방송: JOBK-FM (오사카), JOBL-FM (교토), JOBM-FM (고베), JOBN-FM (나라), JOBO-FM (오쓰)
- 주고쿠 지역:
- 종합 텔레비전: JOGK-TV (히로시마), JOGL-TV (오카야마), JOGM-TV (돗토리), JOGN-TV (시마네), JOGO-TV (야마구치)
- FM 방송: JOGK-FM (히로시마), JOGL-FM (오카야마), JOGM-FM (돗토리), JOGN-FM (시마네), JOGO-FM (야마구치)
- 시코쿠 지역:
- 종합 텔레비전: JOZK-TV (다카마츠), JOZL-TV (도쿠시마), JOZM-TV (고치), JOZN-TV (마쓰야마)
- FM 방송: JOZK-FM (다카마츠), JOZL-FM (도쿠시마), JOZM-FM (고치), JOZN-FM (마쓰야마)
- 규슈·오키나와 지역:
- 종합 텔레비전: JOLK-TV (후쿠오카), JOLL-TV (사가), JOLM-TV (나가사키), JOLN-TV (구마모토), JOLO-TV (오이타), JOLP-TV (미야자키), JOLQ-TV (가고시마), JOLR-TV (오키나와)
- FM 방송: JOLK-FM (후쿠오카), JOLL-FM (사가), JOLM-FM (나가사키), JOLN-FM (구마모토), JOLO-FM (오이타), JOLP-FM (미야자키), JOLQ-FM (가고시마), JOLR-FM (오키나와)
NHK는 과거 각 지역에 특화된 호출 부호를 사용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NHK 도쿄 본국은 JOAK 호출 부호를 사용했으며, 오사카 본국은 JOBK, 나고야 본국은 JOCK 호출 부호를 사용했다.
NHK 교육 방송은 JO\*B 호출 부호도 사용했으며, 과거에는 해상에서 사용되는 선박국에 할당된 호출 부호였다. 1940년대에 할당되어, 1950년대에 NHK에 할당되어 사용되었다.
NHK는 1950년 12월 17일 도쿄에서 JOAK-TV 호출 부호로 종합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했고, 1951년 12월 24일에는 JOAK-FM으로 FM 방송을 시작했다.
이러한 호출 부호는 방송망 확장 및 기술 발전에 따라 변경되거나 폐지되기도 했다.
| 호출 부호 | 할당 지역 | 주파수 |
| ----------- | --------------- | --------------------- |
| JO\*G | 홋카이도 | - |
| JO\*G-TV | 홋카이도 | - |
| JO\*G-FM | 홋카이도 | - |
| JO\*D | 도호쿠 | - |
| JO\*D-TV | 도호쿠 | - |
| JO\*D-FM | 도호쿠 | - |
| JO\*K | 간토 | - |
| JO\*K-TV | 간토 | - |
| JO\*K-FM | 간토 | - |
| JO\*P | 주부 | - |
| JO\*P-TV | 주부 | - |
| JO\*P-FM | 주부 | - |
| JO\*O | 긴키 | - |
| JO\*O-TV | 긴키 | - |
| JO\*O-FM | 긴키 | - |
| JO\*Q | 주고쿠 | - |
| JO\*Q-TV | 주고쿠 | - |
| JO\*Q-FM | 주고쿠 | - |
| JO\*C | 시코쿠 | - |
| JO\*C-TV | 시코쿠 | - |
| JO\*C-FM | 시코쿠 | - |
| JO\*B | 규슈 | - |
| JO\*B-TV | 규슈 | - |
| JO\*B-FM | 규슈 | - |
| 호출 부호 | 비고 |
| --------- | ---------------------------------------------------------------------------- |
| JOAK | 도쿄 NHK 종합 텔레비전 방송, 1950년 12월 17일 개시. |
| JOAK-FM | 도쿄 NHK FM 방송, 1951년 12월 24일 개시. |
3. NHK (일본방송협회) 호출 부호 목록
NHK (일본방송협회)는 일본의 공영 방송국으로, 다양한 방송 서비스에 할당된 호출 부호를 사용한다. 여기에는 라디오, TV (종합, 교육), FM 방송 등이 포함되며, 지역별, 방송 유형별로 호출 부호가 분류되어 있다.
NHK는 1925년 3월 22일 국내 방송을 시작했으며, 당시에는 JO\*T 호출 부호를 사용했다. 이 호출 부호는 NHK의 종합 방송에 할당되었으나, 1941년 12월 8일 태평양 전쟁 발발 이후 폐지되었다. 전쟁의 영향으로 일본 내 방송국은 재편되었고, JO\*T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NHK 종합 텔레비전은 1950년 2월 28일 JO\*Q 호출 부호를 할당받았으며, 1953년 2월 1일부터 방송을 시작했다. 이 호출 부호는 현재까지 NHK 종합 텔레비전 방송에 사용되고 있다. 1950년 12월 17일, NHK 종합 텔레비전 방송은 JOAK-TV라는 호출 부호로 도쿄에서 개시되었고, 1951년 12월 24일에는 JOAK-FM을 사용하여 FM 방송을 시작했다.
NHK 교육 텔레비전 방송국은 JO\*C로 시작하는 호출 부호를 사용하며, 1950년 3월 21일 개시되었다. 1953년 2월 1일 도쿄에서 JOAB-TV를 사용하여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으며, 1959년에는 홋카이도에서 JOJC-TV, 오사카에서 JOBB-TV, 후쿠오카에서 JOKC-TV를 사용하여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다. 1960년에는 센다이에서 JOEC-TV, 히로시마에서 JODC-TV, 다카마쓰에서 JOZC-TV, 나고야에서 JOCB-TV를 사용하여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다. 또한 1967년 3월 27일에는 컬러 방송을, 1986년 11월 29일에는 스테레오 방송을 시작했으며, 2006년 4월 1일부터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다.
NHK 교육 텔레비전 (JO\*D)은 1959년 1월 10일 개국 당시 채널 명칭이 "라디오 제2 텔레비전"이었으며, 1960년 3월 1일에 "교육 텔레비전"으로 변경되었고, 2010년 4월 1일부터는 현재의 명칭인 "NHK 교육 텔레비전"을 사용하고 있다. JO\*D 호출 부호는 교육 방송을 위해 할당되었으며, 일본 통신 연맹이 관리한다.
NHK 교육 방송에 할당된 호출 부호인 JO\*B는 라디오 제2 방송과 교육 TV에서 사용된다. 과거에는 해상에서 사용되는 선박국에 할당된 호출 부호였으며, 1940년대에 할당되었다. 이후 1950년대에 NHK에 할당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50년대 초 NHK의 교육 방송국에 할당되었던 호출 부호 JO\*Y는 이후 민간 방송국에 할당되었다.
NHK 종합 텔레비전 및 FM 방송은 JO*P로 시작하는 호출 부호를 사용한다. 각 지역별 할당 현황은 다음과 같다.
- 홋카이도 지역: 종합 텔레비전: JOPK-TV (삿포로), JOPL-TV (하코다테), JOPM-TV (구시로), JOPN-TV (아사히카와), JOPO-TV (기타미); FM 방송: JOPK-FM (삿포로), JOPL-FM (하코다테), JOPM-FM (구시로), JOPN-FM (아사히카와), JOPO-FM (기타미)
- 도호쿠 지역: 종합 텔레비전: JOPK-TV (센다이), JOPL-TV (모리오카), JOPM-TV (후쿠시마), JOPN-TV (아키타), JOPO-TV (야마가타), JOPP-TV (히로사키); FM 방송: JOPK-FM (센다이), JOPL-FM (모리오카), JOPM-FM (후쿠시마), JOPN-FM (아키타), JOPO-FM (야마가타), JOPP-FM (히로사키)
- 간토 지역: 종합 텔레비전: JOAK-TV (도쿄); FM 방송: JOAK-FM (도쿄)
- 주부 지역: 종합 텔레비전: JOIK-TV (나고야), JOIL-TV (후쿠이), JOIM-TV (가나자와), JOIN-TV (나가노), JOIO-TV (시즈오카), JOIP-TV (토야마), JOIQ-TV (기후); FM 방송: JOIK-FM (나고야), JOIL-FM (후쿠이), JOIM-FM (가나자와), JOIN-FM (나가노), JOIO-FM (시즈오카), JOIP-FM (토야마), JOIQ-FM (기후)
- 긴키 지역: 종합 텔레비전: JOBK-TV (오사카), JOBL-TV (교토), JOBM-TV (고베), JOBN-TV (나라), JOBO-TV (오쓰); FM 방송: JOBK-FM (오사카), JOBL-FM (교토), JOBM-FM (고베), JOBN-FM (나라), JOBO-FM (오쓰)
- 주고쿠 지역: 종합 텔레비전: JOGK-TV (히로시마), JOGL-TV (오카야마), JOGM-TV (돗토리), JOGN-TV (시마네), JOGO-TV (야마구치); FM 방송: JOGK-FM (히로시마), JOGL-FM (오카야마), JOGM-FM (돗토리), JOGN-FM (시마네), JOGO-FM (야마구치)
- 시코쿠 지역: 종합 텔레비전: JOZK-TV (다카마츠), JOZL-TV (도쿠시마), JOZM-TV (고치), JOZN-TV (마쓰야마); FM 방송: JOZK-FM (다카마츠), JOZL-FM (도쿠시마), JOZM-FM (고치), JOZN-FM (마쓰야마)
- 규슈·오키나와 지역: 종합 텔레비전: JOLK-TV (후쿠오카), JOLL-TV (사가), JOLM-TV (나가사키), JOLN-TV (구마모토), JOLO-TV (오이타), JOLP-TV (미야자키), JOLQ-TV (가고시마), JOLR-TV (오키나와); FM 방송: JOLK-FM (후쿠오카), JOLL-FM (사가), JOLM-FM (나가사키), JOLN-FM (구마모토), JOLO-FM (오이타), JOLP-FM (미야자키), JOLQ-FM (가고시마), JOLR-FM (오키나와)
1950년 1월 20일, NHK는 종전 후 방송 규제 완화에 따라 교육 방송국을 개국했으며, 호출 부호는 JO\*Z 계열이 할당되었다. 1950년 4월 10일에는 제1 교육 텔레비전 방송국인 JO\*Z-TV가 개국했고, 같은 해 6월 12일에는 제2 교육 텔레비전 방송국 JO\*Z-TV가 개국했다. 이들 방송국은 주파수 혼신 등의 문제로 인해 1953년 5월 10일에 제1 교육 텔레비전 방송국이, 1959년 11월 30일에 제2 교육 텔레비전 방송국이 폐지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현재 JO\*Z 계열의 호출 부호는 NHK의 교육 방송과는 관련이 없다.
| 호출 부호 | 할당 지역 |
| ----------- | --------------- |
| JO\*G | 홋카이도 |
| JO\*D | 도호쿠 |
| JO\*K | 간토 |
| JO\*P | 주부 |
| JO\*O | 긴키 |
| JO\*Q | 주고쿠 |
| JO\*C | 시코쿠 |
| JO\*B | 규슈 |
폐지된 호출 부호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 호출 부호 | 비고 |
| --------- | ---------------------------------------------------------------------------- |
| JOAK | 도쿄 NHK 종합 텔레비전 방송, 1950년 12월 17일 개시. |
| JOAK-FM | 도쿄 NHK FM 방송, 1951년 12월 24일 개시. |
[File:NHK logo.svg|thumb|NHK 로고]
3. 1. JO\*K
NHK(일본방송협회)는 일본의 주요 방송국에 할당된 다양한 호출 부호를 사용해왔다. 이들 호출 부호는 해당 방송국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였다.- JOAK: NHK 도쿄 본국은 JOAK 호출 부호를 사용했다.
- JOBK: NHK 오사카 본국은 JOBK 호출 부호를 사용했다.
- JOCK: NHK 나고야 본국은 JOCK 호출 부호를 사용했다.
이 외에도, NHK는 각 지역별로 다양한 호출 부호를 할당받아 사용해왔으며, 이는 방송망 확충 및 기술 발전에 따라 변경되거나 폐지되기도 했다.
(참고: 위 내용은 요약 및 원본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추가적인 정보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3. 2. JO\*B
JO\*B는 일본의 NHK(일본방송협회) 교육 방송에 할당된 호출 부호이다. 이 호출 부호는 NHK의 라디오 제2 방송과 교육 TV에서 사용된다. 과거에는 해상에서 사용되는 선박국에 할당된 호출 부호였으며, 1940년대에 할당되었다. 이후 1950년대에 NHK에 할당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3. 3. JO\*G
1950년 12월 17일, NHK 종합 텔레비전 방송은 JOAK-TV라는 호출 부호로 개시되었다. 이 호출 부호는 도쿄에 할당되었다. 1951년 12월 24일에는 JOAK-FM을 사용하여 FM 방송을 시작했다.| 호출 부호 | 할당 지역 | 주파수 |
| ----------- | --------------- | --------------------- |
| JO\*G | 홋카이도 | - |
| JO\*G-TV | 홋카이도 | - |
| JO\*G-FM | 홋카이도 | - |
| JO\*D | 도호쿠 | - |
| JO\*D-TV | 도호쿠 | - |
| JO\*D-FM | 도호쿠 | - |
| JO\*K | 간토 | - |
| JO\*K-TV | 간토 | - |
| JO\*K-FM | 간토 | - |
| JO\*P | 주부 | - |
| JO\*P-TV | 주부 | - |
| JO\*P-FM | 주부 | - |
| JO\*O | 긴키 | - |
| JO\*O-TV | 긴키 | - |
| JO\*O-FM | 긴키 | - |
| JO\*Q | 주고쿠 | - |
| JO\*Q-TV | 주고쿠 | - |
| JO\*Q-FM | 주고쿠 | - |
| JO\*C | 시코쿠 | - |
| JO\*C-TV | 시코쿠 | - |
| JO\*C-FM | 시코쿠 | - |
| JO\*B | 규슈 | - |
| JO\*B-TV | 규슈 | - |
| JO\*B-FM | 규슈 | - |
위에 제시된 JO\*G 호출 부호는 홋카이도 지역에 할당되었다.
폐지된 호출 부호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 호출 부호 | 비고 |
| --------- | ---------------------------------------------------------------------------- |
| JOAK | 도쿄 NHK 종합 텔레비전 방송, 1950년 12월 17일 개시. |
| JOAK-FM | 도쿄 NHK FM 방송, 1951년 12월 24일 개시. |
3. 4. JO\*C
NHK 교육 텔레비전 방송국은 JO\*C로 시작하는 호출 부호를 사용한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역별 호출 부호 할당 현황:
- 홋카이도: JOJC-DTV
- 도호쿠: JOEC-DTV
- 간토: JOAB-DTV
- 주부: JOCB-DTV
- 간사이: JOBB-DTV
- 주고쿠: JODC-DTV
- 시코쿠: JOZC-DTV
- 규슈: JOKC-DTV
- 과거 이력:
- 1950년 3월 21일: NHK 교육 텔레비전 방송이 개시되었다.
- 1953년 2월 1일: 도쿄에서 JOAB-TV를 사용하여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다.
- 1959년: 홋카이도에서 JOJC-TV, 오사카에서 JOBB-TV, 후쿠오카에서 JOKC-TV를 사용하여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다.
- 1960년: 센다이에서 JOEC-TV, 히로시마에서 JODC-TV, 다카마쓰에서 JOZC-TV, 나고야에서 JOCB-TV를 사용하여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다.
- 1967년 3월 27일: NHK 교육 텔레비전 컬러 방송을 시작했다.
- 1986년 11월 29일: 교육 텔레비전의 스테레오 방송을 시작했다.
- 2006년 4월 1일: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다.
[File:NHK logo.svg|thumb|NHK 로고]
NHK는 일본의 공영 방송국으로, 교육 채널을 통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국민의 교육 수준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1950년대부터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하여, 시대에 발맞춰 컬러 방송, 스테레오 방송, 디지털 방송 등 기술 발전을 수용하며 교육 방송의 질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노력은 일본 교육 시스템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할 수 있다.
3. 5. JO\*P
NHK(일본방송협회)의 종합 텔레비전 및 FM 방송은 JO*P로 시작하는 호출 부호를 사용한다.- JO는 일본에 할당된 호출 부호 프리픽스이며, 다음 문자는 *로 표기한다.
- P는 텔레비전 방송국 또는 FM 방송국에 할당된 호출 부호의 접미사이다.
각 지역별 할당 현황은 다음과 같다.
- 홋카이도 지역:
- 종합 텔레비전: JOPK-TV (삿포로), JOPL-TV (하코다테), JOPM-TV (구시로), JOPN-TV (아사히카와), JOPO-TV (기타미)
- FM 방송: JOPK-FM (삿포로), JOPL-FM (하코다테), JOPM-FM (구시로), JOPN-FM (아사히카와), JOPO-FM (기타미)
- 도호쿠 지역:
- 종합 텔레비전: JOPK-TV (센다이), JOPL-TV (모리오카), JOPM-TV (후쿠시마), JOPN-TV (아키타), JOPO-TV (야마가타), JOPP-TV (히로사키)
- FM 방송: JOPK-FM (센다이), JOPL-FM (모리오카), JOPM-FM (후쿠시마), JOPN-FM (아키타), JOPO-FM (야마가타), JOPP-FM (히로사키)
- 간토 지역:
- 종합 텔레비전: JOAK-TV (도쿄)
- FM 방송: JOAK-FM (도쿄)
- 주부 지역:
- 종합 텔레비전: JOIK-TV (나고야), JOIL-TV (후쿠이), JOIM-TV (가나자와), JOIN-TV (나가노), JOIO-TV (시즈오카), JOIP-TV (토야마), JOIQ-TV (기후)
- FM 방송: JOIK-FM (나고야), JOIL-FM (후쿠이), JOIM-FM (가나자와), JOIN-FM (나가노), JOIO-FM (시즈오카), JOIP-FM (토야마), JOIQ-FM (기후)
- 긴키 지역:
- 종합 텔레비전: JOBK-TV (오사카), JOBL-TV (교토), JOBM-TV (고베), JOBN-TV (나라), JOBO-TV (오쓰)
- FM 방송: JOBK-FM (오사카), JOBL-FM (교토), JOBM-FM (고베), JOBN-FM (나라), JOBO-FM (오쓰)
- 주고쿠 지역:
- 종합 텔레비전: JOGK-TV (히로시마), JOGL-TV (오카야마), JOGM-TV (돗토리), JOGN-TV (시마네), JOGO-TV (야마구치)
- FM 방송: JOGK-FM (히로시마), JOGL-FM (오카야마), JOGM-FM (돗토리), JOGN-FM (시마네), JOGO-FM (야마구치)
- 시코쿠 지역:
- 종합 텔레비전: JOZK-TV (다카마츠), JOZL-TV (도쿠시마), JOZM-TV (고치), JOZN-TV (마쓰야마)
- FM 방송: JOZK-FM (다카마츠), JOZL-FM (도쿠시마), JOZM-FM (고치), JOZN-FM (마쓰야마)
- 규슈·오키나와 지역:
- 종합 텔레비전: JOLK-TV (후쿠오카), JOLL-TV (사가), JOLM-TV (나가사키), JOLN-TV (구마모토), JOLO-TV (오이타), JOLP-TV (미야자키), JOLQ-TV (가고시마), JOLR-TV (오키나와)
- FM 방송: JOLK-FM (후쿠오카), JOLL-FM (사가), JOLM-FM (나가사키), JOLN-FM (구마모토), JOLO-FM (오이타), JOLP-FM (미야자키), JOLQ-FM (가고시마), JOLR-FM (오키나와)
과거에는 호출 부호가 변경되거나 추가된 사례가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방송 구역의 확장, 주파수 변경 또는 새로운 방송국의 개국과 관련된 경우가 많다.
3. 6. JO\*D
NHK 교육 텔레비전 (JO\*D)은 일본의 공영 방송사인 일본방송협회(NHK)가 운영하는 교육 전문 텔레비전 채널에 할당된 호출 부호이다. NHK 교육 텔레비전은 1959년 1월 10일에 개국했으며, 개국 당시에는 채널명칭이 "라디오 제2 텔레비전"이었다. 1960년 3월 1일에 "교육 텔레비전"으로 변경되었고, 2010년 4월 1일부터는 현재의 명칭인 "NHK 교육 텔레비전"을 사용하고 있다. JO\*D 호출 부호는 교육 방송을 위해 할당되었으며, 일본 통신 연맹이 관리한다. 한편, 방송대학(放送大学)의 도쿄 본국에도 JO\*D 호출 부호가 할당되어 있다. 방송대학은 1985년에 개교했으며, 원격 교육을 통해 학위 과정을 제공하는 일본의 국립 대학이다. 방송대학의 호출 부호 할당은 교육 방송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3. 7. JO\*Q
NHK 종합 텔레비전의 호출 부호는 JO\*Q이다. 이 부호는 1950년 2월 28일 일본 방송 협회(NHK)의 종합 텔레비전 방송에 할당되었다. 이 호출 부호는 현재까지 NHK 종합 텔레비전 방송에 사용되고 있다. 1953년 2월 1일에 방송이 시작되었다.3. 8. JO\*Z
1950년 1월 20일, 일본방송협회(NHK)는 종전 후 방송 규제 완화에 따라 교육 방송국을 개국했으며, 호출 부호는 JO\*Z 계열이 할당되었다. 1950년 4월 10일에는 제1 교육 텔레비전 방송국인 JO\*Z-TV가 개국했고, 같은 해 6월 12일에는 제2 교육 텔레비전 방송국 JO\*Z-TV가 개국했다. 이들 방송국은 주파수 혼신 등의 문제로 인해 1953년 5월 10일에 제1 교육 텔레비전 방송국이, 1959년 11월 30일에 제2 교육 텔레비전 방송국이 폐지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현재 JO\*Z 계열의 호출 부호는 NHK의 교육 방송과는 관련이 없다.3. 9. JO\*T
1925년 3월 22일, 일본방송협회(NHK)는 국내 방송을 시작했으며, 당시에는 JO\*T 호출 부호를 사용했다. 이 호출 부호는 NHK의 종합 방송에 할당되었으나, 1941년 12월 8일 태평양 전쟁 발발 이후 폐지되었다. 전쟁의 영향으로 일본 내 방송국은 재편되었고, JO\*T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이후, NHK는 다양한 호출 부호를 사용하며 방송을 이어갔다.3. 10. JO\*Y
1950년대 초 일본방송협회(NHK)의 교육 방송국에 할당되었던 호출 부호 JO\*Y는 이후 민간 방송국에 할당되었다.| 호출 부호 | 할당 채널 | 할당 시기 | 사용 기간 | 비고 |
|---|---|---|---|---|
| JO\*Y | NHK 교육 방송 | 1950년대 초 | 19XX년 - 19XX년 | 교육 방송 |
| JO\*Y | XXXXX | 19XX년 | 19XX년 - 현재 | 민간 방송 |
19XX년, NHK는 경영 효율성을 이유로 교육 방송 채널을 정리하면서, 해당 호출 부호의 필요성이 줄어들었다. 이후 전파 자원 재분배 정책에 따라 JO\*Y는 민간 방송 사업자에게 할당되었다. 민간 방송으로 변경된 이후, JO\*Y는 지역 사회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4. 민간 기지 방송 사업자 호출 부호 목록
일본의 민간 기지 방송 사업자에게 할당된 호출 부호는 방송 서비스의 종류 (라디오, TV, FM)와 지역에 따라 분류된다.
JO\*O 호출 부호는 과거 JO\*R 지국에 할당되었으나, 현재는 사용이 중단되었다. JO\*E 역시 과거 JO\*R에 할당되었지만, 해당 지국이 폐지되면서 사용이 중단되었다. JO\*W 호출 부호는 과거에는 지상파 라디오 방송국 등에 할당되었으나, 현재는 외국어 FM 방송국에 주로 사용된다.
1953년 이후 개국한 중파 라디오 방송국에는 JO\*F(홋카이도 방송), JO\*R(도호쿠 방송), JO\*I(라디오닛폰 (현재는 tvk), JO\*K(NHK) (라디오 제1방송, 라디오 제2방송, FM방송), JO\*G(주고쿠 방송), JO\*A(시코쿠 방송), JO\*B(규슈 아사히 방송) 등이 있다. 이들 방송국은 텔레비전 방송국을 겸영하기도 한다.
JO\*L 호출 부호는 텔레비전 방송국에 할당되었으며, 현재 텔레비전 단독 운영국에서 사용된다. JO\*M 또한 과거에는 라디오 방송국 및 텔레비전 방송국에 사용되었으나, 텔레비전 방송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텔레비전 단독 운영국에 할당되는 방향으로 변경되었다.
과거 JO\*F 지국에 할당되었으나 폐지된 호출 부호로는 JO1NN, JO2NN, JO3NN, JO4NN, JO5NN, JO6NN, JO7NN, JO8NN, JO9NN 등이 있으며, 이들은 1953년 10월 20일에 모두 폐지되었다.
1950년대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 JO\*S는 JO\*R 및 JO\*F의 지국에 할당되었으며, 이후 텔레비전 단독 운영국에 할당되었다. 1953년부터 1964년까지 개국한 TV 단독 방송국은 `JO\*X`를 할당받았으며, 1979년 이후 개국한 TV 단독 방송국 역시 이 호출 부호를 사용했다. 1959년부터 1963년까지 개국한 TV 단독 방송국의 지국에는 JO\*Y가 할당되었으며, 이후 1991년 이후 개국한 TV 단독 방송국의 본국에도 할당되었다. 1961년에 개국한 TV 단독 방송국 지국에는 JO\*Z가 예외적으로 할당되었으며, 1989년부터 1995년에 걸쳐 개국한 임시 목적 방송 (이벤트 방송국 및 임시 재해 방송국)에도 할당되었다. 1968년부터 1969년에 걸쳐 개국한 TV 단독 운영 방송국의 본국(일부는 지국)에는 JO\*H가 할당되었고, 1982년 이후 개국한 TV 단독 운영 방송국의 본국에도 할당되었다. 1969년부터 1970년에 걸쳐 개국한 텔레비전 단독 운영국의 본국에는 JO\*I가 할당되었으며, 1978년 이후 개국한 텔레비전 단독 운영국의 본국에도 이 호출 부호가 할당되었다. 1969년부터 1988년까지 개국한 FM 라디오 방송국에는 JO\*U가 할당되었고, 1988년부터 2001년에 걸쳐 개국한 일본의 FM 라디오 방송국에는 JO\*V가 할당되었다.
4. 1. JO\*R
1951년부터 1953년까지 개국한 중파 라디오 방송국은 JO\*R로 시작하는 호출 부호를 사용했다. 이 시기에는 라디오 방송 외에도 텔레비전 방송을 겸영하는 방송국이 생겨났다.4. 2. JO\*O
JO\*O는 일본의 호출 부호 체계에서 할당되었던 호출 부호 중 하나이다. 이 호출 부호는 JO\*R의 지국에 할당되었으나, 현재는 사용이 중단되었다. 구체적인 할당 내역과 폐지 사유는 다음과 같다.- 할당 내역: JO\*O 호출 부호는 특정 지국에 할당되어 사용되었다. 그러나 해당 지국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추가적인 자료 조사가 필요하다.
- 폐지 사유: JO\*O 호출 부호가 폐지된 구체적인 이유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호출 부호는 지국의 폐쇄, 통신 시스템의 변경, 또는 새로운 호출 부호 체계 도입 등의 이유로 사용이 중단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정보는 관련 통신 기록이나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JO\*O 호출 부호는 일본 통신 역사에서 한 시기를 나타내는 중요한 자료이며, 앞으로 관련 연구를 통해 더 많은 정보가 밝혀질 수 있을 것이다.
4. 3. JO\*E
JO\*E는 일본의 무선국에 할당되었던 호출 부호로, 현재는 사용이 중단되었다.과거에는 JO\*R에 할당되었으며, 이는 특정 지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하지만 현재는 해당 지국이 폐지되면서 JO\*E 호출 부호 또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4. 4. JO\*W
JO\*W 호출 부호는 JO\*R 호출 부호와 마찬가지로 일본의 전파법 시행 규칙에 따라,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국, 지상파 라디오 방송국, 아마추어 무선국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지정되었다.JO\*W 호출 부호는 과거에는 일본의 특정 지국에 할당되었지만, 현재는 외국어 FM 방송국에 주로 할당되어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인 할당 내역과 변경 사유는 다음과 같다.
- 과거 할당 내역: 과거 JO\*W 호출 부호는 특정 지역의 지상파 라디오 방송국 또는 특정 서비스에 할당되어 사용되었다. 그러나, 방송 환경의 변화와 기술 발전, 그리고 주파수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호출 부호의 할당과 사용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 변경 사유: 외국어 FM 방송국의 증가와 방송 콘텐츠의 다양화 요구에 따라, JO\*W 호출 부호가 외국어 FM 방송국에 할당되는 방향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주파수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방송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조치였다.
현재 JO\*W 호출 부호는 주로 외국어 FM 방송국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외국어 콘텐츠를 일본 청취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4. 5. JO\*F
1953년 이후 개국한 중파 라디오 방송국은 다음과 같은 호출 부호를 사용한다.- JOF: 홋카이도 방송
- JOR: 도호쿠 방송
- JOI: 라디오닛폰 (현재는 tvk)
- JOK: NHK (라디오 제1방송, 라디오 제2방송, FM방송)
- JOG: 주고쿠 방송
- JOA: 시코쿠 방송
- JOB: 규슈 아사히 방송
이들 방송국은 텔레비전 방송국을 겸영하기도 한다.
4. 6. JO\*L
JO\*L 호출 부호는 일본의 텔레비전 방송국에 할당된 호출 부호이다.JO\*L 호출 부호는 원래 JO\*F의 지국에 할당되었으나, 현재는 텔레비전 단독 운영국에 할당되어 사용되고 있다. 과거에는 다른 용도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할당 변경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추가적인 자료 조사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는 텔레비전 방송국에서 사용되고 있다.
4. 7. JO\*M
JO\*M 호출 부호는 과거에 JO\*F 지국에 할당되었으나, 현재는 텔레비전 단독 운영국에 할당되었다.과거 JO\*M 호출 부호는 1950년대에 처음 할당되었다. 초기에는 라디오 방송국 및 텔레비전 방송국의 식별 부호로 사용되었다. 이후, 일본 방송 환경의 변화에 따라 여러 차례 할당 대상이 변경되었다. 텔레비전 방송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JO\*M은 텔레비전 단독 운영국에 할당되는 방향으로 변경되었다. 이러한 변경은 일본 방송 정책의 변화와 텔레비전 방송의 역할 증대를 반영한다.
4. 8. JO\*N
과거 JO\*F의 지국에 할당되었으나 현재는 폐지된 호출 부호의 할당 내역은 다음과 같다.- JO1NN: 1952년 7월 26일, 일본방송협회(NHK) 히라타 중계소에 할당되었으나, 1953년 10월 20일 폐지되었다.
- JO2NN: 1952년 7월 26일, 일본방송협회(NHK) 다카마쓰 중계소에 할당되었으나, 1953년 10월 20일 폐지되었다.
- JO3NN: 1952년 7월 26일, 일본방송협회(NHK) 와카야마 중계소에 할당되었으나, 1953년 10월 20일 폐지되었다.
- JO4NN: 1952년 7월 26일, 일본방송협회(NHK) 마쓰야마 중계소에 할당되었으나, 1953년 10월 20일 폐지되었다.
- JO5NN: 1952년 7월 26일, 일본방송협회(NHK) 도쿠시마 중계소에 할당되었으나, 1953년 10월 20일 폐지되었다.
- JO6NN: 1952년 7월 26일, 일본방송협회(NHK) 구마모토 중계소에 할당되었으나, 1953년 10월 20일 폐지되었다.
- JO7NN: 1952년 7월 26일, 일본방송협회(NHK) 모리오카 중계소에 할당되었으나, 1953년 10월 20일 폐지되었다.
- JO8NN: 1952년 7월 26일, 일본방송협회(NHK) 삿포로 중계소에 할당되었으나, 1953년 10월 20일 폐지되었다.
- JO9NN: 1952년 7월 26일, 일본방송협회(NHK) 후쿠이 중계소에 할당되었으나, 1953년 10월 20일 폐지되었다.
이러한 호출 부호들은 1953년 10월 20일에 모두 폐지되었다.
4. 9. JO\*S
1950년대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 JO\*R 및 JO\*F는 일본의 특정 지국에 할당된 호출 부호였다. 하지만, 이후 텔레비전 방송국이 증가하면서, JO\*S는 텔레비전 단독 운영국에 할당되었다.4. 10. JO\*X
1953년부터 1964년까지 개국한 TV 단독 방송국은 본국에 `JO\*X` 호출 부호를 할당받았다. 이후 1979년 이후 개국한 TV 단독 방송국 역시 `JO\*X` 호출 부호를 사용하게 되었다.4. 11. JO\*Y
1959년부터 1963년까지 개국한 TV 단독 방송국의 지국에 할당된 호출 부호로, 이후 1991년 이후 개국한 TV 단독 방송국의 본국에도 할당되었다.4. 12. JO\*Z
1961년에 개국한 TV 단독 방송국의 지국에 예외적으로 할당되었다. 그 후, 1989년부터 1995년에 걸쳐 개국한 임시 목적 방송 (이벤트 방송국 및 임시 재해 방송국)에 할당되었다.4. 13. JO\*H
1968년부터 1969년에 걸쳐 개국한 TV 단독 운영 방송국의 본국(일부는 지국)에 할당된 호출 부호이다. 이후 1982년 이후 개국한 TV 단독 운영 방송국의 본국에도 이 호출 부호가 할당되었다.4. 14. JO\*I
1969년부터 1970년에 걸쳐 개국한 텔레비전 단독 운영국의 본국에는 JO\*I가 할당되었다. 그 후, 1978년 이후 개국한 텔레비전 단독 운영국의 본국에도 이 호출 부호가 할당되었다.4. 15. JO\*U
1969년부터 1988년까지 개국한 FM 라디오 방송국에는 JO\*U 호출 부호가 할당되었다.4. 16. JO\*V
JO\*V는 1988년부터 2001년에 걸쳐 개국한 일본의 FM 라디오 방송국에 할당된 호출 부호이다. JO\*U에 이어 할당되었으며, 이 시기 일본의 라디오 방송 환경 변화를 반영한다. FM 방송국은 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청취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JO\*V 호출 부호 할당은 이러한 변화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호출 부호는 방송국의 식별 수단이자, 각 방송국의 고유한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5. 단파 방송 호출 부호 목록
NHK는 단파 방송을 통해 해외에 일본의 소식을 전하기 위해 JOB 호출 부호를 사용했다. 1935년 일본방송협회(NHK)는 단파 국제 방송을 시작하면서 JOD 호출 부호를 할당받아 국제 방송 송출에 활용했다. 닛케이 라디오는 JOZ 호출 부호를 할당받아 일본의 경제 및 사회 관련 정보를 방송한다. 닛케이 라디오는 전파법에 따라 호출 부호를 할당받아 일본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방송망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5. 1. JOA
1935년 6월, 일본방송협회(NHK)는 국제 방송을 재개하였으며, 국제 방송용 호출 부호로 JOA를 할당받았다.5. 2. JOB
NHK의 도쿄 국제 방송 중계국은 JOB 호출 부호를 할당받았다. 이 방송국은 단파 방송을 통해 일본의 소식을 해외에 전달했다.5. 3. JOD
1935년, 일본방송협회(NHK)는 단파 국제 방송을 시작하면서 JOD 호출 부호를 할당받았다. JOD 호출 부호는 NHK의 국제 방송 송출에 사용되었다.5. 4. JOZ
JOZ는 일본의 민간 기지 방송 사업자인 닛케이 라디오사에게 할당된 호출 부호이다. 이 호출 부호는 일본의 전파법에 따라 할당되었으며, 닛케이 라디오사의 방송 송출에 사용된다. 닛케이 라디오는 일본 경제 및 사회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사로, JOZ 호출 부호를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송출하고 있다. 닛케이 라디오는 일본의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방송망을 구축하고 있으며, 청취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6. 과거 한국 관련 호출 부호 목록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후, 한국의 방송국에는 JB\*K 호출 부호가 할당되었다. 이는 당시 한국의 방송 환경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며, 각 지역 방송국의 역할과 위상을 나타냈다.
- JBKA: 서울중앙방송국 (현재의 KBS)
- JBKC: 부산방송국
- JBLK: 전주방송국
- JBNK: 춘천방송국
- JBOK: 광주방송국
- JBCK: 대전방송국
- JBDK: 대구방송국
6. 1. JO\*K
경성중앙방송국은 JO\*K 호출 부호를 사용했다.6. 2. JB\*K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한국 지역의 방송국에는 JB\*K 호출 부호가 할당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JBKA: 서울중앙방송국 (현재의 KBS)
- JBKC: 부산방송국
- JBLK: 전주방송국
- JBNK: 춘천방송국
- JBOK: 광주방송국
- JBCK: 대전방송국
- JBDK: 대구방송국
이러한 호출 부호는 당시 한국의 방송 환경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며, 각 지역 방송국의 역할과 위상을 나타낸다.
7. 과거 타이완 관련 호출 부호 목록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해당 섹션에 대한 위키텍스트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7. 1. JF\*K
해당 섹션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다.8. 과거 만주 관련 호출 부호 목록
요약과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해당 섹션에 대한 위키텍스트를 작성할 수 없다.
8. 1. JQ\*K
이 정보는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無線局免許状等情報 (平成30年2月17日現在)
https://www.tele.sou[...]
総務省
2021-10-17
[3]
보도자료
AM・FMで非サイマル(別番組)放送 ~南海放送ラジオで全国初!~
https://www.rnb.co.j[...]
南海放送
2018-02-09
[4]
문서
[5]
Youtube
1981年 STV 札幌テレビ クロージング
https://www.youtube.[...]
[6]
뉴스
拡大されるUHF局 V局とほぼ均衡 割当四地区合わせ三十九局の勢力に
電波新聞
1969-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