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탈은 사회 규범에서 벗어나는 행위로, 공식적 일탈과 비공식적 일탈로 나뉜다. 공식적 일탈은 법률 위반인 범죄를, 비공식적 일탈은 사회적 불문율 위반을 의미하며, 금기는 강력하게 금지되는 행동을 뜻한다. 일탈은 구조 기능주의, 상징적 상호작용론, 갈등 이론 등의 사회학적 관점에서 설명되며, 낙인 이론, 차별적 접촉 이론, 중화 이론 등 다양한 이론이 존재한다. 형사 사법 시스템은 공식적 일탈인 범죄를 처리하며, 처벌의 목적은 응보, 억제, 재활, 사회 보호로 나뉜다.

2. 일탈의 유형

사회 규범 위반은 공식적 일탈과 비공식적 일탈,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34]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2. 1. 공식적 일탈

공식적 일탈은 사회의 법률을 위반하는 행위, 즉 범죄를 의미한다.[6]

2. 2. 비공식적 일탈

비공식적 일탈은 법률로 규정되지는 않지만,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않는 행동을 의미한다. 이는 사회생활의 불문율을 어기는 행위로, 경미한 규칙 위반부터 사회적 금기(타부)를 깨는 심각한 행동까지 포함한다. 도덕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는 규범은 '모어(mores)'라고 불리며, 이를 위반하는 것은 강한 비난과 제재를 받을 수 있다.[34]

금기는 특정 사회에서 강력하게 금지되는 행동으로, 공개적으로 언급하는 것조차 꺼려진다. 통가어 "tapu"에서 유래되었으며 "금지된", "허용되지 않은"을 의미한다. 일부 금기는 법으로 금지되어 처벌받을 수 있으며, 다른 금기는 수치심, 불경, 굴욕감을 초래한다. 금기는 보편적이지 않지만 대부분 사회에서 나타난다. 한국 사회에서는 근친상간, 아동 성추행, 패륜 등이 대표적인 금기 사항이다.

2. 2. 1. 라벨링 이론에 따른 일탈 행동 유형

하워드 베커는 라벨링 이론에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유형의 일탈 행동 라벨을 제시했다.[34]

유형설명
거짓 비난다른 사람들이 개인이 순종적이거나 일탈적인 행동을 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경우
순수 일탈다른 사람들이 개인이 일탈적이고 규칙을 위반하는 행동에 참여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경우
순응다른 사람들이 개인이 사회 내에 분포된 사회 규범에 참여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경우
비밀 일탈개인이 일탈적이거나 규칙을 위반하는 행동에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악의적 복종은 특별한 경우에 해당한다.

3. 일탈의 이론

일탈 행동은 지배적인 문화의 집단 규범에 대한 반항이자 하위문화를 옹호하는 행위일 수 있으며, 개성과 정체성을 주장하는 것이기도 하다.[7] 사회에서 개인이나 집단의 행동은 일탈자가 규범을 만드는 방식을 결정한다.[35]

일탈 행동을 설명하는 세 가지 광범위한 사회학적 분류는 구조 기능주의, 상징적 상호 작용, 갈등 이론이다.[7]

구조 기능주의적 일탈 이해

3. 1. 구조적 기능주의

구조적 기능주의는 사회를 유기체처럼 서로 연결된 부분들의 집합으로 보고, 각 부분이 사회 전체의 유지와 안정에 기여한다고 본다. 에밀 뒤르켐과 로버트 머튼의 연구가 기능주의적 이상에 기여했다.[36]

사회학에서 일탈은 이상하고 병리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사회적 현상을 연구하는 것이지만, 일반적인 상식이나 편견에서 벗어나 과학적인 태도로 접근해야 한다. 즉, 어떤 사회에서 일탈로 정의되는 현상이 다른 사회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일탈론의 목적은 "정상적인" 사회의 여러 측면을 밝히는 데 있으며, 왜 여러 현상이 일탈로 취급되는지를 질문함으로써 사회가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살펴본다.

3. 1. 1. 에밀 뒤르켐의 자살론

에밀 뒤르켐은 일탈이 사회 조직의 정상적이고 필요한 부분이라고 주장하며,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중요한 기능을 제시했다.[3]

# 일탈은 문화적 가치와 규범을 확인한다. 악이 없으면 선이 없고, 범죄가 없으면 정의도 없듯이, 미덕은 악덕에 대한 반대 개념에 기초한다.[3]

# 일탈은 도덕적 경계를 정의하며, 사람들은 일탈을 정의함으로써 옳고 그름을 배운다.

# 심각한 일탈은 사람들이 함께 모여 같은 방식으로 대응하게 한다.

# 일탈은 사회의 도덕적 경계를 넓혀 사회 변화를 이끈다.

사회적 일탈이 발생하면 집단적 양심이 침해된다. 뒤르켐은 집단적 양심을 사회 구성원들이 따르는 사회 규범의 집합으로 묘사했다.[8]

사회 통합은 집단 및 제도에 대한 소속감을, 사회 규제는 사회 규범과 가치 준수를 의미한다. 뒤르켐은 사회적 일탈을 사회 통합 및 사회 규제의 극단적 상황 때문이라고 보았다. 그는 사회 통합과 사회 규제 간의 관계에서 네 가지 자살 유형을 제시했다.[8]

# '''이타적 자살''': 사회 통합이 과도할 때 발생한다.

# '''이기적 자살''': 사회 통합이 부족할 때 발생한다.

# '''아노미적 자살''': 목적 의식 부재나 절망감으로 사회적 규제가 거의 없을 때 발생한다.

# '''숙명적 자살''': 지나치게 많은 사회적 규제를 경험할 때 발생한다.

3. 1. 2. 로버트 머튼의 아노미 이론

로버트 K. 머튼은 그의 스트레인/아노미 이론에서 사회적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합법적인 수단의 불일치를 아노미 상태로 정의했다. 그는 사회의 목표와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단 사이의 불일치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나 좌절이 집단 행동을 유발한다고 보았다.[9] 머튼은 개인이 이러한 아노미 상황에 적응하는 5가지 방식을 제시했다.[3]

250px


적응 방식문화적 목표 (예: 경제적 성공)제도화된 수단 (예: 교육, 취업)
순응수용수용
혁신수용거부
의례주의거부수용
도피주의거부거부
반역거부 후 새로운 목표와 수단으로 대체거부 후 새로운 목표와 수단으로 대체


  • 혁신: 부를 강조하는 문화와 부자가 될 기회의 부족으로 인해, 사람들은 절도 및 마약 판매와 같은 범죄를 통해 금전적 성공을 추구한다. 이들은 사회의 목표는 받아들이지만,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수단은 거부한다.[3]

  • 순응: 사회의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모두 받아들인다. 예를 들어, 열심히 노력하면 금전적 성공을 얻을 수 있다고 믿는다. 머튼은 순응주의자들이 대부분 중산층이며, 교육과 같은 기회를 통해 성공할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10]

  • 의례주의: 문화적 목표 달성 가능성을 포기하고, 규칙 준수에만 집중한다. 이들은 사회의 목표는 거부하지만, 제도화된 수단은 받아들인다. 막다른 골목의 반복적인 직업에서 흔히 발견된다.[3]

  • 도피주의: 문화적 목표와 수단을 모두 거부하고 사회에서 "탈락"한다. 머튼은 이들을 진정한 일탈자로 보았다. 하층민의 노숙과 중독이 이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11]

  • 반역: 문화적 목표와 수단을 모두 거부하고, 새로운 목표와 수단을 만들어 기존 사회 질서에 저항한다. 이들은 새로운 목표와 수단을 창출하여 다른 반역자들과 함께 새로운 사회를 만들고자 한다.[3]

3. 2. 상징적 상호작용론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개인 간의 의사소통, 해석, 조절 패턴에 주목한다. 이 과정은 몸짓 발상 게임과 유사하지만, 완전한 대화 형태를 띤다.[40]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인간의 삶과 행동을 연구하는 독특한 접근 방식을 가리킨다.[41] 이 이론에 따르면, 현실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발전하며, 사람들은 현실에 직접 반응하기보다는 현실에 대한 사회적 이해에 따라 행동한다. 인간은 물리적 객관적 현실, 사회적 현실, 독특한 현실이라는 세 가지 현실 속에 존재하는데, 독특한 현실은 사회적 현실에서 파생된 것으로, 다른 사람들이 보여주는 현실에 대한 개인적인 해석을 의미한다.[42]

허버트 블루머는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세 가지 기본 전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41]

# 인간은 사물에 부여하는 의미를 바탕으로 사물에 대해 행동한다.

# 그러한 사물의 의미는 다른 사람 및 사회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발생한다.

# 이러한 의미는 사람이 접하는 사물을 처리하는 데 사용하는 해석 과정을 통해 처리되고 수정된다.

사회학에서 일탈은 이상하고 병리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현상을 연구하지만, 과학적인 태도로 접근하여 사회 기능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3. 2. 1. 에드윈 서덜랜드의 차별적 접촉 이론

에드윈 서덜랜드는 차별적 접촉 이론을 통해 범죄자와 일탈 행동이 학습되는 것이며, 일탈은 특정 개인에게 본질적으로 내재된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개인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일탈적이거나 범죄적인 행동을 할 때, 이러한 노출의 결과로 범죄 행동이 학습된다.[44] 그는 범죄 행동이 다른 모든 행동을 학습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학습되며, 이는 범죄 지식의 습득이 다른 행동의 학습과 비교하여 특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서덜랜드는 학습이 개인과 집단 간의 상호 작용에서 발생하며, 기호와 아이디어의 의사 소통을 사용한다는 개념을 포함하여 몇 가지 기본적인 점을 이론에 설명했다. 일탈에 대한 기호와 아이디어가 불리한 것보다 훨씬 더 유리할 때, 개인은 일탈에 대해 우호적인 견해를 갖게 되며 이러한 행동을 더 많이 하게 된다.

다른 모든 종류의 행동과 마찬가지로 범죄 행동(동기 및 기술적 지식)도 학습된다. 이에 대한 한 가지 예는 도시 빈민 지역의 갱단 활동이다. 서덜랜드는 어떤 개인의 주요 영향력 있는 동료가 갱 환경에 있기 때문에, 그들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범죄에 연루될 수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44]

3. 2. 2. 그레샴 사이크스와 데이비드 매자의 중화 이론

그레샴 사이크스와 데이비드 매트자는 일탈자들이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중화 이론을 제시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일탈자들은 죄책감을 줄이고 자신의 행동을 합리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중화 기술을 사용한다.[45]

# '''책임 부인''': 일탈자는 자신이 어쩔 수 없이 일탈에 가담했으며, 같은 상황이라면 누구라도 그렇게 행동했을 것이라고 믿는다.

# '''피해 부인''': 일탈자는 자신의 행동이 다른 사람이나 사회에 해를 끼치지 않았으므로 도덕적으로 잘못되지 않았다고 믿는다.

# '''피해자 부인''': 일탈자는 피해자가 도덕성이 부족하여 그 결과를 받을 만했다고 믿는다.

# '''비난자 비난''': 일탈자는 법 집행 기관이나 피해자들이 부패했으므로, 그들의 비난은 위선이라고 믿는다.

# '''상위 충성심 호소''': 일탈자는 법보다 도덕, 우정, 수입, 전통 등 더 높은 가치를 추구하며, 이러한 가치가 법적 경계보다 더 중요하다고 믿는다.

3. 2. 3. 하워드 베커의 낙인 이론

프랭크 타넨바움과 하워드 S. 베커는 낙인 이론을 발전시켰다. 낙인 이론은 '사회적 청중'에 의한 사회적 반응 과정을 중시하는데, 이 과정에서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을 고정관념화하고, 판단하며, 그에 따라 누군가의 행동을 일탈적인 것 혹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정의(낙인)한다.[46][47]

베커는 "사회 집단은 위반이 일탈을 구성하는 규칙을 만들어 일탈을 창조한다"고 믿었다.[48] 즉, "[특정 상황에서] 특정 사람들이 그렇게 정의하고 방해하는 경우에만 행동이 일탈적이거나 범죄가 된다."[49]

낙인 이론에 따르면, 일탈은 일탈자가 도덕적으로 열등하다고 낙인찍히고, 일탈자가 그 낙인을 내면화하며, 마지막으로 일탈자가 특정 낙인에 따라 행동함으로써 발생한다.[31]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탈자'는 낙인에 부합하는 일탈을 저지르면서 일탈을 구성하는 특성을 띠게 된다.[31]

에드윈 레머트는 1차적 일탈과 2차적 일탈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31] 1차적 일탈은 개인이 일탈자로 낙인찍히기 전의 일반적인 일탈 행위이다. 반면 2차적 일탈은 개인이 일탈자로 제도적으로 식별된 후, 이에 대한 반응으로 발생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31]

레머트는 일탈 행위가 반복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단계내용
1초기 일탈
2사회적 처벌
32차 일탈
4더 강력한 처벌
5처벌자에 대한 분노와 적대감의 추가 일탈
6커뮤니티는 일탈자를 범죄자로 낙인
7허용 오차 임계값 통과
8낙인찍기 처벌로 인한 일탈 행위 강화
9마지막으로, 범죄 행위자의 역할로 받아들이는 것



이처럼 낙인 이론은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핵심 측면을 보여주지만, 지배 집단이 무엇이 일탈적이고 허용 가능한지를 결정하고 낙인 과정의 배후에 있는 권력을 누린다는 점에서 갈등 이론의 요소도 가지고 있다.[48]

3. 3. 갈등 이론

갈등 이론은 사회를 지배 집단과 피지배 집단 간의 권력 투쟁의 장으로 본다. 이 이론에 따르면 사회 또는 조직 내에서 각 개인과 집단은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하며, 이 과정에서 갈등이 발생하고 사회 변화와 혁명으로 이어진다.[38] 가난한 사람들의 법적 권리는 무시되고, 중산층은 현상 유지를 통해 상위 계층으로 올라갈 수 있다고 믿으며 엘리트 편에 서는 경향이 있다.

갈등 이론은 범죄의 근본 원인을 사회적, 경제적 힘으로 보며, 권력자가 범죄를 정의하고 법은 억압의 도구로서 힘없는 사람에게는 가혹하고 권력자에게는 덜 가혹하게 적용된다고 주장한다.[38] 그러나 화이트칼라 범죄에 대한 설명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다.[10]

일탈 행위는 개성과 정체성을 주장하는 행위로, 지배적인 문화의 집단 규범에 대한 반항이자 하위문화를 옹호하는 것일 수 있다.[7] 사회에서 개인이나 집단의 행동은 일탈자가 규범을 만드는 방식을 결정한다.[35]

3. 3. 1. 카를 마르크스의 소외 이론

마르크스는 일탈 행위에 관해 직접적으로 글을 쓰지는 않았지만, 프롤레타리아트와 완제품 간의 소외에 관해 글을 썼는데, 이는 갈등을 유발하고, 따라서 일탈 행위를 초래한다고 보았다.

많은 마르크스주의 이론가들이 자본주의 국가에 대한 이론을 논리에 활용했다. 예를 들어, 스티븐 스피처는 사회적 쓰레기와 사회적 다이너마이트에 대한 부르주아의 통제에 대한 이론을 활용했으며, 조지 루셰는 노동에 대한 사회적 수용력과 기반 시설과 연관된 다양한 처벌에 대한 분석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역사적으로 더 많은 노동이 필요할 때 처벌의 강도가 감소하고 일탈 행위에 대한 관용이 증가한다고 이론화했다. 또 다른 마르크스주의 작가인 조크 영은 현대 사회는 다양성을 용납하지 않았지만, 사회적 갈등을 두려워하지 않았다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그러나 현대 후기 사회는 다양성에 매우 관대하다.[3] 하지만 사회적 갈등을 극도로 두려워하는데, 이는 정치적 올바름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제시된다. 현대 후기 사회는 차이를 쉽게 받아들이지만, 원치 않는 사람들을 일탈자로 규정하고 끊임없이 처벌하고 박해한다.

3. 3. 2. 미셸 푸코의 권력 이론

미셸 푸코고문이 권력의 분산으로 인해 현대 사회에서 점차 사라졌다고 보았다. 더 이상 일탈적인 개인에게 국가의 분노를 쏟을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오히려, 현대 국가는 공정성과 권력 분산으로 칭찬받는데, 이는 각 개인을 통제하는 대신 대중을 통제하는 데 사용된다.[35]

그는 또한 제도들이 규율을 통해 사람들을 통제한다고 이론화했다. 예를 들어, 현대 감옥(더 구체적으로는 파놉티콘)은 이러한 제도의 전형인데, 완벽한 규율을 통해 수감자들을 통제하기 때문이다.[35]

푸코는 포스트모던 사회가 개인의 자유 의지 부족으로 특징지어진다고 이론화한다. 지식, 규범, 가치의 제도들은 단순히 인간을 분류하고 통제하기 위해 존재한다.[35]

3. 3. 3. 깨진 유리창 이론

깨진 유리창 이론은 낙서와 같은 경범죄가 증가하면 결국 더 큰 범죄가 증가하고 조장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경미한 형태의 일탈에 대한 치안 유지가 주요 범죄의 감소로 이어질 것임을 시사한다. 이 이론은 1990년대 뉴욕시를 포함한 다양한 환경에서 테스트되었다. 당시 뉴욕의 평균과 비교했을 때, 폭력 범죄율은 캠페인의 결과로 28% 감소했다. 이 이론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치안 유지와 발생한 통계적 변화의 직접적인 인과관계에 의문을 제기한다.[50][22]

3. 4. 통제 이론

통제 이론은 개인과 사회 간의 유대가 약할 때 사람들이 일탈을 저지르게 된다고 본다. 반대로, 강한 유대는 일탈을 어렵게 만든다. 트래비스 허쉬에 따르면, 이 이론은 사람들이 왜 일탈이나 범죄를 저지르는지보다 왜 그런 행동을 삼가는지에 대해 질문한다. 통제 이론은 규범이 일탈 행동을 막기 위해 등장했을 때 발전했으며, 이러한 "통제"가 없으면 일탈 행동이 더 자주 발생한다. 사람들은 순응을 통해 일탈보다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고 믿을 때 집단에 순응한다. 강한 유대가 형성되면 약한 유대가 형성된 경우보다 일탈의 가능성이 더 적어진다.[3] 허쉬는 사람이 사회와의 유대 때문에 규범을 따르며, 유대는 기회, 애착, 신념, 참여의 4가지 요소로 구성된다고 주장했다.[3] 이러한 유대 중 어느 하나라도 약해지거나 끊어지면 반항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더 커진다. 마이클 R. 고트프레드슨과 트래비스 허쉬는 1990년에 자기 통제 이론을 제시했다. 이 이론은 폭력과 사기 행위가 자기 이익과 자기 통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수행되며, 일탈 행위는 범죄자 자신의 자기 통제에 기초한다고 주장한다.

월터 레클리스와 같은 연구자들은 억제 이론을 통제 이론의 일부로 간주하는데, 이는 억제 이론 또한 개인이 범죄에 가담하는 것을 막는 생각들을 중심으로 하기 때문이다. 레클리스는 사회적 무질서가 사회 일탈 하에서 비행과 범죄 연구에 포함된다는 것을 인식하고, 불안정한 지역에 사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중산층 지역에 사는 사람들보다 범죄 성향이 없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다. 레클리스는 자기 통제와 사회적 통제 사이의 상호 작용이 비행적 사고의 발달에 부분적으로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사회적 무질서는 특정 환경과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 대신 개인의 사회적 통제의 약화와 관련이 있었다. 억제 이론은 모든 사람이 일탈 행위를 저지르는 것을 막아주는 정신적, 사회적 안전 장치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다. 억제는 개인의 규범적 행동에 대한 내적 및 외적 통제를 구분하는 능력에 달려있다.[23]

로버트 크러치필드와 같은 현대 통제 이론가들은 노동 시장 경험이 개별 노동자의 태도와 "이해 관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녀의 순응에 대한 관점 발달에도 영향을 미치고 비행에 연루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팀 워즈워스가 수행한 연구에서는 부모의 고용과 자녀의 비행 사이의 관계가 처음으로 경험적으로 입증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사회 경제적 지위와 비행 사이의 관계가 고용의 질과 비공식적인 사회 통제로서의 역할을 면밀히 조사하면 더 잘 이해될 수 있다는 생각을 뒷받침했다.[24]

3. 5. 생물학적 이론

이탈리아 범죄학파는 생물학적 요인이 범죄와 일탈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체사레 롬브로소는 일부 사람들이 유전적으로 범죄 행동을 하도록 타고났다는 생물학적 일탈 이론을 연구한 초기 학자 중 한 명이다. 그는 범죄자가 초기 유전 형태, 즉 원시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롬브로소의 연구는 찰스 다윈의 진화론에 영향을 받았다. 그는 사람들이 타고난 범죄자, 즉 생물학적으로 덜 진화하고 원시적이며 동물적인 충동을 가진 존재라고 생각했다.

롬브로소는 자신이 연구한 해골에서 낮은 이마와 돌출된 턱을 발견했는데, 이는 네안데르탈인과 같은 원시 인류의 특징과 유사하다고 보았다. 그는 이러한 특징이 생물학적으로 유전되기 때문에 범죄 성향을 치료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롬브로소의 연구는 피어슨과 찰스 버크먼 고링에 의해 반박되었다. 그들은 롬브로소가 충분한 수의 해골을 연구하지 않았으며, 더 많은 해골을 연구한 결과 뼈 구조와 일탈 행동 사이에는 관련성이 없음을 발견했다. 찰스 고링은 이 연구 결과를 "영국 죄수"라는 책으로 발표했다.[7]

4. 형사 사법 시스템

형사 사법 시스템은 공식적 일탈(범죄)을 처리하는 사회 제도이다.[33] 한국의 형사 사법 시스템은 경찰, 검찰, 법원, 교정 시설로 구성된다.


  • '''경찰:''' 경찰은 법을 집행하여 공공 질서를 유지한다. 경찰은 상황 처리 여부와 방법을 결정할 때 개인적인 재량권을 사용한다. 연구에 따르면 경찰은 범죄가 심각하거나, 주변에 구경꾼이 있거나, 용의자가 눈에 띄는 소수 민족인 경우 체포할 가능성이 더 높다.[31][3]
  • '''법원:''' 법원은 피고인을 대리하는 변호사와 검찰을 대리하는 변호사가 법적 절차를 감독하는 판사 앞에서 사건을 제시하는 적대적 절차에 의존한다. 실제로 법원은 대부분의 사건을 탄원 교섭을 통해 해결한다. 이 방법은 효율적이지만, 힘이 약한 사람들에게는 불리하다.[31][3]
  • '''교정 시스템:''' 지역 사회 기반 교정에는 보호 관찰과 가석방이 포함된다.[33][5] 이러한 프로그램은 범죄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들을 감독하는 비용을 낮추고 교도소 과밀화를 줄이지만, 재범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31][3]


처벌의 목적은 응보, 억제, 재활, 사회 보호이다.[31][3] 처벌은 징벌적 정의와 재활적 정의 두 가지 형태 중 하나에 속한다.[36][8]

  • '''징벌적 정의(보복 및 억제):''' 범죄를 저지른 결과로 개인이 고통을 받는 형태이다. 개인에게 가해지는 고통은 대중에게 숨겨지며, 용납 가능한 행동의 경계를 정의한다.
  • '''재활적 정의(재활 및 사회 보호):''' 개인을 바로잡는 것을 목표로 하며, 특정 상황에 초점을 맞춘다.

5. 한국 사회와 일탈

한국 사회는 급격한 사회 변화와 경제 성장을 경험하면서 다양한 사회 문제와 일탈 현상이 나타났다. 산업화, 도시화, 민주화 과정에서 전통적인 사회 규범과 가치관이 약화되고, 새로운 사회 문제들이 발생했으며, 이러한 사회 문제는 다양한 형태의 일탈로 이어질 수 있다. 사회학적 연구는 일탈의 원인과 결과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예방 및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한국 사회의 특수한 문화적, 역사적 맥락을 고려하여 일탈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참조

[1] 논문 Notes on the Sociology of Deviance https://www.jstor.or[...] 1962
[2] 간행물 The Sociology of Deviance https://onlinelibrar[...] John Wiley & Sons, Ltd 2021-11-05
[3] 서적 Sociology Pearson
[4] 논문 A new typology of deviance: Integrating normative and reactivist definitions of deviance
[5] Open source textbook Introduction to Sociology 2e https://cnx.org/cont[...] Rice University 2019-02-28
[6] 웹사이트 Sociology https://socialsci.li[...] Open Education Resource LibreTexts Project 2019-04-22
[7] 웹사이트 7.1E: The Functions of Deviance https://socialsci.li[...] 2019-04-22
[8] 서적 You May Ask Yourself: An Introduction to Thinking Like a Sociologist W. W. Norton
[9] 논문 General strain theory and delinquency: A replication and extension
[10] 논문 7.2 Explaining Deviance https://open.lib.umn[...] 2016-04-08
[11] 웹사이트 Functionalism and Deviance https://courses.lume[...] 2023-08-15
[12] 서적 A First Look at Communication Theory https://archive.org/[...] McGraw-Hill
[13] 서적 Symbolic interactionism; perspective and method https://www.worldcat[...] Prentice-Hall 1969
[14] 문서 Symbolic Interactionism: An Introduction, An Interpretation, Integration Pearson Prentice Hall
[15] 문서 Symbolic Interactionism: Genesis, Varieties, and Criticism Routledge & Kegan Paul
[16] 문서 Everyday Sociology Starpoint Press
[17] 논문 Types of neutralization and delinquency
[18] 서적 Sociology of Deviance https://uogqueensmcf[...]
[19] 서적 The Path of the Devil: Early Modern Witch Hunts Rowman & Littlefield
[20] 서적 Outsiders: Studies in the Sociology of Deviance The Free Press
[21] 문서 Crime and Deviance
[22] 서적 Broken Windows Theory Salem Press Encyclopedia
[23] 서적 Encyclopedia of Criminological Theory SAGE Publications
[24] 논문 Labor markets, delinquency, and social control theory: An empirical assessment of the mediating process
[25] 서적 Understanding Deviance: A Guide to the Sociology of Crime and Rule-breaking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6-20
[26] 논문 Effects and Remedies to Cultural Shock on the Adolescent Students https://www.research[...] 2018
[27] 논문 A new typology of deviance:integrating normative and reactivist definitions of deviance http://web.b.ebscoho[...] 2019-11-16
[28] 웹인용 OpenStax CNX https://cnx.org/cont[...] 2019-02-28
[29] 논문 Notes on the Sociology of Deviance https://www.jstor.or[...] 1962
[30] 간행물 The Sociology of Deviance https://onlinelibrar[...] John Wiley & Sons, Ltd 2021-11-05
[31] 서적 Sociology Pearson
[32] 논문 A new typology of deviance: Integrating normative and reactivist definitions of deviance
[33] Open source textbook Introduction to Sociology 2e https://cnx.org/cont[...] Rice University 2019-02-28
[34] 웹인용 Sociology https://socialsci.li[...] Open Education Resource LibreTexts Project 2019-04-22
[35] 웹인용 7.1E: The Functions of Deviance https://socialsci.li[...] 2019-04-22
[36] 서적 You May Ask Yourself: An Introduction to Thinking Like a Sociologist https://archive.org/[...] W. W. Norton 2017
[37] 저널 General strain theory and delinquency: A replication and extension 1994
[38] 저널 7.2 Explaining Deviance https://open.lib.umn[...] 2016-04-08
[39] 웹인용 Functionalism and Deviance {{!}} Introduction to Sociology https://courses.lume[...] 2023-08-15
[40] 서적 A First Look at Communication Theory https://archive.org/[...] McGraw-Hill 2012
[41] 서적 Symbolic interactionism; perspective and method Prentice-Hall 1969
[42] 문서 Symbolic Interactionism: An Introduction, An Interpretation, Integration Pearson Prentice Hall 2007
[43] 문서 Symbolic Interactionism: Genesis, Varieties, and Criticism Routledge & Kegan Paul 1975
[44] 문서 Everyday Sociology Starpoint Press 2011
[45] 저널 Types of neutralization and delinquency 1983
[46] 서적 Sociology of Deviance https://uogqueensmcf[...]
[47] 문서 The Path of the Devil: Early Modern Witch Hunts Rowman & Littlefield 2007
[48] 문서 Outsiders: Studies in the Sociology of Deviance The Free Press 1963
[49] 문서 Crime and Deviance 2004
[50] 서적 Broken Windows Theory Salem Press Encyclopedia 2018
[51] 서적 Encyclopedia of Criminological Theory SAGE Publications 2010
[52] 저널 Labor markets, delinquency, and social control theory: An empirical assessment of the mediating process 2000
[53] 서적 Understanding Deviance: A Guide to the Sociology of Crime and Rule-breaking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