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임기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기병은 경북대학교 원예학과 교수로, 식물 생명공학 분야의 연구자이다. 경북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네덜란드 바헤닝언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백합의 감수분열 중 IMR 현상을 세계 최초로 보고했으며, 배추 게놈 연구에도 참여했다. 현재는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과학과에서 화훼학 분야 연구와 교육을 담당하며, 다양한 학회 활동과 정부 위원 활동을 하고 있다.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고, 저서를 출간했으며, 특허, 디자인, 품종 관련 성과를 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학자 - 유자명
    유자명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원예학자로서 3·1 운동 참여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하며 의열단,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등에서 아나키스트 노선을 걸었고, 중국에서 농학자로 활동하다 사망하여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받았다.
  • 농학자 - 유달영
  • 대한민국의 생물학자 - 우장춘
    우장춘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기를 거치며 한국 농업 발전에 기여한 농학자로, '종의 합성' 이론을 제창하고 한국농업과학연구소를 설립하여 종자 개발과 품종 개량에 전념했으며, "한국 근대 농업의 아버지"로 불린다.
  • 대한민국의 생물학자 - 박상대
    박상대는 대한민국의 분자세포생물학자로서, 국내 분자생물학 발전에 기여하고 한국분자생물학회 설립 및 학술지 창간을 주도했으며, 서울대학교 교수 및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2024년 별세했다.
  • 대한민국의 과학자 - 민병주
    민병주는 물리학자, 원자력공학자, 정치인으로,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장,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울산과학기술원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원장이다.
  • 대한민국의 과학자 - 문미옥
    문미옥은 물리학 박사 출신 과학기술인으로, 연구교수, 과학기술 정책 분야 실장, 제20대 국회의원, 문재인 정부 과학기술보좌관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을 역임하고 조국혁신당에 합류한 정치인이다.
임기병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생지대한민국 경상북도 예천군
소속경북대학교 교수
분야원예육종과학
웹사이트임기병 교수 웹사이트

2. 생애

임기병은 고등학교 시절부터 연구자의 길을 걷기로 하고, 1984년 경북대학교 원예학과에 입학하여 정재동 교수 연구실에서 식물조직배양기술을 배웠다. 이 기술은 화훼류의 무병묘 대량생산을 통해 식물 생명공학 기술을 산업화하는데 기여하였다. 이후 회사에 근무하며 학위 과정이 순탄치 않았지만,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06년에는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과학과에 부임하여 화훼학 분야 연구와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2. 1. 네덜란드 유학 및 연구 활동

임기병은 고등학교 시절부터 연구자의 길을 걷기로 하고, 1984년 경북대학교 원예학과에 입학하였다. 여기서 정재동 교수 연구실로 들어가 식물조직배양기술을 배웠는데, 그가 배운 식물조직배양기술은 화훼류의 무병묘 대량생산을 통하여 현재의 식물 생명공학 기술을 산업화하는데 기여하였다. 도중에 회사에 근무하며 학위과정이 순탄치 않았지만, 우여곡절 끝에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백합 연구를 하기 위해 네덜란드 육종학자인 반틸 박사를 1997년 직접 만나 자신의 비전을 이야기하였고,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으로 1998년 와게닝겐대학교 육종학과 박사과정에 재입학하였다. 임기병은 네덜란드에서 반틸 박사와 4년 6개월을 함께 연구하였으며, 백합의 감수분열 중 세포에서 IMR(Indeterminate Meiotic Restitution)을 발견하여 세계 최초로 보고하였다. 2000년에는 두 번째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화란 농무성 정식 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2002년 국제컨소시엄인 배추게놈연구사업단에 참여하여, 배추과 식물의 염기서열 분석 연구와 염색체 연구를 수행하였다.

2. 2. 경북대학교 교수 임용 및 연구 활동

임기병은 고등학교 시절부터 연구자의 길을 걷기로 하고, 1984년 경북대학교 원예학과에 입학하였다. 여기서 정재동 교수 연구실로 들어가 식물조직배양기술을 배웠는데, 그가 배운 식물조직배양기술은 화훼류의 무병묘 대량생산을 통하여 현재의 식물 생명공학 기술을 산업화하는데 기여하였다. 도중에 회사에 근무하며 학위과정이 순탄치 않았지만, 우여곡절 끝에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백합연구를 하기 위해 1997년 네덜란드 육종학자인 반틸 박사를 직접 만나 자신의 비전을 이야기하였고,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으로 1998년 와게닝겐 대학교 육종학과 박사과정에 재입학하였다. 임기병은 네덜란드에서 반틸 박사와 4년 6개월을 함께 연구하며, 백합의 감수분열 중 세포에서 IMR(Indeterminate Meiotic Restitution)을 발견하여 세계 최초로 보고하였다. 2000년에는 두 번째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화란 농무성 정식 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2002년 국제컨소시엄인 배추게놈연구사업단에 참여하여, 배추과 식물의 염기서열 분석 연구와 염색체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6년 모교인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과학과에 부임하여 현재까지 화훼학분야 연구와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3. 학력

연도학력
1980.03-1984.02경북대학교 원예학과 (농학사)
1984.03-1988.08경북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농학석사)
1989.03-1996.08경북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농학박사)
1997.09-2000.11와게닝겐대 대학원 식물육종학 (이학박사)


4. 경력

직책기관기간
연구실장(주)신농사1985년~1987년
연구조원농촌진흥청 영남작물시험장1988년~1989년
연구원흥농종묘주식회사 (현, 세미니스코리아)1990년~1995년
post-doc네덜란드 CPRO-DLO1997년~1999년
연구원네덜란드 Plant Research International2000년~2002년
연구원농촌진흥청 농업생명공학연구원2002년~2006년
교수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과학과2006년~현재
자문위원과학기술부 국립과학관2005년~2007년
겸임연구관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국화특화사업단2006년~2008년
검증위원경상북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문제2007년
연구원영주시-경북대학교 협력 농업선진화기술연구소2007년
겸임연구관농촌진흥청 농업생명공학연구원2008년~2010년
간사경북대학교 누리사업단2006년~2009년
심사위원제5회 대한민국 우수품종상 화훼작물분야2009년
출제위원2009년도 국비유학생 선발시험2009년
위원농촌진흥청「15대 어젠다 연구개발사업」과제선정평가위원회2010년
위원대구광역시 도시농업위원회2015년~2016년
총무이사(사)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2006년~2008년
부회장(사)한국육종학회2013년
부회장(사)한국국제농업개박학회2013년~2014년
사무국장(사)경북세계농업포럼2007년~2008년
위원대학구조개혁 평가 후속 대학별 맞춤형 컨설팅2015년~2016년
회장(사)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2017년
학장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2016년~2018년
회장(사)한국화훼학회2018년
연구산학처장⋅산학협력단장경북대학교2019년
부회장(사)한국원예학회2017년~2019년
등재세계인명대사전 Marquis Who's Who


4. 1. 현재

직책기관기간
교수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과학과2006년~현재
운영위원(사)한국육종학회현재
평의원(사)한국식물생명공학회현재
국제전임이사(사)한국종자연구회현재
이사(사)한국농산업교육학회현재
상임이사(사)한국자원식물학회현재
위원경상북도 농업산학협동심의회현재
운영위원경북대학교 식물의학연구소현재
이사한국무궁화협회현재
기술전문위원경상북도화훼산학연협력단현재
현장명예연구관국립원예특작과학원현재
위원경북농어업 FTA대책특별위원회현재
평가위원(화훼)경상북도 연구개발사업현재
기획위원미래창조과학부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현재
기술위원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농식품 기술 SNS컨설팅지원사업현재
전문위원한국연구재단 생명과학단 식량작물 및 원예작물분야현재


5. 연구 성과

분야내용
표창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표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
논문국내외 주요 학술지 논문 222편 게재
저서17권
학술 발표학술 심포지엄 주제 발표 80회
특허8건
디자인11건
품종10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