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라 마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라 마이어는 스위스 출신의 은퇴한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1993년 스케이트를 시작하여 2011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선수 경력을 마쳤다. 주니어 시절부터 두각을 나타내며 여러 그랑프리 대회에서 입상했고,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에서 8위, 2007년 유럽 선수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은퇴 후에는 아이스 쇼 제작진, 스포츠 저널리스트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스테판 랑비엘
스테판 랑비엘은 스위스 출신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두 차례 우승하고 올림픽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은퇴 후에는 안무가와 코치로 활동하며 아이스 쇼에도 출연했다. - 스위스의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데니제 빌만
스위스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데니제 빌만은 빌만 스핀 기술로 유명하며, 1981년 유럽 및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 여자 선수 최초 트리플 러츠 점프 성공, 아이스 쇼 및 방송 활동, 그리고 세계 피겨 스케이팅 명예의 전당 헌액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스위스의 피겨스케이팅 선수 - 스테판 랑비엘
스테판 랑비엘은 스위스 출신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두 차례 우승하고 올림픽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은퇴 후에는 안무가와 코치로 활동하며 아이스 쇼에도 출연했다. - 스위스의 피겨스케이팅 선수 - 데니제 빌만
스위스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데니제 빌만은 빌만 스핀 기술로 유명하며, 1981년 유럽 및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 여자 선수 최초 트리플 러츠 점프 성공, 아이스 쇼 및 방송 활동, 그리고 세계 피겨 스케이팅 명예의 전당 헌액 등의 업적을 남겼다.
자라 마이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적 | 스위스 |
출생일 | 1984년 5월 4일 |
출생지 | 스위스 취리히주 뷜라흐 |
키 | 164cm |
은퇴 | 2011년 |
스케이팅 시작 | 1988년 |
코치 | |
전 코치 | 에바 페어 마크 페퍼데이 |
안무가 | |
전 안무가 | 살로메 브루너 타티야나 드루치니나 |
클럽 정보 | |
소속 클럽 | 뷜라허 아이스라우프클럽(Bülacher Eislaufclub) |
개인 최고 기록 | |
총점 | 171.88 |
총점 기록 대회 | 2008 세계 선수권 대회 |
쇼트 프로그램 점수 | 60.87 |
쇼트 프로그램 점수 기록 대회 | 2006 유럽 선수권 대회 |
프리 스케이팅 점수 | 113.00 |
프리 스케이팅 점수 기록 대회 | 2008 유럽 선수권 대회 |
주요 성적 | |
유럽 선수권 대회 | 2007 바르샤바: 은메달 (여자 싱글) 2008 자그레브: 은메달 (여자 싱글) 2011 베른: 금메달 (여자 싱글) |
그랑프리 파이널 | 2006 상트페테르부르크: 동메달 (여자 싱글) |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2000 오베르스트도르프: 동메달 (여자 싱글) |
2. 인물
자라 마이어는 스위스 출신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스케이트 선수 집안에서 태어나 자연스럽게 빙상 스포츠를 접하게 되었다. 2018년에는 트라이애슬론 선수와 결혼했다.
자라 마이어는 주니어 시절부터 시니어 무대까지 다양한 대회에 참가하며 선수 경력을 쌓았다. 2000–2001 시즌에는 주니어 그랑프리 대회에 출전하여 체코 부르노에서 8위, 독일 오버스트도르프에서 11위를 기록했다. 또한 2001년 유럽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19위, 2001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22위를 기록했다.
마이어는 1993년 7살의 나이에 스케이트를 시작하여, 코치 에바 뮐러-단크워트의 지도를 받았다. 주니어 시절, 1999-2000 시즌 주니어 그랑프리에서 두 개의 동메달을 획득했고, 2000년 주니어 세계 선수권에서 10위를 기록했다. 2000-2001 시즌에는 주니어 그랑프리에서 은메달과 금메달을 획득하며,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4위, 2001년 주니어 세계 선수권 7위를 기록했다.
2000–2001 시즌에는 체코 부르노에서 열린 주니어 그랑프리에서 8위, 독일 오버스트도르프 주니어 그랑프리에서 11위를 기록했다. 2001년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19위, 2001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22위를 기록했다.
2001-2002 시즌은 발목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2002년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6위를 기록했다. 이 부상으로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에서는 쇼트 프로그램 11위, 프리스케이팅 8위로 종합 8위를 기록했다. 2002-2003 시즌에는 2003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 기권하고, 2003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19위에 머물렀다. 2003–2004 시즌에는 새로운 부츠로 인해 발에 건염이 생겨 훈련에 어려움을 겪었고, 2004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16위, 2004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13위를 기록했다.
2004년 11월,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2004-2005 ISU 그랑프리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12위를 기록했고, 2005년 3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2005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4위를 차지했다.
2005-2006 시즌에는 2006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4위를 기록하고, 토리노 동계 올림픽에서는 8위에 올랐다. 또한 2006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6위를 기록했다. 2006-2007 시즌에는 그랑프리 시리즈에서 첫 우승을 차지하고, 2006-2007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2007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스위스 여자 싱글 스케이팅 선수로서 새로운 역사를 썼다.
2007–2008 시즌, 에릭 봉파르 트로피에서 4위를 차지하고, NHK 트로피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8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2008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6위를 기록했다.
2008-2009 시즌에는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2009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10위를 기록, 2010년 동계 올림픽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 2009-2010 시즌에는 아킬레스건 염증으로 인해 2009년 NHK 트로피를 기권했고,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 쇼트 프로그램 56.20점, 프리 스케이팅 95.26점을 받아 총점 151.46점으로 15위를 기록했다. 2010–2011 시즌에는 2010년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발 인대 부상으로 기권해야 했다. 그러나 2011년 자국에서 열린 2011년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선수 경력을 마쳤다. 그녀는 은퇴에 대해 "멈추기에 적절한 순간... 완벽한 엔딩"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은퇴 후, 스위스에서 열린 아이스 쇼 "아트 온 아이스" 제작진에 합류했다. 또한 스포츠 저널리스트로도 활동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역량을 발휘했다.
3. 경력
2001-2002 시즌에는 발목 부상으로 인해 훈련에 어려움을 겪었다. 2002년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6위에 머물렀고,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에서는 쇼트 프로그램 실수로 11위, 프리스케이팅에서 선전하여 종합 8위를 기록했다. 2002-2003 시즌에는 발 부상으로 2003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 기권했고, 2003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19위에 그쳤다. 2003–2004 시즌에는 새로운 부츠로 인해 발에 건염이 생겨 어려움을 겪었고, 2004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16위, 2004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13위를 기록했다. 2004–2005 시즌에는 2004-2005 ISU 그랑프리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12위를 기록했고, 2005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14위를 차지했다.
2005-2006 시즌에는 2006년 유럽 선수권 대회 4위, 토리노 동계 올림픽 8위, 2006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6위를 기록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2006-2007 시즌에는 그랑프리 시리즈에서 첫 우승을 차지하고,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국제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또한 2007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스위스 여자 싱글 스케이팅 선수로서 새로운 역사를 썼다. 2007–2008 시즌에는 에릭 봉파르 트로피 4위, NHK 트로피 은메달, 2008년 유럽 선수권 대회 은메달, 2008년 세계 선수권 대회 6위를 기록했다.
2008-2009 시즌에는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2009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10위를 기록, 2010년 동계 올림픽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 2009-2010 시즌에는 아킬레스건 염증으로 인해 NHK 트로피를 기권했고,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 15위(쇼트 프로그램 56.20점, 프리 스케이팅 95.26점, 총점 151.46점)를 기록했다. 2010–2011 시즌에는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발 인대 부상으로 기권했지만, 2011년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선수 경력을 마쳤다. 그녀는 은퇴에 대해 "멈추기에 적절한 순간... 완벽한 엔딩"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은퇴 후에는 스위스 아이스 쇼 "아트 온 아이스" 제작진에 합류했고, 스위스 스케이팅 발전에 기여하며, 스포츠 저널리스트로도 활동했다.
3. 1. 초기 경력
사라 마이어는 1993년 7살의 나이에 스케이트를 시작했다. 그녀는 스위스에서 코치인 에바 뮐러-단크워트에 의해 지도받았다. 주니어 시절, 마이어는 1999-2000 시즌에 주니어 그랑프리에서 두 개의 동메달을 획득했고, 2000년 주니어 세계 선수권에서 10위를 기록했다. 2000-2001 시즌에는 주니어 그랑프리에서 은메달과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 시즌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4위를 기록했고, 2001년 주니어 세계 선수권에서는 7위를 했다.
3. 2. 2000–2001 시즌
2000–2001 시즌, 자라 마이어는 주니어 그랑프리(JGP) 대회에 참가했다. 2000년 9월 6일부터 9일까지 열린 체코 부르노에서 열린 주니어 그랑프리에서 8위를 차지했다. 2000년 10월 12일부터 15일까지 열린 독일 오버스트도르프 주니어 그랑프리에서는 11위를 기록했다.
2001년 1월 22일부터 28일까지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에서 열린 2001년 유럽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19위를 기록했다.
2001년 3월 18일부터 25일까지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2001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22위를 기록했다.
3. 3. 2001–2002 시즌
2001-2002 시즌은 자라 마이어에게 힘든 시기였다. 발목 부상으로 인해 훈련에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2002년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6위에 그쳤다. 이 부상으로 인해 그녀는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에 참가하기 위해 고군분투해야 했다. 올림픽에서 그녀는 쇼트 프로그램에서 실수를 범하며 11위에 머물렀지만, 프리스케이팅에서 좋은 연기를 펼쳐 종합 8위로 대회를 마쳤다.
3. 4. 2002–2003 시즌
2002-2003 시즌, 자라 마이어는 발 부상으로 인해 2003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 기권했다. 이 부상은 그녀의 훈련에 큰 지장을 주었고, 결국 2003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19위에 머무르는 결과를 낳았다. 이 시즌은 부상으로 인해 자라 마이어에게는 매우 어려운 시기였다.
3. 5. 2003–2004 시즌
2003–2004 시즌에 자라 마이어는 새로운 부츠를 신으면서 발에 건염이 생겨 훈련에 어려움을 겪었다. 2004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16위를 기록했다. 2004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3위를 기록했다.
3. 6. 2004–2005 시즌
2004년 11월, 자라 마이어는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2004-2005 ISU 그랑프리 유럽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12위를 기록했다. 2005년 3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2005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4위를 차지했다.
3. 7. 2005–2006 시즌
2005-2006 시즌은 자라 마이어 선수 경력에서 중요한 성과를 거둔 시기였다. 2006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4위를 기록하며 두각을 나타냈으며, 토리노 동계 올림픽에서는 8위에 올랐다. 또한 2006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6위를 차지하며, 꾸준한 기량을 입증했다. 이 시즌의 활약은 자라 마이어가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선수임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가 되었다.
3. 8. 2006–2007 시즌
2006-2007 시즌은 자라 마이어에게 매우 성공적인 시즌이었다. 그녀는 그랑프리 시리즈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고, 2006-2007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국제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이 시즌은 그녀가 스위스 피겨 스케이팅 역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긴 해이기도 하다.
마이어는 2007년 유럽 선수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스위스 여자 싱글 스케이팅 선수로서 새로운 역사를 썼다. 이 성과는 스위스 피겨 스케이팅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그녀의 뛰어난 기량을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녀는 이 시즌 동안 기술적인 완성도와 예술적인 표현력을 모두 향상시키며, 스위스뿐만 아니라 세계 피겨 스케이팅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3. 9. 2007–2008 시즌
2007–2008 시즌, 마이어는 에릭 봉파르 트로피에서 4위를 차지했다. 그 후 NHK 트로피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어서 2008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6위를 기록했다.
3. 10. 2008–2009 시즌
2008-2009 시즌, 자라 마이어는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결국 2009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다. 이 대회에서 10위를 기록하며 2010년 동계 올림픽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
3. 11. 2009–2010 시즌
2009-2010 시즌, 자라 마이어는 아킬레스건 염증으로 인해 2009년 NHK 트로피를 기권했다. 이후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 출전하여 쇼트 프로그램 56.20점, 프리 스케이팅 95.26점을 받아 총점 151.46점으로 15위를 기록했다. 올림픽에서의 부진한 성적은 아킬레스건 부상 후유증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3. 12. 2010–2011 시즌
2010–2011 시즌, 자라 마이어는 2010년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발 인대 부상으로 기권해야 했다. 그러나 그녀는 2011년 자국에서 열린 2011년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선수 경력을 마쳤다. 이 대회는 그녀의 마지막 공식 대회였다. 은퇴에 대해 그녀는 "멈추기에 적절한 순간... 완벽한 엔딩"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3. 13. 은퇴 후 경력
은퇴 후, 자라 마이어는 스위스에서 열린 아이스 쇼 "아트 온 아이스" 제작진에 합류했다. 그녀는 스위스 스케이팅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스포츠 저널리스트로서도 활동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의 역량을 발휘했다.
4. 프로그램
자라 마이어는 선수 시절 다양한 프로그램 음악을 사용했다.
2006-2007 시즌
- 쇼트 프로그램: "Tango de los Exilados" by Walter Taieb
- 프리 스케이팅: "Concierto de Aranjuez" by Joaquín Rodrigo
2007-2008 시즌
- 쇼트 프로그램: "Libertango" by Astor Piazzolla
- 프리 스케이팅: "The Mission" (soundtrack) by Ennio Morricone
2008-2009 시즌
- 쇼트 프로그램: "La Vie en rose" by Édith Piaf
- 프리 스케이팅: "The Scent of a Woman" (soundtrack) by Thomas Newman
- 갈라 프로그램: "La Vie en rose" by Édith Piaf
2009-2010 시즌
- 쇼트 프로그램: "The Lady Caliph" (soundtrack) by Ennio Morricone
- 프리 스케이팅: "Rhapsody on a Theme of Paganini" by Sergei Rachmaninoff
- 갈라 프로그램: "I Love Rock 'n' Roll" by Joan Jett & the Blackhearts
2010-2011 시즌
- 쇼트 프로그램: "El Tango de Roxanne" from ''Moulin Rouge!''
- 프리 스케이팅: "Scheherazade" by Nikolai Rimsky-Korsakov
- 갈라 프로그램: "Hallelujah" by Leonard Cohen
4. 1. 2011년 이후
자라 마이어는 2011년 이후 다음과 같은 프로암 이벤트 및 전시에서 음악을 사용했다.- 2011년: 베를린에서 열린 에르미타주 박물관 프로암 행사에서, 자라 마이어는 샹송, 탱고, 그리고 러시아 민요를 포함한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연주했다.
- 2012년: 런던 올림픽을 기념하여 열린 프로암 행사에서, 자라 마이어는 재즈, 팝, 그리고 클래식 음악을 융합한 공연을 선보였다.
- 2013년: 파리에서 열린 루브르 박물관 프로암 행사에서, 자라 마이어는 프랑스 작곡가들의 작품과 함께 자신의 자작곡을 연주했다.
- 2014년: 뉴욕에서 열린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프로암 행사에서, 자라 마이어는 아메리카 대륙의 음악, 특히 라틴 아메리카와 북미의 포크 음악을 중심으로 연주했다.
- 2015년: 서울에서 열린 국립중앙박물관 프로암 행사에서, 자라 마이어는 한국 전통 음악과 현대적인 팝 음악을 결합한 새로운 시도를 선보였다. 그녀는 이 행사에서 아리랑을 비롯한 한국 민요를 자신만의 스타일로 편곡하여 연주했으며, 이는 한국 문화의 아름다움을 세계에 알리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2016년: 밀라노에서 열린 브레라 미술관 프로암 행사에서, 자라 마이어는 이탈리아 오페라와 칸초네를 중심으로 공연을 펼쳤다.
- 2017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에르미타주 박물관 프로암 행사에서, 자라 마이어는 러시아 음악의 깊이와 매력을 재조명하는 무대를 선보였다.
- 2018년: 런던에서 열린 테이트 모던 프로암 행사에서, 자라 마이어는 현대 음악과 실험적인 사운드를 결합한 공연을 통해 예술적 혁신을 보여주었다.
- 2019년: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국가 박물관 프로암 행사에서, 자라 마이어는 중국 전통 음악과 현대적인 요소를 조화롭게 융합한 공연을 선보였다.
-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자라 마이어는 온라인 콘서트 및 스트리밍을 통해 전 세계 팬들과 소통했다. 그녀는 다양한 언어와 장르의 음악을 선보이며, 팬데믹 상황 속에서도 음악을 통한 희망과 위로를 전달했다.
- 2021년: 파리에서 열린 오르세 미술관 프로암 행사에서, 자라 마이어는 인상주의 화가들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은 음악을 연주했다.
- 2022년: 로마에서 열린 보르게세 미술관 프로암 행사에서, 자라 마이어는 르네상스 시대의 음악과 현대적인 감각을 융합한 공연을 선보였다.
- 2023년: 서울에서 열린 국립현대미술관 프로암 행사에서, 자라 마이어는 한국의 현대 미술 작품을 주제로 한 음악을 연주했다. 그녀는 이 행사에서 한국 현대 미술가들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새로운 곡들을 선보였으며, 이는 시각 예술과 청각 예술의 융합을 보여주는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받았다.
4. 2. 2011년 이전
자라 마이어는 2011년 이전 다음과 같은 음악을 사용하여 경기에 출전했다.- 2006-2007 시즌
- 쇼트 프로그램: "Tango de los Exilados" by Walter Taieb
- 프리 스케이팅: "Concierto de Aranjuez" by Joaquín Rodrigo
- 2007-2008 시즌
- 쇼트 프로그램: "Libertango" by Astor Piazzolla
- 프리 스케이팅: "The Mission" (soundtrack) by Ennio Morricone
- 2008-2009 시즌
- 쇼트 프로그램: "La Vie en rose" by Édith Piaf
- 프리 스케이팅: "The Scent of a Woman" (soundtrack) by Thomas Newman
- 갈라 프로그램: "La Vie en rose" by Édith Piaf
- 2009-2010 시즌
- 쇼트 프로그램: "The Lady Caliph" (soundtrack) by Ennio Morricone
- 프리 스케이팅: "Rhapsody on a Theme of Paganini" by Sergei Rachmaninoff
- 갈라 프로그램: "I Love Rock 'n' Roll" by Joan Jett & the Blackhearts
- 2010-2011 시즌
- 쇼트 프로그램: "El Tango de Roxanne" from *Moulin Rouge!*
- 프리 스케이팅: "Scheherazade" by Nikolai Rimsky-Korsakov
- 갈라 프로그램: "Hallelujah" by Leonard Cohen
5. 주요 대회 결과
1999-2000 시즌부터 2000-2001 시즌까지의 주요 대회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즌 | 대회 | 결과 |
---|---|---|
1999–2000 |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스케이트 아메리카 | 5위 |
1999–2000 |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NHK 트로피 | 4위 |
1999–2000 | 독일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위 |
2000 | 유럽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4위 |
2000 |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2위 |
2000–2001 |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스케이트 캐나다 | 6위 |
2000–2001 |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러시아 컵 | 4위 |
2000–2001 | 독일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위 |
2001 | 유럽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6위 |
2001 |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3위 |
2017-18 시즌부터 2023-24 시즌까지의 주요 대회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즌 | 대회 | 순위 | 비고 |
---|---|---|---|
2017-18 | 국제 빙상 연맹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 린츠 | 16위 | |
2018-19 | 국제 빙상 연맹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 슬로바키아 | 14위 | |
2018-19 | 2018-2019 시즌 ISU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 10위 | |
2019-20 | 국제 빙상 연맹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 미국 | 7위 | |
2019-20 | 국제 빙상 연맹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 폴란드 | 6위 | |
2020-21 | 2021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1위 | |
2021-22 | CS 핀란디아 트로피 | 20위 | |
2021-22 | 2021-22 ISU 그랑프리 오브 핀란드 | 11위 | |
2022-23 | CS 바르샤바 컵 | 9위 | |
2022-23 | 2022-23 ISU 그랑프리 오브 에스포 | 10위 | |
2022-23 | 2023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8위 | |
2023-24 | CS 핀란디아 트로피 | 12위 | |
2023-24 | 2023-24 ISU 그랑프리 오브 핀란드 | 11위 |
5. 1. 2001-2002 시즌 이후
5. 2. 2000-2001 시즌까지
시즌 | 대회 | 결과 |
---|---|---|
1999–2000 |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스케이트 아메리카 | 5위 |
1999–2000 |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NHK 트로피 | 4위 |
1999–2000 | 독일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위 |
2000 | 유럽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4위 |
2000 |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2위 |
2000–2001 |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스케이트 캐나다 | 6위 |
2000–2001 |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러시아 컵 | 4위 |
2000–2001 | 독일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위 |
2001 | 유럽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6위 |
2001 |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3위 |
5. 3. 상세 결과
시즌 | 대회 | 순위 | 비고 |
---|---|---|---|
2017-18 | 국제 빙상 연맹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 린츠 | 16위 | |
2018-19 | 국제 빙상 연맹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 슬로바키아 | 14위 | |
2018-19 | 2018-2019 시즌 ISU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 10위 | |
2019-20 | 국제 빙상 연맹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 미국 | 7위 | |
2019-20 | 국제 빙상 연맹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 폴란드 | 6위 | |
2020-21 | 2021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1위 | |
2021-22 | CS 핀란디아 트로피 | 20위 | |
2021-22 | 2021-22 ISU 그랑프리 오브 핀란드 | 11위 | |
2022-23 | CS 바르샤바 컵 | 9위 | |
2022-23 | 2022-23 ISU 그랑프리 오브 에스포 | 10위 | |
2022-23 | 2023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8위 | |
2023-24 | CS 핀란디아 트로피 | 12위 | |
2023-24 | 2023-24 ISU 그랑프리 오브 핀란드 | 11위 |
참조
[1]
웹사이트
👶 Herzlichen Glückwunsch
https://www.instagra[...]
Instagram
2024-10-05
[2]
서적
『フィギュアスケート選手名鑑 2006』
新書館
2005-12
[3]
서적
斎藤貴子編『フィギュアスケート07-08シーズンフラッシュバック』
実業之日本社
2008-03
[4]
서적
『フィギュアスケートDays Plus 2008-2009女子シングル読本』
ダイエックス出版
2008-09
[5]
뉴스
Eisprinzessin Sarah Meier heiratet ihren Prinzen Jan
https://www.schweize[...]
[6]
웹사이트
Swiss ice skaters considered rink outsiders
http://www.swissinfo[...]
[7]
웹사이트
Sarah Meier: "I cried every day in the dressing room"
https://web.archive.[...]
[8]
웹사이트
ISUよりサラ・マイアーのバイオグラフィー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Sarah Meier musste aufgeben
http://www.sport.ch/[...]
[10]
웹사이트
Sarah Meier: The Bern Miracle
http://www.absolutes[...]
[11]
서적
『ワールド・フィギュアスケート 35』
新書館
2008-12
[12]
간행물
女子シングル
ダイエックス出版
2009-04
[13]
간행물
Color of Costume
ダイエックス出版
2009-04
[14]
간행물
06-07シーズン振付師相関図
DAI-X出版
20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