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라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라이족은 "폭포의 사람들" 또는 "흐르는 강의 사람들"을 의미하며, 베트남과 캄보디아에 걸쳐 거주하는 소수 민족이다.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과 관련이 있으며, 참파 왕국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자라이족은 베트남의 잘라이성, 꼰뚬성, 닥락성, 캄보디아의 라타나키리주를 중심으로 거주하며, 전통적으로 토착 신앙을 믿고 음악과 춤을 중요하게 여긴다. 모계 사회 문화를 따르며, 언어는 자라이어를 사용한다. 역사적으로 프랑스 식민 통치, 베트남 전쟁 등 겪으며 문화적 변화를 겪었고, 현대에는 토지 문제와 종교적 제약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자라이족
지도
기본 정보
민족명자라이족
현지어명Người Gia Rai (베트남어), Charay/Chreay (크메르어)
전통 의상을 입은 자라이족 사람들
관련 민족참족, 에데족, 아체족
인구
총 인구432,000+
베트남 (2019)513,930명
캄보디아 (2019)26,922명
언어
주요 언어자라이어
추가 사용 언어베트남어(베트남), 크메르어(캄보디아)
종교
주요 종교애니미즘
기타 종교복음주의, 테라바다 불교, 이슬람교

2. 명칭

자라이('''ចារ៉ាយ''' - '''Charay''')라는 단어는 "폭포의 사람들" 또는 "흐르는 강의 사람들"을 의미한다.[5]

3. 기원 및 분포

자라이족은 기원전 중부 고원 지방으로 이주해 온 것으로 추정되지만, 자세한 것은 명확하지 않다. 잘라이성, 꼰뚬성을 중심으로 거주하고 있으며, 닥락성 북부, 중남부 연해 지방의 푸옌성에도 일부 거주하고 있다. 2009년 베트남 인구조사를 기준으로 약 411,275명으로 추정되며, 중부 고원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소수 민족이다.

3. 1. 기원

자라이족과 그들의 문화에 대한 연구는 주로 그들의 언어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개종을 추구하는 복음주의 단체에 의해 이루어졌다. 언어학적으로 그들은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과 관련이 있다. 이 지역에 자라이족에 대한 고대 기록은 알려진 바가 없다. 최초의 보고서는 19세기에 베트남과 캄보디아의 국경을 획정하여 자라이족 영토를 분할하고 오늘날 라타나키리주에 작은 부분을 남긴 프랑스 식민지에서 나왔다.[6]

자라이족은 오늘날 베트남의 잘라이성, 꼰뚬성, 닥락성과 캄보디아 라타나키리주 지역에 수세기 동안 거주해 왔다. 구체적인 날짜와 지리적 이동과 같은 세부 사항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체 붕가 왕 통치 시대의 참파 왕국 지도(1380). 자라이족은 이 지역의 다른 집단과 함께 참파의 현대 후손이다.


조미아 지역의 일부로서, 티베트 고원에서 인도차이나 반도의 모든 북부 지역에 이르는 산맥을 따라 있는 모든 고지대 원주민을 포함하는 이 지역에 자라이족은 서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서 온 매우 오래된 이주의 일부일 가능성이 있다. 2017년 캄보디아의 일부 자라이족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DNA 검사에서 그들은 하플로그룹 T-M184에 속한다는 증거를 제시했는데, 이는 지중해 분지에서 2만 5천 년 이상 전에 기원했다.[7]

19세기 중반부터 자라이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자라이어가 참족(참어)과 고대 참파 왕국의 라데어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자라이족의 조상은 말레이시아 기원 및 참어파 언어에 속한다.

현대 자라이족은 6개의 하위 집단으로 나눌 수 있으며, 마지막은 캄보디아에 있다.

  • 자라이 초르
  • 자라이 흐드룽
  • 자라이 아랍
  • 자라이 므투르
  • 자라이 쯔부안
  • 자라이 크메르, 또한 탬푸안족 이중 언어 구사자


자라이족은 기원전에 중부 고원 지방으로 이주해 왔다고 전해지지만, 자세한 내용은 불명확한 점이 많다.

3. 2. 분포

자라이족은 잘라이성, 꼰뚬성을 중심으로 거주하고 있으며, 닥락성 북부, 중남부 해안 지방의 푸옌성에도 일부 거주하고 있다. 2009년 베트남 인구조사를 기준으로 약 411,275명으로 추정되며, 중부 고원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소수 민족이다.

4. 역사

자라이족은 기원전에 중부 고원 지방으로 이주해 왔다고 전해지지만, 자세한 내용은 불명확하다. 4세기경 태국 만 주변에서 고지대 사람들과 저지대 사람들 간의 교역이 이루어졌지만, 크메르, 라오, 타이 노예 상인들의 습격도 있었다.[13] 18세기에는 라오 통치자들에게, 19세기에는 타이 통치자들에게 정복당했다. 카팁 수마트 봉기 동안, 이전에 이슬람으로 개종한 일부 자라이족은 저지대의 무슬림 및 고지대의 추루 무슬림과 함께 대월에 대항한 반란에 참여했다.[21]

4. 1. 사후인 문화와 참파 왕국

자라이족은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과 관련이 있으며, 이들에 대한 고대 기록은 알려진 바가 없다. 19세기 중반부터 자라이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자라이어가 참족(참어)과 고대 참파 왕국의 라데어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를 통해 자라이족의 조상은 말레이시아 기원 및 참어파 언어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6]

'''사후인 문화'''는 기원전 1000년에서 서기 200년 사이에 현대의 베트남 중부 및 남부와 필리핀에서 번성했던 문화이다.[8][9] 이 문화의 고고학 유적지는 메콩 삼각주에서 베트남 중부의 꽝빈성까지 발견되었다. 사후인인들은 참족의 선조일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를 사용하고 참파 왕국의 건국자였다.[10]

'''참파'''는 2세기부터 19세기(1832년)까지 현재의 베트남 중부 및 남부 해안을 따라 존재했던 독립적인 정치체의 집합을 가리키는 용어이며, 이후 베트남 국가에 흡수 및 합병되었다.[11] 참파의 멸망은 자라이족과 같이 동일한 언어적 기원을 공유하는 여러 부족들이 현재의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지역으로 확산되는 결과를 낳았다.

4. 2. 프랑스 식민 통치와 베트남 전쟁

인도차이나 북부 고원 지역은 10,000년 전 늦은 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 사이에 인간에 의해 정착되었다. 자라이족은 초기 한족의 침략, 프랑스 식민지화, 현재 다수 민족인 베트남의 탄압 등 여러 차례 식민지화를 겪었다.

1893년 이 지역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식민지에 편입되었고 노예 무역은 폐지되었지만,[14] 원주민들은 고무 농장에 동원되었다.[15] 프랑스는 캄보디아, 베트남, 라오스 등 인도차이나 식민지 내 영토의 경계를 획정하는 데 기여했다.

카팁 수마트 봉기 동안, 이전에 이슬람 개종을 한 일부 자라이족은 저지대의 무슬림 및 고지대의 추루 무슬림과 함께 대월에 대항한 반란에 참여했다.[21]

자라이족에 대한 최초의 서양 보고는 1850년 메콩강을 통해 침입한 프랑스 선교사 부일레보 신부로부터 나왔으며, 그는 "불의 왕"이라고 불리는, '자라이'라고 불리는 특정 집단에 속한 존경받는 남자에 대해 언급했다.[16]

프랑스 통치자들은 고산 지대 원주민 집단에 지나치게 간섭하지 않았지만, 그들을 군사 전초 기지의 훌륭한 인력 공급원으로 여겼으며, 많은 수의 자라이족, 크메르 뢰우, 데가 청년들을 프랑스 군대에 징집했다.

미국 공군 보잉 B-52D 스트라토포트리스 폭격기 2대가 1970년 캄보디아 상공을 비행하는 모습. 자라이족과 같은 많은 토착 공동체에 영향을 미친 메뉴 작전(Operation Menu) 중.


독립 이후, 캄보디아와 베트남 정부는 토착민들에게 각자의 언어를 가르치고 국가 사회에 동화시키려는 프로그램을 이끌었지만, 대부분의 토착 공동체로부터 문화적 저항에 직면했다. 캄보디아에서는 크메르 루주 게릴라들이 이러한 불만을 이용하여 많은 크메르 로우를 자신들의 대열에 영입했고, 베트남에서는 미군이 프랑스 전통을 이어받아 자라이족 청년들을 군사 활동에 참여시켰다. 1977년에는 100명의 자라이족 남성이 크메르 루주 전범 재판소에 제소된 사건에서 라타나키리에서 크메르 루주 간부들에 의해 고문을 받고 처형되었다.[17]

베트남 전쟁 중, 자라이족 마을은 미군과 공산 게릴라 사이의 갈등으로 고통받았다. 1970년 10월 31일, 미군은 "안전하지 않다"는 이유로 고산족 마을의 대규모 재정착을 명령했다.[18] 동시에, 미국 복음주의자들이 자라이족과 접촉하여 자라이족 언어로 성경을 출판했다. 1975년 통일 기념일 이후, 미군의 자라이족 조력자들 대부분은 미국으로 대피했다. 크메르 자라이족은 메뉴 작전(1969-1970)으로 불린 지역에 대한 미국의 격렬한 폭격을 겪었지만, 결국 수백 명의 민간인과 토착민들을 이주시켰다.[19]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몽타냐드 데가르 운동이 자라이족과 그들의 몽타냐드 형제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다. 몽타냐드 데가르의 목표는 베트남 고원지대에 토착민 집단으로만 구성된 독립 국가를 만드는 것이었다.

4. 3. 현대의 자라이족

인도차이나 북부 고원 지역은 1만 년 전 늦은 석기 시대(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 사이에 인간에 의해 정착되었다. 자라이족은 초기 한족의 침략, 이후 프랑스 식민지화, 현재 다수 민족인 베트남의 지속적인 탄압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 식민지화 시도를 겪었다.

독립 이후, 캄보디아와 베트남 정부는 토착민들에게 각자의 언어를 가르치고 국가 사회에 동화시키려는 프로그램을 이끌었지만, 이러한 노력은 대부분의 토착 공동체로부터 문화적 저항에 직면했다. 캄보디아에서는 크메르 루주 게릴라들이 이러한 불만을 이용하여 많은 크메르 로우를 자신들의 대열에 영입했고, 베트남에서는 미군이 프랑스 전통을 이어받아 자라이족 청년들을 군사 활동에 참여시켰다. 이는 자라이족을 포함한 많은 토착 집단들을 다른 적들의 표적으로 만들었다. 1977년에는 100명의 자라이족 남성이 크메르 루주 전범 재판소에 제소된 사건에서 라타나키리에서 크메르 루주 간부들에 의해 고문을 받고 처형되었다.[17]

베트남 전쟁 중, 자라이족 마을은 미군과 공산 게릴라 사이의 갈등으로 고통받았다. 1970년 10월 31일, 미군은 "안전하지 않다"는 이유로 고산족 마을의 대규모 재정착을 명령했다.[18] 동시에, 미국 복음주의자들이 자라이족과 접촉하여 자라이족 언어로 성경을 출판했다(크메르 자라이족은 제외). 자라이족 성경은 그들에게 어느 정도 문맹 퇴치를 가져다주었지만, 1975년 통일 기념일 이후, 미군의 자라이족 조력자들 대부분은 그들의 땅에서 미국으로 대피했다. 크메르 자라이족은 공산주의자들의 은신처를 파괴하려는 의도로 메뉴 작전(1969-1970)으로 불린 지역에 대한 미국의 격렬한 폭격을 겪었지만, 결국 크메르 루주에 합류한 수백 명의 민간인과 토착민들을 이주시켰다.[19]

크메르 루주는 1979년 패배 이후에도 베트남과 캄보디아 중앙 정부에 대항하기 위해 크메르 로우족을 자신들의 싸움에 계속 참여시키려 했지만, 1984년에는 토착민들을 국가에 통합시키기 위한 캠페인이 벌어져 문맹 퇴치를 장려하고 나머지 국가와 유사한 정부 구조를 만들었다. 베트남에서는 자라이족이 종교 단체의 제약으로 고통받아 그들 중 일부는 이민을 선호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몽타냐드 데가르 운동이 자라이족과 그들의 몽타냐드 형제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다(데가르는 에데족의 "산의 아들들"을 의미하는 라데족 단어이다). 몽타냐드 데가르의 목표는 베트남 고원지대에 토착민 집단으로만 구성된 독립 국가를 만드는 것이었다. 그 결과, 베트남 정부는 자라이족에 대한 의심을 점차 늘리고 있다. 정부의 인권 유린은 모든 몽타냐드들 사이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현대에 자라이족은 식민지화, 토지 강제 퇴거, 토지 약탈로 고통받았으며, 특히 캄보디아에서는 거대한 부패 시스템과 대규모 고무 농장 조성을 위한 삼림 벌채로 인해 고통받았다. 캄보디아는 원주민 영토를 존중하고 보호하는 법률을 가지고 있지만, 이 법률은 시행되지 않고 있으며, 권력 있는 개인과 단체들이 자라이 공동체를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땅에서 쫓아내어 이익을 얻고 있다. 베트남에서는 일부 자라이족 사람들이 전통과 문화를 제한하는 것에서 벗어나기 위해 캄보디아 영토를 거쳐 다른 국가로 피난처를 찾고 있다.

5. 문화

자라이족 남자가 전통 현악기를 연주하고 있다


농장


자라이족 전통 현악기


한 여자가 농장을 바라보고 있다


전쟁 경험을 이야기하다


대나무로 만든 자라이족 전통 바구니


자라이족 여자가 바나나 잎을 자르고 있다


자라이족 남자

5. 1. 마을

전통적으로 에데-자라이족은 인구 50명에서 500명 정도의 작은 마을에 거주한다. 마을은 사각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단독 주택이나 공동 장옥(''roong'')이 마을 중심을 둘러싸고 있다. 마을 중심에는 공동 주택, 우물, 배구 네트, 정미소가 있는 경우가 많다.

집은 땅 위 1m 높이에 대나무로 만들어진다. 더 튼튼한 강철 지붕을 가진 나무 집이 인기를 얻고 있다. 집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향하며 지역 영혼들이 받아들일 만한 장소에 지어진다. 집은 모계 사회 씨족에 따라 배치된다. 결혼한 딸은 남편과 함께 어머니의 집에서 살며, 딸 또한 그렇게 한다. 집은 50m까지 길어질 수 있다. 핵가족만을 위한 집도 현대 시대에 흔하게 발견된다.

전기가 없는 데가-자라이 라타나키리 마을에서는 소형 발전기가 널리 사용된다. 전통적인 가구로는 나무와 대나무로 만든 벤치와 주방용품이 있으며, 침대와 TV를 포함한 현대적인 가구도 이제 발견된다.

5. 2. 결혼

자라이족은 모계 사회 문화를 따르며, 여성 혈통을 통해 혈통을 추적하고 각 개인을 어머니를 중심으로 한 계보와 동일시하며, 이는 재산 및/또는 지위의 상속과 관련될 수 있다. 어머니는 딸의 결혼을 주도하고 남편은 장모의 집에서 생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 다른 민족과의 통혼은 흔히 이루어지며, 특히 마을이 가까이 위치한 경우 더욱 그렇다.[1] 라타나키리 주에서는 자라이족이 관련 없는 몬크메르어족에 속하는 탐푸안족과 통혼하는 경우가 많다.[1] 많은 자라이족 젊은이들이 프놈펜이나 호치민 시와 같은 대도시에서 교육을 받게 되면서, 다른 민족과의 통혼이 증가하여 다언어 가정이 생겨나고 있다.[1]

5. 3. 종교

자라이족의 전통 종교는 토착 신앙이다. 그들은 사물, 장소, 생물이 독특한 영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20] 자라이족의 토착 신앙은 두 가지 주요 요소로 구성된다. 첫째는 자라이족이 하늘로부터 지혜를 의미하는 성스러운 검을 받았다는 생각이고, 둘째는 불의 왕, 물의 왕, 바람의 왕이라는 영적인 존재이다. 왕들은 정치적 인물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무당적인 능력을 가진 영적 지도자이다. 자라이족의 왕들은 인간 본성의 신비와 모든 생물의 영혼에 대한 영향력을 믿는 다른 민족의 사람들까지 끌어들인다. 자라이족의 토착 신앙은 정글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정령을 달래기 위한 동물 희생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토착 신앙이 그러하듯이, 주변의 종교들은 자라이족의 종교의 적절성과 연속성을 위협한다. 전통 관습에 대한 외부의 부정적인 시각은 그들을 기독교화하거나 세속화하려는 많은 노력을 초래했다.

1975년 베트남 통일은 하노이의 공산 정권 하에서 국가의 많은 사람들에게 종교적 제한을 의미했으며, 이는 베트남 자라이족의 조상 종교 전통에 영향을 미쳤다. 베트남은 국내에서 6개의 공식 종교만 허용하며, 자라이족의 토착 신앙은 그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이로 인해 일부 자라이족은 외국으로 피난을 모색하게 되었다.

동시에, 베트남 전쟁 중 기독교 선교 연합의 미국 선교사들과 같은 미국 복음주의자들의 침투는 자라이족 공동체와 긴밀하게 교류했고, 다가오는 정권의 위험 속에서 많은 사람들을 기독교로 개종시켰다. 결과적으로, 자라이어로 번역된 성경이 출판되었다.

캄보디아에서 자라이족은 다수가 상좌부 불교를 받아들이는 크메르족과 함께 생활한다. 베트남의 엄격한 정치적, 종교적 압력과는 대조적으로, 불교와 자라이족의 토착 신앙은 서로 비교적 평화롭고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라타나키리의 일부 자라이족은 불교 상징을 그들의 의식과 집에 포함시키고, 크메르족 이웃들과 함께 불교 의식에 참여하지만, 불교 사찰은 일반적으로 자라이족 마을에서는 행해지지 않는다.

이슬람교는 1833년부터 1834년 초까지 카티프 수마트 봉기 동안 고원 지대에 사는 자라이족에게 전파된 것으로 기록되기 시작했다. 켈란탄에서 돌아온 그는 추루족과 자라이족에게 이슬람교를 전파하고, 그들을 모집하여 대월에 대항하는 지하드 운동에 참여하게 했다.[21]

5. 4. 음악

자라이족은 , 실로폰, 거문고 등 전통 악기를 이용한 음악을 연주한다. 미국에 거주하는 유명 자라이족 음악가 Dock Rmah는 1996년 노스캐롤라이나 예술 위원회에서 민족유산상을 수상했다. 자라이족의 민속악기에는 찰현악기인 끄니와 거문고 계열의 단궁 등이 있다. 음악과 춤은 자라이족 문화의 매우 독특한 요소이다. 마을이나 씨족 집안에서의 자라이족의 밤은 조상들의 음악으로 생동감 넘치게 채워지며, 꽹과리, 실로폰 (예: 뜨릉), 거문고, 입으로 연주하는 바이올린인 끄니와 나무와 대나무로 만들어진 다양한 전통 악기들을 사용한다. 자라이족의 ''트로바''는 음악가가 즉흥적으로 작곡한 것으로, 자라이족이 발효된 쌀로 만든 ''스라 피엔''(자라이 )을 마시면서 자라이족의 일상적인 어려움을 이야기한다. 이곳은 아이들이 정글의 고대 이야기와 자라이족 문화의 조상적 가치를 배우는 순간이다. 음악과 춤은 단조로우면서도 향수를 불러일으키며, 사람들의 자연 환경인 정글과 긴밀한 관계를 형성한다.[2]

5. 5. 장례



전통적인 자라이족의 묘는 작은 오두막집으로, 망자의 소유물과 약간의 제물이 놓인다. 묘 주변에는 조잡한 조각으로 장식된 나무 기둥이 세워져 있는데, 그 중 일부는 영적 수호자를 나타낸다.

장례식은 매우 비용이 많이 들며, 보통 물소와 소를 희생하는 것을 수반한다. 라따나끼리에서는 자라이족이 큰 동물을 희생하는 대신 오토바이와 같은 큰 물건을 사용하고 있다. 일부 망자는 오토바이를 함께 묻히기도 한다. 망자의 가족이 장례식을 치를 형편이 안 되면, 몇 년 동안 연기할 수 있다.

몇 년이 지나면 묘는 버려진다. 묘를 버리는 이 마지막 의식은 죽음이 최종적인 것이 되고 망자의 영혼이 해방되는 시점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재혼할 수 있도록 미망인을 해방시킨다.

6. 언어

자라이어는 1864년부터 서부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 말레이어, 아체어-참어, 참어, 남부, 고원어군으로 분류되었으며, M. 퐁텐에 의해 오늘날 안남 지방인 고대 참파 왕국의 참족라데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22]

자라이족이 캄보디아와 베트남으로 분리되면서 두 개의 뚜렷한 자라이어 집단, 즉 캄보디아 자라이어와 베트남 자라이어가 점진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는데, 후자는 라틴 베트남 문자를 사용하는 반면 캄보디아 자라이어는 아직 문자 체계가 없다. 자라이어는 참어에 가까운 언어이다.

참조

[1] 웹사이트 Report on Results of the 2019 Census https://drive.google[...]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Vietnam 2020-05-01
[2] 웹사이트 Ethnic Minorities, Census of Cambodia 2019 https://www.nis.gov.[...] 2024-03-03
[3] 문서 1999 census of Vietnam
[4] 뉴스 Vietnam's Bilingual Experiment http://latitude.blog[...] The New York Times 2013-04-24
[5] 서적 Population and ethno-demography in Vietnam Silkworm Books 2002
[6] 논문 Perspectives on the Vietnamese-Cambodia border conflict 1978
[7] 웹사이트 Cambodian Jarai People http://donboscokepch[...] Don Bosco Kep Children Fund 2017-04-30
[8] 서적 Rethinking Cultural Resource Management in Southeast Asia 2011
[9] 박물관 Vietnam National Museum of Fine Arts 2000
[10] 서적 Early Mainland Southeast Asia River Books Co., Ltd. 2014
[11] 웹사이트 Vietnam's Champa Kingdom Marches on http://www.hinduismt[...] 2015-11-21
[12] 서적 Southeast Asia: From Prehistory to History Psychology Press 2004
[13] 간행물 Indigenous Peoples: Ethnic Minorities and Poverty Reduction
[14] 문서 Settlement and agriculture in and adjacent to Virachey National Park
[15] 간행물 Indigenous Peoples: Ethnic Minorities and Poverty Reduction
[16] 서적 Ethnic Groups of Cambodia Vol 3: Profile of Austro-Thai and Sinitic-Speaking Peoples Booksmango 2015-01-11
[17] 웹사이트 Witness Confirms Execution of Jarai Minority Group http://www.cambodiat[...] Cambodia Tribunal Monitor 2016-03-21
[18] 서적 Window on a War: An Anthropologist in the Vietnam Conflict Texas Tech University Press 2002
[19] 문서 Clymer, p. 11; Sith Samath et al., p. 353; Vajpeyi, p. 127
[20] 논문 Rethinking Animism: Thoughts from the Infancy of our Discipline 1999
[21] 서적 Le Panduranga (Campa). Ses rapports avec le Vietnam (1802-1835) International Office of Champa 2013
[22] 웹사이트 A 19th century perception of Chamic relationships http://sealang.net/a[...] Mahidol University and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1989
[23] 웹사이트 The 2009 Vietnam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Completed Results http://www.gso.gov.v[...]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Vietnam: Central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Steering Committee 2010-06
[24] 웹인용 The 2009 Vietnam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Completed Results http://www.gso.gov.v[...]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Vietnam: Central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Steering Committee 2010-06
[25] 보고서 General Population Census of Cambodia 2008 - Final Census Results 통계청 2009-08
[26] 문서 1999년 베트남 인구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