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잘라이르 술탄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잘라이르 술탄국은 1335년 일 칸국의 분열 이후 잘라이르 부족의 후손들이 세운 국가이다. 1335년 아부 사이드 칸의 죽음 이후 아제르바이잔과 타브리즈 지역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1356년 셰이크 우와이스 1세가 즉위하며 전성기를 맞았으나, 왕위 계승 다툼과 티무르의 침입으로 쇠퇴했다. 1410년 흑양 왕조와의 전쟁에서 패배하며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 칸국 - 아인잘루트 전투
    아인잘루트 전투는 1260년 9월 3일 팔레스타인에서 맘루크 술탄국군이 몽골 제국군을 격파하여 몽골 제국의 서진 확대를 저지하고 맘루크 왕조가 중동을 지배하는 계기가 된 전투이다.
  • 일 칸국 - 아부 사이드 (일 칸국)
    아부 사이드는 일 칸국의 9대 칸으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권신 추반의 섭정을 받다가 친정을 통해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려 했으나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일 칸국 멸망의 원인이 되었다.
  • 자라이르 왕조 - 우웨이스 1세
    우웨이스 1세는 14세기 중반 자라이르 왕조를 통치하며 정복 활동과 페르시아 문화 융성을 통해 왕조의 최전성기를 이끈 군주이다.
  • 자라이르 왕조 - 아흐마드 (자라이르 왕조)
    아흐마드는 자라이르 왕조의 술탄으로, 형제들과의 권력 다툼, 티무르 제국의 침략, 주변 세력과의 복잡한 관계 속에서 여러 차례 재기를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카라 유수프에게 패배하여 처형당하며 왕조의 쇠퇴를 가속화했다.
  • 몽골계 왕조 - 복드 칸국
    1911년 몽골 혁명 후 제브츠운담바 호토크트 8세가 보그드 칸으로 추대되어 건국된 복드 칸국은 티베트 불교를 국교로 하는 신정 체제 국가였으나, 러시아와 중국의 외교적 압력, 중국의 침공, 몽골 인민당의 몽골 인민 정부 수립 등으로 혼란을 겪으며 1924년 멸망하였다.
  • 몽골계 왕조 - 모굴리스탄 칸국
    모굴리스탄 칸국은 14세기 차가타이 칸국에서 분리되어 건국된 몽골계 국가이며, 티무르 제국과의 관계 속에서 흥망성쇠를 겪다가 17세기 말 준가르 칸국의 침략으로 멸망했다.
잘라이르 술탄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명잘라이르 술탄국
별칭잘라이르 왕조
유형제국
존속 기간1335년 – 1432년
수도바그다드 (1335년–1358년, 1388년–1411년)
타브리즈 (1358년–1388년)
바스라 (1411년–1432년)
공용어페르시아어 (공식, 시)
몽골어 (정부)
아랍어 (외교)
튀르크어족
지도
[[일 칸국]] 영토의 분할. 잘라이르 왕조는 녹색으로 표시됨.
일 칸국 영토의 여러 정치체로의 분열, 잘라이르 왕조 ()
정치
정치 체제군주제
역사
성립1335년
멸망1432년
이전 국가일 칸국
계승 국가티무르 제국
카라 코윤루
현재 국가

2. 역사

잘라이르 술탄국의 역사는 크게 네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왕조가 일 칸국의 권위를 명목상 인정하면서도 사실상 자율성을 누리던 초기이다. 둘째는 셰흐 우와이스 잘라이르 (1356–1374)의 통치 아래 전성기를 맞이한 시기이다. 셋째는 우와이스 사후 시작된 쇠퇴기이며, 넷째는 티무르카라 코윤루의 침입으로 왕조가 멸망한 시기이다.

잘라이르 부족은 훌레구의 서아시아 원정 이후 일 칸국의 유력 가문으로 성장했다. 일 칸국의 마지막 칸 아부 사이드 칸 사후 혼란기에 셰이크 하산(대 하산)은 1340년이라크를 중심으로 자립하여 잘라이르 왕조의 기반을 마련했다. 그의 아들 셰이크 우와이스는 1357년 이후 아제르바이잔으로 진출하여 타브리즈를 점령하고 왕조의 최대 판도를 이루었으며, 문화적으로도 번성기를 이끌었다.

그러나 1374년 셰이크 우와이스가 사망한 후 왕위 계승 분쟁이 발생하며 왕조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1382년에는 후사인 1세가 동생 아흐마드에게 살해당하는 등 내분이 격화되었다. 설상가상으로 중앙아시아에서 세력을 키운 티무르가 이란 지역을 침공해왔다. 술탄 아흐마드는 카라 코윤루와 연합하여 저항했으나 티무르에게 밀려 바그다드를 빼앗기고 맘루크 왕조로 망명하는 등 고초를 겪었다.

1405년 티무르 사후 아흐마드는 이라크로 복귀하여 세력을 회복하려 했으나, 이번에는 카라 코윤루의 카라 유수프와 대립하게 되었다. 결국 1410년 아흐마드는 카라 유수프에게 패배하고 처형당하면서 잘라이르 왕조는 사실상 멸망했다. 이후에도 왕조의 잔존 세력이 활동했지만, 흑양 왕조, 티무르 왕조, 백양 왕조 등 주변 강대 세력과의 경쟁 속에서 소멸하였다.

2. 1. 초기: 일 칸국의 붕괴와 자립 (1336년 ~ 1356년)

1335년 아부 사이드 바하두르 칸이 후사 없이 사망하면서 일 칸국은 급속히 와해되기 시작했다. 이 혼란 속에서 훌레구의 서정을 따라 서아시아로 이주한 잘라이르 부족 출신의 하산 부주르그(대 하산)가 세력을 키우기 시작했다. 그는 일 칸국의 마지막 칸이었던 아부 사이드 칸과 사촌 관계였으며[8], 그의 가문은 증조부 일게 노얀(Īlgā Noyan), 할아버지 아크부카(Āqbuqā), 아버지 후세인(Husayn) 대부터 일 칸국의 중신으로 활동해 온 유력 가문이었다.[2][8][4][3] 일게 노얀은 훌레구를 따라 서아시아 원정에 참여했으며, 바그다드 함락 이후 도시 재건을 감독하기도 했다.[4][3][8] 하산 부주르그의 아버지 후세인은 올제이투와 아부 사이드 칸을 섬겼고, 1313년 아란의 통치자로 임명되었으나 1322년 호라산에서 사망했다.[8][4][3]

아부 사이드 칸 사후, 하산 부주르그는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당시 아나톨리아를 통치하던 무함마드 칸(Pir Husayn)을 새로운 칸으로 옹립하며 관계를 강화했다. 그는 타브리즈로 가서 무함마드를 왕위에 앉혔고, 아부 사이드의 미망인이자 초반 가문의 손녀인 딜샤드 하툰과 결혼하여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다졌다.[3][9] 그는 '아미르 알-우마라'(총사령관)의 지위에 올랐다.[3] 1337년에서 1338년 사이 짧은 기간 동안 그의 권위는 호라산을 제외한 구 일 칸국 영토 대부분에서 인정받았다.[10][11][12]

하지만 일 칸국의 중심지였던 아제르바이잔 지역을 두고 초반 왕조(술두스 부족)[23]의 지도자이자 동명이인인 하산 쿠차크(소 하산)와 치열한 경쟁을 벌여야 했다. 1338년 벌어진 전투에서 하산 쿠차크에게 패배하면서, 하산 부주르그는 아제르바이잔에서 밀려나 바그다드를 중심으로 한 메소포타미아 지역으로 후퇴했다.[10][11][12]

1340년경, 하산 부주르그는 이라크 지역에 자립적인 정권을 수립하여 아제르바이잔의 초반 왕조에 대항했다. 비록 초기에는 명목상 일 칸국의 권위를 인정하기도 했으나[4], 이는 사실상 잘라이르 술탄국의 시작을 의미했다. 하산 부주르그는 1356년 7월 사망할 때까지 이라크 지역을 통치했으며, 나자프에 묻혔다.[10] 그의 사후 아들인 셰이크 우와이스 잘라이르가 왕위를 계승했다.

2. 2. 전성기: 셰이크 우웨이스 1세의 통치 (1356년 ~ 1374년)

셰이크 우와이스 잘라이르가 그의 아버지 하산 부주르그의 뒤를 이은 직후, 잘라이르의 오랜 경쟁자였던 초반 왕조는 1357년 금장 칸국의 자니 베그 칸이 이끄는 군대에 의해 멸망했다. 초반 왕조의 말레크 아스라프는 처형되었고, 아제르바이잔 지역은 금장 칸국에 정복되었다.

그러나 자니 베그가 아제르바이잔에서 철수하고 그의 아들 베르디 베그가 1358년 이 지역을 포기하면서, 아제르바이잔은 주변 세력들의 주요 목표가 되었다. 처음에는 금장 칸국의 종주권을 인정했던 셰이크 우와이스는, 말레크 아스라프의 옛 아미르였던 아키추크가 이 지역을 몽골 세력 하에 두려 했음에도 불구하고, 직접 초반 왕조의 옛 영토를 차지하기로 결정했다. 잠시 무자파르 왕조가 아제르바이잔을 점령하기도 했지만, 우와이스는 1360년 마침내 이 지역을 정복하여 타브리즈를 자신의 통치 하에 두게 되었다. 이로써 그는 바그다드와 함께 타브리즈라는 주요 도시를 확보하게 되었다.[13][2][3][4]

셰이크 우와이스 잘라이르 (1356–1374)의 궁정을 묘사한 당시 그림, ''파르하드나마'' (1369–72)


1364년, 셰이크 우와이스는 쉬르반의 샤 카이카우스에 맞서 원정을 벌였으나, 바그다드 총독 카와자 미르잔이 반란을 일으키자 이를 진압하기 위해 돌아와야 했다. 1366년, 셰이크 우와이스는 카라 코윤루를 공격하여 무시 전투에서 그들의 지도자 바이람 카와자를 격파했다. 이후 그는 타브리즈를 두 차례 공격했던 쉬르반샤마저 격파했다. 역사가 자인 알딘 카즈비니와 하피즈 아브루에 따르면, 쉬르반샤 카우스는 우와이스에게 쉬르반과 다르반드를 넘겨주고 그의 충실한 신하가 되었으며, 카우스 사후 우와이스는 그의 아들 후샹을 쉬르반샤로 임명했다.[4]

이러한 원정 활동으로 셰이크 우와이스는 이란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으며, 1374년 타브리즈에서 사망했다. 그의 치세 동안 잘라이르 왕조는 최대 전성기를 누렸다. 그는 활발한 군사 활동 외에도, 이전 수년간 혼란을 겪었던 지역의 상업 활동을 부흥시키고 예술을 후원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의 연대기 작가 아부 바크르 알쿠트비 알아흐리는 그의 행적을 ''타리크-이 셰이크 우와이스''에 기록했다. 셰이크 우와이스는 아들 하산을 바그다드의 후계자로 지명했으며, 그의 사후 잘라이르 왕조는 급격히 쇠퇴하기 시작했다.[14][15][2]

2. 3. 쇠퇴기: 내분과 티무르의 침입 (1374년 ~ 1410년)

셰이크 우와이스 잘라이르가 1374년에 사망한 후, 잘라이르 왕조는 유목 국가의 고질병인 왕위 계승 분쟁에 휘말리며 쇠퇴기에 접어들었다.

1376년, 우와이스의 아들 후사인 1세는 타브리즈에 거처를 마련했다. 이듬해 봄, 그는 서쪽에서 약탈을 일삼던 바이람 호자 휘하의 카라 코윤루 세력을 상대로 성공적인 원정을 이끌었다. 그러나 외부의 적과 내부 아미르들 간의 갈등 속에서 지지 기반을 잃었고, 결국 1382년 동생 아흐마드에게 살해당하면서 내분이 심화되었다.

권력을 잡은 아흐마드는 다른 형제인 셰이크 알리와 바야지드의 도전에 직면했다. 그는 자신의 지위를 공고히 하기 위해 카라 코윤루의 도움을 요청했고, 이 과정에서 아흐마드에게 반대했던 형제 셰이크 알리는 카라 코윤루와의 전투에서 사망했다.[4]

1384년 봄, 중앙아시아에서 세력을 키운 차카타이 아미르 티무르아제르바이잔을 포함한 잘라이르 왕조의 영토를 침공했다. 술탄 아흐마드는 티무르의 군대를 피해 달아났고, 솔타니예에 있던 그의 부하들은 도시를 방어하지 못해 티무르는 큰 저항 없이 도시를 점령했다.[16] 티무르가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 술탄 아흐마드는 1385년 금장 칸국의 칸 토흐타미쉬의 침입에도 대처해야 했다.[16]



티무르는 인도 원정을 마치고 1396년 아제르바이잔으로 돌아왔다. 당시 동부 아나톨리아를 지배하던 튀르크계 유목 부족 연합인 흑양 왕조(카라 코윤루)의 통치자 카라 유수프는 티무르의 공격을 피해 모술로 후퇴했고, 1400년경에는 오스만 제국으로 망명했다.[17] 술탄 아흐마드 역시 티무르에게 패배하여 수도 바그다드를 빼앗기고 맘루크 왕조로 망명했다. 훌레구에 의한 정복으로 황폐화되었던 바그다드는 이때 다시 한번 대규모 파괴를 겪었다.

아흐마드는 다마스쿠스에 도착했는데, 이곳에는 이미 카라 유수프가 피신해 와 있었다. 오스만 제국의 술탄 바예지드 1세가 카라 유수프를 비호한 것은 티무르가 오스만 제국을 공격하는 주요 명분 중 하나가 되었다. 다마스쿠스의 총독(나이브) 셰이크 마흐무드는 이들을 환영했지만, 맘루크 왕조의 술탄 안나시르 파라즈는 티무르와의 관계 악화를 우려하여 두 사람을 체포하여 투옥하도록 명령했다.[18][16]

감옥에서 아흐마드와 카라 유수프는 동맹 관계를 맺었다. 아흐마드가 바그다드를 유지하고 카라 유수프가 아제르바이잔을 차지하기로 합의했으며, 아흐마드는 카라 유수프의 아들 피르부다그를 양자로 삼기도 했다. 1405년 티무르가 사망하자, 안나시르 파라즈는 이들을 석방했다. (일부 기록에는 다마스쿠스에서 반란을 일으킨 왈리 셰이크 마흐무드의 명령으로 석방되었다고도 한다.)[18][16]

석방된 아흐마드는 이라크로 돌아와 구 세력을 회복하고 타브리즈 탈환에 힘썼다. 그러나 1409년 가을 이미 타브리즈를 점령하고 세력을 급속히 확장하고 있던 카라 코윤루의 카라 유수프와의 싸움에서 패배했다. 결국 1410년, 아흐마드는 카라 유수프에게 사로잡혀 처형되었다.[19][8][4][3] 이로 인해 잘라이르 왕조는 사실상 멸망하게 되었다.

2. 4. 멸망: 흑양 왕조와의 전쟁 (1410년 ~ 1432년)

셰흐 우와이스 잘라이르가 1374년에 사망한 후, 잘라이르 왕조는 유목 국가에서 흔히 나타나는 왕위 계승 분쟁에 휩싸였다. 이러한 내부 혼란 속에서 1382년에는 우와이스의 장남인 후사인 1세가 동생 아흐마드에게 살해당하는 등 내분이 지속되었다.

같은 시기, 중앙아시아에서는 티무르가 몽골계 유목 세력을 통합하고 이란으로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아흐마드는 동부 아나톨리아를 지배하던 튀르크계 유목 부족 연합인 흑양 왕조와 손을 잡고 티무르에 맞서려 했으나, 티무르의 압도적인 군사력에 밀려 수도 타브리즈를 버리고 바그다드로 후퇴해야 했다. 그러나 티무르 군대는 바그다드마저 함락시켰고, 이 과정에서 도시는 훌레구의 침입 이후 또다시 큰 파괴를 겪었다. 아흐마드는 바그다드에서 탈출하여 처음에는 오스만 제국으로, 이후에는 맘루크 왕조로 망명하여 피신했다.

티무르가 사망한 후, 아흐마드는 이라크로 돌아와 옛 세력을 다시 규합하고 타브리즈를 되찾기 위해 노력했다. 하지만 당시 카라 유수프의 지도 아래 급격히 세력을 키우고 있던 흑양 왕조와의 경쟁은 피할 수 없었다. 결국 1410년, 아흐마드는 흑양 왕조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사로잡혔고 처형당했다. 이로 인해 사실상 잘라이르 왕조는 멸망했다.

아흐마드의 죽음 이후에도 잘라이르 왕조의 일부 잔존 세력은 아제르바이잔 지역 등지에서 활동을 이어갔다. 그러나 계속되는 왕족 내부의 권력 다툼과 15세기 내내 이 지역을 둘러싸고 경쟁했던 흑양 왕조, 티무르 왕조, 백양 왕조와 같은 강력한 세력들 사이에서 점차 힘을 잃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3. 정치와 행정

잘라이르 술탄 아흐마드 자라이르의 칙령




잘라이르 행정부는 페르시아어몽골어로 된 문서를 사용하여 일 칸국의 제도를 따랐다.[1] 외교 서신 또한 일 칸국의 서신과 유사했는데, 아랍어로 된 이슬람 문구가 새겨진 붉은 잉크의 사각형 도장을 사용했다.[1]

4. 문화

셰이크 우와이스는 뛰어난 문화인이었으며, 그의 궁정에는 시인, 음악가, 미술가들이 모여들었다. 몽골 제국 시대의 동서 교류에 영향을 받아 일 칸국 치하에서 발전했던 이란-이슬람 문화는 잘라이르 술탄국에서 계승되어 더욱 심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5. 역대 지배자

칭호[21]이름재위 기간비고
타지 웃 딘하산 부주르그1336–1356
무이즈 웃 딘 와 알 딘, 바하두르 칸셰이크 아와이스 잘라이르 (우웨이스 1세)1356–1374하산 부주르그의 아들
잘랄 웃 딘셰이크 하산 잘라이르1374즉위 직후 살해됨
기야스 웃 딘셰이크 후세인 잘라이르 (후사인 1세)1374–1382아와이스 1세의 아들
셰이크 바야지드 잘라이르1382–1384솔타니예에서 왕위 경쟁자 (이라크-이 아잠 통치자)
술탄술탄 아흐마드 잘라이르 (아흐마드)1382–1410바그다드에서 왕위 경쟁자 (이라크-이 아랍 통치자). 아와이스 1세의 아들, 후세인 1세의 동생. 1393년과 1401년 티무르에게 바그다드를 내줌.
샤 왈라드 잘라이르1410–1411셰이크 알리 잘라이르의 아들 (아흐마드의 조카). 이후 지배자들은 바그다드를 잃고 이라크 남부를 근거지로 삼음.
탄두 하툰1411–1419[22]섭정 또는 공동 통치자로 추정됨.
술탄술탄 마흐무드 잘라이르 (마흐무드)1411 (1차)샤 왈라드의 아들. 탄두 하툰의 후견 하에 통치.
술탄술탄 아와이스 잘라이르 (우웨이스 2세)1411–1421샤 왈라드의 아들.
술탄술탄 무함마드 잘라이르 (무함마드)1421샤 왈라드의 아들.
술탄술탄 마흐무드 잘라이르 (마흐무드)1421–1425 (2차)샤 왈라드의 아들. 2차 재위.
후세인 빈 알라 웃 다울라 잘라이르 (후세인 2세)1425–1432아흐마드의 손자.


6. 가계도


  • '''하산 1세''' (재위 1336–1356)
  • '''우와이스 1세''' (재위 1356–1374)
  • '''하산 2세''' (재위 1374)
  • 알리
  • '''후세인 1세''' (재위 1374–1382)
  • '''바예지드''' (재위 1382–1384)
  • '''아흐마드''' (재위 1382–1393, 1394–1400, 1400–1403, 1405–1410)
  • '''샤-왈라드''' (재위 1410–1411)
  • '''마흐무드''' (재위 1411–1419, 탄두 섭정 기간과 겹침)
  • '''우와이스 2세''' (재위 1419–1425)
  • '''무함마드''' (재위 1425–1427)
  • '''탄두''' (섭정 1411–1419)
  • 알라 앗다울라
  • '''후세인 2세''' (재위 1427–1432)

참조

[1] 서적 Kingship and Ideology in the Islamic and Mongol Worl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William Bayne Fisher
[3] 웹사이트 Jalayerids https://iranicaonlin[...] Encyclopaedia Iranica Foundation 2021-10-10
[4] 서적
[5]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A History of Central Asia Rutgers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Digitised Manuscripts http://www.bl.uk/man[...]
[7] 학술지 The Paintings of the FreerDivanof Sultan Ahmad b. Shaykh Uvays and a New Taste for Decorative Design https://www.academia[...] 2018
[8] 서적 "Ta'rīkh-i Shaikh Uwais : (History of Shaikh Uais) : An important source for the history of Adharbaijān in the four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s-Gravenhage
[9] 웹사이트 Chobanidis https://iranicaonlin[...] Encyclopaedia Iranica Foundation 2021-10-10
[10] 서적 Daily life in the Mongol Empir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1] 서적 Encyclopaedia of the World Muslims: Tribes, Castes and Communities Global Vision
[1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urke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서적 Journey from Tehran to Chicago: My Life in Iran and the United States, and a Brief History of Iran Trafford Publishing
[14] 서적 Medieval Persia 1040–1797 Routledge
[15] 서적 A Literary History of Persia: The Tartar Dominion
[16] 웹사이트 Karakoyunlular – TDV İslâm Ansiklopedisi https://islamansiklo[...] 2021-10-10
[17] 웹사이트 Karakoyunlular –TDV İslâm Ansiklopedisi https://islamansiklo[...] 2021-10-10
[18] 서적 The Mameluke Or Slave Dynasty of Egypt 1260–1517 A.D. https://archive.org/[...] Nabu Press
[19] 서적 Turkish History and Culture in India: Identity, Art and Transregional Connections Brill
[20] 학술지 Selections from Jalayirid Books in the Libraries of Istanbul https://www.jstor.or[...] 2011
[21] 서적 The new Islamic dynastie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manual. New Edinburgh Islamic Surveys Series
[22] 서적 The forgotten queens of Islam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3] 문서 タイチュウトの部族のひと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