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정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사정포는 장거리 사정거리를 가진 포를 의미하며, 특히 조선인민군의 장사정포 위협과 관련하여 언급된다. 조선인민군은 170mm 자주포와 240mm 방사포를 운용하며, 서울, 인천, 김포 등 수도권 지역을 사정권에 둔다. 이러한 장사정포는 동굴 진지에 은폐되어 기습적인 공격이 가능하다. 국제 사회에서는 이스라엘과 헤즈볼라 간의 분쟁에서 헤즈볼라가 사용한 카추사 로켓이 장사정포의 사례로 언급되며, 이에 대한 대응 체계로 이스라엘의 아이언 돔, 레이저 요격 시스템, 기관포 요격 시스템 등이 개발되었다. 최근 북한의 신형 방사포 개발과 관련하여, 한국은 아이언 돔과 같은 방어 체계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포 - 포대
포대는 본래 야전이나 요새에서 함께 운용되는 대포들의 집합체를 의미하는 용어였으나, 시간이 지나 포병의 영구적인 부대를 지칭하는 조직 용어로 확장되어 육군, 해군 등 다양한 군사 분야에서 사용되며, 현대에는 다양한 임무와 무기를 장착한 포병대를 지칭한다. - 대포 - 평사포
평사포는 낮은 탄도로 목표를 직접 타격하는 화포로, 높은 초속과 긴 사거리를 가지며 움직이는 목표물에 대한 명중률이 높지만, 엄폐물 뒤의 목표물은 공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참호전의 양상 변화에 따라 보병 지원용으로 개발되어 현대에는 특수한 환경에서 활용되며 발전하고 있다. - 로켓포 - 카튜샤 로켓
카튜샤 로켓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군이 사용한 다연장 로켓포의 별칭으로, 흑색화약 로켓탄을 사용하며 융단폭격에 효과적이었으나 명중률은 낮았다. - 로켓포 - RPG-7
RPG-7은 제2차 세계 대전 말 독일의 판처파우스트 250을 발전시킨 휴대용 대전차 로켓 발사기로, 1961년 소련군에 채용되어 전 세계 분쟁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장사정포 | |
---|---|
장사정포 | |
![]() | |
유형 | |
구분 | 자주포 |
국가별 장사정포 | |
러시아 | 2S5 기아친타-S 2S7 피온/말카 |
북한 | 곡산포 M-1991 M-1992 |
대한민국 | K-9 썬더 K-55/K-55A1 |
중화인민공화국 | PLZ-05 PCL-181 |
2. 조선인민군의 장사정포 위협
조선인민군은 170mm 자주포와 240mm 방사포를 활용하여 대한민국 수도권을 위협하고 있다. 이 장사정포들은 동굴 진지에 은폐되어 있다가, 사격 시 출입문을 열고 나와 발사 후 다시 신속하게 동굴로 복귀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1]
북한군은 장사정포에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북한이 핵탄두 탑재 가능하다고 선전하는 무기는 다음과 같다:[2]
무기 | 사정거리 | 핵탄두 위력 |
---|---|---|
170mm 장사정포 | 53km | 10kt급 이하 |
FROG-5 지대지 로켓 | 55km | 25kt급 이하 |
FROG-7 지대지 로켓 | 70km | 25kt급 이하 |
SCUD-B 미사일 | 300km | 메가톤급 이하 |
SCUD-C 미사일 | 500km | 메가톤급 이하 |
2. 1. 종류 및 제원
조선인민군의 170mm 자주포는 일반탄의 경우 유효사거리가 24km, 최대사거리가 36km이며, 사거리를 연장하면 각각 36km, 54km이다. 따라서 최소 파주와 고양 전체, 김포와 인천 일부 지역에 도달할 수 있다. 연장탄을 사용하면 강동과 강남지역을 제외한 서울 전역과 인천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 인천, 부천까지 사거리에 포함된다.[1]240mm 방사포 중 M-1985는 유효사거리가 40km, 최대사거리는 60km에 달하여 서울 서북부와 인천 일부, 인천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이 사정권 안에 들어온다. M-1991은 최대 서울 전체는 물론 과천, 안양, 시흥까지 사거리에 포함된다.[1]
조선인민군의 장사정포는 동굴 진지에 은폐되어 있어 출입문을 개방하고 이동한 후 사격한다. 사격 후 동굴 진지로 다시 이동하기까지 170mm 자주포는 34분, 240mm 방사포는 19분이 걸린다.[1]
2. 2. 은폐 및 기동
조선인민군의 장사정포는 동굴 진지에 은폐되어 있어 출입문을 개방하고 이동한 후 사격을 한다. 사격 후 동굴 진지로 다시 이동하기까지 170mm 자주포는 34분, 240mm 방사포는 19분이 걸린다.[1]2. 3. 핵무기 탑재 가능성
북한군은 사정거리 53km의 170mm 장사정포에 10kt급 이하의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다고 선전하고 있다.[2] 핵탄두 소형화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정확하게 알려진 바는 없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07년과 2010년에 소형 핵탄두만 장착한다고 알려져 있는 무수단 미사일을 공개했다.3. 국제사회의 사례
2006년 이스라엘-레바논 전쟁에서 헤즈볼라는 카추사 로켓을 이스라엘에 발사하여 민간인 피해가 발생했다. 이스라엘에 거주하는 미국 시민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헤즈볼라를 지원했다며 워싱턴 DC 소재 연방지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6] 해외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장사정포를 카추사 로켓이라고 부른다.[3][4][5]
3. 1. 이스라엘과 헤즈볼라
2006년 이스라엘-레바논 전쟁에서 헤즈볼라는 3,970 ~ 4,228발의 카추사 로켓을 이스라엘에 발사했다. 이들 중 95%는 122mm 구경의 시리아산 카추사 로켓이었다. 무게는 30kg, 사거리는 30km이었다.[3][4]이 로켓 공격으로 이스라엘 민간인 43명이 사망했고, 4천명 이상이 부상했다.[5] 이스라엘에 거주하는 미국 시민권자 30명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헤즈볼라의 카추사 로켓 공격을 도왔다면서 1억달러의 손해배상 소송을 워싱턴 DC 소재 연방지방법원에 제기했다. 이들은 헤즈볼라가 발사한 카추사 로켓의 핵심 부품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온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그 근거로 이스라엘 정보기관인 모사드의 정보를 들었다.[6] 해외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장사정포를 모두 카추사 로켓이라고 부른다.
4. 대응 체계
장사정포에 대응하기 위한 체계로는 아이언돔, 레이저 요격(THEL), 기관포 요격(C-RAM) 등이 있다. 이스라엘은 아이언돔을 주력으로 사용하며, 레이저 요격 및 기관포 요격 체계는 아이언돔의 실전 사용 결과에 만족하여 취소했다.
4. 1. 이스라엘의 아이언돔
이스라엘은 레이저 요격 개발을 중단하고, 아이언돔으로 헤즈볼라나 하마스 등의 장사정포를 요격 중이다. 아이언돔은 미니 이지스 레이다에 사이드와인더급 무게 80kg의 적외선 유도 미사일을 장착한 개념이다. 모든 다연장 로켓포와 야포를 방어할 수 있다. 즉, 기존의 패트리어트나 천궁 레이다에 미사일만 작은 것을 장착한 개념이다. 무게 300kg의 액티브 레이다 유도인 패트리어트 PAC-3를 무게 80kg의 적외선 유도로 소형화, 저렴화했다. 그러나, 하마스의 장사정포 보다 50배 이상 비싸다는 비판이 있다. 한발당 50000USD로 계산했을 경우이고, 90000USD라는 다른 보도도 있다. 보통 각국에서 독자생산하는 사이드와인더는 100000USD 이상이다.이스라엘은 가자지구와 레바논 무장세력의 단거리 미사일 공격을 방어하기 위한 미사일방어체계인 아이언 돔(Iron Dome) 시스템을 2010년 여름에 본격 가동할 예정이다. 라파엘사는 2009년 3월 아이언 돔 요격시스템의 실험에 성공했다.[3] 2006년 헤즈볼라와 전쟁시 4000발의 카추사 로켓 공격을 받은 이스라엘은 이 시스템의 구축을 서둘러 왔다.
2006년 이스라엘-레바논 전쟁에서 헤즈볼라는 3,970 ~ 4,228 발의 카추사 로켓을 이스라엘에 발사했다. 이들 중 95%는 122 mm (4.8 인치) 구경의 시리아산 카추사 로켓이었다. 무게 30kg, 사거리 30km이었다.[3][4]
4. 2. 레이저 요격 (THEL)

이스라엘 국방부는 2000년 6월 6일 미국 뉴멕시코주의 화이트 샌드 미사일 사격장에서 실시된 노틸러스 시스템의 발사시험에서 날아오는 카추사 로켓을 정확히 추적해 파괴시켰다고 밝혔다.[7]
2000년과 2001년에 이스라엘군은 카추사 로켓 28발을 레이저포로 요격했다. 노스럽 그러먼은 이스라엘 국방부와 공동으로 스카이가드 레이저 요격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대당 가격은 약 1.5억달러(1.5조원)이고, 대량 생산 시 3000만달러(3000억원)로 예상된다.[7]
2012년 아이언 돔의 성공적인 방어에 따라, 이스라엘 정부는 레이저 요격과 기관포 요격 계획을 모두 취소했다.
4. 3. 기관포 요격 (C-RAM)
C-RAM은 이라크 다국적군의 소요제기로 개발되었다. 이라크에서 적의 로켓, 대포, 박격포 공격으로 부상자가 늘어나자, 이러한 요청이 쇄도했다. 2005년 여름, 지상용 팰렁스 CIWS가 이라크에 설치되었다. 바그다드의 그린존과 캠프 빅토리를 방어했으며, 이라크 남부의 영국군도 설치했다.
이스라엘은 적의 로켓포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이 시스템 구매를 고려했다. 대당 1500만달러이며, 20mm M61A1 개틀링포를 사용, 분당 3,000 또는 4,500발의 M-246 또는 M-940 탄환을 발사한다. 탄환은 공중에서 자동 폭발한다.[8][9] 그러나 2012년 아이언 돔의 실전사용 결과에 만족하여 기관포 요격 체계는 취소했다.
독일 육군은 NBS C-RAM을 사용한다.
C-RAM은 병사들이 C-RAM의 발사 소음을 통해 사전에 대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발사 소음은 유튜브 동영상을 참조.
5. 신형 방사포 개발과 대응 과제
2013년에는 장사정포와 관련하여 아이언 돔, 팰렁스 CIWS, 북한의 300mm 방사포가 자주 보도되었다.
2013년 5월, 북한이 자주 시험 발사하는 단거리 로켓이 중국의 웨이스 로켓을 도입한 것인지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었다.[10] 같은 해 5월,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동해 발사에 대해 한국은 미사일, 미국은 다연장 로켓포로 보았으나, 이후 한국도 방사포(다연장 로켓포)로 판단했다.[11]
과거에는 방사포가 무유도였지만, 최근에는 유도 기능을 갖추면서 고체 연료 유도 지대지 미사일과 성능 면에서 큰 차이가 없고 가격 차이만 존재한다. 방사포는 작고 저렴하며 여러 발을 발사하는 개념인 반면, 단거리 미사일은 상대적으로 비싸고 탄두가 크다. 방어 방식 또한 단거리 미사일은 패트리어트 미사일과 천궁 미사일 등 고가의 미사일 방어가 필요하지만, 방사포는 아이언 돔과 같은 저가의 소형 미사일로 방어한다.
한국은 당초 미사일로 판단하여 패트리어트 미사일과 천궁 미사일로 대응 가능하다고 보았으나, 방사포로 결론이 나면서 한국이 배치하지 않은 아이언 돔 도입 문제가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5. 1. 북한의 신형 방사포
2013년에는 장사정포와 관련해서 아이언 돔, 팰렁스 CIWS, 그리고 북한의 300mm 방사포가 자주 보도되었다.2013년 5월 북한이 자주 시험발사하는 단거리 로켓이 중국의 웨이스 로켓을 도입한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었다.[10]
2013년 5월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동해 발사에 대해, 한국은 미사일, 미국은 다연장 로켓포라고 보았다. 그 후에 한국도 방사포(다연장 로켓포)로 보았다.[11]
과거에는 방사포가 무유도였지만, 요즘에는 유도기능이 들어가기 때문에, 고체연료 유도 지대지 미사일과 아무 차이가 없고, 가격 차이만 있을 뿐이다. 방사포는 작고 싸며 여러 발을 쏘는 개념이고, 단거리 미사일은 상대적으로 매우 비싸고, 탄두도 크다. 방어 방법도 단거리 미사일은 패트리어트 미사일과 천궁 미사일 등의 고가의 미사일 방어가 필요하지만, 방사포 방어는 아이언 돔이라는 저가의 소형 미사일로 방어한다.
한국은 미사일로 보아서 현재 배치 중인 패트리어트 미사일과 천궁 미사일로 대응 가능하다고 보았지만, 방사포로 결론 남에 따라 한국이 전혀 배치하지 않은 아이언 돔 배치 문제가 논의될 것이다.
5. 2. 대한민국의 대응 과제
2013년에는 장사정포와 관련해서 아이언 돔, 팰렁스 CIWS, 북한의 300mm 방사포가 자주 보도되었다.2013년 5월 북한이 자주 시험 발사하는 단거리 로켓이 중국의 웨이스 로켓을 도입한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었다.[10]
2013년 5월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동해 발사에 대해, 한국은 미사일, 미국은 다연장 로켓포라고 보았다. 그 후에 한국도 방사포(다연장 로켓포)로 보았다.[11]
과거에는 방사포가 무유도였지만, 요즘에는 유도 기능이 들어가기 때문에, 고체 연료 유도 지대지 미사일과 아무 차이가 없고, 가격 차이만 있을 뿐이다. 방사포는 작고 싸며 여러 발을 쏘는 개념이고, 단거리 미사일은 상대적으로 매우 비싸고, 탄두도 크다. 방어 방법도 단거리 미사일은 패트리어트 미사일과 천궁 미사일 등의 고가 미사일 방어가 필요하지만, 방사포 방어는 아이언 돔이라는 저가 소형 미사일로 방어한다.
한국은 미사일로 보아 현재 배치 중인 패트리어트 미사일과 천궁 미사일로 대응 가능하다고 보았지만, 방사포로 결론 남에 따라 한국이 전혀 배치하지 않은 아이언 돔 배치 문제가 논의될 것이다.
참조
[1]
간행물
단독 공개 北 장사정포, 알려지지 않은 다섯 가지 진실
http://www.donga.com[...]
신동아
2004-12-01
[2]
뉴스
"<北핵실험> 軍, 핵전 대비태세 점검 착수"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6-10-11
[3]
웹인용
Hizballah's Rocket Campaign Against Northern Israel: A Preliminary Report
http://www.jcpa.org/[...]
Jerusalem Center for Public Affairs
2006-08-31
[4]
웹인용
Hezbollah's rocket force
http://news.bbc.co.u[...]
BBC News Online
2006-07-18
[5]
웹사이트
http://www.ynet.co.i[...]
[6]
뉴스
https://news.naver.c[...]
[7]
뉴스
미사일 요격용 레이저 방어시스템 '스카이가드'
https://news.naver.c[...]
[8]
웹사이트
CIWS now does surface targets
http://www.murdoconl[...]
Murdoc online
2009-04-12
[9]
뉴스
"Israel may buy rapid-fire cannon"
http://www.jpost.com[...]
Jerusalem Post
2007-12-20
[10]
뉴스
https://news.naver.c[...]
[11]
뉴스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