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장한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장한가》는 당나라 시인 백거이가 지은 서사시로, 당 현종과 양귀비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를 담고 있다. 안록산의 난으로 양귀비가 죽음을 맞이한 후 현종의 슬픔과 그리움을, 선녀가 된 양귀비와의 재회를 작가의 상상력으로 그려낸다. 이 시는 양귀비의 총애와 죽음, 현종의 슬픔, 그리고 선계에서의 재회를 세 부분으로 구성하며, 마지막 구절 "하늘에선 비익조가 되고, 땅에선 연리지가 되자"는 영원한 사랑을 맹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장한가》는 당나라 정치에 대한 풍자, 또는 현종과 양귀비의 애정을 주제로 해석되며, 다양한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시 - 고체시
    고체시는 2세기에 등장하여 당나라 시대에 부흥기를 맞이한 중국 전통 시의 한 형식으로, 5음절 또는 7음절의 구절로 구성되며 압운과 평측에서 자유로운 특징을 보인다.
  • 한시 - 악부
    악부는 중국에서 발생한 문학 형식으로, 한나라 때 민간 가요를 수집하는 음악 관서의 명칭이자 수집된 가요 자체를 의미하며, 송, 원대에는 사와 곡도 포함되었다.
  • 중국의 시 - 공작동남비
  • 중국의 시 - 칙찬집
    칙찬집은 천황의 명령으로 편찬된 시가집으로, 일본에서는 와카, 한시, 렌가, 하이카이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특히 칙찬와카집은 "21대집"으로 불리고 준칙찬와카집과 칙찬 한시집, 준칙찬 렌가집도 존재하며 중국에도 칙찬집이 있다.
  • 당나라의 문학 - 전기소설
    전기소설은 당나라 시대 중국에서 발생한 소설 유형으로, 괴이하고 초자연적인 이야기부터 현실적인 이야기까지 다루며, 당나라 초기에 지괴소설에서 발전하여 중당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고 송대 이후 쇠퇴했으나 후대 문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당나라의 문학 - 전당시
    《전당시》는 강희제의 칙령으로 편찬된 당나라 시대 시가집으로, 다양한 계층의 시 4만 8천여 수를 수록하여 당시 사회상과 문학적 경향을 보여주지만, 편찬상의 한계와 비판적 검토 필요성이 존재하며, 에도 시대 일본과 조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장한가
일반 정보
양귀비 그림
양귀비 그림
제목장한가
원제長恨歌
로마자 표기Cháng Hèn Gē
창작 시기806년
작가백거이
내용
장르서사시
언어한문
관련 정보
주제당 현종양귀비의 비극적인 사랑
배경안사의 난
특징역사적 사실과 상상력을 결합한 낭만적인 서사시

2. 창작 배경

당 현종(712-756)이 죽은 지 50년이 지나 백거이 나이 35세에 친구 왕질부(王質夫)와 진홍(陳鴻)이 그를 찾아와 선유산에 놀러 갔다. 거기서 당 현종 이융기와 양귀비의 사랑 이야기가 화제에 올랐다. 왕질부의 제의로 백거이는 시인의 상상력을 발휘해 시로, 진홍은 산문으로 그들의 사랑 이야기를 신화적인 내용으로 애절하게 썼다.

3. 시의 내용

는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첫 부분은 양귀비가 총애를 받고 안사의 난이 일어나 양귀비가 죽는 장면, 둘째 부분은 양귀비를 잃은 후 현종의 쓸쓸한 생활, 셋째 부분은 죽어서 선녀가 된 양귀비와 만나는 장면으로 되어 있다.[6]

특히, 마지막 구절은 작가의 상상력을 최대한 드러내 애절함을 고조시킨다.

在天願作比翼鳥|재 천 원 작 비 익 조중국어 하늘에선 날개를 짝지어 날아가는 비익조가 되게 해주소서


在地願爲連理枝|재 지 원 위 연 리 지중국어 땅에선 두 뿌리 한 나무로 엉긴 연리지가 되자고 언약했지요[6]

이 시는 당나라 현종과 그의 총애를 받던 양귀비의 사랑 이야기를 다시 쓴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백거이가 당시 당나라 정부에 대한 실망감을 드러내고 있다. 주전(周田)의 《장한가주(長恨歌注)》에 따르면, 시의 첫 부분은 당 현종이 양귀비에 대한 과도한 애정과 왕실의 의무를 소홀히 한 것에 대한 풍자를 담고 있다. 그러나 시의 두 번째 부분은 두 연인의 로맨틱한 이야기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주전은 백거이가 이 부분을 통해 양귀비가 매력적이었고, 당나라의 쇠퇴에 생사(生死)를 함께 책임져야 할 인물임을 보여주고자 했다고 믿었다.[6]

한나라 황제는 오랫동안 미녀를 찾았으나 만족하지 못하고, 마침내 양씨 가문의 딸을 얻게 된다. 그 이후 황제는 그녀에게 푹 빠져 정치를 잊었을 뿐만 아니라, 그녀의 친척들을 차례로 높은 지위에 앉힌다.

3. 1. 양귀비의 총애와 죽음

안사의 난이 일어나 황제는 궁궐에서 도망친다. 그러나 양귀비를 좋게 생각하지 않는 병사들은 움직이지 않았고, 결국 황제는 병사들을 달래기 위해 양귀비의 살해를 허가하게 된다.[6]

3. 2. 현종의 슬픔과 그리움

반란이 진압되자 황제는 도성으로 돌아왔지만, 양귀비를 그리워하며 우울해할 뿐 즐거워하지 못한다. 도사가 술법을 써서 양귀비의 혼을 찾아 헤맨 끝에, 마침내 선계에서, 지금은 태진(太真)이라 불리는 그녀를 찾아낸다.

태진은 도사에게 황제와의 추억이 담긴 물건과 메시지를 전한다. 그것은 "하늘에서는 비익조[8]처럼" "땅에서는 연리지[9]처럼", 옛날에 영원한 사랑을 맹세했던 추억의 말이었다.

3. 3. 선계에서의 재회

도사가 술법을 써서 양귀비의 혼을 찾아 헤맨 끝에, 마침내 선계에서, 지금은 태진(太真)이라 불리는 그녀를 찾아낸다.[6]

태진은 도사에게 황제와의 추억이 담긴 물건과 메시지를 전한다. 그것은 "하늘에서는 비익조[8]처럼", "땅에서는 연리지[9]처럼" 옛날에 영원한 사랑을 맹세했던 추억의 말이었다.

4. 주제

《장한가》의 주제는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으며, 주로 세상의 혼란을 막기 위한 "풍유(諷諭)"인지, 현종양귀비의 사랑을 중심으로 한 "애정(愛情)"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장한가》를 전기 형식으로 만든 진홍의 《장한가전(長恨歌傳)》에서는 "뜻있는 자는 다만 그 일에 감동할 뿐만 아니라, 요물을 징계하고, 난계를 막아 장래에 드리우려 한다"라고 하여 《장한가》를 "풍유"로 해석하였다.[7]

백거이가 《장한가》를 통해 무엇을 말하고자 했는지는 주전(周田)의 《장한가주(長恨歌注)》에서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시의 첫 부분은 당 현종이 양귀비에 대한 과도한 애정과 왕실의 의무를 소홀히 한 것에 대한 풍자를 담고 있다. 그러나 시의 두 번째 부분은 두 연인의 로맨틱한 이야기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주전은 백거이가 이 부분을 통해 양귀비가 매력적이었고, 당나라의 쇠퇴에 생사를 함께 책임져야 할 인물임을 보여주고자 했다고 보았다.[6]

일본에서는 "애정"을 주제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국에서는 정치를 기준으로 문예 작품의 가치를 평가하는 전통 때문에 "풍유설"이 뿌리 깊었지만, 최근에는 "애정"을 노래한 것이라는 설이 우세해지고 있다.[11]

5. 문학적 특징

이 시는 당나라 현종과 그의 총애를 받던 양귀비의 사랑 이야기를 다시 쓴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백거이의 당시 당나라 정부에 대한 실망감을 드러내고 있다. 주전의 《장한가주》에 따르면, 시의 첫 부분은 당 현종이 양귀비에 대한 과도한 애정과 왕실의 의무를 소홀히 한 것에 대한 풍자를 담고 있다.[6] 그러나 시의 두 번째 부분은 두 연인의 로맨틱한 이야기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주전은 백거이가 이 부분을 통해 양귀비가 매력적이었고, 당나라의 쇠퇴에 생사를 함께 책임져야 할 인물임을 보여주고자 했다고 믿었다.[6]

6. 영향

장안(長安) 화청지는 당 현종이 양귀비에게 지어주었고, 온갖 희로애락을 누렸던 여산온천이 있는 역사의 현장이다. 이곳에서 '''장한가''' 공연이 매일 열린다. 이 공연은 2007년 정비되어 2008년부터 본격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화청지'''의 '''장한가''' 공연은 여산 전체를 무대로 사용하여 벌이는 엄청난 규모의 서양식 기획과 중국식 오페라극 공연으로, 압도적인 사랑을 받고 있다.

장편 소설, 정치, 시각, 음악, 영화 등 많은 작품들이 《장한가》를 바탕으로 하거나 《장한가》를 인용했다. 시가 쓰여진 직후, 그 영향력은 널리 퍼졌다.

6. 1. 중국

백거이의 친구 진홍(810년대 활동)은 연극 버전인 《장한전》을 만들었고, 이는 이후 백박(1226-1306 이후)의 《오동우》와 홍생(洪昇, 1645–1704)의 《장생전》에 영감을 주었다.[2]

《장한가》의 한 장면, 현종(중앙)과 그의 후궁들을 묘사.


화가 이의사(李毅士, 1886–1942)는 이 시를 30점의 연작 그림으로 묘사했다.[3] 고전 음악에서는 이 시가 황자 (1933)의 칸타타와 모판 (1991)의 관현악곡으로 편곡되었다.[4] 이 시는 마오쩌둥의 저술에서도 언급된다.[5]

작가 매들린 티엔은 2016년 수상작 소설 《Do Not Say We Have Nothing》의 마지막 페이지에서 이 시를 인용했다.

왕안이의 1995년 소설 《장한가》는 시와 같은 제목(長恨歌)을 공유하지만, 20세기 상하이에서 한 여성의 파란만장한 삶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소설은 2005년 홍콩 영화 《Everlasting Regret》로 각색되었다.

이 시는 《요묘전》의 줄거리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천카이거가 감독한 이 2017년 역사 판타지 영화에서 시인 백거이는 승려 구카이와 함께 살인 사건을 해결하고 있다. 영화 전체에서 백거이는 양귀비의 전설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시를 완성하려 고군분투하지만, 살인 사건이 한 세대 전 그녀의 죽음과 관련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한다.

6. 2. 한국

백박(1226-1306 이후)의 《오동우》와 홍생(1645–1704)의 《장생전》은 백거이의 친구 진홍(810년대 활동)이 만든 연극 버전인 《장한전》에서 영감을 받았다.[2] 가노 산세츠(1590–1651)는 《장한가》의 한 장면을 그림으로 묘사했는데, 이 그림에는 현종과 그의 후궁들이 묘사되어 있다.[2]

화가 이의사(李毅士, 1886–1942)는 이 시를 30점의 연작 그림으로 표현했다.[3]

6. 3. 일본

일본 문학헤이안 시대 《겐지 모노가타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겐지 이야기』기리쓰보 권 - 기리쓰보 천황과 기리쓰보의 코이의 비련 묘사에는 장한가를 연상시키는 부분이 많다. 당시 귀족층이라면 누구나 아는 장한가의 에피소드를 무라사키 시키부는 훌륭하게 헤이안 시대 풍으로 바꾸어 이야기를 담아냈다.

7. 현대적 재해석

장안(長安)의 화청지는 당 현종이 양귀비에게 지어준 곳으로, 여산온천이 있는 역사의 현장이다. 이곳에서는 매일 '''장한가''' 공연이 열린다. 2007년 정비되어 2008년부터 본격적으로 선보인 이 공연은 여산 전체를 무대로 사용하여 서양식 기획과 중국식 오페라극을 결합한 엄청난 규모로 큰 사랑을 받고 있다.

《장한가》는 장편 소설, 정치, 시각 예술, 음악, 영화 등 다양한 분야의 작품에 영감을 주거나 인용되었다. 시가 쓰여진 직후부터 그 영향력은 널리 퍼졌다. 백거이의 친구 진홍(810년대 활동)은 《장한전》이라는 연극 버전을 만들었으며, 이는 이후 백박(1226-1306 이후)의 《오동우》와 홍생(洪昇, 1645–1704)의 《장생전》에 영감을 주었다.[2]

화가 이의사(李毅士, 1886–1942)는 이 시를 30점의 연작 그림으로 표현했다.[3] 고전 음악에서는 황자 (1933)의 칸타타와 모판 (1991)의 관현악곡으로 편곡되었다.[4] 이 시는 마오쩌둥의 저술에서도 언급된다.[5]

매들린 티엔은 2016년 수상작 소설 《Do Not Say We Have Nothing》의 마지막 페이지에서 이 시를 인용했다. 왕안이의 1995년 소설 《장한가》는 시와 같은 제목을 공유하지만, 20세기 상하이에서 한 여성의 파란만장한 삶을 다룬다. 이 소설은 2005년 홍콩 영화 《Everlasting Regret》로 각색되었다.

천카이거 감독의 2017년 역사 판타지 영화 《요묘전》에서 이 시는 줄거리의 중심 역할을 한다. 시인 백거이는 승려 구카이와 함께 살인 사건을 해결하는데, 영화 전체에서 백거이는 양귀비의 전설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시를 완성하려 고군분투하지만, 살인 사건이 한 세대 전 그녀의 죽음과 관련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한다.

《장한가》는 일본 문학헤이안 시대에 《겐지 모노가타리》를 포함하여 큰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harvnb
[2] 서적 Chinese Theater: From Its Origins to the Present Day 1983
[3] 서적 Art and Artists of 20th Century China 1996
[4] 서적 Chinese music and translated modernity in Shanghai, 1918–1937 2008
[5] 서적 The Writings of Mao Zedong, 1949-1976: January 1956-December 1957 - Volume 2 1992
[6] 서적 "Chang hen ge" jian shuo gao https://iucat.iu.edu[...] Shanxi ren min chu ban she : Shanxi sheng xin hua shu dian fa xing 1983
[7] 서적 白氏文集二下 明治書院
[8] 문서 「比翼の鳥」とは、雌雄2羽の体の片方ずつがくっついて、1羽になった鳥である。お互いの気を合わせないと飛ぶこともできない。「連理の枝」同様、仲のよい様子の例えに使われる。
[9] 문서 「連理の枝」とは、地上から生えた2本の木の枝が、1つにくっついている様子を表す。「比翼の鳥」同様、仲のよい様子の例えに使われる。
[10] NDLDC 長恨歌傳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1] 서적 長恨歌 楊貴妃の魅力と魔力 勉誠出版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