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우포하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저우포하이는 1897년 후난성에서 태어난 중국의 정치인이다. 그는 일본 유학 중 마르크스주의에 매료되어 중국 공산당 창립에 참여했으나, 이후 중국 국민당에 입당하여 장제스의 북벌과 중일 전쟁에 반대했다. 중일 전쟁 발발 후 왕징웨이 정권에 참여하여 요직을 역임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반역죄로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무기 징역으로 감형되었고, 1948년 옥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르크스주의 전향자 - 베니토 무솔리니
베니토 무솔리니는 이탈리아의 파시스트 독재자로, 파시스트 운동을 창시하여 총리에 오른 뒤 전체주의적 독재 체제를 수립하고 팽창주의적 외교 정책을 추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실각 후 처형되었다. - 마르크스주의 전향자 - 칼 포퍼
칼 포퍼는 반증주의를 통해 과학적 방법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사회자유주의를 지지하며 심리주의, 자연주의 등을 비판하는 반귀납주의적 과학관을 주창한 오스트리아 출신의 철학자이자 과학철학자이다. - 중국의 일제 부역자 - 한간
한간은 중국 민족주의에서 정치적, 민족적 정체성을 융합하는 데 사용된 용어로, 만주족과 내통한 한족에서 시작하여 제국주의 열강, 중일 전쟁 시기 일본 협력자까지 지칭하며, 오늘날에도 역사적 인물 평가와 관련하여 논쟁의 대상이 된다. - 중국의 일제 부역자 - 천궁보
천궁보는 중국 공산당 창당 멤버였으나 국민당으로 전향하여 왕징웨이 정권에서 친일 행위를 하다가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저우포하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周佛海 |
로마자 표기 | Zhōu Fóhǎi |
직책 | |
왕징웨이 정권 부총통 | president: 왕징웨이 (1940–1944) president: 천공보 (1944–1945) term_start: 1940년 3월 term_end: 1945년 8월 predecessor: "직책 신설" successor: "직책 폐지" |
재정부장 (왕징웨이 정권) | term_start: 1940년 3월 term_end: 1945년 8월 predecessor: "직책 신설" successor: "직책 폐지" |
상하이 시장 | term_start: 1944년 12월 term_end: 1945년 8월 predecessor: 천공보 successor: K. C. Wu |
행정원 부원장 | term_start: 1940년 12월 12일 term_end: 1945년 8월 16일 원수직: 행정원장 원수: 왕자오밍 원수: 천공보 |
상하이 특별시장 | term_start: 1945년 1월 15일 term_end: 1945년 9월 12일 원수직: 원수: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897년 5월 29일 |
출생지 | 청나라 후난성 천저우부 위안링현 (현재의 화이화시 위안링현) |
사망일 | 1948년 2월 28일 |
사망지 | 중화민국 난징시 |
국적 | 중화민국 |
소속 정당 | [[파일:Danghui golden.svg|20px]] 중국 공산당 → 중국 국민당 |
학력 | 교토 대학 |
2. 생애
1897년 후난성에서 청나라 관리의 아들로 태어났다. 신해혁명 이후 일본 제국으로 유학하여 제7고등학교 조시칸과 교토 제국 대학에서 수학했다. 일본 유학 중 마르크스주의에 영향을 받아 1921년 중국 공산당 창립 대회에 참여하며 초기 멤버가 되었으나,[1] 1924년 탈당하고 중국 국민당에 입당했다.
국민당 입당 후 초기에는 왕징웨이 등 당내 좌파와 가까웠으며, 이후 국민정부의 관료로 활동하며 삼민주의의 주요 이론가 중 한 명으로 알려졌다. 국민당 중앙집행위원, 중앙선전부 부부장 등 요직을 거쳤으나, 장제스의 북벌이나 중일 전쟁 수행 방식에는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중일 전쟁 발발 후인 1938년, 그는 왕징웨이, 천궁보, 리시쿤 등과 함께 '반공화평운동'을 전개하며 대일 평화 노선을 주장했다. 1940년 왕징웨이가 난징에 친일 왕징웨이 정권을 수립하자 이에 참여하여 행정원 부원장 겸 재정부장, 부주석 등 핵심 요직을 맡았다. 그는 왕징웨이 정권의 주요 인물로서 활동하며 경찰, 재정, 군사 부문 등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저우포하이는 한간(漢奸, 매국노)으로 지목되어 충칭에서 체포되었다. 이후 난징으로 이송되어 재판을 받았고, 반역죄로 사형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아내의 탄원으로 장제스에 의해 무기 징역으로 감형되었으며, 1948년 감옥에서 병으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공산당 활동
1897년 청나라 시대 후난성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청나라 행정부의 관료였다. 신해혁명 이후, 그는 유학을 위해 일본 제국으로 건너가 제7고등학교 조시칸(가고시마 대학의 전신)과 교토 제국 대학에서 수학했다.일본 유학 중 마르크스주의에 매료되었고, 중국 공산당(중공)과 접촉하게 되었다. 중국으로 돌아와 중공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 되었으며, 1921년 7월 일본 유학생 대표 자격으로 중국 공산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에 참석했다.[1]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1924년 중국 국민당에 입당하기 위해 중공을 탈퇴했다.
국민당 입당 후, 그는 중앙 정부 공보부(선전부)의 비서로 임명되었으며, 왕징웨이와 랴오중카이가 이끄는 당의 좌익 그룹과 강력한 관계를 유지했다. 그는 장제스의 북벌과 중일 전쟁 수행 방식에 대해 강하게 반대하는 입장을 가졌다.
2. 2. 국민당 활동
1924년 중국 공산당을 탈퇴하고 중국 국민당에 입당하여 선전부 비서가 되었다.[1] 그는 왕징웨이와 랴오중카이가 이끄는 당내 좌익 그룹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이후 북벌에 참가하여 한때 왕징웨이의 우한 국민 정부에 참여하기도 했으나, 이후 다이지타오의 도움으로 장제스 휘하에서 활동하며 삼민주의의 주요 이론가로 자리 잡았다.[2] 이 시기 국민당 중앙집행위원, 당 중앙선전부 부부장 등 요직을 역임하며 국민당 내 입지를 다졌다. 그러나 장제스의 북벌 완수 방식이나 중일 전쟁 수행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했다.1938년 중일 전쟁이 격화되자, 대일 평화 노선을 주장하며 충칭을 탈출한 왕징웨이를 따라나서 왕징웨이 정권 수립에 참여하게 된다.
2. 3. 왕징웨이 정권 참여와 친일 행적
중일전쟁 발발 후, 저우포하이는 장제스의 전쟁 수행 방식에 강하게 반대했다. 1938년 그는 왕징웨이, 천궁보, 리시쿤과 함께 '반공화평운동'을 벌이며 대일 평화를 지향했다.[2] 왕징웨이가 국민당과 결별하고 충칭을 탈출하여 1940년 친일 정권인 왕징웨이 정권(중화민국 임시 정부)을 수립하자, 저우포하이는 즉시 그를 따랐다.왕징웨이 정권 내에서 저우포하이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행정원 부원장 겸 재정부장, 부주석, 중앙정치위원회 비서장, 중앙저비은행 총재 등을 역임했으며, 친일 중화민국 군대의 일부를 통제했다. 또한 경찰부 장관(1941년까지), 물자통제위원회 위원장, 상하이 보안사령 등의 직책도 맡았다. 1944년에는 천궁보의 뒤를 이어 상하이 시장이 되었다. 한편으로는 충칭에 있는 국민 정부와 비밀리에 접촉하기도 했다.
왕징웨이가 사망한 후 천궁보가 주석 대행이 되었지만, 저우포하이는 정권 내 실질적인 권력자로 평가받았다.[3]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자, 저우포하이는 한젠(漢奸, 매국노)으로 몰려 체포되었다. 그는 충칭으로 압송되어 약 1년간 구금된 후, 장쑤성 난징에서 반역죄로 재판을 받았다. 재판 과정에서 그는 "난징 정부 참여 전반부에는 적과 접촉하여 상황을 조국에 유리하게 만들려 했고, 후반부에는 조국[충칭 정부]과 접촉하여 적에게 불리하게 만들려 했다"고 변론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그의 아내가 장제스에게 탄원한 끝에 무기 징역으로 감형되었다. 그는 감옥에서 심장 및 위장 질환을 앓다가 1948년 2월 28일 50세의 나이로 옥사했다.
2. 4. 전후 체포 및 사망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저우포하이는 한간(漢奸, 매국노) 전범으로 몰려 체포되었다. 그는 충칭으로 끌려가 약 1년간 구금된 후, 장쑤성 난징으로 이송되어 전시 중 그의 역할에 대해 반역죄로 재판을 받았다. 재판 과정에서 저우포하이는 "난징 정부에 참여한 전반부에는 적과 접촉하여 상황을 조국에 유리하게 만들려고 했고, 후반부에는 조국(충칭 정부)과 접촉하여 적에게 불리하게 만들려고 했다"고 주장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1946년 11월 7일 사형 판결을 받았다. 그러나 그의 아내가 장제스에게 탄원한 후, 1947년 3월 26일 무기 징역으로 감형되었다. 당시 국민정부가 발표한 특사령에 따르면, 감형 이유는 "적의 항복 전후에 경호항(京滬杭) 일대의 질서를 잘 유지하고 인민에게 고통을 주지 않았으며, 사회의 안전에 기여한 바가 적지 않다"는 것이었다.
저우포하이는 감옥에서 심장 및 위장 질환을 앓았고, 결국 1948년 2월 28일 난징 감옥에서 5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저서
- 《삼민주의의 이론적체계》
- 《삼민주의의 이론적기본문제》
- 『저우포하이 일기』 (번역본은 미스즈 서방, 1992년)
4. 가족
아들 저우요우하이는 공산당원이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Dates with destiny for CPC
https://www.chinadai[...]
2011-07-01
[2]
서적
陳公博と周仏海はなぜ汪精衛政権に参加したか?
[3]
서적
日中戦争と汪兆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