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수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수일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각본가, 제작자이다. 1997년 영화 《내 안에 울리는 바람》으로 데뷔하여, 《파리의 한국남자》, 《핑크》, 《영도다리》,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등을 감독했다. 《히말라야, 바람이 머무는 곳》, 《개와 늑대의 시간》,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새는 폐곡선을 그린다》, 《내 안에 울리는 바람》의 각본을 썼으며, 《히말라야, 바람이 머무는 곳》과 《새는 폐곡선을 그린다》는 제작했다. 그는 《내 안에 울리는 바람》으로 부산국제영화제 운파상을, 《새는 폐곡선을 그린다》로 부산국제영화제 넷팩상과 프리부르 국제 영화제 그랑프리를 수상했다. 또한 《검은 땅의 소녀와》로 부산국제영화제 넷팩상, 베니스 영화제 C.I.C.A.E.상과 리나 망지아카프레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영화 프로듀서 - 김종학
    김종학은 1970년대 후반 MBC 입사 후 《수사반장》, 《여명의 눈동자》, 《모래시계》 등 1980-90년대 대표 드라마들을 연출하고 김종학 프로덕션을 설립하여 《태왕사신기》, 《베토벤 바이러스》 등 여러 작품을 제작한 대한민국의 드라마 연출가이자 제작자이다.
  • 대한민국의 영화 프로듀서 - 김기덕 (1960년)
    김기덕은 독창적인 연출과 사회 비판으로 국내외 주목을 받았으며 세계 3대 영화제에서 수상하고 《피에타》로 베니스 국제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수상했으나, 성폭력 의혹으로 활동에 어려움을 겪다 2020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 경성대학교 동문 - 조영진
    조영진은 1983년 연극 배우로 데뷔하여 드라마, 영화, 연극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인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연출가이다.
  • 경성대학교 동문 - 배덕광
    배덕광은 1948년 경상남도 창원 출생으로 세무 공무원, 세무사, 해운대구청장,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엘시티 비리 사건에 연루되어 뇌물 수수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고 2023년에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 - 이윤택
    이윤택은 대한민국의 연극 연출가이자 극작가, 시인으로 연희단거리패를 창단하여 한국 연극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미투 운동으로 성폭력 가해 사실이 드러나 연극계에서 퇴출되었으며, 문재인 전 대통령을 지지하여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에 오르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 - 유지태
    유지태는 1998년 영화 《바이 준》으로 데뷔하여 《올드보이》 등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인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마이 라띠마》를 연출한 영화 감독으로, 배우 김효진과 결혼하여 사회 활동과 자선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전수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전수일 (카를로비바리) (2009년)
본명전수일
한자 표기全秀一
로마자 표기Jeon Su-il
출생일1959년 9월 25일
직업영화 감독
프로듀서
각본가
활동 기간1988년 ~
학력
학교경성대학교 영화부 졸업

2. 참여 작품



'''감독'''

  • 2015: 파리의 한국 남자(A Korean in Paris)
  • 2012: 엘 콘도르 파사(El Condor Pasa)
  • 2011: 핑크(Pink)
  • 2008: 부산에 왔다(I Came from Busan) (영도 다리)
  • 2008: 히말라야, 바람이 머무는 곳 (Himalayaeui sonyowa)
  • 2007: 검은 땅의 소녀와(With a Girl of Black Soil) (Geomen tangyi sonyeo oi)
  • 2006: 개와 늑대의 시간 (Gae oi neckdae sa yiyi chigan)
  • 2003: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My Right to Ravage Myself) (Naneun nareul pagoehal gwolliga itda)
  • 1999: 새는 폐곡선을 그린다 (Saeneun pyegoksuneul keruinda)
  • 1997: 내 안에 울리는 바람(Wind Echoing in My Being)


'''각본'''

  • 2008: 히말라야: 바람이 머무는 곳 (Himalayaeui sonyowa)
  • 2006: 개와 늑대의 시간 (Gae oi neckdae sa yiyi chigan)
  • 2003: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Naneun nareul pagoehal gwolliga itda)
  • 1999: 새는 폐곡선을 그린다 (Saeneun pyegoksuneul keruinda)
  • 1997: 내 안에 울리는 바람


'''제작'''

  • 2008: 히말라야: 바람이 머무는 곳 (Himalayaeui sonyowa)
  • 1999: 새는 폐곡선을 그린다 (Saeneun pyegoksuneul keruinda)

2. 1. 감독

전수일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1997년 영화 《내 안에 울리는 바람》으로 데뷔하였으며, 1999년 《새는 폐곡선을 그린다》, 2003년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2007년 《검은 땅의 소녀와》, 2008년 《히말라야, 바람이 머무는 곳》, 《부산에 왔다》, 2011년 《핑크》, 2012년 《엘 콘도르 파사》, 2015년 《파리의 한국남자》 등을 감독했다. 2006년에는 《개와 늑대의 시간》을 감독했다.

《히말라야, 바람이 머무는 곳》, 《개와 늑대의 시간》,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새는 폐곡선을 그린다》, 《내 안에 울리는 바람》의 각본을 직접 작성했다. 《히말라야, 바람이 머무는 곳》, 《새는 폐곡선을 그린다》는 제작에도 참여했다.

2. 2. 각본

전수일은 영화 각본가이자 감독으로, 다양한 작품의 각본을 쓰고 감독했다.

2008년 영화 "히말라야: 바람이 머무는 곳", 2006년 영화 "개와 늑대의 시간", 2003년 영화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1999년 영화 "새는 폐곡선을 그린다", 1997년 영화 "내 안에 울리는 바람" 등의 각본을 썼다.

2. 3. 제작

전수일은 영화 제작자로, 2008년 《히말라야: 바람이 머무는 곳》과 1999년 《새는 폐곡선을 그린다》를 제작했다.

3. 수상 및 후보

전수일은 여러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 및 후보에 올랐다. 1996년 부산 국제 영화제에서 영화 《내 안에 우는 바람》으로 운파상을 수상했다. 1999년에는 영화 《새는 폐곡선을 그리며 날다》로 부산 국제 영화제에서 넷팩상을 수상하고, 2000년 프리부르 국제 영화제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했다.

2007년에는 영화 《검은 땅의 소녀와》로 부산 국제 영화제에서 넷팩상을 수상하고, 베니스 영화제에서 C.I.C.A.E.상과 리나 망지아카프레상을 받았다. 같은 영화로 마라케시 국제 영화제 황금별상 후보에 올랐으며, 2008년 도빌 아시아 영화제 최우수 작품상 후보, 라스 팔마스 데 그란 카나리아 국제 영화제에서 관객상(전수일) 및 최우수 촬영상(김성태)을 수상했다. 2009년에는 《검은 땅의 소녀와》로 제27회 파즈르 국제 영화제 동방의 시선 부문에서 크리스탈 시모르그 최우수 작품상을 받았다.

또한 2009년에는 영화 《히말라야, 바람이 머무는 곳》으로 카를로비 바리 국제 영화제 크리스탈 글로브상 후보에 올랐다.

참조

[1] 뉴스 전수일 감독 소르본대에서 강연 http://article.joins[...] 2013-12-16
[2] 웹사이트 KoBiz - Korean film, news, actor, movie, cinema, location & Korean Film Archive http://www.koreanfil[...] 2009-08-19
[3] 웹사이트 Busan Film Review: 'A Korean in Paris' https://variety.com/[...] 2017-12-10
[4] 웹사이트 Soo-il Jeon https://www.imdb.com[...] 2018-06-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