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적수사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전적수사본(典籍手寫本)에 대한 정보입니다.
전적수사본이란?


  • 조선 정조 19년(1795년)에 정조가 직접 지어 화산 용주사에 내린 기복게(祈福偈, 복을 기원하며 지은 게송)와 그 해설을 손으로 옮겨 적은 책입니다.
  • 원래 명칭은 『어제화산용주사봉불기복게(御製花山龍珠寺奉佛祈福偈)』이며, "화산의 용주사에 부처를 모시고 복을 기원하는 글"이라는 뜻입니다.
  • 1972년 5월 4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4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역사적 배경:

  • 정조는 1789년 아버지 사도세자의 무덤을 양주 배봉산(현재 서울 청량리 일대)에서 화산으로 옮겨 현륭원(顯隆園)이라 이름 짓고, 이듬해 아버지의 명복을 빌기 위해 용주사를 창건했습니다.
  • 전적수사본은 용주사 창건과 함께 용주사에 내려진 것입니다.

내용 구성:전적수사본은 전체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정조의 서문: 절을 현륭원의 제사를 위해 지었고, 삼업공양(몸·입·뜻의 세 가지 업으로 드리는 공양)을 드린다는 내용입니다.

2. 서분(序分): 「보고인천(普告人天)」 1조목

3. 정종분(正宗分): 「대지숙인(大地宿因)」, 「공양칠보(供養七寶)」, 「장엄만게(壯嚴萬偈)」, 「응운발상(應運發祥)」, 「복덕무량(福德無量)」, 「제불호우(諸佛護佑)」, 「보살원력(菩薩願力)」 등 7조목

4. 결게분(結偈分): 「정토극락(淨土極樂)」, 「항사보록(恒沙寶籙)」 등 2조목

각 조는 오언사구(五言四句)의 각 구절에 작은 글씨로 해석이 붙어 있습니다.
형태 및 특징:

  • 2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는 68×45cm입니다.
  • 종이(닥종이) 재질입니다.
  • 구름무늬 표지에 변철(邊鐵)을 대었고, 변철에는 다섯 개의 연꽃무늬판이 고정되어 있으며, 가운데에는 둥근 고리가 달려 있습니다.
  • 한 면을 5행으로 인찰한 뒤 해서체 글씨로 쓴 대형본입니다.

다른 판본:

  • 용주사 소장본 외에 서울대학교 규장각에도 『어제화산용주산봉불기복게』가 소장되어 있습니다.
  • 규장각 소장본은 책이 아닌 31폭의 장첩(長帖) 형태이며, 글씨체와 한 행의 글자 수가 용주사 소장본과 다릅니다.

추가 정보:

  • 수록된 내용은 정조의 저작집인 『홍재전서(弘齋全書)』(권55, 잡저)에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 전적수사본은 경기도 화성시 용주로 136, 용주사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전적수사본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전적수사본 정보
유형유형문화재
번호14
지정일1972년 5월 4일
국가경기도
주소경기도 화성시 용주로 136
시대조선시대
관리용주사
수량2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