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강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강왕은 신라의 제50대 왕으로, 886년 헌강왕 사후 즉위하였다. 887년 황룡사에서 백고좌를 열고, 이찬 김요의 반란을 진압했으나, 같은 해 병으로 사망했다. 후사가 없어 여동생을 왕위에 오르게 하라는 유언을 남겼으며, 보제사 동남쪽에 묻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87년 사망 - 고코 천황
닌묘 천황의 아들로 태어나 후지와라노 모토쓰네의 옹립으로 즉위한 고코 천황은 궁중 행사 부흥과 예술 장려에 힘썼으며, 퇴위 후 와카가 《오구라 백인일수》에 수록되었다. - 887년 사망 - 이국창
이국창은 당나라 말기 사타족 출신 군인으로, 방훈의 난과 황소의 난을 진압하는 데 기여하여 대북절도사에 봉해졌으며, 손자 이존욱이 후당을 건국하면서 헌조 문경황제로 추존되었다. - 9세기 한국의 군주 - 진성여왕
진성여왕은 신라 경문왕의 딸로, 정강왕 사후 887년에 즉위하여 음란한 행실과 국정 문란, 민란 발생으로 혼란을 겪다가 897년 효공왕에게 양위하고 사망했다. - 9세기 한국의 군주 - 견훤
견훤은 신라 장군 출신으로 후백제를 건국하고 왕건과 대립하다가 아들 신검의 반란으로 고려에 투항하여 상부의 칭호를 받았으며, 후백제 멸망 후 사망했다. - 신라 국왕 - 성덕왕
신문왕의 아들인 성덕왕은 36년간 신라를 다스리며 당과의 외교, 구휼 사업, 관료 기구 정비, 국방 강화 등 국내외 정세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였다. - 신라 국왕 - 문무왕
문무왕은 신라의 제30대 국왕으로 삼국 통일을 완수하고 당나라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통일 신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중앙 집권 체제 강화, 불교 장려 등의 정책을 통해 신라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한 군주이다.
정강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휘 | 김황(金晃) |
신라의 군주 | |
재위 기간 | 886년 - 887년 7월 28일 |
즉위 | 886년 |
이전 군주 | 헌강왕 |
다음 군주 | 진성여왕 |
가계 | |
왕가 | 김씨 |
부왕 | 경문왕 |
모후 | 문의왕후 |
기타 | |
종교 | 불교 |
2. 생애
886년 헌강왕이 사망한 후, 헌강왕의 태자 김요가 아직 두 돌이 안된 어린 나이였으므로, 김황이 신라 제50대 왕에 즉위하였다. 887년 1월 황룡사에서 백고좌를 열어 왕이 직접 행차하여 강의를 들었다. 같은 달, 한주(漢州)의 이찬 김요(金蕘)가 반란을 일으키자 군사를 파견하여 김요를 죽였다.
정강왕의 부왕은 경문왕이며, 모후는 문의왕후이다. 헌안왕의 딸인 문의왕후는 헌안왕과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여성 사이에서 태어났다.[3]
5월에 병을 얻어 쓰러졌다. "나에게는 후사가 없고, 여동생(후일의 진성여왕)이 총명하니 왕위에 오르게 하라"고 유언하고, 7월 5일에 사망했다.[6] 시호는 정강왕(定康王)으로, 보제사(경상북도 경주시 배반동 서남부) 동남쪽에 매장되었다고 하며, 그 능묘는 경주시 남산동 사적 제186호로 비정되어 있다.[7]
3. 가계
3. 1. 부모
3. 2. 조부모
조부는 김계명이며, 조모는 광화부인(光化夫人)이다.[3]
4. 정강왕릉
887년 7월 5일에 사망했다[6]. 시호를 정강왕(定康王)으로 받아 보제사(경상북도 경주시 배반동의 서남부) 동남쪽에 매장되었다고 하며, 그 능묘는 경주시 남산동의 사적 제186호로 비정되어 있다[7].
5. 평가
정강왕은 선왕인 헌강왕을 본받아 887년 1월 황룡사에서 백고좌를 열었고, 왕이 직접 행차하여 강의를 들었다. 같은 달, 한주(경기도 광주시)의 이찬(2등 관위) 김요(金蕘)가 반란을 일으키자, 군사를 보내 김요를 죽였다.[6]
반란을 평정한 후, 5월에 왕은 병을 얻어 쓰러졌다. 이때 "나에게는 후사가 없고, 여동생(후일의 진성여왕)이 총명하니 왕위에 오르게 하라"고 유언하고, 7월 5일에 사망했다.[6] 시호는 정강왕(定康王)이며, 보제사(경상북도 경주시 배반동의 서남부) 동남쪽에 매장되었다고 하며, 그 능묘는 경주시 남산동의 사적 제186호로 비정되어 있다.[7]
참조
[1]
뉴스
https://www.bostonko[...]
2023-06-12
[2]
간행물
Korea in Transition: Notes on the Three Later Kingdoms (900-36)
1987-09
[3]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2022-08-02
[4]
서적
三国遺事
[5]
서적
三国史記
[6]
서적
三国史記
[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