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릉 (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릉은 명나라 제13대 황제 만력제와 두 황후가 묻힌 능묘이다. 1584년부터 1590년까지 건설되었으며, 1956년 발굴이 시작되어 지하 궁전에서 3,000점이 넘는 유물이 발견되었으나, 유물 보존 기술 부족과 문화대혁명으로 인한 훼손 및 유실이라는 문제점을 겪었다. 정릉 발굴의 실패는 중국 고고학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쳐, 이후 구조 목적을 제외하고는 역사 유적 발굴을 하지 않는 정책을 채택하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9년 발굴 - 얼리터우 문화
    얼리터우 문화는 기원전 1900년경부터 기원전 1500년경까지 중국 허난성 중서부 지역에서 번성했던 청동기 문화로, 궁궐 건물과 청동 제련 작업장을 갖춘 유적에서 다양한 청동기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하 왕조와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 명나라의 문화 - 용생구자
    용생구자는 용의 아홉 아들을 지칭하며 각기 다른 특징과 상징을 가지고 건축, 조각, 공예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었고 한국에서는 궁궐, 사찰 등에서 나타나 대중문화와 문화상품으로 활용된다.
  • 16세기 중국 - 명-투루판 분쟁
    죄송합니다. 페이지 개요가 제공되지 않아, 제목만으로는 요약문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정릉 (명)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명 정릉
명 정릉
다른 이름명 현궁 (明玄宮)
위치중국 베이징시 창핑구
착공일알 수 없음
완공일알 수 없음
개장일알 수 없음
상세 정보
종류능묘
건축 양식알 수 없음
소유주알 수 없음

2. 역사

1584년(만력 12년) 11월에 공사를 시작하여 1590년(만력 18년) 6월에 완성했다. 공사 비용은 800만 냥이었으며 만력제가 안장되기까지 30년 동안 방치되었다.

1620년(만력 48년) 7월 21일 만력제가 붕어하자 10월에 정릉 (명)에 안장했다. 또한 동년 4월에 효단현황후가 병사하자 역시 10월에 함께 안장되었다. 태창제의 사친인 효정태후는 1611년(만력39년) 9월에 병사했다. 태창제가 즉위한 뒤에 황태후로 추존되고 정릉 (명)에 이장했다.

만력제명나라의 13대 황제였으며 1572년부터 1620년까지 통치했다. 그의 능인 정릉 (명)1584년에서 1590년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18만 제곱미터의 면적을 차지한다. 이 능은 일부 벽을 갖춘 5개의 전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하 27미터 지점에 위치해 있다. 정릉 (명)이라는 이름은 명나라 이전과 이후 모두 중국 황실 무덤에 사용되었다.

2. 1. 정릉에 묻힌 인물들

만력제는 1620년(만력 48년) 7월 21일에 붕어하여 그해 10월 정릉에 안장되었다. 효단현황후(孝端顯皇后)는 같은 해 4월에 병사하여 만력제와 함께 정릉에 안장되었다. 효정태후(孝靖太后)는 태창제의 생모로, 1611년(만력 39년)에 병사하였으나 태창제가 즉위한 뒤 황태후로 추존되어 정릉에 이장되었다.

3. 발굴

1955년 10월 4일, 우한 베이징시 부시장이 영락제의 장릉 발굴을 제안했으나, 기술 부족을 이유로 반대되었다. 이 문제는 마오쩌둥에게까지 보고되었고, 결국 장릉 대신 다른 황릉을 먼저 발굴하여 경험을 쌓기로 결정되었다. 헌릉, 영릉, 사릉 등이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최종적으로 명십삼릉 중 비교적 늦게 만들어져 유물이 온전히 보존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만력제가 48년간 황제로 재위하여 참고할 사료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정릉이 선택되었다.

궈모뤄를 비롯한 저명한 학자들과 우한은 베이징 인근 명나라 능묘 중 가장 크고 오래된 영락제의 능묘인 창릉 발굴을 옹호하기 시작했다. 저우언라이 총리의 승인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이 계획은 창릉의 중요성과 대중적 인지도로 인해 고고학자들에 의해 거부되었다. 대신, 명나라 13릉 중 세 번째로 큰 능묘인 정릉이 창릉 발굴을 위한 준비 단계의 시험 부지로 우한에 의해 선정되었다.

1956년, 궈모뤄 등의 주도로 정릉 발굴이 시작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의 승인을 거쳐 1957년 9월 19일 정릉의 문이 열렸다. 발굴 결과, 1,195m2 규모의 지하 궁전은 전실, 중실, 후실, 좌우 배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3,000점이 넘는 유물이 발견되었다.[1][2][3] 만력제와 두 황후의 유골도 함께 발견되었다.[1][2][3]

명나라 능묘에서 나온, 중국 문자 '心'의 모양을 한 보석, '마음'을 뜻하는 강희 자전의 부수


하지만 발굴 당시 유물 보존 기술과 자원이 부족하여, 발굴된 유물들이 심하게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했다.[1][2][3] 몇 차례의 실험 실패 후, 대량의 비단과 직물들은 물이 새는 통풍이 잘 안 되는 창고에 보관되어 대부분 심하게 훼손되었고, 현재 박물관에 전시된 유물 중 상당수는 복제품이다.[1][2][3] 또한, 정치적 동기로 인해 발굴이 신속하게 완료되어야 한다는 압박으로 인해 발굴 과정에 대한 기록도 부실했다.[1][2][3] 발굴은 1957년에 완료되었고, 박물관은 1959년에 설립되었다.[1][2][3]

1966년 문화대혁명이 발발하면서 정릉은 홍위병에 의해 훼손되었고, 만력제와 황후들의 유해는 소각되었으며, 많은 유물이 소실되었다.[4] 이 프로젝트의 핵심 옹호자 중 한 명이었던 우한은 1969년 감옥에서 사망했다.[4]

1976년 마오쩌둥 사망 이후 고고학 작업이 재개되었고, 발굴 보고서가 작성되었다.[4] 하지만 정릉 발굴은 정식 승인을 받지 못했고, 발굴 보고서가 부적절하다는 비판과 함께, 유물 보존 기술 부족으로 인한 유물 파괴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었다.[5] 정릉 발굴의 실패는 당나라 건릉진 시황제진시황릉 개방에 대한 반대 논리로 사용되었다.[2]

정릉 발굴을 통해 얻은 교훈으로 인해 중화인민공화국은 구조 목적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역사적 유적지도 발굴하지 않는 새로운 정책을 채택했다.[2] 정릉 이후 황제의 능묘를 개방하려는 제안은 승인되지 않았으며, 건릉의 경우처럼 입구가 우연히 드러난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2] 정릉을 창릉 발굴을 위한 시험 부지로 사용하려는 원래 계획은 폐기되었다.[2]

2012년에는 3,000만 위안을 들여 2,435m2의 박물관을 지었으며, 이후 정릉의 유물 3,000여 점은 2014년에 이곳으로 옮겨졌다.

정릉 내부


thumb

3. 1. 발굴 과정 및 결과

1955년 10월 4일, 우한 베이징시 부시장이 영락제의 장릉 발굴을 제안했으나, 기술 부족을 이유로 반대되었다. 이 문제는 마오쩌둥에게까지 보고되었고, 결국 장릉 대신 다른 황릉을 먼저 발굴하여 경험을 쌓기로 결정되었다. 헌릉, 영릉, 사릉 등이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최종적으로 명십삼릉 중 비교적 늦게 만들어져 유물이 온전히 보존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만력제가 48년간 황제로 재위하여 참고할 사료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정릉이 선택되었다.

궈모뤄를 비롯한 저명한 학자들과 우한은 베이징 인근 명나라 능묘 중 가장 크고 오래된 영락제의 능묘인 창릉 발굴을 옹호하기 시작했다. 저우언라이 총리의 승인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이 계획은 창릉의 중요성과 대중적 인지도로 인해 고고학자들에 의해 거부되었다. 대신, 명나라 13릉 중 세 번째로 큰 능묘인 정릉이 창릉 발굴을 위한 준비 단계의 시험 부지로 우한에 의해 선정되었다.

1956년, 궈모뤄 등의 주도로 정릉 발굴이 시작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의 승인을 거쳐 1957년 9월 19일 정릉의 문이 열렸다. 발굴 결과, 1,195m2 규모의 지하 궁전은 전실, 중실, 후실, 좌우 배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3,000점이 넘는 유물이 발견되었다.[1][2][3] 만력제와 두 황후의 유골도 함께 발견되었다.[1][2][3]

하지만 발굴 당시 유물 보존 기술과 자원이 부족하여, 발굴된 유물들이 심하게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했다.[1][2][3] 몇 차례의 실험 실패 후, 대량의 비단과 직물들은 물이 새는 통풍이 잘 안 되는 창고에 보관되어 대부분 심하게 훼손되었고, 현재 박물관에 전시된 유물 중 상당수는 복제품이다.[1][2][3] 또한, 정치적 동기로 인해 발굴이 신속하게 완료되어야 한다는 압박으로 인해 발굴 과정에 대한 기록도 부실했다.[1][2][3] 발굴은 1957년에 완료되었고, 박물관은 1959년에 설립되었다.[1][2][3]

1966년 문화대혁명이 발발하면서 정릉은 홍위병에 의해 훼손되었고, 만력제와 황후들의 유해는 소각되었으며, 많은 유물이 소실되었다.[4] 이 프로젝트의 핵심 옹호자 중 한 명이었던 우한은 1969년 감옥에서 사망했다.[4]

1976년 마오쩌둥 사망 이후 고고학 작업이 재개되었고, 발굴 보고서가 작성되었다.[4] 하지만 정릉 발굴은 정식 승인을 받지 못했고, 발굴 보고서가 부적절하다는 비판과 함께, 유물 보존 기술 부족으로 인한 유물 파괴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었다.[5] 정릉 발굴의 실패는 당나라 건릉진 시황제진시황릉 개방에 대한 반대 논리로 사용되었다.[2]

정릉 발굴을 통해 얻은 교훈으로 인해 중화인민공화국은 구조 목적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역사적 유적지도 발굴하지 않는 새로운 정책을 채택했다.[2] 정릉 이후 황제의 능묘를 개방하려는 제안은 승인되지 않았으며, 건릉의 경우처럼 입구가 우연히 드러난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2] 정릉을 창릉 발굴을 위한 시험 부지로 사용하려는 원래 계획은 폐기되었다.[2]

2012년에는 3,000만 위안을 들여 2,435m2의 박물관을 지었으며, 이후 정릉의 유물 3,000여 점은 2014년에 이곳으로 옮겨졌다.

thumb

3. 2. 발굴의 문제점과 비극

정릉 발굴은 여러 문제점과 비극을 낳았다. 1956년 발굴 당시 중국은 유물 보존 기술이 매우 부족하여, 발굴된 유물을 적절하게 보존할 기술이나 자원이 부족했다.[1][2][3] 이로 인해 수많은 유물이 훼손되거나 유실되었고, 발굴 과정에 대한 기록 역시 부실하게 이루어졌다.[1]

1966년 문화대혁명이 발발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홍위병들은 정릉 박물관과 능묘를 습격하여 만력제와 황후들의 유해를 능묘 앞으로 끌고 나와 "비난"하고 불태웠으며, 다른 많은 유물들도 파괴했다.[4] 이 사건으로 인해 정릉은 심각하게 훼손되었다.

이 프로젝트의 핵심 옹호자였던 우한은 문화대혁명의 주요 표적이 되어 박해를 받다가 1969년 옥중에서 사망했다.

정릉 발굴의 실패는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의 고고학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저우언라이 국무원 총리는 황릉 발굴 중단을 승인했으며, 이후 구조 목적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역사적 유적지도 발굴하지 않는 정책이 채택되었다. 정릉 발굴은 중국 고고학사의 큰 비극으로 기록되었으며, 당나라 건릉진 시황제진시황릉 개방에 대한 반대 논리로 사용되었다.[2]

3. 3. 발굴 이후

정릉 발굴은 부족한 기술력으로 인해 많은 유물이 보존되지 못하는 등 실책을 낳았고, 이는 중국 고고학 역사상 가장 큰 비극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1][2][3][5] 저우언라이 국무원 총리는 정릉 발굴의 실패를 교훈 삼아 황릉 발굴 중단을 지시했다.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구조 목적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역사 유적도 발굴하지 않는 정책을 채택했다.[2]

1966년 문화 대혁명으로 인해 모든 고고학 작업이 중단되었고, 홍위병들이 정릉 박물관을 습격하여 만력제와 황후의 유해를 소각하고 많은 유물을 파괴했다.[4] 이 사건으로 이 프로젝트의 핵심 옹호자였던 우한1969년 감옥에서 사망했다.

1976년 마오쩌둥 사망 이후 고고학 작업이 재개되었고, 발굴 보고서가 작성되었다. 2012년에는 3,000만 위안을 들여 2,435m2 규모의 박물관을 건립하였고, 2014년 정릉에서 출토된 유물 3,000여 점을 이곳으로 옮겨 보관, 전시하고 있다.

4. 갤러리



만력제

참조

[1] 웹사이트 Dingling Tomb http://www.mingtombs[...] 2017-06-24
[2] 뉴스 To Dig or Not to Dig: Qianling Mausoleum in the Spotlight Again http://www.chinaheri[...] 2006-12
[3] 서적 Atlas of World Heritage: China https://books.google[...] Long River Press 2005
[4] 뉴스 China's reluctant Empero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1-09-07
[5] 뉴스 China's Reluctant Emperor https://www.nytimes.[...] 2011-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