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읍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읍사는 백제 시대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현존하는 유일한 백제가요이다. 이 노래는 장사를 떠난 남편을 기다리는 아내가 남편의 무사 귀환을 기원하며 달에게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고려 시대에 곡이 붙여졌으며, 달을 천지신명에 비유하여 남편의 안전을 기원하는 여인의 간절한 마음을 표현한다. 정읍시립국악단은 이 노래를 기념하여 국악 공연을 개최하며, 포레스텔라는 정읍사를 바탕으로 한 노래를 발표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가요 - 황조가
    《황조가》는 고구려 유리왕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시로, 꾀꼬리의 의지하는 모습과 대비되는 화자의 고독한 심정을 노래하며, 작자에 대한 다양한 설이 존재하지만 고대 권력자의 고독과 고뇌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고대 가요 - 공무도하가
  • 백제의 문화 - 백제역사유적지구
    백제역사유적지구는 백제의 수도였던 공주, 부여, 익산의 8개 유적지로, 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며 동아시아 문화 교류에 기여했고, 특히 일본 불교 문화에 큰 영향을 주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백제의 문화 - 부여 외리 문양전 일괄
    부여 외리 문양전 일괄은 백제 시대에 제작된 벽돌로, 산수문, 봉황, 용, 연꽃, 도깨비, 산수 풍경 등 다양한 문양을 정교하게 새겨 백제 회화의 특징을 보여주는 유물이다.
  • 옛 한글이 사용된 문서 - 황제
    황제는 진시황에서 유래한 최고 통치자 칭호로, 동양에서는 천자의 개념과 연결되었고 서양에서는 로마 황제의 칭호에서 유래했으며, 각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따라 다양한 호칭과 의미를 지녔으나 현재는 일본 천황만이 유일하게 그 칭호를 유지하고 있다.
  • 옛 한글이 사용된 문서 - 외래어
    외래어는 다른 언어에서 유입되어 특정 언어에 정착한 단어 또는 표현으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발음, 의미, 형태 등이 변화하고 외국어, 차용어, 부분 바꿈, 번역 차용, 신조어, 뜻 차용 등의 형태로 수용되면서 원래 의미와 다르게 사용되기도 하며, 각 언어는 외래어 수용에 대한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외래어 순화 운동을 통해 사용을 제한하기도 한다.
정읍사
개요
제목정읍사
한자井邑詞
로마자 표기Jeongeupsa
한국어 표기정읍사
분류가요
역사적 배경
시대백제 시대
추가 정보
관련 문서옛 한글
참고 자료선운산곡(禪雲山曲)
참고 문헌Ritual Music of the Korean Court

2. 가사

wikitext



ᄃᆞᆯ하 노피곰 도ᄃᆞ샤

어긔야 머리곰 비취오시라

어긔야 어강됴리

아흐 아으 다롱디리

져재 녀러신고요

어긔야 즌ᄃᆡ랄 드ᄃᆡ욜셰라

어긔야 어강됴리

어느이다 노코시라

어긔야 내가논ᄃᆡ 졈그ᄅᆞᆯ셰라

어긔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



이 노래는 남편이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음에도 이를 조금도 원망하지 않고 몸이나 편안히 다니시라고 달에게 축원하는 아름다운 여심의 간절한 표현이다.[8] 이 노래에서 달은 곧 천지신명(天地神明)을 뜻하며 이를 향해 여인이 축원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정읍사>가 음악으로 이렇게 작곡된 것은 고려 충렬왕 때일 것이다. 이 노랫말은 남편의 무사 귀환을 바라며 달에게 더 밝고 높이 떠오르도록 기도하는 아내의 마음을 나타낸다.[9]

이창규는 다음과 같이 썼다.

백제 시대 유일하게 남아 있는 가요인 '정읍사'는 "달하 노피곰 도다샤(달아 높이 떠올라)"라는 구절로 시작합니다. 고려와 조선 시대에도 불리었던 이 노래는, 『고려사』에 따르면, 장사를 나간 남편을 기다리는 장사꾼 아내가 부른 노래였습니다. 아내는 바위 위에 올라가 남편이 무사히 돌아올 수 있도록 달에게 밝게 비춰줄 것을 청했습니다. 정읍시립국악단은 이 노래를 기념하여 매달 보름을 전후하여 다양한 국악 공연을 개최합니다.[8]


달하 노피곰 도다샤 / 달아, 높이 떠오르소서,

어긔야 머리곰 비취오시라 / 어기야 머리 위로 비추소서.

어긔야 어강됴리 / 어기야 어강됴리,

아흐 아으 다롱디리 / 아흐 아으 다롱디리.

져재 녀러신고요 / 저기 저 시장에서, 두렵구나,

어긔야 즌디랄 드리욜셰라 / 어기야 진흙을 밟을까 염려되네.

어긔야 어강됴리 / 어기야 어강됴리.

어느이다 노코시라 / 어디에 두고 오셨나,

어긔야 내가논대 졈그랄 셰라 / 어기야 내가 놓은 곳에 어둠이 내릴까 염려되네.

어긔야 어강됴리 / 어기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

2. 1. 원문

wikitext



ᄃᆞᆯ하 노피곰 도ᄃᆞ샤

어긔야 머리곰 비취오시라

어긔야 어강됴리

아흐 아으 다롱디리

져재 녀러신고요

어긔야 즌ᄃᆡ랄 드ᄃᆡ욜셰라

어긔야 어강됴리

어느이다 노코시라

어긔야 내가논ᄃᆡ 졈그ᄅᆞᆯ셰라

어긔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



이 노래는 남편이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음에도 이를 조금도 원망하지 않고 몸이나 편안히 다니시라고 달에게 축원하는 아름다운 여심의 간절한 표현이다.[8] 이 노래에서 달은 곧 천지신명(天地神明)을 뜻하며 이를 향해 여인이 축원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정읍사>가 음악으로 이렇게 작곡된 것은 고려 충렬왕 때일 것이다. 이 노랫말은 남편의 무사 귀환을 바라며 달에게 더 밝고 높이 떠오르도록 기도하는 아내의 마음을 나타낸다.[9]

2. 2. 현대어 풀이

달아 높이 돋으시어 멀리멀리 비추어 주십시오.[8][9] 어기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 시장에 가 계신가요, 어기야 진 곳을 디딜까 두렵습니다.[9] 어기야 어강됴리. 어느 곳에나 (짐을) 놓아 버리십시오. 어기야 내 님이 가는 곳에 날이 저물까 두렵습니다.[9] 어기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

이 노래는 남편이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음에도 원망하지 않고 몸이나 편안히 다니시라고 달에게 축원하는 여인의 마음을 표현한다.[8] 여기서 달은 천지신명을 뜻하며, 여인은 달에게 축원한다. 이창규에 따르면, 『고려사』에는 장사를 나간 남편을 기다리는 아내가 남편의 무사 귀환을 빌며 달에게 밝게 비춰줄 것을 청하는 노래로 기록되어 있다.[8]

3. 배경 및 해설

원작에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노래 제목과 해설은 고려사악학궤범에 기록되어 있다. 다만 가사 자체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3] 작곡가와 정확한 작곡 연도는 알 수 없지만, 7세기 중엽에 지어지고 고려 시대(아마도 10세기)에 곡이 붙여진 것으로 추정된다.[4] 가사는 조선 시대에 와서야 기록되었으므로, 원래 가사와는 상당히 다를 가능성이 크다.[5]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 노래는 전라남도 고창군 해리 지역(현재 대한민국 고창군 해리 지역)[6] 장사(Changsha) 출신의 한 남자가 군에 입대하여 오랫동안 돌아오지 않자, 그의 아내가 선운산에 올라 그를 기다리며 지은 노래라고 한다.[7] 다른 이야기에는 그 남자가 물건을 팔러 나갔다가 돌아오지 않자, 그의 아내가 절벽에 올라 달에게 남편의 귀환을 비는 기도를 노래로 지었다고 한다. 또한, 아내가 남편을 기다렸던 곳에 '몽부석'이 있다고도 전해진다.

4. 음악적 특징

5. 현대의 재해석

크로스오버 보컬 그룹 포레스텔라가 두 번째 정규 앨범 ''Mystique''에서 정읍사를 바탕으로 ''Dear Moon''이라는 노래를 만들었다.[10]

참조

[1] 웹사이트 선운산곡(禪雲山曲) https://www.jeongeup[...] 2022-08-27
[2] 서적 Ritual Music of the Korean Court National Gugak Center 2015
[3] 웹사이트 선운산곡(禪雲山曲) https://www.jeongeup[...] 2022-08-27
[4] 서적 Traditional Music: Sounds in Harmony with Nature https://books.google[...] Seoul Selection Co., Ltd. 2012
[5] 서적 The Classical Poetry of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2016-12
[6] 웹사이트 속현(屬縣) http://encykorea.aks[...]
[7] 웹사이트 정읍시(井邑市) http://encykorea.aks[...]
[8] 학술지 Special Feature 1: Baekje Under the Moonlight https://issuu.com/th[...] 2022-08-27
[9] 서적 Classical Poetic Songs of Korea https://books.google[...]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09
[10] 뉴스 '성악에서 국악까지' 포레스텔라, 정규 2집 앨범 '미스틱' 발매 http://www.mhns.co.k[...] 2019-05-24
[11] 간행물 고려사 악지(樂志)에 기록된 백제가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