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착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착민은 역사적으로 원주민의 땅을 점유한 이주민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정착민은 정착민 식민주의와 관련되며, 종종 폭력적인 몰수 과정을 수반한다. 비유적으로는 새로운 지역에 처음으로 거주지를 건설하는 사람을 의미하기도 한다. 러시아 제국은 인구가 적은 지역에 자국민과 외국인을 정착시키기도 했다. 인류학에서는 다른 부족을 몰아내고 새로운 땅을 차지하는 부족 이동을 기록하는 데 사용된다. 현대에는 캐나다에서 유럽계 후손으로 구성된 비원주민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중동 및 북아프리카에서는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정착민의 이주는 개인적 경제적 어려움, 사회적·정치적 박해, 정부의 유인책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간 이동 - 외국인 노동자
    외국인 노동자는 국내 노동력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유입된 노동자로, 송출국의 경제적 어려움과 수용국의 노동력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숙련·비숙련 노동자 유형에 따라 경제적 영향과 사회적 문제점을 야기하므로 권익 보호와 사회 통합 노력이 필요하다.
  • 인간 이동 - 실향민
    실향민은 전쟁, 분단, 자연재해 등으로 고향을 떠나 돌아갈 수 없게 된 사람들을 지칭하며, 한국의 실향민 문제는 한국 전쟁과 분단으로 발생한 대표적인 사례이고,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원인으로 실향민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들은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삶의 터전 상실의 고통을 안고 고향 방문과 삶의 회복을 염원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정착민
정의
정착민어떤 지역으로 이주하여 영구적으로 거주하는 사람을 말함.
의미해당 지역에서 영구적인 거주지를 확립한 사람
관련 용어
식민지 개척자식민지를 개척하기 위해 이주한 사람. 정착민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식민주의적 맥락에서 더 많이 사용됨.
이주민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다른 지역으로 이주한 사람. 정착민과 달리 영구적인 거주를 확정하지 않은 경우도 있음.
정착민 식민주의
개요정착민 식민주의는 외부에서 온 사람들이 원주민 사회를 대체하고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려는 식민주의의 한 형태를 의미.
특징원주민 사회의 영구적인 해체 또는 축소를 목표로 함.
예시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이스라엘 등
논란과 비판
윤리적 문제원주민의 토지 권리 침해, 문화 파괴, 폭력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역사적 비판식민주의와 관련된 여러 논란과 비판의 대상이 됨.

2. 역사적 용례

역사적으로 이주민들은 원주민들이 오랫동안 거주하던 땅을 점유하는 경우가 많았다. 아메리카 원주민, 애보리진, 제1국민 등 원주민을 지칭하는 다양한 용어가 사용된다. 미국에서는 "인디언", "아메리카 인디언"이라는 용어가 여전히 사용되지만, 인도인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동인도인", "아시아 인도인"이라는 용어도 사용된다.[3]

1935년 칠레 바케로 강(Baker River) 파타고니아의 칠레 이주민들


원주민 영토가 외국인에 의해 정착되는 과정은 정착민 식민주의라고 불리며, 종종 폭력적인 몰수 과정을 동반한다.[1] 미국에서는 "개척자"라는 용어가 새로운 땅에 정착하는 유럽인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4]

1910년경 아제르바이잔 무간 스텝에 있는 러시아 이주민 가족(아마도 몰로칸일 것이다)


러시아 제국은 인구가 적은 땅에 러시아인과 외국인의 정착을 장려했다.[5] 이들은 식민지 주민이라고 불렸다. 슬라보-세르비아, 볼가 독일인, 볼히니아, 카자흐스탄의 러시아인 등이 이러한 현상의 예시이다.

근세 이주민들은 해로를 자주 이용했지만,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보어-아프리카너대이동이나 미국의 오리건 트레일과 같이 육로를 이용한 대규모 이주도 있었다.

2. 1. 인류학적 용례

인류학에서는 카멜바이더씨처럼, 에셀렌족이 이전에 거주했던 지역에 오흘론족이 정착한 것과 같이, 원주민 정착민들이 다른 부족을 그들이 차지했던 땅에서 몰아낸 부족 이동을 기록한다.[6]

3. 현대적 용례

캐나다에서는 "정착민"이라는 용어가 "유럽계 후손으로 구성된 사회정치적 다수를 형성하는 캐나다 거주 비원주민"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따라서 정착민 식민주의가 현재 진행 중인 현상임을 주장한다. 이러한 용법은 일부에게 논란의 여지가 있다.[7][8][9]

중동과 북아프리카에서는 여러 무허가 거주자와 정착민 중심적 성격으로 여겨지는 특정 정책에 대한 언급이 많다.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3. 1. 이스라엘

1882년부터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으로 대규모 이주하기 시작했는데, 특히 예루살렘, 헤브론, 티베리아스 등 여러 지역으로 이주했다.[10] 1948년 이스라엘 독립 선언 이후 300만 명이 넘는 유대인들이 알리야(עלייה|알리야he)를 통해 이스라엘 땅으로 이주했다.[12] 알리야는 유대인들이 디아스포라에서 이스라엘 땅으로 이주하는 것을 의미한다.

1967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이후, 전 세계 유대인들이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이스라엘 정착지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 협상에서 논의되고 있다.[13][14]

3. 2. 시리아

최근 아랍 정착민들이 시리아 북동부와 같은 쿠르드족과 다른 소수 민족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대규모로 이주하였다.

3. 3. 키프로스

1974년 터키의 키프로스 터키 침공 이후 터키 공화국 시민들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북키프로스로 이주하기 시작했다.[15] 오늘날 이 터키 정착민들은 점령된 키프로스 인구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된다.[15]

3. 4. 모로코

모로코는 서사하라 분쟁 이후 모로코 점령 서사하라 지역으로 자국 시민들을 이주시키기 시작했다. 서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은 서사하라 전체를 자국 영토로 주장하며 이러한 모로코 정착민들의 존재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4. 이주의 원인

정착민들의 이민 이유는 다양하지만, 종종 다음과 같은 요인과 유인책이 포함된다. 새로운 더 나은 삶을 외국 땅에서 시작하려는 욕구, 개인적인 재정적 어려움, 사회적, 문화적, 민족적 또는 종교적 박해(예: 청교도와 몰몬교도)[16][17], 형벌 추방(예: 영국에서 호주로 유죄 판결을 받은 범죄자들)[18], 정치적 탄압, 그리고 외국 정착을 장려하기 위한 정부의 유인책 등이 있다.

참조

[1] 저널 Settler colonialism and the elimination of the native 2006-12-01
[2] 서적 Fast Times in Palestine Seal Press
[3] 웹사이트 Settler Colonialism 2017-10-19
[4] 웹사이트 Online Etymological Dictionary http://www.etymonlin[...]
[5] 뉴스 Russians left behind in Central Asia http://news.bbc.co.u[...] 2005-11-23
[6] 간행물 Prehistoric Sources Technical Study Bainbridge Behrens Moore Inc. 1977-05-23
[7] 저널 Contact Theory in a Small-Town Settler-Colonial Context: The Reproduction of Laissez-Faire Racism in Indigenous-White Canadian Relations 2015-02-01
[8] 저널 The 'Settler' Nonsense https://www.dorchest[...] 2018-01-01
[9] 뉴스 Introducing yourself as a 'settler' creates division https://www.cbc.ca/n[...] CBC 2024-04-05
[10] 웹사이트 Israel http://focus-migrati[...] Hamburg Institute of International Economics 2008-06-01
[11] 서적 Ethnicity, Religion and Class in Israeli Socie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뉴스 400 olim arrive in Israel ahead of Independence Day http://www.ynetnews.[...] 2008-05-06
[13] 웹사이트 What are settlements, and why are they such a big deal? https://www.vox.com/[...] 2018-11-20
[14] 뉴스 Israeli Settlements https://www.bloomber[...] Bloomberg L.P.
[15] 뉴스 Best chance Cyprus has had for peace https://www.politico[...] 2016-03-31
[16] 서적 Pilgrimage and identity along the mormon trail CAB International
[17] 논문 The Ainu, Meiji Era Politics, and Its Lasting Impacts: A Historical Analysis of Racialization, Colonization, and the Creation of State and Identity in Relation to Ainu-Japanese History
[18] 서적 Atlas of Human Migration
[19] 저널 Settler colonialism and the elimination of the native 2006-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