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통신여단 (미국)은 1966년 4월 1일 베트남에서 창설된 미 육군 부대이다. 베트남 전쟁 당시 전술 및 전략 통신망 구축, 유지보수, 관리를 담당했으며, 2만 명 이상의 병력으로 구성된 미 육군 최대 규모의 여단이었다. 1973년 대한민국으로 이동하여 주한 미군, 제8군, 유엔 사령부에 통신 지원을 제공하는 임무를 수행하며, 현재는 캠프 험프리스에 본부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여단 - 제199보병여단 제199보병여단은 제2차 세계 대전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 육군의 보병 여단으로, 기병 부대로도 활동했으며, 현재는 조지아주 포트 무어에서 훈련 부대로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미래의 군 지휘관과 전투원을 양성하고 있다.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여단 - 제1항공여단 (미국) 1965년 베트남 전쟁 중 창설된 제1항공여단은 남베트남에 전개되어 활약한 미국 육군의 항공 여단으로, 한때 큰 규모를 자랑했으나 현재는 미래 항공 전투 지휘자 훈련 및 육군 항공 합동 전술 교리 개발 임무를 수행한다.
미국의 통신여단 - 제516통신여단 제516통신여단은 미국 육군 소속의 통신 여단으로, 1992년 재창설되어 태평양 전선,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등지에서 통신 지원 임무를 수행해 왔다.
미국의 통신여단 - 제21통신여단 제21통신여단은 미국 육군의 통신여단으로, 베트남 전쟁 참전을 위해 창설되어 통신 지원 임무를 수행했으며, 해산되었다가 재창설되어 현재 여러 부대를 예하에 두고 있다.
주한 미군의 부대 및 편성 - 제65의무여단 제65의무여단은 1927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럽 전구에서 활약한 미 육군 의무 부대로, 한국에서 주둔하며 주한미군 의료 지원을 제공한 후 현재는 캠프 험프리스에서 브라이언 올굿 육군 지역병원을 중심으로 주한미군 및 한국군 장병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한 미군의 부대 및 편성 - 제2전투항공여단 제2전투항공여단은 1957년 창설되어 2005년 통합 재편된 미 육군 제2보병사단 예하 전투항공여단으로, UH-60 블랙호크와 AH-64 아파치 헬기를 운용하며 다양한 작전 임무를 수행해왔고, 2013년 육군 우수부대 표창을 수여받았다.
1966년베트남 공화국에서 창설된 제1통신여단은 베트남 전쟁 동안 복잡하고 광범위한 통신망 구축 및 관리 임무를 수행했다.[2] 베트남 전쟁이 절정에 달했을 때 여단은 6개 통신단, 22개 통신대대, 그리고 여러 통신 기관으로 구성되어 최대 2만 1천 명의 병력을 보유한 거대 조직이었다.[3][4]
1966년 3월 26일, 제1통신여단 창설 계획이 구체화되었고, 4월 1일 베트남 공화국에서 정규군 부대로 창설되었다.[2] 여단의 임무는 베트남 공화국 국토 전체에 걸친 복잡하고 광범위한 전술 및 전략 통신망을 구축, 유지보수 및 관리하는 것이었다. 여단은 베트남 공화국에 주둔하던 3개의 신호 그룹을 통합하여 단일 통합 사령부에서 동남아시아의 전술 및 전략 통신을 통합하는 복잡한 통신 시스템을 구축, 설치, 운영 및 유지하였다.
베트남 전쟁이 절정에 달했을 때, 여단은 6개 통신단(제160통신단 포함), 22개 통신대대, 그 외 여러 통신 기관으로 구성되어 최대 2만 1천 명(23,000명[3][4])의 병력을 보유하여 당시 미국 육군에서 가장 큰 단일 여단이었다. 1968년부터 병력이 점차 감소하여 1972년 11월에는 약 1천 3백 명까지 줄었다.
2. 2. 대한민국 주둔 (1973년 ~ 현재)
1973년 1월 29일, 여단은 미국 육군 전략통신사령부(USASTRATCOM) 일반 명령 56번에 따라 재소집되어 주한 미군 사령부, 제8군, 국제 연합 사령부에 통신 지원을 제공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5] 이 여단은 또한 대한민국에서 국방통신시스템(Defense Communications System)의 설치, 유지 및 운영 임무를 맡았다.[3]
1976년 제8군의 제304, 307전술통신대대가 여단으로 배속되고, 이듬해 전술을 뺀 통신대대로 개명되었다.
1985년 10월, 여단에 미국군 네트워크(AFN)의 AM, FM라디오 방송과 텔레비전방송에 대한 배급과 유지보수 업무가 배정되었다.
2014년 6월 6일, 제251통신파견대가 12년 간의 임무를 마치고 용산 기지 안의 다목적상영관(multi-purpose theater facility|다목적상영관영어)에서 해산식을 가지고 해산하였다.[6] 9월 16일, 캠프 워커의 제14통신파견대가 해산하였다.[7]
제1통신여단은 1966년 4월 1일 베트남 공화국에서 창설되었다.[2] 여단의 임무는 동남아시아에서 전술 및 전략 통신을 통합하는 복잡한 통신 시스템을 구축, 설치, 운영 및 유지하는 것이었다. 이 부대는 이미 베트남 공화국에 있던 3개의 신호 그룹을 하나로 통합하여 편성되었다.
베트남 전쟁이 절정에 달했을 때, 여단은 6개의 신호 그룹(제160신호그룹 포함), 22개의 신호 대대 및 여러 통신 기관을 포함하여 23,000명이 넘는 병사들로 구성되어, 당시 미국 육군에서 가장 큰 통신 부대였다.[3][4]
제1통신여단은 1966년 4월 1일 베트남 공화국에서 창설되었다.[2] 여단의 임무는 동남아시아에서 전술 및 전략 통신을 통합하는 복잡한 통신 시스템을 구축, 설치, 운영 및 유지하는 것이었다. 이 부대는 이미 베트남 공화국에 있던 3개의 신호 그룹을 하나로 통합하여 편성되었다.
베트남 전쟁이 절정에 달했을 때, 여단은 6개의 신호 그룹(제160신호그룹 포함), 22개의 신호 대대 및 여러 통신 기관을 포함하여 23,000명이 넘는 병사들로 구성되어, 당시 미국 육군에서 가장 큰 통신 부대였다.[3][4]
5. 4. 훈장
스트리머
내역
베트남, 1966년 4월 1일 ~ 1967년 7월 31일[17]
베트남, 1967년 8월 1일 ~ 1969년 10월 31일[18]
베트남, 1970년 7월 1일 ~ 1972년 7월 1일[19]
한국, 2007년 1월 1일 ~ 12월 31일[20]
육군 공로부대표창, 장식띠에 베트남 1966-1967 수여
육군 공로부대표창, 장식띠에 베트남 1967-1969 수여
육군 공로부대표창, 장식띠에 베트남 1970-1972 수여
육군 우수부대상, 장식띠에 2007 수여
참조
[1]
일반
[2]
서적
[3]
일반
[4]
서적
[5]
서적
[6]
뉴스
1st Signal Brigade bids farewell to 251st Signal Detachment at Deactivation Ceremony
http://www.army.mil/[...]
1st Signal Brigade Public Affairs Office
2014-06-10
[7]
웹인용
The 14th Signal Detachment colors have been cased and the unit officially deactivated
https://www.facebook[...]
14th Signal Detachment Facebook
2014-09-16
[8]
문서
36th Signal Battalion Organization
http://8tharmy.korea[...]
1st Signal Brigade Public Affairs Office
2016-05-30
[9]
문서
41st Signal Battalion Task Organization
https://8tharmy.kore[...]
1st Signal Brigade Public Affairs Office
2018-07-23
[10]
웹인용
362d SIGNAL COMPANY
https://history.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9-23
[11]
웹인용
304th Signal Battalion
https://history.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04-01-14
[12]
웹인용
6th Signal Center
http://history.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9-23
[13]
웹인용
14th Signal Detachment
https://history.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03-03-12
[14]
웹인용
251st Signal Detachment
https://history.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09-09-31
[15]
일반
[16]
뉴스
1st Signal Welcomes 31st Commander
https://www.army.mil[...]
1st Signal Brigade Public Affairs Office
2016-07-06
[17]
웹인용
General Orders No. 17
https://armypubs.arm[...]
Headquaters, Department of The Army
1968-04-23
[18]
웹인용
General Orders No. 48
https://armypubs.arm[...]
Headquaters, Department of The Army
1971-10-14
[19]
웹인용
General Orders No. 6
https://armypubs.arm[...]
Headquaters, Department of The Army
1974-02-25
[20]
웹인용
General Orders No. 2014-04
https://armypubs.arm[...]
Headquaters, Department of The Army
2014-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