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3회 홍콩 영화 금상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3회 홍콩 영화 금상장은 2004년에 개최되었으며, 영화 《유가전》이 최우수 작품상을, 두기봉 감독이 《PTU》로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했다. 유덕화는 《유가전》으로 남우주연상을, 장백지는 《실화》로 여우주연상을, 양가휘는 《흑사회》로 남우조연상을, 하운시는 《색즉시공》으로 여우조연상을, 안지걸은 《스타 러너》로 신인배우상을 수상했다. 또한, 일본 영화 《황혼의 사무라이》가 최우수 아시아 영화상을 수상했으며, 매염방과 장국영에게 공로상이 수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홍콩 - 2004년 구정컵
2004년 구정컵은 홍콩 리그 XI가 참가한 축구 대회로, 결승전에서 FC 서울이 부산 아이파크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하며 1999년 FA컵 우승 이후 5년 만에 통산 2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 2003년 영화상 - 제76회 아카데미상
2004년 2월 29일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제76회 아카데미 시상식은 빌리 크리스탈이 사회를 맡았고, 영화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이 11개 부문을 수상했으며, 소피아 코폴라가 각본상을 수상하며 3대째 오스카상을 수상하는 기록을 세웠다. - 2003년 영화상 - 제61회 골든 글로브상
2004년에 열린 제61회 골든 글로브상은 영화 부문에서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과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TV 부문에서 《24》, 《오피스》, 《엔젤스 인 아메리카》 등의 작품에 상을 수여한 행사로, 특히 《엔젤스 인 아메리카》는 TV 부문에서 최다 수상을 기록했다. - 홍콩 영화 금상장 - 제35회 홍콩 영화 금상장
제35회 홍콩 영화 금상장은 2016년에 개최되었으며, 작품상은 《텐 이어즈》, 감독상은 서극, 남우주연상은 곽부성, 여우주연상은 제시 리가 수상했다. - 홍콩 영화 금상장 - 제13회 홍콩 영화 금상장
1994년에 개최된 제13회 홍콩 영화 금상장에서는 이동승 감독의 《신불료정》이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하고 그가 감독상과 각본상을 동시에 수상했으며, 황추생과 원영의가 각각 남우주연상과 여우주연상을, 추문회, 이소룡, 여만위가 평생 공로상을 받았다.
제23회 홍콩 영화 금상장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시상식 | 제23회 홍콩 영화 금상장 |
날짜 | 2004년 4월 4일 |
장소 | 홍콩 문화중심 |
사회자 | 다요 웡 보위 찬 아테나 추 캔디스 위 체리 잉 테리 콴 아다 초이 조시 호 크리스티 양 조 쿠 |
이전 시상식 | 제22회 |
다음 시상식 | 제24회 |
2. 역사
1982년부터 시작된 홍콩 영화 금상장은 홍콩 영화 산업의 발전을 이끌고 우수한 작품과 영화인을 발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초기에는 소규모 시상식으로 시작했지만, 점차 규모가 커지고 권위를 인정받으며 홍콩을 대표하는 영화 시상식으로 자리 잡았다.[5]
1980년대와 1990년대는 홍콩 영화의 황금기로 불리며, 홍콩 영화 금상장은 이 시기 홍콩 영화 부흥의 주요 동력 중 하나였다. 오우삼, 서극, 왕가위 등 세계적인 감독들과 주윤발, 장국영, 매염방, 양조위, 장만옥 등 뛰어난 배우들이 홍콩 영화 금상장을 통해 배출되었으며, 이들의 활약은 홍콩 영화를 아시아를 넘어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2003년에는 홍콩 영화 금상장 역사상 특별한 해로, 매염방과 장국영이 홍콩 영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공로상을 수상했다.[5]
23회 시상식 이전까지 주요 수상작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3회 시상식의 내용은 하위 섹션 === 역대 영화제 === 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언급만 한다.)
주요 부문 | 주요 수상작 및 수상자 (일부) |
---|---|
최우수 작품상 | 유가전, PTU, 무간도 시리즈, 실화 |
최우수 감독상 | 두기봉, 진목승, 이은걸, 유내해, 유위강, 맥조휘 |
최우수 각본상 | 유내해, 구건이, 오견이, 엽진생, 맥조휘, 장문강 |
최우수 남우주연상 | 유덕화, 류청운, 장학우, 오진우, 임달화 |
최우수 여우주연상 | 장백지, 임가흔, 유가령, 오군여 |
2. 1. 역대 영화제
회차 | 연도 | 최우수 작품상 | 최우수 감독상 | 최우수 각본상 | 최우수 남우주연상 | 최우수 여우주연상 | 최우수 남우조연상 | 최우수 여우조연상 | 신인배우상 |
---|---|---|---|---|---|---|---|---|---|
23회 | 2004년 | 유가전 | 두기봉 (PTU) | 유내해, 구건이, 오견이, 엽진생 (유가전) | 유덕화 (유가전) | 장백지 (실화) | 양가휘 (흑사회) | 하운시 (색즉시공) | 안지걸 (스타 러너) |
[1][2][3][4]
2004년에 열린 제23회 홍콩 영화 금상장은 홍콩 영화계의 주요 인물들에게 경의를 표하고, 뛰어난 작품들을 기념하는 자리였다. 특히, 매염방과 장국영에게는 홍콩 영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공로상이 수여되었다.[5] 람국서와 갈민휘에게는 전문정신상이 수여되었다.[1]
3. 제23회 홍콩 영화 금상장 (2004)
이 해 시상식에서는 여러 영화들이 치열한 경합을 벌였다. 주요 수상 결과는 다음과 같다:3. 1. 수상 부문 및 후보
부문 | 수상 | 후보 |
---|---|---|
최우수 작품상 | 유가전[1][2][3][4] | PTU 무간도 2: 혼돈의 시대 무간도 3: 종극무간 실화 |
최우수 감독상 | 두기봉 (PTU)[1][2][3][4] | 진목승 (영웅 본색) 이은걸 (실화) 두기봉 , 유내해 (유가전) 유위강, 맥조휘 (무간도 2: 혼돈의 시대) |
최우수 각본상 | 유내해, 구건이, 오견이, 엽진생 (유가전)[1][2][3][4] | 맥조휘, 장문강 (무간도 2: 혼돈의 시대) 유내해, 오견이 (PTU) 맥조휘, 장문강 (무간도 3: 종극무간) 원경배, 팡자이나 (실화) |
최우수 남우주연상 | 유덕화 (유가전)[1][2][3][4] | 류청운 (실화) 장학우 (금계 2) 오진우 (무간도 2: 혼돈의 시대) 임달화 (PTU) |
최우수 여우주연상 | 장백지 (실화)[1][2][3][4] | 임가흔 (부생약사) 유가령 (무간도 2: 혼돈의 시대) 오군여 (금계 2) 장백지 (유가전) |
최우수 남우조연상 | 양가휘 (흑사회)[1][2][3][4] | 증지위 (무간도 2: 혼돈의 시대) 요계지 (무간도 2: 혼돈의 시대) 장자현 (유가전) 정중기 (나의 위험한 친구) |
최우수 여우조연상 | 하운시 (색즉시공)[1][2][3][4] | 로관란 (진실 혹은 대담: 6층 후면 아파트) 포희린 (실화) 하운시 (천기) 소미기 (PTU) |
신인배우상 | 안지걸 (스타 러너)[1][2][3][4] | 오건호 (스타 러너) 포포 (은밀적선로) 소정빈 (진실 혹은 대담: 6층 후면 아파트) 장건도 (PTU) |
최우수 촬영상 | 황영항 (부생약사)[1][2][3][4] | 정소강 (PTU) 번지웅 (영웅 본색) 유위강, 오만청 (무간도 2: 혼돈의 시대) 유위강, 오만청 (무간도 3: 종극무간) |
최우수 편집상 | 진기합 (천기)[1][2][3][4] | 팽호상, 팽정희 (무간도 2: 혼돈의 시대) 팽호상, 팽정희 (무간도 3: 종극무간) 나영창 (유가전) 나영창 (PTU) |
최우수 미술감독상 | 뢰달명 (천기)[1][2][3][4] | 이건문, 맥국웅 (금계 2) 유세군 (사랑과 슬픔의 상자) 유세군 (유가전) 륙빙 (부생약사) |
최우수 의상 및 분장상 | 이건문 (천기)[1][2][3][4] | 유세군, 황문영 (유가전) 유세군, 황문영 (사랑과 슬픔의 상자) 장숙평 (부생약사) 이건문, 장광웅 (금계 2) |
최우수 액션 안무상 | 견자단 (천기)[1][2][3][4] | 홍금보 (메달리온) 동위 (영웅 본색) 전가락 (스타 러너) 원빈 (유가전) |
최우수 영화 음악상 | 가페이 (실화)[1][2][3][4] | 종지영, 장패문 (사랑과 슬픔의 상자) 진광영 (무간도 3: 종극무간) 종지영 (PTU) 진광영 (무간도 2: 혼돈의 시대) |
최우수 영화 주제가상 | 長空|장공중국어 (무간도 2: 혼돈의 시대)[1][2][3][4] 작곡: 황가강 작사: 황가강, 엽세영 가수: 비욘드 | 身外情|신외정중국어 (유가전) 작곡: 게이버드 작사: 알버트 렁 가수: 황요명 兩個人的幸運|두개인적행운중국어 (사랑과 슬픔의 상자) 작곡: 가페이 작사: 알버트 렁 가수: 양영기 下一站天后|하일참천후중국어 (디바) 작곡: 오윤룡 작사: 웡와이만 가수: 채탁연 Forget the Unforgettable (실화) 작곡: 가페이 작사: 진휘양 가수: 장백지 |
최우수 음향효과상 | 스티븐 틱너, 증경효 (천기)[1][2][3][4] | 증경효 (무간도 2: 혼돈의 시대) 증경효 (무간도 3: 종극무간) 마틴 채플 (PTU) 마틴 채플, 목매이, 로지 (유가전) |
최우수 시각효과상 | 황굉달, 엽국량 (천기)[1][2][3][4] | 마조성 (PTU) 황굉달, 황굉달 (무간도 3: 종극무간) 패디 이슨, 메린 젠슨, 라르스 요한슨, 매튜 기드니 (메달리온) 마조성 (유가전) |
최우수 아시아 영화상 | 황혼의 사무라이|たそがれ清兵衛일본어 (일본)[1][2][3][4] | 중국식 잉어|Balzac et la petite tailleuse chinoise중국어 (중국) (타이완) (중국) 클래식 (대한민국) |
신인 감독상 | 펑하오샹 (흑사회)[1] | 황진진 (진실 혹은 대담: 6층 후면 아파트) 나카이 레이코 (부생약사) |
'''공로상'''은 홍콩 영화에 기여한 공로를 기리기 위해 매염방과 장국영에게 수여된 특별상이다.[5]
'''전문정신상'''은 람국서와 갈민휘에게 수여되었다.[1]
3. 1. 1. 작품상
'''제23회 홍콩 영화 금상장 작품상''''''수상'''
- 대척료 - 두기봉[1][2][3][4]
'''후보'''
3. 1. 2. 감독상
'''두기봉''' (PTU)[1][2][3][4]- 진목승 (영웅 본색)
- 이은걸 (실화)
- 두기봉, 유내해 (유가전)
- 유위강, 맥조휘 (무간도 2: 혼돈의 시대)
3. 1. 3. 각본상
'''수상'''- 유내해, 구건이, 오견이, 엽진생 – 대척료
'''후보'''
- 맥조휘, 장문강 – 무간도 2: 혼돈의 시대
- 유내해, 오견이 – PTU
- 맥조휘, 장문강 – 무간도 3: 종극무간
- 원경배, 팡자이나 – 실화[1][2][3][4]
3. 1. 4. 남우주연상
'''유덕화 – 대척료'''[1][2][3][4]3. 1. 5. 여우주연상
'''장백지''' - 망불료[1][2][3][4]3. 1. 6. 남우조연상
'''양가휘''' - 대장부[1][2][3][4]3. 1. 7. 여우조연상
'''호정''' - 조시 호[1][2][3][4]3. 1. 8. 신인상
'''안지걸'''[1][2][3][4]- 오건호
- 포포
- 소정남
3. 1. 9. 촬영상
'''제23회 홍콩 영화 금상장 촬영상 후보 및 수상자'''- '''수상:''' 꿈꾸는 풍경 - 황악태[1][2][3][4]
- PTU - 정조강[1][2][3][4]
- 쌍웅 - 반요명[1][2][3][4]
- 무간도 2 - 혼돈의 시대 - 유위강[1][2][3][4]
- 무간도 3 - 종극무간 - 유위강[1][2][3][4]
3. 1. 10. 편집상
후보 | 수상 |
---|---|
3. 1. 11. 미술상
'''수상'''- 트윈 이펙트 - 뇌초웅[1][2][3][4]
'''후보'''
- 금계 2 - 김원혁
- 턴 레프트, 턴 라이트 - 여가안
- 대척료 - 여가안
- 꿈꾸는 풍경 - 육문화
3. 1. 12. 의상&메이크업상
'''제23회 홍콩 영화 금상장''' 의상&메이크업상 부문은 영화의 의상과 메이크업의 예술성을 평가하여 시상한다.3. 1. 13. 무술감독상
3. 1. 14. 영화음악상
후보 |
---|
수상 |
3. 1. 15. 주제가상
'''長空|장공중국어''' – 무간도 2: 혼돈의 시대[1][2][3][4]- 작곡: 황가강
- 작사: 황가강, 엽세영
- 가수: 비욘드
'''身外情''' – 유가전
- 작곡: 게이버드
- 작사: 알버트 렁
- 가수: 황요명
'''兩個人的幸運''' – 사랑과 슬픔의 상자
- 작곡: 가페이
- 작사: 알버트 렁
- 가수: 양영기
'''下一站天后''' – 디바
- 작곡: 오윤룡
- 작사: 웡와이만
- 가수: 채탁연
'''''Forget the Unforgettable''''' – 실화
- 작곡: 가페이
- 작사: 진휘양
- 가수: 장백지
3. 1. 16. 음향효과상
이 트윈 이펙트로 제23회 홍콩 영화 금상장 음향효과상을 수상했다.[1][2][3][4] 후보는 다음과 같다.
3. 1. 17. 시각효과상
Eddy Wong영어 외 (트윈 이펙트)[1][2][3][4]3. 1. 18. 아시아영화상
황혼의 세이베이|たそがれ清兵衛일본어 (야마다 요지 감독)이 최우수 아시아 영화상을 수상했다.[1][2][3][4] 후보로는 소재봉|姐御일본어 (시지에 다이 감독), (이치엔 감독), (천카이거 감독), 그리고 대한민국의 클래식 (곽재용 감독)이 있었다.상 | 수상작 및 후보 |
---|---|
최우수 아시아 영화상 |
3. 1. 19. 신인감독상
- '''대장부''' - 펑하오샹 [1]
- 진실 게임 - 6층의 숨은 방 - 황진진 [1]
- 꿈꾸는 풍경 - 여묘설 [1]
3. 2. 특별상
홍콩 영화에 기여한 공로를 기리기 위해 매염방과 장국영에게 특별상인 공로상이 수여되었다.[5]전문정신상은 람국서와 갈민휘에게 수여되었다.[1][2][3][4]
4. 한국 영화와의 관계
최우수 아시아 영화상 후보에 곽재용 감독의 클래식이 한국 영화로는 유일하게 올랐으나, 수상에는 실패했다. 다른 후보로는 야마다 요지의 황혼의 세이베이, 이치엔의 블루 게이트 크로싱, 천카이거의 투게더, 시지에 다이의 소재봉이 있었다.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Awardees of The 23rd Hong Kong Film Awards
http://www.hkfaa.com[...]
Hong Kong Film Awards
2017-03-16
[2]
웹사이트
The 23rd Hong Kong Film Awards (2004)
http://award.mtime.c[...]
Mtime.com Inc
2019-08-26
[3]
웹사이트
The 23rd Annual Hong Kong Film Awards
http://www.lovehkfil[...]
Love HK Film
2019-08-26
[4]
웹사이트
Hong Kong Film Awards for 2004
https://www.imdb.com[...]
IMDb
2019-08-26
[5]
웹사이트
List of Nominees and Awardees of The 23rd Hong Kong Film Awards
http://www.hkfaa.com[...]
Hong Kong Film Awards
2017-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