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44회 애니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44회 애니상은 2017년에 열린 시상식으로, 애니메이션 업계의 뛰어난 작품과 개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개최되었다. 주요 시상 부문으로는 장편 애니메이션, TV/방송 애니메이션, 개인 업적 부문 등이 있으며,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주토피아》가 최우수 장편 애니메이션상을, 스튜디오 지브리의 《붉은 거북》이 최우수 독립 장편 애니메이션상을 수상했다. 개인 업적 부문에서는 애니메이션 효과, 캐릭터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감독, 음악, 미술, 스토리보딩, 성우, 각본, 편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상자가 나왔으며, 윈저 맥케이 상, 준 포레이 상, 웁 아이웍스 상, 특별 공로상 등 특별상도 수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애니상 - 제45회 애니상
    제45회 애니상은 2017년에 개최되었으며, 영화 《코코》가 최우수 장편 애니메이션 부문을 포함하여 11개 부문을 수상하며 최다 수상 기록을 세웠다.
  • 애니상 - 제46회 애니상
    2018년 애니메이션 작품을 대상으로 한 제46회 애니상에서는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와 《미래의 미라이》가 각각 장편 애니메이션 작품상과 독립 장편 애니메이션 작품상을 수상했으며, TV 부문에서는 《힐다》와 《미키 마우스》가 강세를 보였다.
  • 2016년 영화상 - 제53회 대종상
    제53회 대종상 영화제는 2016년 12월 27일 세종대학교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었으며, 최우수 작품상은 《내부자들》, 감독상은 우민호, 남우주연상은 이병헌, 여우주연상은 손예진이 수상했다.
  • 2016년 영화상 - 제52회 백상예술대상
    2016년에 개최된 제52회 백상예술대상은 영화 부문에서 이준익 감독, TV 부문에서 드라마 《태양의 후예》가 대상을 수상하고, 《시그널》이 드라마 작품상을 수상하는 등 영화와 TV 각 부문에서 다양한 작품과 배우들이 수상했다.
제44회 애니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시상식 회수제44회
시상명애니상
원어Annie Awards
날짜2017년 2월 4일
장소로이스 홀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주, 미국
사회자스테파니 셰
주최ASIFA-할리우드
작품상주토피아
최다 수상주토피아 (6개)
감독상바이런 하워드 및 리치 무어
감독상 작품주토피아
최다 후보주토피아 (11개)
이전 시상식제43회
다음 시상식제45회

2. 역사

2016년 11월 28일, 제44회 애니상 후보가 발표되었다.[1] 주토피아가 11개 부문 후보로 올라 최다 지명을 받았고, 쿠보와 전설의 악기가 10개 부문 후보로 그 뒤를 이었다.

3. 시상 부문

2016년 11월 28일, 제44회 애니상 후보가 발표되었다.[1] ''주토피아''가 11개 부문 후보로 가장 많이 지명되었고, ''쿠보와 전설의 악기''가 10개 부문으로 그 뒤를 이었다.
여러 부문에 후보로 오른 영화


여러 부문에서 수상한 영화


여러 부문에 후보로 오른 텔레비전 작품

후보 지명작품
4트롤헌터
3밥스 버거스
퍼핀 락
텀블 리프
어드벤처 타임
와치 오버 욘더
심슨 가족
스타워즈 반란군
미키 마우스
2그래비티 폴즈
보잭 홀스맨
아토믹 퍼펫
Rain or Shine
오픈 시즌: 무서운 엉덩이
미스터 피보디와 셔먼 쇼


여러 부문에서 수상한 텔레비전 작품


3. 1. 작품상 부문

'''최우수 장편 애니메이션'''

'''최우수 독립 장편 애니메이션'''

'''최우수 단편 애니메이션'''

  • 파이퍼 - 앨런 바릴라로 수상
  • 블라인드 바이샤 - 테오도르 위셰브
  • 사슴꽃 - 김강민
  • Path Title Sequence - Acme Filmworks
  • - 패트릭 오스본


'''최우수 TV/방송 광고'''

  • Loteria 'Night Shift' - Passion Pictures Ltd 수상
  • Duelyst - Powerhouse Animation Studios, Inc.
  • LEGO Star Wars: The Force Awakens Trailer - Plastic Wax
  • Lily & the Snowman - Hornet
  • The Importance of Paying Attention: Teeth - Bill Plympton Studio & J. J. Sedelmaier Productions, Inc.


'''최우수 TV/방송 애니메이션'''

  • Tumble Leaf - Episode: Mighty Mud Movers / Having A Ball - Amazon Studios and Bix Pix Entertainment 수상
  • Ask the StoryBots - Episode: Why Do I Have to Brush My Teeth? - JibJab Bros. Studios for Netflix
  • Peg + Cat - Episode: The Disappearing Art - The Fred Rogers Company 외 1개사
  • Puffin Rock - The First Snow - Episode: 59 - Cartoon Saloon 외 2개사
  • The Stinky & Dirty Show - Episode: Squeak - Amazon Studios and Brown Bag Films


'''최우수 TV/방송 애니메이션 - 어린이 대상'''

  • 어드벤처 타임 - Episode: Bad Jubies - Bix Pix Entertainment Cartoon Network Frederator Studios 수상
  • Voltron Legendary Defender - Episode: Return of the Gladiator - DreamWorks Animation Television
  • Elena of Avalor - Episode: A Day to Remember - Disney Television Animation
  • Teenage Mutant Ninja Turtles - Episode: Trans-Dimensional Turtles - Nickelodeon
  • Wander Over Yonder - Episode: My Fair Hatey - Disney Television Animation


'''최우수 TV/방송 애니메이션 - 일반 시청자 대상'''

  • Bob's Burgers - Episode: Glued, Where's My Bob? - Bento Box Entertainment 수상
  • BoJack Horseman - Episode: Fish Out Of Water - Tornante Productions 외 1개사
  • Long Live the Royals - Episode: Punk Show - Cartoon Network Studios
  • The Simpsons - Barthood - Episode: Barthood - Gracie Films in Association with 20th Century Fox Television
  • The Venture Bros - Episode: Hostile Makeover - Titmouse, Inc.


'''최우수 비디오 게임'''

  • Uncharted 4: A Thief 's End - Jeremy Yates 수상
  • Teenage Mutant Ninja Turtles: Legends - Lucio Mennillo
  • Titanf all 2 - Ranon Sarono
  • Witcher 3 Expansion Packs - Sebastian Kalemba


'''최우수 학생 작품'''

  • Citipati - Filmakademie Baden-Wuerttemberg 수상
  • 피쉬위치 - 아드리엔느 도울링
  • The Abyss - Liying Huang
  • 잘못된 판단 - 테리 매튜스
  • Twiddly Things - Adara Todd

3. 2. 개인 업적 부문

수상자후보비고
애니메이션 효과모아나[1]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실사 제작 부문 애니메이션 효과닥터 스트레인지마블 스튜디오
애니메이션 TV/방송 제작 부문 캐릭터 애니메이션트롤헌터드림웍스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장편 애니메이션 제작 부문 캐릭터 애니메이션쿠보와 전설의 악기라이카
실사 제작 부문 캐릭터 애니메이션정글북월트 디즈니 픽처스
비디오 게임 부문 캐릭터 애니메이션언차티드 4: 해적왕과 최후의 보물너티 독
애니메이션 TV/방송 제작 부문 캐릭터 디자인트롤헌터드림웍스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장편 애니메이션 제작 부문 캐릭터 디자인주토피아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애니메이션 TV/방송 제작 부문 연출구글 스포트라이트 스토리/이빌 아이 픽처스
장편 애니메이션 제작 부문 연출주토피아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애니메이션 TV/방송 제작 부문 음악구글 스포트라이트 스토리/이빌 아이 픽처스
장편 애니메이션 제작 부문 음악어린 왕자넷플릭스 및 온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애니메이션 TV/방송 제작 부문 프로덕션 디자인'튜나 보라 – '구글 스포트라이트 스토리/이빌 아이 픽처스
장편 애니메이션 제작 부문 프로덕션 디자인쿠보와 전설의 악기라이카
애니메이션 TV/방송 제작 부문 스토리보드송현주 – 트롤헌터드림웍스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장편 애니메이션 제작 부문 스토리보드주토피아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애니메이션 TV/방송 제작 부문 성우카를로스 알라스라키 – 미스터 피보디와 셔먼 쇼드림웍스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장편 애니메이션 제작 부문 성우아울리이 크라발리오 – 모아나, 제이슨 베이트먼주토피아''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모아나, 주토피아)
애니메이션 TV/방송 제작 부문 각본리지 몰리뉴 및 웬디 몰리뉴 – 밥스 버거스벤토 박스 엔터테인먼트
장편 애니메이션 제작 부문 각본주토피아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애니메이션 TV/방송 제작 부문 편집일리야 오웬스 – 디즈니 미키 마우스디즈니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장편 애니메이션 제작 부문 편집쿠보와 전설의 악기라이카


3. 3. 특별상

애니메이션 예술에 대한 경력 공헌준 포레이 상빌 & 수 크로이어
애니메이션 예술과 산업에 대한 중요하고 자선적인 영향웁 아이웍스 상구글 스포트라이트의 가상 현실 플랫폼
애니메이션 예술의 기술적 발전특별 공로상라이프, 애니메이티드 - 로저 로스 윌리엄스공로 증서레슬리 에제와 게리 페르코바크


4. 역대 주요 수상작 및 수상자 (한국 관련 내용 중심으로)

작품감독비고
장편 애니메이션 작품상붉은 거북마이클 두독 드 비트
단편 애니메이션 작품상파이퍼앨런 바릴라로
TV/미디어 단편 애니메이션 작품상Tumble Leaf - Episode: Mighty Mud Movers / Having A BallAmazon Studios and Bix Pix Entertainment
TV/미디어 애니메이션 작품상 - 미취학 아동Ask the StoryBots - Episode: Why Do I Have to Brush My Teeth?JibJab Bros. Studios for Netflix
TV/미디어 애니메이션 작품상 - 아동Adventure TIme - Episode: Bad JubiesBix Pix Entertainment Cartoon Network Frederator Studios
TV/미디어 애니메이션 작품상 - 일반 시청자Bobs Burgers - Episode: Glued, Wheres My Bob?Bento Box Entertainment
학생 작품상CitipatiFilmakademie Baden-Wuerttemberg
감독상 - TV/미디어 부문Adventure TIme - Episode: Bad JubiesBix Pix Entertainment Cartoon Network Frederator Studios
각본상 - TV/미디어 부문Bobs Burgers - Episode: Glued, Wheres My Bob?Bento Box Entertainment

5. 한국 애니메이션과 애니상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은 꾸준히 성장해 왔으며, 국제적으로도 그 위상을 높여가고 있다. 특히,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애니메이션 시상식 중 하나인 애니상에서 한국 애니메이션과 관련된 작품들이 주목받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제44회 애니상에서도 한국계 감독이나 한국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와 관련된 작품들을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쿵푸팬더3는 한국계 감독인 여인영(Jennifer Yuh Nelson영어)이 연출한 작품으로, 드림웍스 애니메이션에서 제작되었다. 비록 수상에는 실패했지만, 애니상 후보에 올랐다는 사실만으로도 한국 애니메이션의 저력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Adventure TIme - Episode: Bad Jubies 에피소드는 Bix Pix Entertainment, 카툰 네트워크, Frederator Studios가 공동 수상하였는데, 이 중 Bix Pix Entertainment는 한국계 애니메이터들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한국 애니메이션이 애니상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주요 상을 수상한 작품은 대부분 미국이나 유럽 등 애니메이션 강국의 작품들이며, 한국 애니메이션은 아직 후보에 오르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경우가 많다.

앞으로 한국 애니메이션이 애니상에서 더 많은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더욱 독창적이고 경쟁력 있는 작품을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국제적인 협력과 교류를 통해 한국 애니메이션의 인지도를 높이고, 해외 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