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통신단 (미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4통신단 (미국)은 미국 육군의 통신 부대로, 여러 차례 개편과 해산을 거쳤다. 1945년 3월 29일 제4025통신근무단으로 창설되어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여 필리핀에서 통신 지원을 제공했다. 이후 제4통신근무단, 제4통신단을 거쳐 주유 미군, 주한 미군을 지원했으며, 예하 부대로는 제315통신대대와 제7774통신근무대대가 있었다. 1975년 해산 후 제1통신여단에 배속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통신단 - 제1통신단 (미국)
미국 육군의 통신 부대였던 제1통신단은 1946년 창설되어 여러 기지를 거쳐 프랑스에서 주불 미군 부대에 통신 지원을 제공했으며, 제256통신중대, 제269통신중대 등을 예하 부대로 두었다. - 1967년 해체된 단체 - 제516통신여단
제516통신여단은 미국 육군 소속의 통신 여단으로, 1992년 재창설되어 태평양 전선,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등지에서 통신 지원 임무를 수행해 왔다. - 1967년 해체된 단체 - 제8군사경찰여단
제8군사경찰여단은 주한 미군에 배속되어 법 집행 및 질서 유지를 담당하는 부대로, 1967년 창설된 제8군사경찰단에서 시작되어 베트남 전쟁과 이라크 자유 작전에 참전했으며 현재는 제728군사경찰대대와 제71화학중대를 예하 부대로 두고 평택 미군기지 이전 사업 관련 지역 사회와의 협력 및 갈등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1975년 해체된 단체 - 제5군단 포병대
제5군단 포병대는 2차 세계 대전, 냉전, 이라크 자유 작전에 참전하여 노르망디 상륙 작전과 벌지 전투 등에서 활약했지만, 2007년 해체되었다. - 1975년 해체된 단체 - 베트남 주둔 중화민국 군사고문단
베트남 주둔 중화민국 군사고문단은 1955년 중화민국이 남베트남군에 군사 자문 및 훈련을 제공하기 위해 파견한 비밀 군사 고문단으로, 남베트남군 전력 증강 지원 및 반공 선전 활동을 통해 냉전 시대 중화민국과 미국의 전략적 목표를 반영하며 남베트남을 지원했으나, 지역 갈등 심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도 받는다.
제4통신단 (미국) | |
---|---|
부대 정보 | |
이름 | 제4통신단 |
원어 이름 | 4th Signal Group |
활동 기간 | 1945년 6월 1일 ~ 1949년 7월 1일 1951년 3월 20일 ~ 1967년 11월 13일 1971년 7월 31일 ~ 1975년 5월 15일 |
국가 | 미국 |
소속 | 미국 육군 |
병과 | 통신대 |
참전 | 태평양 전쟁 |
2. 역사
1945년 3월 29일 제4025통신근무단으로 구상되어 3개월 뒤인 1945년 6월 1일에 소집되었다. 이 부대는 루손과 레이테에서 미국 육군과 필리핀 부대에 통신 지원을 제공하였고, 제2차 필리핀 전역이 끝난 뒤에도 필리핀에 남은 부대 중 하나였다. 1947년 6월 30일에 제4통신근무단으로 개명되었고, 1949년 7월 1일까지 주필 미군의 통신부대로서 임무를 수행하고 해산하였다.
1951년 3월 7일, 부대의 상태가 정규군으로 할당되었다. 같은 해 3월 20일, 독일에서 제106, 516통신단을 병합 및 대체하여 재소집되었다. 주불 미군을 지원하는 제1통신단과 함께 COMZEUR 예속부대로 지정되었다. 이후 1967년 11월 13일에 해산하였다.
1971년 7월 31일, USAPAC 일반명령 제1971-377호에 따라 제8군 통신단이 제4통신단으로 재편성되었다. 1975년 5월 15일, 제4통신단은 해산되고 제304, 307전술통신대대는 제8군에 전속되었다가, 1976년에 제1통신여단에 배속되었다.
2. 1. 태평양 전쟁, 주필 미군 (1945년 ~ 1949년)
1945년 3월 29일 제4025통신근무단으로 구상되어 3개월 뒤인 1945년 6월 1일에 소집되었다. 부대는 루손과 레이테에서 미국 육군과 필리핀 부대에 통신 지원을 제공하였고, 제2차 필리핀 전역이 끝난 뒤에도 필리핀에 남은 부대 중 하나가 되었다. 1947년 6월 30일에 제4통신근무단으로 개명되고, 1949년 7월 1일까지 주필 미군의 통신부대로서 임무를 수행하고 해산하였다.1951년 3월 7일, 편제표에서 부대의 상태가 수정되어 정규군으로 할당되었다.
2. 2. 주유 미군 (1951년 ~ 1967년)
1951년 3월 20일, 제106, 516통신단을 병합 및 대체하여 독일에서 재소집되었다. 주불 미군을 지원하는 제1통신단과 함께 COMZEUR 예속부대로 지정되었다.1967년 11월 13일, 해산하였다.
2. 3. 주한 미군 (1971년 ~ 1975년)
1971년 7월 31일, USAPAC 일반명령 제1971-377호에 따라 제8군 통신단이 제4통신단으로 재편성되었다. 1975년 5월 15일, 제4통신단은 해산되고 제304, 307전술통신대대는 제8군에 전속되었다가, 1976년에 제1통신여단에 배속되었다.3. 부대 편성
4th Signal Group영어은 하위 섹션에서 계보, 소속, 참전, 수상 내역 등을 상세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부대 편성' 섹션에서는 별도로 내용을 추가할 필요가 없다.
3. 1. 계보
- 1945년 3월 29일, 4025th Signal Service Group영어
- 1947년 6월 30일, 4th Signal Service Group영어
- 1951년 3월 7일, Headquarters, 4th Signal Service Group영어
- * 정규군으로 할당.
- 1953년 4월 1일, Headquarters, 4th Signal Group영어
- 1953년 10월 20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4th Signal Group영어
- 1954년 11월 15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4th Signal Group영어
- 1956년 11월 15일, 4th Signal Group영어
- 1963년 8월 19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4th Signal Group영어
- 1963년 10월 15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4th Signal Group영어
- 1965년 9월 25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4th Signal Group영어
3. 2. 소속
3. 3. 참전
1945년 3월 29일 제4025통신근무단으로 구상되어 3개월 뒤인 1945년 6월 1일에 소집되었다. 부대는 루손과 레이테에서 미국 육군과 필리핀 부대에 통신 지원을 제공하였고, 제2차 필리핀 전역이 끝난 뒤에도 필리핀에 남은 부대 중 하나였다. 1947년 6월 30일에 제4통신근무단으로 개명되고, 1949년 7월 1일까지 주필 미군의 통신부대로서 임무를 수행하고 해산하였다.1951년 3월 7일, 편제표에서 부대의 상태가 수정되어 정규군으로 할당되었다.
스트리머 | 내역 |
---|---|
태평양 전쟁 |
3. 4. 수상
필리핀 대통령 부대 표창(제4025통신근무단 ci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