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갈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갈풍은 전한 원제 시기의 인물로, 경서에 능통하고 강직한 성품으로 명성이 높았다. 어사대부 공우의 추천으로 시어사가 되었고, 원제에게 발탁되어 사례교위에 임명되었다. 그는 권세에 굴하지 않고 감찰과 탄핵을 하여 원제의 신임을 얻어 광록대부까지 올랐으나, 외척 허장과의 갈등으로 인해 부절을 빼앗기고 성문교위로 좌천되었다. 이후, 주감과 장맹을 탄핵했으나 원제의 불신으로 파면되어 죽음을 맞이했다. 그의 후손으로는 촉한의 승상 제갈량이 있다.
제갈풍은 광록훈 주감과 광록대부 장맹을 탄핵하였다. 그러나 원제는 제갈풍이 이전에 그들을 칭찬했던 것을 기억하고 그의 말을 믿지 않았다. 결국 제갈풍은 파면되어 집에서 죽었다.[1]
제갈풍은 경서에 통달하여 군 문학이 되었으며, 강직하다는 평판을 받았다.[1] 공우가 어사대부가 되자 제갈풍을 어사속으로 삼고, 시어사로 추천했다.[1] 원제는 제갈풍을 사례교위로 발탁했다.[1] 그는 누구든 꺼리지 않고 감찰하고 탄핵하여, 도성에서는 "오랫동안 만나지 못하는 것은 제갈을 만났기 때문이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1] 원제는 그를 마음에 들어하여 광록대부의 녹봉을 내렸다.[1]
2. 생애
후손 제갈량은 촉한의 승상을 지냈다.[1]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진출
경서에 통달하여 군의 문학(文學)이 되었고, 강직한 성품으로 명성이 있었다.[1]
어사대부 공우의 속관으로 제수되었고, 공우는 제갈풍을 시어사로 추천하였다. 원제는 제갈풍을 발탁하여 사례교위에 임명하였다. 제갈풍은 상대방이 누구든 꺼리지 않고 감찰하여 탄핵하였고, 이를 마음에 들어한 원제는 광록대부의 관질을 주었다.[1]
어느 날, 원제의 외척 허장(許章)의 빈객이 죄를 지어 허장 또한 문초를 받게 되었다. 제갈풍은 허장을 탄핵하려던 중 길에서 그와 맞닥뜨렸고, 제갈풍은 사례교위의 부절을 보이며 허장을 체포하려 하였다. 그러나 허장은 그대로 수레를 몰아 궁궐로 달아났고, 원제를 찾아가 도움을 청하였다. 뒤쫓아 온 제갈풍 또한 원제에게 상주하였으나, 원제는 제갈풍의 부절을 빼앗았다. 이때부터 사례교위는 부절을 갖지 않게 되었다.[1]
원제는 차츰 제갈풍을 멀리하기 시작하였다. 마침 대신들이 제갈풍이 봄·여름에 죄수들을 옥에서 꺼내어 문초한다고 탄핵하였고, 원제는 제갈풍을 성문교위(城門校尉)로 좌천시켰다.[1]
2. 2. 사례교위 시절
원제는 제갈풍을 사례교위에 임명하였다. 제갈풍은 상대방이 누구든 꺼리지 않고 감찰하여 탄핵하였고, 이를 마음에 들어 한 원제는 광록대부의 관질을 주었다.[1] 도성에서는 "오랫동안 만나지 못하는 것은 제갈을 만났기 때문이다"라고 말하게 되었다.
어느 날, 원제의 외척 시중 허장(許章)의 빈객이 죄를 지어 허장 또한 문초를 받게 되었다. 제갈풍은 허장을 탄핵하려던 중 길에서 그와 마주쳤고, 제갈풍은 사례교위의 부절을 보이며 허장을 체포하려 하였다. 그러나 허장은 그대로 수레를 몰아 궁궐로 달아났고, 원제를 찾아가 도움을 청하였다. 뒤쫓아 온 제갈풍 또한 원제에게 상주하였으나, 원제는 제갈풍의 부절을 빼앗았다. 이때부터 사례교위는 부절을 갖지 않게 되었다.[1]
원제는 차츰 제갈풍을 멀리하기 시작하였다. 마침 대신들이 제갈풍이 봄·여름에 죄수들을 옥에서 꺼내어 문초한다고 탄핵하였고, 원제는 제갈풍을 성문교위(城門校尉)로 좌천시켰다.[1]
2. 3. 허장과의 갈등과 좌천
원제의 외척인 시중 허장의 빈객이 죄를 지어, 허장 또한 조사를 받게 되었다. 제갈풍은 허장을 탄핵하려 하였으나, 허장이 외출하는 것을 우연히 마주치자, 수레를 멈추고 사례교위가 가진 절을 내걸고 허장에게 "수레에서 내려라"라는 조서를 내려 체포하려 했다. 그러나 허장은 수레를 몰아 궁궐로 도망쳐 원제에게 도움을 청하였다. 제갈풍도 뒤쫓아가 원제에게 상주하였으나, 원제는 제갈풍에게서 절을 빼앗았다. 이 사건으로 사례교위는 절을 가지지 않게 되었다.[1]
이후, 원제는 제갈풍을 멀리하였다. 조정에서는 제갈풍이 봄·여름에 죄수를 옥에 가두고 조사한다고 비판하였고, 원제는 제갈풍을 성문교위로 좌천시켰다.[1]
2. 4. 파면과 죽음
원제는 차츰 제갈풍을 멀리하기 시작하였다. 마침 대신들이 제갈풍이 봄·여름에 죄수들을 옥에서 꺼내어 문초한다고 탄핵하였고, 원제는 제갈풍을 성문교위로 좌천시켰다.[1]
그 후, 제갈풍은 광록훈 주감과 광록대부 장맹의 악행을 상소했지만, 일찍이 주감과 장맹을 칭찬했던 탓에 원제의 불신을 사 면직되었고, 관직 없이 죽었다.[1]
3. 평가
이후 원제는 제갈풍의 말을 받아들이지 않았다.[1] 또한 조정에서는 제갈풍이 봄·여름에 사람을 옥에 가두고 조사한다고 비판하는 자들이 많아, 원제는 그를 성문교위로 전임시켰다.[1]
그 후, 제갈풍은 광록훈 주감, 광록대부 장맹의 악행을 상소했지만, 일찍이 주감과 장맹을 칭찬했던 탓에 원제의 불신을 사 면직되었고, 관직 없이 죽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