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국친위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국친위대는 1799년 프랑스 통령정부 시기 창설된 부대로, 나폴레옹 시대에 황제 친위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황제와 정부를 경호하는 임무를 수행했으며, 일반 부대보다 우수한 대우를 받았다. 제국친위대는 보병, 기병, 포병, 공병, 해병 등으로 구성된 독립적인 군단으로, 다양한 병종을 갖추고 있었다. 워털루 전투에서 나폴레옹의 마지막 승부수로 투입되었지만 패배했고, "친위대는 죽어도 항복하지 않는다"라는 명언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99년 설립 - 피바디 에섹스 박물관
    피바디 에섹스 박물관은 1992년 통합으로 설립되었으며, 아시아 미술, 해양 미술 등 다양한 컬렉션을 소장하고 역사적인 건축물과 정원을 소유하며, 1797년부터 1809년까지 나가사키 무역 자료를 보관한다.
  • 1799년 설립 - 제155보병연대 (미국)
    제155보병연대는 1799년 창설되어 멕시코-미국 전쟁 당시 제퍼슨 데이비스가 조직한 "미시시피 소총병"으로 알려진 미국 육군의 주 방위군 연대이며, 여러 전쟁에 참전했고, 현재 제1대대는 제155기갑여단전투단에 배속되어 있다.
  • 1815년 폐지 - 라인 동맹
    라인 동맹은 1806년 나폴레옹 1세가 독일 내 영향력 강화를 위해 결성한 국가 연합체로, 신성 로마 제국 쇠퇴 후 라인 강 동쪽 영지를 재편하고 군사적 지원을 받는 대가로 보호를 제공했으나, 나폴레옹의 몰락과 함께 붕괴되었다.
  • 1815년 폐지 - 트리어 선제후국
    트리어 선제후국은 트리어 대주교가 통치하며 신성 로마 제국의 선제후 지위를 가진 국가였으나, 프랑스 혁명 전쟁으로 해체되고 제국대표자회의 결의에 따라 세속화되었다.
  • 프랑스의 군사사 - 프롱드의 난
    프롱드의 난은 1648년부터 1653년까지 프랑스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왕권 강화에 대한 반발과 과도한 세금 부과에 대한 불만으로 시작되어 쥘 마자랭 추기경과 귀족 세력 간의 권력 다툼으로 변질되었고, 결국 실패했으나 루이 14세의 절대주의 왕정 체제 확립에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군사사 - 루르 점령
    프랑스와 벨기에가 제1차 세계 대전 후 독일의 배상금 미이행을 이유로 루르 공업 지역을 점령했으나, 독일의 저항과 국제적 비난으로 미국의 중재 후 철수하며 바이마르 공화국 불안정에 영향을 미친 사건이다.
제국친위대
개요
1806년 10월 14일 예나 전투 당시 친위대를 사열하는 나폴레옹
1806년 10월 14일 예나 전투 당시 친위대를 사열하는 나폴레옹
약칭나폴레옹 1세
활동 기간1804년 5월 18일 ~ 1815년
국가프랑스 제1제국
소속대육군
역할황제 경호, 예비대

2. 역사

제국 친위대 포병의 포수 기념비


구 친위대 제1 보병 연대 척탄병의 그림


1806년 10월 14일 예나 전투에서 친위대를 사열하는 나폴레옹


제국 친위대는 1799년 11월 28일 통령정부 시절 집정정부 친위대(''Garde des consuls'')와 입법부의 척탄병(''Grenadiers près de la Représentation nationale'')이 통합되어 창설된 집정 친위대(''Garde des consuls'')에서 기원했다.[1] 이 부대는 프랑스 공화국의 행정부와 입법부를 경호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으며, 약 1천 명의 소규모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1804년 5월 18일, 나폴레옹이 황제로 즉위하면서 제국 친위대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파리의 팡트몽 수도원에 본부를 두었다.

나폴레옹은 특히 구 친위대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구 친위대 척탄병들은 황제 앞에서 불평을 늘어놓는 것으로 유명하여 'Les'' ''Grognards', 즉 '불평가'라는 별명을 얻었다. 친위대는 일반 부대보다 더 나은 급여, 식량, 숙소, 장비를 받았으며, 모든 친위대원은 제국 친위대원이 아닌 병사보다 한 계급 더 높았다. 다른 프랑스 군인들조차 나폴레옹의 제국 친위대를 "불멸자"라고 불렀다.[1]

친위대는 워털루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나폴레옹은 승리하기 위해 마지막 순간에 친위대를 전투에 투입했다. 그러나 압도적인 전력 차이로 인해 영국군의 맹렬한 공격에 직면했고, 결국 퇴각하기 시작했다. 역사상 처음이자 유일하게 중 친위대가 명령 없이 퇴각한 이 광경을 본 나폴레옹 군대는 승리할 희망을 모두 잃었다. 중 친위대는 완전히 무너졌지만, 구 친위대(와 일부 젊은 친위대) 대대는 대형을 유지했고, 영국군과 프로이센군의 포격과 기병 돌격에 거의 전멸되기 전에 프랑스군의 잔여 병력의 퇴각을 확보했다.

"''La Garde meurt mais ne se rend pas!'' ("친위대는 죽어도 항복하지 않는다!")라는 구절은 일반적으로 피에르 캄브론 장군에게 귀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구절은 사실 워털루 전투에서 클로드-에티엔 미셸이라는 또 다른 친위대 장군이 말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항복 요청에 대한 응답은 "''La Garde meurt, elle ne se rend pas!'' ("친위대는 죽지만, 항복하지 않는다!")였을 수도 있다. 1932년 6월 ''더 타임스''에 게재된 편지에는 미셸 장군이 이 말을 했을 가능성이 기록되어 있다.[2][3]

구 친위대 연대는 친위대의 제3 사단에 배속되었으며, 친위대의 나머지 보병 연대는 제1 및 제2 사단에 배속되었다.

3. 편제

제국 친위대는 보병, 기병, 포병, 공병, 해병 등 다양한 병종으로 구성되어 자체적으로 완전한 작전 수행 능력을 갖춘 독립적인 군단이었다.

'''보병'''

제국 친위대 보병 연대
종류연대명
척탄보병제1, 2, 3, 4 척탄보병연대
엽보병제1, 2, 3, 4 엽보병연대
기타수발총척탄병연대, 수발총엽보병연대, 척후척탄병연대, 척후엽보병연대, 친위도약병연대, 징집척탄병연대, 징집엽보병연대, 친위국민위병연대, 측면척탄엽보병연대



'''기병'''

제국 친위대 기병 연대
종류연대명
척탄병기마척탄병연대
엽기병엽기병연대
용기병황후의 용기병연대
기타친위정찰대, 제1폴란드창기병연대, 제2프랑스-네덜란드창기병연대, 제3리투아니아창기병연대, 맘루크 연대, 정예헌병대, 명예친위연대



'''포병'''


  • 보병 포병 연대(Régiment d'Artillerie à Pied de la Garde Impériale) 포대
  • 기병 포병 연대(Regiment d'Artillerie à Cheval de la Garde Impériale) 포대
  • 근위대 포병 수송대[9]
  • 근위대 포병 공원(Parc d'Artillerie de la Garde Impériale)


근위대 기병 포병의 사브르


제국 근위 기병 포병의 포병


'''공병'''

  • 공병대(Genie de la Garde Impériale|제국 근위 공병대프랑스어)


'''해병'''

  • "마린" 대대


3. 1. 참모

제국 친위대 총참모부는 친위대의 효율적인 운영과 전투 지휘를 담당했다. 근위대가 창설된 직후 창설된 참모는 1806년까지 근위대의 4개 사단에 배속된 4명의 제국 원수인 사단장들을 포함했다. 또한 검열관, 군무원, 24명의 부관, 기타 전문 장교, 부사관 및 사병도 포함되었다.

3. 2. 보병

보병은 척탄보병, 엽보병, 수발총병, 도약병, 징집병, 국민위병 등 다양한 부대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구 친위대, 중 친위대, 신 친위대로 나뉘어 각 부대의 경험과 숙련도에 따라 역할과 임무가 부여되었다.

  • 구 친위대
  • 제1척탄보병연대: 제국 프랑스 군대에서 가장 경험이 많고 키가 큰 병사들로 구성되었으며, 군대 내에서 가장 선임 부대였다. 이베리아 반도 전쟁 참전 용사들을 활용하여 재건되었고, 나폴레옹은 이들을 "프랑스의 불멸자"라고 불렀다.[1]
  • 제2척탄보병연대: 1810년에 해산되었다가 1811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을 앞두고 1,500명의 베테랑 병사로 다시 창설되었다. 1813년 구 친위대에 합류했다.
  • 제1엽보병연대: Grande Armée|그랑 다르메프랑스어 내에서 가장 존경받는 연대 중 하나였다.
  • 제2엽보병연대: 1809년에 해산되었다가 1811년에 재창설되었다. 1813년 구 친위대의 일부로 승격되었다.

  • 중 친위대
  • 제3척탄보병연대: 원래 네덜란드 왕국 왕립 근위대의 일부였으나, 1810년 제국 친위대에 편입되었다. 1813년 해산되었다가 1815년 재창설되었다.
  • 제4척탄보병연대: 1815년 창설되어 리니 전투워털루 전투에 참전했다.
  • 수발총척탄병연대
  • 수발총엽보병연대
  • 척후척탄병연대
  • 척후엽보병연대
  • 제3엽보병연대
  • 제4엽보병연대
  • 퓨질리에-그르나디에: 1806년 창설.[4]

중앙 근위대 퓨질리에-그르나디에

  • 푸질리에-샤쇠르: 1806년 창설.

  • 신 친위대
  • 친위도약병연대
  • 징집척탄병연대
  • 징집엽보병연대
  • 친위국민위병연대
  • 측면척탄엽보병연대
  • 척탄 사수 (제1, 제2 척탄 사수 연대): 1809년 징집병으로 창설. 읽고 쓸 수 있어야 했다.
  • 티레르-샤쇠르: 2개 연대가 티레르-그르나디에와 동시에 창설. 1812년 러시아 원정을 위해 6개 연대로 확장.
  • 제국 친위대 볼티져 연대: 1810년 창설. 1814년까지 16개 연대로 확장.
  • 징집병-척탄병 연대: 1809년 창설.
  • 징집병-샤쇠르 연대: 1809년 창설.
  • 국민 방위대: 프랑스 북부 지역의 국민 방위대 부대에서 창설. 1813년 제7 보병 연대(Voligeurs)로 개칭.
  • 제국 친위대 플랑쾨르-그르나디에 연대, 플랑쾨르-샤쇠르 연대


'''제국 친위대 보병 연대 (시기별)'''
구 친위대중 친위대신 친위대



3. 3. 기병

기마척탄병연대, 엽기병연대, 황후의 용기병연대, 친위정찰대, 제1폴란드창기병연대, 제2프랑스-네덜란드창기병연대, 제3리투아니아창기병연대, 맘루크 연대, 정예헌병대, 명예친위연대 등으로 구성되었다.

기병척탄병은 근위대의 최고위 기병 연대였으며, 통령 근위대에서 기원했다. 중기병으로 분류되었지만 흉갑을 착용하지 않았으며, 독특한 곰가죽 머리 장식과 검은색 말을 탄 것으로 유명했다. "신들"이라는 별명으로 알려졌으며, "큰 발 뒤꿈치"라고도 불렸다.

테오도르 제리코의 작품, 1812년경의 ''Chasseurs à Cheval'' 장교 그림


샤쇠르 아 슈발 연대(''1er Régiment de Chasseurs-a-Cheval de la Garde Impériale'')는 집정 근위대에서 창설되었으며, 경 기병 연대였음에도 불구하고 서열 2위를 차지했다. 샤쇠르는 일반적으로 나폴레옹의 개인 호위를 맡았으며, 나폴레옹은 이 공로를 인정하여 종종 이 연대의 군복을 입었다. 이 연대는 화려한 군복뿐만 아니라 전투 역사로도 유명했다. 두 번째 연대(''2e Régiment de Chasseurs-a-Cheval de la Garde Impériale'')는 1815년에 ''Regiment d'Eclaireurs Lanciers''에서 잠시 창설되었다.

황후 기병대의 기병


1805년 독일 원정에서 정규 기병 연대들이 두각을 나타내자 나폴레옹은 (1806년 4월 15일 칙령을 통해) 근위 기병대를 재편하고 3개 기병대로 구성된 용기병 연대(Régiment de Dragons de la Garde Impériale)를 창설하기로 결정했다. 이 연대는 나폴레옹이 직접 선발한 60명의 장교가 지휘했다. 첫 번째 기병대는 296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으며 "엘리트"로 구성되었고, 나머지 두 기병대는 476명의 기병으로 구성된 정규 기병대였다. 이 새로운 부대를 완성하기 위해 30개 정규 용기병 연대에서 각 12명의 병사(각 10년 복무)를 차출했고, 기병대, 샤쇠르, 용기병 정규 연대에서 부사관을 차출했다. 이 연대는 수호자 조제핀 드 보아르네에게 경의를 표하여 곧 "황후 용기병 연대"(Régiment de dragons de l'Impératrice)로 알려졌으며, 마지막 연대원이 사망할 때까지 그녀의 기일을 기념했다.

이 부대의 병력은 1807년 두 개의 새로운 기병대가 추가되면서 1269명으로 증가했으며, 1813년 12월 9일에는 근위대의 제3 척후병 연대에 배속되었다. 용기병의 제복과 무기는 근위 기병척탄병과 동일했지만, 파란색 대신 녹색이었고, (털모자 대신) 네오 그리스 양식의 매달린 갈기가 달린 구리 헬멧과 붉은색 깃털이 있었다.[6]

1812년 러시아 원정에서 프랑스군은 러시아 코사크 기병의 공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프랑스 혁명 전쟁 이후 처음으로 프랑스 영토에서 전투를 벌이게 되자 나폴레옹은 제국 친위대를 재편성하기로 결정했다. 1813년 12월 4일 칙령 제1조에서 그는 코사크에 대응하기 위해 3개의 'Éclaireurs à Cheval de la Garde Impériale'(제국 친위대 기병 정찰대) 연대를 창설했다. 이들은 친위대 내에서 'Hussards Éclaireurs'라고도 불렸다.

이들은 1814년 1월 1일에 군대에 합류하여 6일 전투에 참여했고, 나폴레옹의 첫 번째 퇴위 이후 해산되었다.

'1er Régiment d'Éclaireurs à Cheval'은 'Grenadiers à Cheval'에 배속되었으며, 따라서 'Éclaireurs-grenadiers' 연대로 불렸다.

'2e Régiment d'Eclaireurs à Cheval'은 'Dragons de L'Imperatrice'(황후 용기병)에 배속되었다.

'3e Régiment de Eclaireurs à Cheval'은 '1er Régiment de Chevau-Legers-Lanciers'에 배속되었다.

1813년 페테르스발데 전투에서의 제국 친위대 폴란드 셰보레제르 랑시에


'Régiment de Chevau-Légers Polonais de la Garde'라고 불리는 이 연대는 1806년 동맹국의 패배와 프랑스에 의한 바르샤바 공국 창설 이후인 1807년에 창설되었다. 1811년, 근위대의 네덜란드 기병 연대가 창설되면서 이 연대는 '제1 제국 근위 기병-창기병 연대'(1er Régiment de Chevau-Legers-Lanciers de la Garde Impériale)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810년에 이전 네덜란드 육군 기병 부대로 창설된 이 연대는, 원래 ''2e Régiment de chevau-légers lanciers de la Garde Impériale''이었으며, 제복 때문에 '''붉은 창기병'''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제국 친위대 기병 연대(3e Régiment de Chevau-Légers-Lanciers de la Garde Impériale프랑스어)는 1812년 러시아 침공 당시 리투아니아 귀족들로 구성되어 창설되었으나, 그해 퇴각 과정에서 사실상 전멸했으며, 생존자들은 3e Régiment de Eclaireurs프랑스어에 편입되었다. 리투아니아 타타르족 기병대 한 개 소대가 Escadron de Tartares Lithuaniens프랑스어로 연대에 배속되었다.[7]

제국친위대 마멜루크


마멜루크 기병대(Escadron de Mamelukes)는 1799년 이집트 원정에서 나폴레옹과 함께 귀환했다. 그들은 친위대에 편입되었고, 일반적으로 헌병 기병대에 배속되었다. 이 기병대는 연대 규모로 증강된 적은 없었다. 수년에 걸쳐 그들의 사상자는 프랑스 기병 연대나 대략적인 중동 관련 국적에서 충원되었다.

기술적으로 친위대의 기병으로 분류되었지만, ''제국 친위대 정예 헌병 연대''의 병력은 항상 친위대 참모, 나폴레옹의 개인 사령부 및 친위대 야전 캠프와 함께 파견되어 복무했다. 이 연대에는 기마병과 하마병이 포함되었으며, 기마대는 2개 소대로 구성되었다.

코사크 기병대가 1813년경 친위대 명예 근위대 분대를 공격하는 모습


명예 근위대(Régiment de Garde d'Honneur)는 1813년 독일 전역에서 러시아에서 궤멸된 근위 기병대를 강화하기 위해 나폴레옹이 창설한 4개 연대의 경기병대였다. 이 연대들은 헝가리 기병대의 복장으로 입었다. 이들은 다른 근위 기병대와 함께 복무했지만, 기술적으로는 구 근위대, 중 근위대 또는 신 근위대의 일부는 아니었다.

3. 4. 포병

친위대 포병은 보병 포병 연대(Régiment d'Artillerie à Pied de la Garde Impériale) 포대, 기병 포병 연대(Regiment d'Artillerie à Cheval de la Garde Impériale) 포대, 근위대 포병 수송대(Train d'Artillerie de la Garde Consulaire)[9]와 근위대 포병 공원(Parc d'Artillerie de la Garde Impériale)을 포함했으며, 후자는 1807년에 창설되었다. 포병 병기 부족에도 불구하고, 1813년 나폴레옹은 젊은 근위대(Jeune Garde)의 Régiment d'Artillerie à Pied de la Garde Impériale을 창설했다. Parc du materiel de la Garde Impériale는 1812년 원정의 손실 이후 Bataillon du Train des équipages militaires의 부족한 자원을 보충하기 위해 1813년에 창설되었다.

3. 5. 공병

공병은 전투 지원 및 공병 기술을 제공했다. 비록 부대로서 전투에 배치되지는 않았지만, 1804년 통령 근위대의 공병으로 창설된 공병대(Genie de la Garde Impériale|제국 근위 공병대프랑스어)는 보통 예비대로 유지되던 근위대 전투 부대보다 더 많이 전투에 참여했다. 1810년까지 근위대 수석 공병 장교는 구 근위대원 140명으로 구성된 ''사페르 드 라 가르드''(Sapeurs de la Garde|근위대 공병대프랑스어) 1개 중대를 거느리고 있었다. 1813년에는 이 규모가 2개 중대로 늘어났고, 이후 4개 중대 총 400명의 공병으로 구성된 1개 대대 규모로 증강되었다. 제1 및 제2 중대는 구 근위대로 분류되었고, 제3 및 제4 중대는 젊은 근위대로 분류되었다.

3. 6. 해병

프랑스 해군에서 뛰어난 기량을 보인 해군들을 선발하여 창설된 "마린" 대대는 경기병의 복장과 유사한 독특하고 정교한 제복을 착용했다. 이들의 장교들은 해상 동료들로부터 유래된 계급 명칭을 사용했으며, 해병대의 전체 지휘관은 "카피텐 드 바소"(Capitaine de Vaisseau)의 계급을 가졌다. 이들의 임무는 황제가 사용하는 보트 및 기타 선박에 인원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했다.

4. 의의 및 영향

제국 친위대는 통령정부 시절 집정정부 친위대와 입법부 척탄병의 통합으로 창설된 '''집정 친위대'''에서 유래했다.[1] 이 부대는 프랑스 공화국 행정부와 입법부 경호를 주 목적으로 했으며, 1804년 5월 18일 제국 친위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나폴레옹은 제국 친위대, 특히 구 친위대에 많은 신경을 썼다. 구 친위대 척탄병들은 황제 앞에서 불평하는 것으로 유명했고, '불평가'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였다.[1] 친위대는 더 나은 급여, 식량, 숙소, 장비를 받았으며, 모든 친위대원은 제국 친위대원이 아닌 병사보다 한 계급 높았다. 다른 프랑스 군인들은 나폴레옹의 제국 친위대를 "불멸자"라고 불렀다.[1]

제국 친위대는 워털루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나폴레옹은 승리를 위해 마지막 순간에 이들을 투입했지만, 압도적인 수적 열세 속에서 영국군의 공격에 퇴각해야 했다. 중 친위대는 무너졌지만, 구 친위대(와 일부 젊은 친위대) 대대는 대형을 유지하며 프랑스군 잔여 병력의 퇴각을 확보했다.[1]

"''La Garde meurt mais ne se rend pas!''"("친위대는 죽어도 항복하지 않는다!")라는 구절은 피에르 캄브론 장군에게 귀속되곤 하지만, 클로드-에티엔 미셸 장군이 한 말이라는 설도 있다.[2][3]

참조

[1] 서적 La Grande Armée Arms and Armor
[2] 웹사이트 The Guard dies, it does not surrender. Cambronne surrenders, he does not die http://www.napoleon-[...]
[3] 간행물 Waterloo http://gaslight.mtro[...] Cassell and Company
[4] 서적 Napoleon's Guard Infantry Osprey Publishing Ltd.
[5] 서적 Napoleon's Guard Infantry (2) Osprey Publishing Ltd.
[6] 서적 Dragoons of the Guard: 1806-1830 https://books.google[...] Paul Lindsay Dawson 2014-11-19
[7] 웹사이트 Lithuanians in the Imperial Guard https://web.archive.[...] 2014-11-19
[8] 웹사이트 Malmukes in the Imperial Guard http://www.napoleon-[...] 2014-11-19
[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