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삼다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 삼다수는 1998년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에서 출시한 생수 브랜드이다. 제주 삼다수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의 화산 암반수를 수원지로 하며, 미네랄 함량이 낮은 연수이다. 1998년 출시 이후 대한민국 생수 시장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2012년부터 광동제약이 판매를 담당하고 있다. 자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8년 도입된 제품 - 815콜라
815콜라는 1998년 범양식품에서 출시된 대한민국산 콜라로, 애국심 마케팅으로 1999년 높은 점유율을 기록했으나, 2003년 범양식품 부도와 함께 단종되었다가 2014년 생산이 재개되었다. - 대한민국의 음료 상표명 - 칠성사이다
롯데칠성음료에서 생산하는 칠성사이다는 1950년 동방청량음료에서 출시되어 롯데 그룹에 인수된 사이다 제품으로, 다양한 용량으로 판매된다. - 대한민국의 음료 상표명 - 맥콜
맥콜은 일화에서 1982년 출시한 보리 탄산 음료로, 1980년대 큰 인기를 얻었으나 통일교 관련 논란과 경쟁 제품 등장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2000년대 이후에도 꾸준히 판매되며 현재 한국에서 유일하게 판매되는 보리 탄산 음료이다. - 생수 - 이로하스
이로하스는 코카콜라사에서 2009년 출시된 일본 생수 브랜드로, 다양한 용량과 맛을 추가하며 제품 라인업을 확장하고 친환경적인 노력을 기울여왔으나, 과거 품질 문제와 현재 한국 판매명 'Vio 순수'를 가지고 있다. - 생수 - 에비앙
에비앙은 1826년 프랑스에서 병입수 판매를 시작하여 다논 그룹에 인수되었으며, 알프스 산맥에서 생산되어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고, 마케팅 활동과 한정판 보틀 디자인으로 유명하다.
제주 삼다수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대한민국 |
수원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도 |
제조사 |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
판매사 | 농심 (1998년 - 2012년) 광동제약 (2012년 - 현재)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
출시일 | 1998년 |
공식 웹사이트 |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
2. 역사
1980년대 대한민국에서는 생수 판매가 금지되었으나, 대한항공은 기내용으로 제주산 생수를 생산하고 있었다.[3] 1990년대 생수 판매가 허용되면서, 제주특별자치도는 대한항공의 성공에 힘입어 생수 시장에 진출하였다. 1998년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가 설립되어 제주 삼다수를 출시하였다.[3]
제주 삼다수는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에서 생산하는 생수 브랜드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에 수원지를 두고 있으며, 미네랄 함량이 낮아 연수로 분류된다.[5] 지하 420m 깊이의 화산 암반에서 취수한 물을 여과, 자외선 살균 등의 과정을 거쳐 생산한다.[13]
현재까지 한진제주퓨어워터를 제외한 모든 제주 브랜드 생수는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에서 제조되고 있다.
3. 특징
3. 1. 수원지
제주 삼다수의 수원지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남조로 1717-35이다.
3. 2. 미네랄 함량
제주 삼다수는 미네랄 함량이 일반적으로 낮아 연수로 분류된다.[5]
3. 3. 제조 과정
제주 삼다수는 지하 420m 깊이의 화산 암반에서 취수한 물을 사용하며, "여과 - 자외선 살균 - 주입 - 제품 검사 - 포장 - 출하" 과정을 거쳐 생산된다.[13]4. 시장 점유율
1998년 출시 이후 6개월 만에 대한민국 먹는샘물 페트병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였다.[19] 2009년 조사에서는 먹는 샘물 PET 부분에서 50.7%의 점유율을 기록하였으며,[20] 2018년까지 20년간 연속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였다.[21] 현재까지 삼다수는 출시 이후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최근 농심을 비롯한 새로운 생수 브랜드들이 등장하면서 삼다수의 시장 점유율이 감소하고 있다.[12]
5. 판매권 분쟁
제주 삼다수 출시 이후, 농심과 제주특별자치도 개발공사는 삼다수 판매에 대한 위탁 판매 계약을 체결했으며, 제주특별자치도 개발공사는 생산을, 농심은 판매를 담당했다.[14] 그러나 제주특별자치도는 2011년 12월 조례를 개정하고 농심에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농심은 제주특별자치도 개발공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고, 2016년 6월 대법원 판결로 사실상 제주특별자치도가 패소했다. 그러나 농심의 판매 권한은 이미 중단되었고, 2012년부터 새로운 판매업체인 광동제약이 권한을 행사해왔다.[14]
6. 서비스
제주 三多水|삼다수중국어는 2021년 5월 12일부터 자사 애플리케이션 "제주 삼다수 클럽"을 통해 배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에게 할인을 제공하고 있다.[15] "제주 삼다수 클럽"은 연회비 이상의 혜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품을 선물로 제공한다.[15]
참조
[1]
웹사이트
자주하는질문 - 삼다수 목록 -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http://www.jpdc.co.k[...]
2017-05-30
[2]
뉴스
"[Weekender] Korea's top bottled-water brand Samdasoo taps overseas markets"
http://www.koreahera[...]
2015-04-10
[3]
웹사이트
봉이 김선달의 전성시대 : 경제21 : 경제 : 한겨레21
http://legacy.www.ha[...]
2017-05-30
[4]
문서
prices in large discount stores
[5]
웹사이트
'[제주의소리]"건강에 좋고 맛있고 안전한 물, 제주삼다수!"'
http://www.kogga.or.[...]
2017-05-30
[6]
문서
All values in milligrams per liter (mg/L)
[7]
뉴스
불황기… 1등 브랜드만 살아남는다
http://news.naver.co[...]
[8]
뉴스
"[브랜드스타] 제주삼다수, 13년 연속 시장점유율 1위 '국민생수'"
http://www.hankyung.[...]
2017-05-30
[9]
뉴스
삼다수는 왜 16년 부동의 1위일까 - 비즈니스포스트
http://www.businessp[...]
2017-05-30
[10]
웹사이트
(먹는 샘물 전쟁)①불 붙은 순위 경쟁…펄펄 끓는 생수 시장
http://www.newstomat[...]
2017-05-30
[11]
뉴스
"[트렌드] 제주삼다수 20년째 1위 비결은…지하 420m 청정수만 담은 고집"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18-03-08
[12]
뉴스
"[기획] 생수시장 춘추전국시대, 3강 구도 깨질까"
http://daily.hankook[...]
2017-05-30
[13]
웹사이트
제주삼다수 제조공정영상 -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http://www.jpdc.co.k[...]
2017-05-30
[14]
웹사이트
Supreme Court decision of Nongshim-Jeju case
http://www.korealaw.[...]
[15]
웹사이트
"'연회비 보다 더 큰 혜택' 제주삼다수, 멤버십 제도 도입"
https://www.news1.kr[...]
2021-05-13
[16]
뉴스
광동제약, 생수 1위 제주삼다수 2025년까지 유통
https://biz.chosun.c[...]
조선비즈
2021-10-29
[17]
웹사이트
제주삼다수 소개
http://www.jpdc.co.k[...]
2011-07-08
[18]
웹인용
제주삼다수, 330㎖·1ℓ 제품 출시…카카오캐릭터 입혀
https://news.joins.c[...]
2019-04-23
[19]
뉴스
불황기 1등브랜드만 살아남는다
https://news.naver.c[...]
서울경제신문
2009-05-07
[20]
웹사이트
삼다수의 시장점유율
http://www.jpdc.co.k[...]
2011-07-07
[21]
문서
"[트렌드] 제주삼다수 20년째 1위 비결은…지하 420m 청정수만 담은 고집"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18-03-08
[22]
웹사이트
제조사 웹진 페이지 중간부분
https://webzine.jpdc[...]
2022-06-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