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철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철동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의 행정동이다. 과거 연일군 동면의 지역으로 '송정'으로 불리다가 1968년 포항제철 건설로 인해 폐동되었고, 1973년 포항시에 편입되어 행정동이 되었다. 현재 송내동, 송정동, 괴동동 등 여러 동을 관할하며, 이마트 포항점, 인덕초등학교, 한국폴리텍6대학 포항캠퍼스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해 있다. 또한 포항 구 삼화제철소 고로가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항 남구의 행정동 - 해도동
해도동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에 있는 법정동이자 행정동으로, 교육기관, 공공기관, 포항고속버스터미널, 시장 등의 주요 시설과 포스코대로, 희망대로 등의 주요 도로가 위치한다. - 포항 남구의 행정동 - 청림동 (포항시)
청림동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일월동과 함께 구성되어 있으며 부추와 시금치 특산물과 청림초등학교, 청림문화복지회관 등의 기관이 위치하고 동해안로, 신항로 등의 도로망과 부추길이 있는 지역이다. - 포항시의 행정 구역 - 영일군
영일군은 경상북도에 있던 군으로,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았고 삼한시대에는 진한의 근기국, 신라시대에는 근오지현, 고려시대에는 영일현 또는 연일현으로 불리다 1914년에 연일군, 흥해군, 청하군, 장기군이 통합되어 설치되었으나 1995년에 포항시와 통합되어 현재의 포항시 북구와 남구가 되었다. - 포항시의 행정 구역 - 용흥동
용흥동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고려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으며, 현재는 상업 시설, 교육 기관, 공공 기관, 의료 기관 등 다양한 시설과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1973년 설치 - 성남시
성남시는 1973년 시로 승격되어 분당, 판교신도시 건설로 인구가 급증한 경기도의 기초자치단체로, 광주산맥에 둘러싸인 분지 지형에 위치하며 구시가지와 신도시 생활권으로 나뉘고 IT산업 중심의 판교테크노밸리를 통해 높은 재정자립도를 보인다. - 1973년 설치 - 분당동
분당동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분점리의 '분' 자와 당우리의 '당' 자를 따서 만들어진 지명에서 유래한 지역이다.
제철동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제철동 |
한자 표기 | 製鐵洞 |
영문 표기 | Jecheol-dong |
광역시/도 | 경상북도 |
시/군/구 | 포항시 남구 |
면적 | 19.56 |
법정동 | 7 |
통 | 11 |
반 | 54 |
동주민센터 | 남구 인덕로 79 (인덕동) |
홈페이지 | 제철동 행정복지센터 |
인구 통계 | |
세대 | 1,535 |
세대 조사 기준 | 2012년 6월 1일 |
인구 | 3039 |
인구 조사 기준 | 2022년 3월 |
2. 역사
제철동은 본래 연일현 동면의 지역으로 소나무 정자가 많아 '소정이', '송정'으로 불렸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송정동'이라 해서 대송면에 편입되었다. 1968년 포항제철 건설로 폐동되었으며, 1973년 포항시에 편입되어 행정동인 제철동이 되었다.[2] 형산강은 본래 송정 쪽으로 굽이쳐 흘렀으나 포항제철소 공사로 물줄기가 송도 쪽으로 400m 밖으로 변경되었고, 해안선은 완만하게 200m 폭으로 넓게 펼쳐졌다.[2]
2. 1. 지명 유래
본래 제철동은 연일현 동면의 지역으로 소나무 정자가 많다고 하여 ‘소정이’, ‘송정’이라고 불렸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송정동’이라 해서 대송면에 편입되었다. 1968년 포항제철이 건설되면서 폐동되었으며, 주민들은 문덕 및 인덕 등으로 이주하였다. 1973년에 포항시로 편입, 행정동인 제철동이 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현재의 형산강은 본래 송정 쪽으로 굽이쳐 흘렀으나 포항제철소 공사로 인해 물줄기를 송도 쪽으로 400m 밖으로 변경했으며, 해안선은 완만하게 200m 폭으로 넓게 펼쳐져 있다.[2]2. 2. 포항제철 건설과 제철동
1968년 포항제철 건설로 제철동은 폐동되었으며, 주민들은 문덕 및 인덕 등으로 이주하였다.[2] 1973년 포항시에 편입되어 행정동인 제철동이 되었다.[2] 현재의 형산강은 본래 송정 쪽으로 굽이쳐 흘렀으나, 포항제철소 공사로 인해 물줄기를 송도 쪽으로 400m 밖으로 변경했으며, 해안선은 완만하게 200m 폭으로 넓게 펼쳐져 있다.[2]2. 3. 형산강 유로 변경과 환경 문제
1968년 포항제철 건설로 제철동은 폐동되었으며, 주민들은 문덕 및 인덕 등으로 이주하였다. 1973년 포항시에 편입되어 행정동인 제철동이 되었다.[2] 현재의 형산강은 본래 송정 쪽으로 굽이쳐 흘렀으나, 포항제철소 공사로 인해 물줄기가 송도 쪽으로 400m 밖으로 변경되었고, 해안선은 완만하게 200m 폭으로 넓게 펼쳐져 있다.[2]3. 행정 구역
4. 주요 시설
시설명 | 소재지 | 비고 |
---|---|---|
이마트 포항점 | 남구 냉천로 10 (인덕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