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타바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타바이트는 컴퓨터 용어 중 하나로, 컴퓨터 저장 용량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킬로바이트, 메가바이트 등과 같은 다른 단위들과 함께 사용되며, 십진 접두어와 이진 접두어의 혼동을 주의해야 한다. 십진 접두어는 10의 거듭제곱을, 이진 접두어는 2의 거듭제곱을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보의 단위 - 테라비트
테라비트는 1조 비트를 나타내는 정보량 단위로, 테라바이트와 혼동될 수 있으며, 컴퓨터 분야에서는 테비비트가 사용되기도 하고, 고속 네트워크 속도나 고용량 메모리 용량을 나타낼 때 주로 사용된다. - 정보의 단위 - 기가비트
기가비트는 정보량의 단위로 Gb로 축약되며, 이진 접두어를 사용하는 기비비트는 230 비트와 같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NIC에서 초당 전송 데이터량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 기술 및 응용과학에 관한 - 공병
공병은 군사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건설 및 파괴 임무를 수행하며, 도로 및 교량 건설, 장애물 설치 및 제거, 지뢰 매설 및 제거, 도하 지원 등을 주요 임무로 하며, 전투 공병과 시설 공병으로 구분된다. - 기술 및 응용과학에 관한 - 비트코인
비트코인은 사토시 나카모토가 개발한 최초의 탈중앙화 암호화폐로, 중앙 기관 없이 P2P 네트워크에서 블록체인에 기록되며 채굴을 통해 발행량이 2100만 개로 제한된 자산이다.
제타바이트 | |
---|---|
기본 정보 | |
단위 | 데이터 |
로마자 표기 | Zettabyte |
기호 | ZB |
값 | 10^21 바이트 |
SI 접두어 | 제타 |
값 (바이트) | |
바이트 | 1000000000000000000000 |
값 (다른 단위) | |
킬로바이트 | 10^18 |
메가바이트 | 10^15 |
기가바이트 | 10^12 |
테라바이트 | 10^9 |
페타바이트 | 10^6 |
엑사바이트 | 10^3 |
설명 | |
설명 | 컴퓨터 데이터 저장 용량 단위 1 제타바이트는 10^21 바이트와 같다. 1000 엑사바이트와 같다. 이오타바이트의 1/1000이다. 데이터 저장 장치에서 사용된다. 하드디스크와 SSD와 같은 저장 장치에서도 사용된다. |
사용 예 | |
사용 예시 |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에서 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인터넷 데이터 트래픽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2016년에는 전 세계 인터넷 트래픽이 1 제타바이트를 초과했다. HDS와 같은 차세대 스토리지 기술은 제타바이트 이상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5년에는 전 세계 데이터가 175 제타바이트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2022년에는 메타가 1 엑사바이트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200개의 디스크 어레이를 사용한다고 발표했다. 엑사바이트 규모의 스토리지를 구축하는 것은 엄청난 비용이 발생한다. |
2. 컴퓨터 관련 토막글
이 문서는 컴퓨터 관련 토막글이다.
2. 1. 토막글 분류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이전 결과물도 없으며, 따라서 수정할 내용도 없습니다. 원문 소스가 있어야만 토막글 분류 섹션을 작성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3. 컴퓨터 용어
컴퓨터에서 제타바이트와 같은 용어는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된다. 제타바이트는 매우 큰 용량을 나타내는 단위이며, 십진 접두어와 이진 접두어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킬로바이트(KB), 메가바이트(MB), 기가바이트(GB) 등의 십진 접두어가 널리 쓰이지만, 이는 10의 거듭제곱을 의미하므로 2의 거듭제곱을 사용하는 컴퓨터의 특성상 혼동을 야기할 수 있다.[1]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는 키비바이트(KiB), 메비바이트(MiB) 등의 이진 접두어를 도입하였다.[1]
3. 1. 바이트 (Byte)
바이트(Byte)는 컴퓨터 정보의 기본 단위로, 8개의 비트가 모여 하나의 바이트를 구성한다.[1] 1바이트는 28, 즉 256가지의 서로 다른 값을 나타낼 수 있다.바이트는 ASCII 코드의 문자 하나를 나타내거나, 0부터 255까지의 정수, 또는 -128부터 127까지의 부호 있는 정수를 나타내는 등 다양한 정보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1]
3. 1. 1. 십진 접두어와 이진 접두어
컴퓨터에서 저장 용량을 나타낼 때 킬로바이트(KB), 메가바이트(MB)와 같이 십진 접두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러한 십진 접두어는 엄밀하게는 10의 거듭제곱을 나타내기 때문에, 2의 거듭제곱을 기반으로 하는 컴퓨터 저장 용량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어렵다.[1]이러한 혼동을 피하기 위해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서는 키비바이트(KiB), 메비바이트(MiB)와 같이 2의 거듭제곱을 나타내는 이진 접두어를 도입했다. 예를 들어, 1 키비바이트(KiB)는 1024바이트이며, 1 메비바이트(MiB)는 1,048,576바이트이다.[1]
따라서 컴퓨터 저장 용량을 정확하게 나타내려면 십진 접두어 대신 이진 접두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기타
바이트#바이트의 십진 접두어와 이진 접두어의 의미
참조
[1]
뉴스
全世界のデジタル情報量、2020年には40ゼッタバイトに
https://www.itmedia.[...]
ITmedia
[2]
웹사이트
HDDでもSSDでもない「HDS」とは? “幻の次世代ストレージ”の逆襲が始まる
https://news.yahoo.c[...]
TechTarget
2023-01-2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