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젬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젬베는 서아프리카에서 유래된 깊은 몸통에 가죽을 씌운 북으로, 기니, 세네갈, 말리 등에서 전통적으로 연주된다. 만딩고족 대장장이 계급인 누무와 관련이 있으며, 말리 제국 시기부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젬베는 나무 몸통과 염소 가죽으로 만들어지며, 베이스, 톤, 슬랩의 세 가지 기본 소리를 낸다. 1950년대 이후, 젬베는 마마디 케이타 등 연주자들의 노력과 국립 발레단의 활동을 통해 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니의 악기 - 발라폰
    발라폰은 서아프리카에서 기원한 실로폰의 일종으로, 말리 제국 시대까지 기원을 찾아볼 수 있으며, 아메리카 대륙으로 전파되기도 하고 현대적으로 재해석되기도 하는 악기이다.
  • 부르키나파소의 악기 - 발라폰
    발라폰은 서아프리카에서 기원한 실로폰의 일종으로, 말리 제국 시대까지 기원을 찾아볼 수 있으며, 아메리카 대륙으로 전파되기도 하고 현대적으로 재해석되기도 하는 악기이다.
젬베
악기 정보
말리산 렌케 목재 젬베
말리산 렌케 목재 젬베
분류막명악기
호른보스텔-작스 분류211.261.1
호른보스텔-작스 분류 설명직접 타격하는 막명악기, 고블렛 드럼, 한쪽 끝이 열린 막
음역65–1000 Hz
관련 악기두눈, 부가라부, 아시코, 고블렛 드럼
연주자볼로카다 콘데
숭갈로 쿨리발리
마마디 케이타
파무두 코나테
드릿사 코네
두기투기 코네
드라망 코네
사이바 코네
개발 시기기원후 1200년경
명칭
다른 이름젬베이
젠베
진베
영어 이름djembe, jembe, jenbe, yembe, sanbanyi
독일어 이름Djembé
프랑스어 이름Djembé
이탈리아어 이름Djembe
중국어 이름아프리카고, 진베이고, 젠베이고

2. 분포

젬베는 서아프리카 일대(기니, 세네갈, 말리, 코트디부아르, 부르키나파소)에서 전통적으로 연주되는 깊은 몸통의 한쪽 면이 가죽으로 된 북이다. 이들 제국은 과거 서아프리카에 번성했던 말리 제국의 영토였으며, 만딩카라고 불리는 문화권에서 주로 일상생활과 제례에서 연주되어 왔다. 고문서 등이 없어 기원이 되는 시대는 불분명하지만, 적어도 1230년경의 말리 제국 성립 무렵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여겨진다.

3. 기원

젬베의 기원은 만딩카의 대장장이 계급인 누무와 관련이 있다는 데 일반적으로 동의한다.[4] 젬베의 확산은 서기 1천년 경 누무족의 이동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젬베는 그리오 악기가 아니기에, 젬베를 연주하는 사람은 누구나 젬베폴라(젬베연주자)이며, 특별한 기술 수준을 의미하지 않는다.[27]

1350년경 말리 제국 지도
말리 제국 c. 1350 AD


젬베의 전통적인 분포는 기니, 말리, 부르키나파소, 코트디부아르, 감비아, 세네갈의 일부 지역을 포함했던 말리 제국과 관련이 있다.[5] 그러나 서아프리카 국가에는 문헌 기록이 부족하기 때문에 젬베가 말리 제국보다 먼저 생겼는지 나중에 생겼는지는 불분명하다. 젬베의 역사는 적어도 수 세기 전, 어쩌면 천 년 이상 거슬러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

젬베의 술통 모양은 원래 절구에서 만들어졌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61]

4. 구조

젬베의 몸통은 단단한 나무를 파내어 제작되며, 드럼 헤드에는 주로 염소 가죽이 사용된다.[64]

서아프리카에서는 몸통에 현지에서 Djalla라고 불리는 멀구슬나무과의 나무(학명: ), Dugura라고 불리는 콩과의 나무(), Gueni라고 불리는 콩과의 아프리카 로즈우드(), Gele라고 불리는 콩과 자귀나무아과의 나무(), 이로코라고 불리는 뽕나무과밀리키아속의 고목 밀리키아 엑셀사()[65] 등이 일반적이지만, Lenke라고 불리는 콩과의 ()의 비교적 부드러운 나무로 만들면, 음향적으로는 떨어지지만, 영적인 힘이 깃든다고 만딩고족은 믿고 있다.

잘 조각된 젬베(잘라 나무) 내부의 소용돌이 패턴. 허리의 구멍을 통해 가죽의 등뼈가 뚜렷하게 보입니다.


나무를 베자마자 껍질을 깎는데, 나무가 아직 수분을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어서 더 부드럽기 때문이며,이는 나무를 깎기가 더 쉽고, 자연 건조된 통나무에서 생기기 쉬운 방사형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다. 조각가들은 도끼, 끌, 스포크 셰이브, 줄과 같은 간단한 수공구를 사용하여 껍질의 모양을 만든다. 잘 조각된 젬베는 매끄러운 내부가 아니라 조개껍데기나 얕은 홈의 질감이 있어 악기의 소리에 영향을 미치며, 종종 내부 홈은 소용돌이 패턴을 형성하는데, 이는 조각가가 자신의 작업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젬베는 생가죽으로 덮여 있으며, 가장 흔하게는 염소 가죽이 사용된다. 그 외에도 영양, 소, 캥거루, 말 등의 가죽도 사용할 수 있다. 소 가죽과 같이 두꺼운 가죽은 슬랩 시 더 따뜻한 소리와 더 많은 배음을 내는 반면, 얇은 가죽은 슬랩 시 더 날카로운 소리와 적은 배음을 내며 더 크다.

가죽은 드럼 헤드의 중앙을 관통하는 척추를 따라 장착되며, 척추선이 연주자를 향하도록 하여 손이 척추의 양쪽을 치도록 한다. 동물 가죽은 척추 부분이 옆면보다 두껍다. 척추를 중앙에 맞춰 가죽을 장착하면 왼손과 오른손이 동일한 크기와 두께의 대칭적인 부위를 연주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는 왼손과 오른손으로 연주되는 음의 피치 차이를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일반적으로 성인용은 드럼 헤드의 직경이 30 - 35 cm 정도, 몸통의 깊이는 55 - 65cm이다.

최근에는 아프리카 외에도 인도네시아 등에서도 생산되며, Latin Percussion(LP), REMO, MEINL, TOCA 등 서구의 퍼커션 제조사에서도 만들어지게 되었다. 이 경우 콩가나 스네어 드럼 등과 같이 금속 림과 래그 또는 텐션을 렌치로 돌려 쉽게 튜닝을 바꿀 수 있는 것도 있다. 나무뿐만 아니라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것, 나무로 만들어도 콩가처럼 가는 목재를 접착제로 집성한 것, 드럼 헤드에 가죽이 아닌 플라스틱 헤드를 사용하는 것까지 다양화되고 있다. 나일론 끈을 사용하여 장력을 주는 것도 있다.

### 현대식 마운팅 시스템

현대식 마운팅 시스템은 1970년대 초 순회 발레단이 군용 합성 로프를 사용하면서 등장했다.[53] 처음에는 이 합성 로프가 꼬인 소가죽 끈을 대체했다. 그러나 로프를 조여 가죽을 고정하기 위해 강철 링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1991년에는 전통적인 방식을 완전히 대체했다.[27]

피부는 '크라운 링'이라고 불리는 상단 링과 그 아래의 '플레시 링' 사이에 갇혀 고정된다. 세 번째 링('바텀 링')은 줄기 주위에 배치된다. 링은 일반적으로 6–8 mm 철근으로 만들어진다. 크라운 링과 바텀 링에 일련의 카우 히치가 고리 형태를 형성한다. 이 고리들을 통해 로프 한 가닥이 크라운 링과 바텀 링을 연결하며, 이 로프를 조이면 장력이 가해진다. 수직 로프에 장력이 가해지면 크라운 링의 카우 히치가 플레시 링에 대해 피부를 눌러 피부가 플레시 링에 단단하게 부착되고, 드럼의 베어링 에지를 따라 피부가 늘어난다.

2000년대 초에는 3개의 링을 사용하는 변형 기술이 도입되었다.

합성 피부와 러그 튜닝 시스템을 갖춘 유리 섬유 젬베


공장에서 제작된 젬베는 유리 섬유와 같은 합성 재료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수직 로프 대신 렌치로 조여지는 기계식 러그에 의해 상단 링이 플레시 링에 대해 당겨지는 유사한 시스템을 사용한다.

4. 1. 현대식 마운팅 시스템

현대식 마운팅 시스템은 1970년대 초 순회 발레단이 군용 합성 로프를 사용하면서 등장했다.[53] 처음에는 이 합성 로프가 꼬인 소가죽 끈을 대체했다. 그러나 로프를 조여 가죽을 고정하기 위해 강철 링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1991년에는 전통적인 방식을 완전히 대체했다.[27]

피부는 '크라운 링'이라고 불리는 상단 링과 그 아래의 '플레시 링' 사이에 갇혀 고정된다. 세 번째 링('바텀 링')은 줄기 주위에 배치된다. 링은 일반적으로 6–8 mm 철근으로 만들어진다. 크라운 링과 바텀 링에 일련의 카우 히치가 고리 형태를 형성한다. 이 고리들을 통해 로프 한 가닥이 크라운 링과 바텀 링을 연결하며, 이 로프를 조이면 장력이 가해진다. 수직 로프에 장력이 가해지면 크라운 링의 카우 히치가 플레시 링에 대해 피부를 눌러 피부가 플레시 링에 단단하게 부착되고, 드럼의 베어링 에지를 따라 피부가 늘어난다.

2000년대 초에는 3개의 링을 사용하는 변형 기술이 도입되었다. 이는 장력을 가할 때 피부가 링 사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 지점의 수를 늘리는 것이다. 이 방식의 장점에 대해서는 젬베 커뮤니티 내에 확실한 합의가 없다.[55][56]

녹 조각으로 인한 로프 손상을 방지하고 미적인 이유로 링은 종종 색깔 있는 천 조각으로 감싼다.

공장에서 제작된 젬베는 유리 섬유와 같은 합성 재료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수직 로프 대신 렌치로 조여지는 기계식 러그에 의해 상단 링이 플레시 링에 대해 당겨지는 유사한 시스템을 사용한다.

5. 튜닝

젬베는 수직 밧줄을 짧게 꼬아 조율하는 "말리 위브" 방식을 사용한다.[37] 꼬임 행렬이 하나 이상 완성되면 수직 밧줄은 다이아몬드 모양을 이루며 장식적일 수 있다. 잘 적용된 말리 위브는 수직 밧줄을 가로질러 밧줄이 나선형 패턴으로 점차 올라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말리 위브 세 행렬 완성


이러한 방식으로 가해지는 장력의 양은 상당하다. 솔로 피치로 조율된 젬베는 약 400Hz의 음조 주파수를 갖는다.[37] 연주 표면이 31cm(12.2인치)인 드럼의 경우, 이는 약 455kg의 전체 인장력 또는 장력 15,000뉴턴/미터(N/m)에 해당한다.[57][58] 현대 젬베는 스네어 드럼에서 볼 수 있는 튜닝 러그가 있어 드럼 키로 드럼을 조율할 수 있다. 또한 현대 젬베의 드럼 헤드는 합성 재료에서 염소 가죽과 같은 유기 재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재료로 만들 수 있다.

6. 소리와 연주 기법

젬베는 크기에 비해 매우 큰 소리를 낼 수 있는 악기이다. 숙련된 연주자가 솔로 피치로 조율된 젬베를 연주하면 105dB 이상의 음압을 낼 수 있는데, 이는 브레이커와 비슷한 음량이다.[37]

젬베 연주자는 기본적으로 "베이스", "톤", "슬랩"의 세 가지 소리를 사용한다.[36] 베이스는 낮은 음, 톤은 중간 음, 슬랩은 높은 음을 낸다. 이 소리들은 타격 기술과 위치를 조절하여 낼 수 있다. 숙련된 연주자는 25가지나 되는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지만,[36] 이러한 추가 소리는 주로 솔로 연주 중 특수 효과를 위해 사용된다. 이처럼 다양한 소리를 조합하여 매우 복잡한 리듬 패턴을 만들 수 있는데, 리듬과 음높이가 다른 소리의 조합은 미숙한 청취자가 두 개 이상의 드럼을 연주한다고 착각하게 만들기도 한다.


  • 베이스 소리: 가죽 중앙 근처를 손바닥과 편평한 손가락으로 쳐서 낸다.
  • 톤과 슬랩: 가장자리에 더 가깝게 드럼을 쳐서 낸다. 손가락의 접촉 면적이 소리가 톤인지 슬랩인지 결정한다. 톤의 경우 손가락 면적의 대부분과 손바닥의 가장자리가 가죽에 닿는 반면, 슬랩의 경우 접촉 면적이 손바닥의 가장자리와 손가락 끝으로 제한된다.
  • 기본 소리: "오픈"으로 연주된다. 즉, 손이 타격 후 즉시 튕겨져 가죽과의 접촉 시간이 가능한 짧다.


음향학적으로 젬베는 헬름홀츠 공명기이다. 베이스의 주파수는 쉘의 크기와 모양에 의해 결정되며 가죽의 장력 양과는 무관하다. 반대로 톤과 슬랩의 음높이는 가죽의 장력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진다. 베이스는 65–80Hz의 주파수를 갖는다. 드럼의 크기와 가죽의 장력 양에 따라 톤 주파수는 300Hz에서 420Hz까지, 슬랩 주파수는 700Hz에서 1000Hz까지 다양하며, 가청 배음은 4kHz를 넘는다.[37][38][39][40]

소리의 음높이 차이는 타격 기술이 달라짐에 따라 드럼 헤드의 특정 진동 모드를 선택적으로 강조하기 때문에 발생한다.[57][41] 톤은 (0,1) 모드를 강조하는 반면 베이스(헬름홀츠 공명) 및 고차 모드는 최대한 억제한다. 슬랩은 (2,1), (0,2), (3,1), (1,2) 및 (0,3) 모드(고차 모드 포함)를 강조하는 반면 헬름홀츠 공명 및 (0,1) 및 (1,1) 모드는 억제한다.[37] 숙련된 연주자는 톤과 슬랩 사이의 중간 음높이의 소리도 낼 수 있으며, 이를 "세 번째 슬랩", "톤팔로" 또는 "레"라고 부른다. 이 소리는 (1,1) 모드를 강조하는 반면 다른 모든 모드는 최대한 억제한다.[42]

숙련된 연주자는 타격과 손가락 위치를 약간 변경하여 다양한 슬랩 고조파를 선택적으로 강조하고 음높이가 다른 슬랩 멜로디를 만들 수 있다.[43]

서서 연주할 경우에는 스트랩을 사용하여 어깨에 걸지만, 앉아서 연주할 경우에는 바닥에 놓고 전체를 약간 비스듬하게 하여 고면이 팽팽하지 않은 부분이 열리도록 한다. 채를 사용하지 않고 맨손으로 두드린다.

기니의 전통적인 연주 형태에서는 둔둔, 삼반, 켄케니라고 불리는 3종류의 북과 조합하여 복합적인 리듬으로 연주된다. 또한 말리에서는 카순케둔둔, 콩고니와 같은 북과의 조합으로 연주된다. 젬베 특유의 사항은 아니지만, 일반적인 타악기와 마찬가지로 드럼 세트에 포함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며, 스탠드로 장착되어 스틱(채)으로 연주된다.

7. 전통 앙상블에서의 역할

전통적으로 젬베는 여러 개의 다른 젬베와 하나 이상의 둔둔으로 구성된 앙상블로 연주된다.[44] '리드'(또는 '솔로') 젬베를 제외한 모든 악기는 '반주 패턴' 또는 '반주 파트'로 알려진 반복적인 리듬 패턴을 연주한다.[44] 이러한 상호 작용은 복잡한 리듬 패턴('폴리리듬')을 만들어낸다.[44] 서로 다른 반주 파트는 서로 다른 음높이로 조율된 젬베로 연주되며, 이는 폴리리듬을 강조하고 복합적인 전체 멜로디를 만들어낸다.[44]

말리 나파디에 마을의 젬베와 콩코니 앙상블, 2008년 1월 녹음
말리 바마코에서 북서쪽으로 85km 떨어진 나파디에 마을의 젬베와 콩코니 앙상블, 2008년 1월 녹음.


말리에서는 전통적인 앙상블은 종종 하나의 둔둔(''콩코니''라고 불림)과 하나의 젬베로 구성된다.[44] 콩코니와 젬베는 리듬 대화를 하며, 각 드럼은 다른 악기가 즉흥 솔로를 연주하는 동안 번갈아 가며 반주를 연주한다.[44] 두 번째 둔둔 연주자가 있다면, 그는 콩코니와 비슷한 구조이지만 더 큰 베이스 드럼인 '카손카 둔둔'으로 앙상블을 보충한다.[44]

말리의 카손카 연주자
말리의 카손카 연주자


기니에서는 일반적인 앙상블은 세 개의 젬베와 세 개의 둔둔을 사용하며, 이를 각각 ''상반''(중간 음높이), ''둔둔바''(베이스 음높이), ''켄케니''(높은 음높이, ''켄세데니''라고도 함)라고 한다.[44]

젬베와 둔둔 앙상블은 전통적으로 단순히 앉아서 듣기 위한 음악을 연주하지 않는다.[45] 대신, 앙상블은 사람들이 춤을 추거나, 노래하거나, 박수를 치거나, 일할 수 있는 리듬을 만든다.[45] 전통적인 맥락에서 서구적인 음악가와 청중의 구분은 부적절하다. 리듬은 연주로 연주되는 경우는 드물며, 참여적이다.[45] 음악가, 댄서, 가수, 구경꾼은 모두 앙상블의 일부이며, 음악이 진행되는 동안 역할을 자주 바꾼다.[45]

음악가와 참가자는 종종 원을 형성하며, 원의 중심은 댄서를 위해 남겨둔다. 연주되는 특정 리듬에 따라, 춤은 안무된 스텝을 가진 남성 및/또는 여성 그룹에 의해 공연될 수 있거나, 단일 댄서가 짧은 솔로를 공연하기 위해 차례로 나올 수 있다. 리드 젬베의 역할은 댄서의 움직임을 강조하는 솔로 구절을 연주하는 것이다. 종종, 목표는 "댄서의 발을 표시"하는 것이며, 즉 댄서의 스텝과 동기화된 리듬 패턴을 연주하는 것이다.

8. 장식

젬베는 미적, 기능적 목적으로 다양하게 장식될 수 있다. 드럼 제작자는 크라운 링 위에서 가죽을 잘라내는 대신, 미관을 위해 크라운 링을 덮도록 가죽을 접을 수 있다. 젬베 연주자들은 "세게 세게"( sege segeman ) 또는 "세세"("Susu"어), 또는 "크싱크 크싱크"라고도 불리는 금속 딸랑이를 드럼에 1~4개 부착하여 소리를 풍성하게 만들거나 장식하기도 한다.[59]

접혀진 가죽, 세게 세게, 밧줄 랩, 금속 세공으로 장식된 젬베


줄기와 그릇에 광범위한 조각이 있고 가죽이 접혀진 젬베


다양한 색상의 밧줄을 드럼 그릇 주위에 감거나, 소라 껍데기, 색깔 있는 페인트, 장식용 못, 또는 기타 금속 세공으로 장식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젬베의 조각은 발 부분으로 제한되며, 원산지에 따라 다른 패턴이 사용된다. 2000년대에는 서구의 수요와 조각가들 간의 경쟁으로 인해 발 전체와 드럼 그릇까지 덮는 정교한 조각들이 등장하기도 했다.

젬베 발에 소라 껍데기와 타이어 장식


젬베 발에 타이밍 벨트 장식 (2001년 코나크리에서 구입)


특히 기니에서는 드럼 제작자들이 젬베 발에 오토바이 타이어를 장착하여 장식하기도 하며, 이는 미끄러운 바닥에서 드럼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추세는 1990년대 후반에 시작되었으며, 젬베 발에 타이밍 벨트를 장식으로 부착하는 관행에서 발전했다.[60]

9. 젬베의 보급과 현대사

1950년대 이전과 아프리카의 탈식민지화 이전에는, 아프리카 원주민들이 자신의 민족 집단 밖으로 이동하는 것이 극히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젬베는 원래 지역에서만 알려져 있었다.

이 드럼을 세계에 소개하고 보급시킨 공로자로는 기니 출신의 마마디 케이타가 유명하다. 그는 1960년대 아프리카 국가들의 독립 운동과 아프리카 민족주의의 대두라는 배경 속에서, 기니 독립 후 국위 선양을 위한 국가 정책에 따라 국립 발레단에서 젬베 솔로 연주자로 활약했다. 이후 정정 불안으로 프랑스로 탈출했으나, 이는 유럽에 젬베와 서아프리카의 전통 음악을 소개하는 도화선이 되었다.

포데바 케이타가 1952년에 창단한 레 발레 아프리캥은 젬베를 서아프리카 밖의 관객들에게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발레단은 유럽에서 광범위하게 순회 공연을 했다. 1958년 기니가 독립한 후, 아흐메드 세쿠 투레 대통령은 레 발레 아프리캥을 기니의 첫 번째 국립 발레단으로 선포했다. 1961년에는 발레 다르메, 1964년에는 발레 졸리바가 뒤를 이었다.

Les Ballets Africains의 무용수들이 1962년 독일 본에서 공연하고 있다
레 발레 아프리캥이 1962년 독일 에서 공연하고 있다.


투레는 동구권 모델을 따라 자국의 문화와 음악을 홍보했고, 레 발레 아프리캥을 통해 기니 여러 민족 집단의 전통 관습과 의식을 세속화했다. 발레단은 다양한 영적 배경에서 기원한 리듬과 춤을 하나의 공연으로 결합했는데, 이는 투레의 "미신적인' 의례적 관행'을 없애는 것"이라는 탈신비화 프로그램의 목표에 부합했다.

투레는 발레단을 아낌없이 지원했으며, 젬베를 서구 관객들에게 알리는 전 세계 순회 공연을 지원했다. 그의 정책은 1984년 사망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코트디부아르 (발레 코테바), 말리 (레 발레 말리앙), 세네갈 (르 발레 나시오날 뒤 세네갈) 등 다른 서아프리카 국가들도 1960년대에 국립 발레단을 창설하여 각자의 정치적 의제를 추진했다.

1950년대 발레 아프리칸의 멤버였던 라지 카마라는 1960년대 미국에서 젬베를 가르치기 시작하여 1990년대까지 계속 가르쳤다. 카마라는 1970년대에 바바툰데 올라툰지와 함께 광범위하게 공연하여 미국에서 이 악기에 대한 인지도를 크게 높였다.[13]

1984년 세쿠 투레가 사망한 후, 발레단의 자금 지원이 끊기자, 마마디 케이타(벨기에, 미국), 파모두 코나테(독일), 에피조 방구라(프랑스, 미국, 오스트레일리아)를 포함한 다수의 젬베 연주자들이 서방으로 이민하여 정기적인 교육 및 공연을 펼쳤다.[14][15][16] 므벰바 방구라, 압둘라예 디아키테, 볼로카다 콩데, 모하메드 "방구라케" 방구라, 바바라 방구라 등 다른 많은 젬베 연주자들도 그들의 뒤를 따라 수많은 서방 국가에서 상당한 수의 해외 공연자 및 교사들을 배출했다.

마마디는 이후 세계 각지에 젬베와 서아프리카의 전통 음악을 소개하는 학교 "탐탐 만딩고"를 설립했다. 기니와 세네갈의 젬베 연주자들이 그 후 잇따라 구미, 일본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1991년에는 로랑 슈발리에 감독에 의해 마마디 케이타의 다큐멘터리 영화 ''Djembefola''(젬베 연주자)가 프랑스와 기니 합작으로 제작되었고, 일본에서는 『젬베폴라 ~성스러운 귀향~』이라는 제목으로 공개되면서 일본에서는 프랑스어에 따라 "젬베"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9]는 마마디 케이타가 26년 만에 고향 마을로 돌아가는 모습을 담고 있으며, 암스테르담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등에서 수상하며 젬베를 널리 알렸다.[17][18] 1998년에는 슈발리에가 제작한 후속 다큐멘터리 ''Mögöbalu''[19]가 개봉되었다. 2007년에는 오스카상 후보에 오른 드라마 영화 ''비지터''가 젬베를 국제적인 주류 관객들에게 알리는 데 기여했다.

Djembefola DVD 커버
''Djembefola'' DVD 커버


아프리카의 젊은이가 구미를 동경하는 것과 반대로, 구미나 일본 등의 젊은이가 젬베를 통해 아프리카를 방문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폴 사이먼, 태양의 서커스, 등 서양 음악가들이 젬베를 사용하면서 서양 관객들에게 알려졌다.[20][21]

1980년대 후반부터 서양 청중의 수요로 인해 젬베 중심의 녹음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으며, 2014년 현재까지도 그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22] 아프리카 시장 내에서는 젬베 녹음이 거의 없다.

1993년 바바툰데 올라툰지가 발매한 교육용 VHS 테이프와[22] 세르주 블랑,[61] 파모두 코나테,[23] 마마디 케이타의[36] 책을 시작으로, 1998년에는 케이타의 3권짜리 VHS 세트,[24] 2000년에는 에피조 방구라의 VHS 테이프가[25] 발매되는 등 젬베 연주자를 위한 다양한 교육 자료(책, CD, 비디오)가 출판되었다.

1980년대부터 에피조 방구라, 파모두 코나테, 마마디 케이타와 같은 기니 출신의 젬베 연주자들이 기니에서 유학 여행을 시작하면서, 젬베 수강생들은 기니 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게 되었다. 많은 다른 젬베 연주자들도 이를 따랐으며, 2014년 기준으로 잠재 방문객들은 매년 수십 개의 젬베 투어 중에서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젬베 관광은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던 기니의 젬베 연주자들을 위한 시장을 창출했다. 젊은 젬베 연주자들은 선배들의 성공을 본받아 관광객의 요구에 부응하려 노력하면서, 젬베 문화의 변화와 상업화를 이끌었다.

1990년대부터 가나,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네시아 등에서 젬베가 상업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했다.[47] 이들 지역에서는 현대적인 기계와 트위네보아(Cordia platythyrsa) 또는 마호가니(Swietenia mahagoni 또는 Toona sureni)와 같은 대체 수종의 나무를 사용했다.[47] 그러나 이러한 나무들은 전통적인 나무보다 부드럽고 밀도가 낮아 젬베 제작에 적합하지 않다.[47] 서양의 여러 타악기 제조업체에서도 젬베와 유사한 악기를 생산하는데, 유리 섬유 몸체, 합성 가죽, 키 튜닝 시스템을 사용하기도 한다.[27]

전통적으로 여성의 젬베 및 둥(dunun) 연주는 제한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였다.[28][29] 1998년, 기니 타악단(Les Percussions de Guinée), 아프리카 발레단(Les Ballets Africains), 발레 졸리바(Ballet Djoliba)의 감독인 마무두 콩데(Mamoudou Conde)는 남성 연주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여성 젬베 및 둥 연주자를 발레 공연에 포함시키기 시작했다. 2000년 기니 타악단의 미국 투어에 두 명의 여성 젬베 연주자를 포함시켰고, 긍정적인 반응을 얻어 2004년 여성 발레 그룹 "Amazones: The Women Master Drummers of Guinea"(2010년에 "Nimbaya!"로 개명)를 결성하여 미국 투어를 시작했다.[30]

주목할 만한 여성 젬베 연주자로는 살리마타 디아바테(Salimata Diabaté)(Afro Faso Jeunesse''의 수석 젬베 연주자),[31] 모네트 마리노-케이타(Monette Marino-Keita)(2001년 제1회 전국 "핸드 드럼 오프" 대회 우승자),[32] 안-욜라인 디아라/Anne-Yolaine Diarra프랑스어(''Sokan''의 젬베 연주자),[33] 멜리사 히에/Melissa Hie프랑스어(Benkadi''의 수석 젬베 연주자) 등이 있다.[34][35]

9. 1. 국립 발레단

포데바 케이타가 1952년에 창단한 레 발레 아프리캥은 젬베를 서아프리카 밖의 관객들에게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발레단은 유럽에서 광범위하게 순회 공연을 했다. 1958년 기니가 독립한 후, 아흐메드 세쿠 투레 대통령은 레 발레 아프리캥을 기니의 첫 번째 국립 발레단으로 선포했다. 1961년에는 발레 다르메, 1964년에는 발레 졸리바가 뒤를 이었다.

투레는 동구권 모델을 따라 자국의 문화와 음악을 홍보했고, 레 발레 아프리캥을 통해 기니 여러 민족 집단의 전통 관습과 의식을 세속화했다. 발레단은 다양한 영적 배경에서 기원한 리듬과 춤을 하나의 공연으로 결합했는데, 이는 투레의 "미신적인' 의례적 관행'을 없애는 것"이라는 탈신비화 프로그램의 목표에 부합했다.

투레는 발레단을 아낌없이 지원했으며, 젬베를 서구 관객들에게 알리는 전 세계 순회 공연을 지원했다. 그의 정책은 1984년 사망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코트디부아르 (발레 코테바), 말리 (레 발레 말리앙), 세네갈 (르 발레 나시오날 뒤 세네갈) 등 다른 서아프리카 국가들도 1960년대에 국립 발레단을 창설하여 각자의 정치적 의제를 추진했다.

9. 2. 이민

1950년대 발레 아프리칸의 멤버였던 라지 카마라는 1960년대 미국에서 젬베를 가르치기 시작하여 1990년대까지 계속 가르쳤다. 카마라는 1970년대에 바바툰데 올라툰지와 함께 광범위하게 공연하여 미국에서 이 악기에 대한 인지도를 크게 높였다.[13]

1984년 세쿠 투레가 사망한 후, 발레단의 자금 지원이 끊기자, 마마디 케이타(벨기에, 미국), 파모두 코나테(독일), 에피조 방구라(프랑스, 미국, 오스트레일리아)를 포함한 다수의 젬베 연주자들이 서방으로 이민하여 정기적인 교육 및 공연을 펼쳤다.[14][15][16] 므벰바 방구라, 압둘라예 디아키테, 볼로카다 콩데, 모하메드 "방구라케" 방구라, 바바라 방구라 등 다른 많은 젬베 연주자들도 그들의 뒤를 따라 수많은 서방 국가에서 상당한 수의 해외 공연자 및 교사들을 배출했다.

이 드럼을 세계에 소개하고 보급시킨 공로자로는 기니 출신의 마마디 케이타가 유명하다. 그는 1960년대 아프리카 국가들의 독립 운동과 아프리카 민족주의의 대두라는 배경 속에서, 기니 독립 후 국위 선양을 위한 국가 정책에 따라 국립 발레단에서 젬베 솔로 연주자로 활약했다. 이후 정정 불안으로 프랑스로 탈출했으나, 이는 유럽에 젬베와 서아프리카의 전통 음악을 소개하는 도화선이 되었다.

마마디는 이후 세계 각지에 젬베와 서아프리카의 전통 음악을 소개하는 학교 "탐탐 만딩고"를 설립했다. 기니와 세네갈의 젬베 연주자들이 그 후 잇따라 구미, 일본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1991년에는 로랑 슈발리에 감독에 의해 마마디 케이타의 다큐멘터리 영화 『Djembefola』(젬베 연주자)가 프랑스와 기니 합작으로 제작되었고, 일본에서는 『젬베폴라 ~성스러운 귀향~』이라는 제목으로 공개되면서 일본에서는 프랑스어에 따라 "젬베"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아프리카의 젊은이가 구미를 동경하는 것과 반대로, 구미나 일본 등의 젊은이가 젬베를 통해 아프리카를 방문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9. 3. 영화

1991년 로랑 슈발리에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 ''Djembefola''[9]는 마마디 케이타가 26년 만에 고향 마을로 돌아가는 모습을 담고 있으며, 암스테르담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등에서 수상하며 젬베를 널리 알렸다.[17][18] 1998년에는 슈발리에가 제작한 후속 다큐멘터리 ''Mögöbalu''[19]가 개봉되었다. 2007년에는 오스카상 후보에 오른 드라마 영화 ''비지터''가 젬베를 국제적인 주류 관객들에게 알리는 데 기여했다.

9. 4. 서양 음악

폴 사이먼, 태양의 서커스, 등 서양 음악가들이 젬베를 사용하면서 서양 관객들에게 알려졌다.[20][21]

9. 5. 녹음 및 교육 자료

1980년대 후반부터 서양 청중의 수요로 인해 젬베 중심의 녹음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으며, 2014년 현재까지도 그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22] 아프리카 시장 내에서는 젬베 녹음이 거의 없다.

1993년 바바툰데 올라툰지가 발매한 교육용 VHS 테이프와[22] 세르주 블랑,[61] 파모두 코나테,[23] 마마디 케이타의[36] 책을 시작으로, 1998년에는 케이타의 3권짜리 VHS 세트,[24] 2000년에는 에피조 방구라의 VHS 테이프가[25] 발매되는 등 젬베 연주자를 위한 다양한 교육 자료(책, CD, 비디오)가 출판되었다.

9. 6. 관광

1980년대부터 에피조 방구라, 파모두 코나테, 마마디 케이타와 같은 기니 출신의 젬베 연주자들이 기니에서 유학 여행을 시작하면서, 젬베 수강생들은 기니 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게 되었다. 많은 다른 젬베 연주자들도 이를 따랐으며, 2014년 기준으로 잠재 방문객들은 매년 수십 개의 젬베 투어 중에서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젬베 관광은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던 기니의 젬베 연주자들을 위한 시장을 창출했다. 젊은 젬베 연주자들은 선배들의 성공을 본받아 관광객의 요구에 부응하려 노력하면서, 젬베 문화의 변화와 상업화를 이끌었다.

9. 7. 상업적 생산

1990년대부터 가나,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네시아 등에서 젬베가 상업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했다.[47] 이들 지역에서는 현대적인 기계와 트위네보아(Cordia platythyrsa) 또는 마호가니(Swietenia mahagoni 또는 Toona sureni)와 같은 대체 수종의 나무를 사용했다.[47] 그러나 이러한 나무들은 전통적인 나무보다 부드럽고 밀도가 낮아 젬베 제작에 적합하지 않다.[47] 서양의 여러 타악기 제조업체에서도 젬베와 유사한 악기를 생산하는데, 유리 섬유 몸체, 합성 가죽, 키 튜닝 시스템을 사용하기도 한다.[27]

9. 8. 여성 젬베 연주자

전통적으로 여성의 젬베 및 둥(dunun) 연주는 제한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였다.[28][29] 1998년, 기니 타악단(Les Percussions de Guinée), 아프리카 발레단(Les Ballets Africains), 발레 졸리바(Ballet Djoliba)의 감독인 마무두 콩데(Mamoudou Conde)는 남성 연주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여성 젬베 및 둥 연주자를 발레 공연에 포함시키기 시작했다. 2000년 기니 타악단의 미국 투어에 두 명의 여성 젬베 연주자를 포함시켰고, 긍정적인 반응을 얻어 2004년 여성 발레 그룹 "Amazones: The Women Master Drummers of Guinea"(2010년에 "Nimbaya!"로 개명)를 결성하여 미국 투어를 시작했다.[30]

주목할 만한 여성 젬베 연주자로는 살리마타 디아바테(Salimata Diabaté)(Afro Faso Jeunesse''의 수석 젬베 연주자),[31] 모네트 마리노-케이타(Monette Marino-Keita)(2001년 제1회 전국 "핸드 드럼 오프" 대회 우승자),[32] 안-욜라인 디아라/Anne-Yolaine Diarra프랑스어(''Sokan''의 젬베 연주자),[33] 멜리사 히에/Melissa Hie프랑스어(Benkadi''의 수석 젬베 연주자) 등이 있다.[34][35]

10. 학습

전통적으로 아프리카에서 젬베 연주자가 되기 위해서는 수년 동안 스승과 함께 의식 및 기타 축제에 참여해야 한다.[61] 현대 서구 사회에서 젬베를 배우는 것은 마스터 드러머를 찾아 개인 레슨이나 소규모 그룹 레슨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61]

연주자는 기본적인 소리와 전통적인 리듬 샘플(4/4 및 12/8)을 배워 수업을 따라간다.[61] 마스터 드러머의 음질에 필적하는 소리를 내려면 수년간의 연주와 학습이 필요하다.[61]

리듬의 서면 기록은 서아프리카 음악 특유의 다양한 스윙을 표현하기 어려워 부정확한 경향이 있다.[61] 고급 연주자를 위한 서면 자료는 부족하거나 사용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61]

Percussion Studio와 같은 음악 소프트웨어를 통해 리듬을 기록하고 재생하는 것이 쉬워졌다.[61]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연습 그룹이 없는 사람들에게 유용하며, 개별 트랙 분리나 템포 변경을 통해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다.[61] 숙련된 연주자의 음정과 마이크로 타이밍을 재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지만, 워크숍에서 배운 자료를 재현하는 데 유용하다.[61] 드럼 머신 소프트웨어 수소에는 젬베, 둔둔 및 벨 소리 파일이 포함되어 있어 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61]

11. 주목할 만한 젬베 연주자



젬베 연주자는 젬베폴라(djembefola프랑스어, djembefola영어)라고도 한다. 많은 타악기 연주자들이 연주에 도입하게 되었지만, 젬베를 주로 연주하는 연주자의 예는 다음과 같다.


  • 압둘라예 디아키테(세네갈)
  • 하니 나세르(요르단계 미국인)
  • 라티르 시(세네갈)
  • 마마디 케이타(기니)
  • 파무두 코나테(기니)
  • 볼로카다 콩데(기니)
  • 야마두 바니 둔비아(말리)
  • 숭갈로 쿨리발리(말리)
  • 드리사 코네(말리)
  • 스티브 에토
  • 나라 다이스케
  • 이와하라 다이스케
  • 나가하라 하지메
  • 가토 료사쿠
  • 니시무라 미즈키(바이킹)
  • 시타마치 형제
  • [http://masayasu.wp.xdomain.jp/ 이시카와 마사야스]
  • David Sylla
  • Kackey

12. 대표 음반

파무두 코나테 (1991). ''Rhythmen Der Malinke''. 뮤지엄 컬렉션 베를린: CD 18.[44] 요하네스 베어의 상세한 해설(독일어 및 프랑스어)이 수록된 기니 현장 녹음으로, 초기 젬베 중심 녹음 중 하나이자 전통적인 기니 스타일을 가장 잘 담아낸 음반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CD cover of ''Rhythmen Der Malinke''
''Rhythmen Der Malinke'' CD 커버


레 발레 아프리캥 (1990). ''레 발레 아프리칸: 기니''(Les Ballets Africains: Guinea). 뮈지크 뒤 몽드, 부다 레코드.[44] 기니 최초의 국립 발레단의 녹음으로, 전통 음악이 무대 공연을 위해 어떻게 편곡되고 안무되었는지를 보여준다.

자라바 자키테, 야마두 바니 둔비아, 젤리 마디 쿠야테 (2007). ''젠베 드럼 연주의 예술 (말리 전통 Vol. 1)''(The Art of Jenbe Drumming (Mali Tradition Vol. 1)). 비비아프리카. ''젠베 리얼북''(The Jenbe Realbook)의 부록 CD.[44] 인정받는 거장들이 젬베 한 대와 콩코니 한 대로 연주하는 전통적인 마을 스타일의 녹음이다.

참조

[1] 서적 Lehrbuch des Malinke Langenscheidt
[2] 잡지 Les Recherches linguistiques de l'école N'ko http://kanjamadi.com[...] Kanjamadi 2011-09-00
[3] 서적 Anke Djé Anke Bé, Volume 1 3idesign
[4] 학술지 A Guide to the Jembe http://echarry.web.w[...] 1996-04-00
[5] 서적 Sega Kan Do ID Music
[6] 서적 The State of Africa: A History of Fifty Years of Independence Jonathan Ball Publishers
[7] 논문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and Transmission in the Globalization of Guinea's Djembé http://deepblue.lib.[...] University of Michigan
[8] 학술지 An 'Impossible' Transmission: Youth Religious Memories in Guinea-Conakry 2005-11-00
[9] 비디오 Djembefola https://www.imdb.com[...]
[10] 웹사이트 Les Ballets Africains http://www.lesballet[...]
[11] 서적 The World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Theatre: Africa https://archive.org/[...] Routledge 1997-06-24
[12] 서적 Choreographies of African Identities: Negritude, Dance, and the National Ballet of Senegal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3] 백과사전 Papa Ladji Camara http://africanmusic.[...]
[14] 학술지 Rare German Radio Interviews with Famoudou Konate http://chidjembe.com[...] 2001-12-00
[15] 웹사이트 Who is Epizo Bangoura? http://epizob.com/e/[...]
[16] 논문 Hairy drums, live sampling: Ethos Percussion Group commissions of 2004 and their "extra-conservatory" elements http://gradworks.umi[...] City University of New York
[17] 웹사이트 Laurent Chevallier – Awards – IMdb https://www.imdb.com[...]
[18] 웹사이트 Marseille Festival of Documentary Film (1991) https://www.imdb.com[...]
[19] 비디오 Mögöbalu https://www.imdb.com[...]
[20] 웹사이트 Evolution of the Instrument: Djembe http://revivalist.ok[...] The Revivalist
[21] 웹사이트 Cirque du Soleil's percussion setup in pictures http://beta.musicrad[...] musicradar
[22] 비디오 African Drumming Interworld
[23] 서적 African Percussion: The Djembe
[24] 비디오 Rythmes Traditionnels du Mandingue Djembefola Productions
[25] 비디오 Yole & Zawuli: Traditional Rhythms for the Djembe Dramavision
[26] 학술지 Jembe Hero: West African Drummers, Global Mobility and Cosmopolitanism as Status 2012-09-20
[27] 학술지 A Musical Instrument Travels Around the World: Jenbe Playing in Bamako, West Africa, and Beyond
[28] 웹사이트 The creation of Amazones: The Women Master Drummers of Guinea http://www.amazonesw[...] Department of Culture of the Republic of Guinea 2003-12-17
[29] 웹사이트 Amazones Djembe Group—from Kumandi Drums Newsletter http://launch.groups[...] 2004-08-05
[30]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NIMBAYA! The Women's Drum & Dance Company of Guinea http://www.amazonesw[...] Department of Culture of the Republic of Guinea
[31] 웹사이트 Salimata Diabate et Afro Faso Jeunesse, SNC 2010 https://www.youtube.[...]
[32] 웹사이트 Monette Marino-Keita's Official Site http://www.monettema[...]
[33] 웹사이트 SOKAN http://www.sokan.eu/
[34] 웹사이트 Benkadi un art authentique http://benkadibordea[...]
[35] 웹사이트 On the Road with Mélissa http://melissahie.wi[...]
[36] 서적 Rhythms and Songs from Guinea Lugert
[37] 웹사이트 Physics of Djembe Sounds http://djembelfaq.dr[...] DJEMBE-L 2012-01-12
[38] 서적 Mandiani Drum and Dance: Djimbe Performance and Black Aesthetics from Africa to the New World White Cliffs Media
[39] 웹사이트 Bass djembe http://djembefola.co[...] djembefola.com 2011-03-23
[40] 서적 Science of Percussion Instruments World Scientific Publishing 2000-01-15
[41] 웹사이트 Vibrational Modes of a Circular Membrane http://www.acs.psu.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2012-07-13
[42] 웹사이트 Harmonics of tones and slaps http://djembefola.co[...] djembefola.com 2012-07-13
[43] 비디오 Rhythmen der Malinke Ethnologisches Museum, Staatliche Museen zu Berlin
[44] 서적 The Jenbe Realbook bibiafrica
[45] 서적 African Rhythm and African Sensibility: Aesthetics and Social Action in African Musical Idiom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10-15
[46] 서적 Mande Music: Traditional and Modern Music of the Maninka and Mandinka of Western Afric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7] 웹사이트 Djembe Woods: What You Need to Know http://djembefola.co[...] djembefola.com 2012-01-19
[48] 서적 Kiln-Drying of Lumber Springer
[49] 비디오 Mandiani Drum and Dance: Djimbe Performance & Black Aesthetics from Africa to the New World White Cliffs Media
[50] 비디오 Djembé Spielen Lernen: Herstellung, Geschichte, Tradition Leu-Verlag
[51] 논문 Biological Factors Influencing the Nature of Goat Skins and Leather http://www.nda.agric[...] University of Leicester 2012-01-20
[52] 웹사이트 Damn it.....seriously!! http://djembefola.co[...] djembefola.com 2011-12-09
[53] 비디오 Djembe talk and performance with Mamady Keïta at the Big Bang festival in Dublin, Ireland http://djembefola.co[...] djembefola.com 2012-01-21
[54] 비디오 Landouma Fare: From the Heartland B-rave Studio
[55] 서적 Djembe Construction: A Comprehensive Guide 2012-05-00
[56] 웹사이트 Three top rings? Yea or nay http://djembefola.co[...] djembefola.com 2012-05-05
[57] 웹사이트 Circular Membrane Modes http://hyperphysics.[...] Georgia State University 2012-07-13
[58] 웹사이트 Tension on a djembe skin http://djembefola.co[...] djembefola.com 2012-07-13
[59] 웹사이트 Djembé ears, sessé http://djembefola.co[...] djembefola.com 2011-01-04
[60] 웹사이트 Non-Nailing Tyre Foot Is Born http://djembefola.co[...] djembefola.com 2012-01-20
[61] 서적 A Life for the Djembé—Traditional Rhythms of the Malinké Arun-Verlag
[62] 웹사이트 Larousse Dictionnaires de français, djembé http://www.larousse.[...] Éditions Larousse 2017-12-17
[63] 서적 Lehrbuch des Malinke Langenscheidt
[64] 서적 Mande Music: Traditional and Modern Music of the Maninka and Mandinka of Western Afric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5] 웹사이트 Djembe Woods: What You Need to Know http://djembefola.co[...] djembefola.com 2012-01-19
[66] 서적 Lehrbuch des Malinke Langenscheidt
[67] 저널 A Guide to the Jembe http://echarry.web.w[...] 2012-01-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