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너선 시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너선 시벤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은퇴한 수영 선수이다. 1982년 코먼웰스 게임에서 동메달과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200m 접영에서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100m 접영 4위를 기록했고,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4x100m 혼계영 팀의 일원으로 7위를 차지했다. 1985년에는 스포츠 오스트레일리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2년 코먼웰스 게임 수영 참가 선수 - 빅터 데이비스
    빅터 데이비스는 1980년대 평영에서 두각을 나타낸 캐나다 수영 선수로, 올림픽, 세계 선수권, 코먼웰스 게임 등에서 메달을 휩쓸었으며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200m 평영에서 금메달과 세계 신기록을 동시에 달성했고, 은퇴 후 안타까운 사고로 생을 마감했지만 그의 업적은 기념 사업과 영화로 기려지고 캐나다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198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수영 참가 선수 - 맷 비온디
    맷 비온디는 올림픽에서 금메달 8개를 포함한 총 11개의 메달을 획득하고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5관왕을 차지하며 세계 신기록을 세운 미국의 수영 선수로,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수영과 수구 선수로 활동했으며 은퇴 후에는 교사와 수영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198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수영 참가 선수 - 타니야 단갈라코바
    불가리아의 펜싱 및 수영 선수인 타니야 단갈라코바는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펜싱 여자 개인 플뢰레 9위, 1986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평영 200m 은메달과 100m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유니버시아드 금메달리스트 - 매슈 데니
  • 오스트레일리아의 유니버시아드 금메달리스트 - 랄프 두벨
    오스트레일리아 육상 선수 랄프 두벨은 1967년 도쿄 유니버시아드 800m 금메달,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800m 금메달, 1969년 태평양 컨퍼런스 게임 금메달을 획득했으나 1972년 뮌헨 올림픽 출전 실패 후 은퇴했다.
조너선 시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전체 이름조너선 스콧 시벤
애칭
국적오스트레일리아
1.73m
몸무게74kg
생년월일1966년 8월 24일
출생지퀸즐랜드주 브리즈번
선수 정보
종목접영
대학 팀앨라배마 대학교
메달 기록 (남자 수영)
금메달200m 접영
동메달4×100 m 혼계영
은메달100 m 접영
은메달4×100 m 혼계영
은메달100 m 접영
동메달4×100m 혼계영
동메달4×100m 혼계영
금메달4×100 m 혼계영
동메달200 m 접영
금메달100 m 접영
기타 정보
수상1985년 스포츠 오스트레일리아 명예의 전당 헌액
참고 자료Sieben, Jonathan Scott (It's an Honour)
스포츠 레퍼런스 프로필스포츠 레퍼런스 프로필

2. 어린 시절

시벤은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주 브리즈번에서 태어났다. 그는 브리즈번 주립 고등학교에 다녔다.

3. 선수 경력

조너선 시벤은 로리 로렌스 코치의 지도를 받으며 성장했다. 15세였던 1982년 코먼웰스 게임에서 국제 무대에 데뷔하여 메달을 획득했으며,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는 200미터 접영에서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차지하는 파란을 일으켰다.[3] 이 활약으로 그는 1984년 올해의 젊은 호주인으로 선정되었다.

이후 1988년 서울 올림픽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도 참가하며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시벤은 1985년에 스포츠 오스트레일리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4]

선수 은퇴 후인 2020년에는 노스 퀸즐랜드 카우보이스의 시설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도 했다.

3. 1. 초기 경력

조너선 시벤은 로리 로렌스 코치의 지도를 받았다. 그는 15세의 어린 나이로 브리즈번에서 열린 1982년 코먼웰스 게임에 데뷔하여 200미터 접영에서 동메달을, 혼계영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했다. 시벤과 로렌스는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을 목표로 훈련을 계속했지만, 우승 가능성은 낮아 보였다. 당시 시벤은 키가 173cm에 불과하여 친구들 사이에서 '새우'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반면, 당시 수영계를 지배하던 서독의 미하엘 그로스는 키 200cm에 팔 길이 225cm로 '알바트로스'라는 별명을 가졌으며, 200미터 접영 세계 기록 보유자였다. 또한 100미터 접영 세계 기록 보유자인 미국파블로 모랄레스도 강력한 경쟁자였다.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200미터 접영 결선에서 시벤은 첫 150m까지 그로스와 모랄레스에 뒤처졌으나, 마지막 50m 구간에서 폭발적인 스퍼트를 선보이며 1분 57.04초의 세계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차지했다. 이는 이전 기록을 4초 이상 단축한 결과였다. 그는 혼계영 예선에도 출전하여 동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이러한 활약으로 그는 1984년 올해의 젊은 호주인으로 선정되었다.[3]

1985년에는 스포츠 오스트레일리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4]

그러나 서울 올림픽에서는 기량이 다소 하락하여 200미터 접영에는 출전하지 못했고, 100미터 접영에서는 4위에 머물렀다. 그는 바르셀로나 올림픽에도 참가했으나 100미터 접영 개인전 결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다만, 4x100미터 혼계영 결선에서는 호주 대표팀의 일원으로 출전하여 3분 42.65초의 자국 신기록을 세우며 7위를 기록했다.

3. 2.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로리 로렌스 코치의 지도를 받은 시벤은 1982년 코먼웰스 게임에서 15세의 나이로 국제 무대에 데뷔하여 200미터 접영 동메달과 혼계영 금메달을 획득하며 가능성을 보였다. 이후 로렌스와 함께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을 준비했지만, 당시에는 메달 획득 가능성이 낮게 평가되었다. 시벤은 키가 173cm에 불과하여 친구들 사이에서 '새우'라는 별명으로 불렸는데, 이는 당시 수영계를 지배하던 서독의 미하엘 그로스와 대조적이었다. 그로스는 키 200cm에 날개 길이가 225cm에 달해 '알바트로스'라는 별명을 가졌으며, 200미터 접영 세계 기록 보유자였다. 또한, 100미터 접영 세계 기록 보유자인 미국의 파블로 모랄레스 역시 강력한 경쟁자였다.

올림픽 200미터 접영 결선에서 시벤은 처음 150m까지 그로스와 모랄레스에게 뒤처졌으나, 마지막 50m 구간에서 놀라운 스퍼트를 선보이며 극적인 역전승을 거두었다. 그는 1분 57.04초의 세계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는데, 이는 이전 세계 기록을 4초 이상 앞당긴 기록이었다. 또한 혼계영 예선에도 출전하여 호주 팀의 동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이러한 활약으로 시벤은 1984년 올해의 젊은 호주인으로 선정되었다.[3]

3. 3. 1988년 서울 올림픽

1988년 하계 올림픽 서울 대회에서는 시벤의 기량이 이전 올림픽에 비해 다소 저하되어, 선발 위원들은 그를 200미터 접영 종목에 출전시키지 않기로 결정했다. 그는 100미터 접영 종목에만 출전하여 4위를 기록했다.

3. 4.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그는 1992년 하계 올림픽 바르셀로나에도 출전했지만, 100미터 접영 개인전 결선에 진출하지 못했다. 그는 호주의 4x100미터 혼계영 팀의 일원으로 결선에서 3분 42.65초의 자국 기록으로 7위를 차지했다.

4. 수상 및 영예


  • 1982년 코먼웰스 게임 브리즈번 대회에서 15세의 나이로 데뷔하여 200미터 접영 동메달과 혼계영 금메달을 획득했다.
  • 1984년 하계 올림픽 로스앤젤레스 대회 200미터 접영에서 미하엘 그로스와 파블로 모랄레스를 제치고 1분 57.04초의 세계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차지했다. 이는 이전 기록보다 4초 이상 빠른 기록이었다. 또한 혼계영 예선에 출전하여 동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 1984년 올해의 젊은 호주인으로 선정되었다.[3]
  • 1985년 스포츠 오스트레일리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4]

5. 참고 문헌


  • Andrews, Malcolm (2000). ''올림픽 경기에서의 호주''. 시드니, 뉴사우스웨일스: ABC Books. p. 397. ISBN 0-7333-0884-8.
  • Howell, Max (1986). ''호주 골드''. 앨비언, 퀸즐랜드: Brooks Waterloo. pp. 257–261. ISBN 0-86440-680-0.

참조

[1] 웹사이트 Sieben, Jonathan Scott https://honours.pmc.[...] It's an Honour 2012-01-08
[2] 웹사이트 Sports Reference profile https://web.archive.[...] 2014-03-24
[3] 웹사이트 Australian of the Year Awards – Jon Sieben https://web.archive.[...] Australia Day Council 2012-01-08
[4] 웹사이트 Jon Sieben https://sahof.org.au[...] Sport Australia Hall of Fame 2020-0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