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랴는 슬라브 신화에 등장하는 새벽, 극광을 의미하는 여신이다. 슬라브 민속에서 조랴는 새벽 여신 조랴 우트렌냐야와 황혼 여신 조랴 베체르냐야 자매로 나타나며, 태양의 문을 열고 닫는 역할을 한다. 조랴 숭배는 인도유럽 고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다양한 지역에서 세 자매 조랴, 또는 성모 마리아와 동일시되기도 한다. 현대 문화에서는 소설, TV 시리즈, 게임 등 다양한 작품에서 조명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라브 여신 - 메데이나
  • 슬라브 여신 - 스레차
  • 밤의 여신 - 라트리
  • 밤의 여신 - 네프티스
    네프티스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집의 여주인" 또는 "사원의 여주인"으로 불리는 여신으로, 이시스의 자매이자 세트의 아내이며, 죽음, 장례 의식, 미라, 신 오시리스를 보호하고 아누비스의 어머니로 여겨지며 파라오 숭배 의례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별의 여신 - 아우슈리네
    아우슈리네는 리투아니아 신화에 등장하는 새벽별의 여신으로, 태양의 길을 준비하며 사울레와 복잡한 관계를 맺고 하늘의 여왕으로 불리기도 한다.
  • 별의 여신 - 이슈타르
    이슈타르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 숭배받던 강력한 여신으로, 수메르 문명에서는 이난나로 불렸으며 사랑, 풍요, 전쟁, 정의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고 금성과 동일시되었으며, 여덟 개의 뾰족한 별, 로제트 매듭, 사자 등으로 상징된다.
조랴
기본 정보
Zarya-Zarenitsa, Andrey Shishkin, 2013
Zarya-Zarenitsa, 안드레이 시시킨, 2013
다른 이름자라니차, 자랴, 자라, 조류슈카
그리스 동등신에오스
로마 동등신오로라
힌두 동등신우샤스
인도-유럽 동등신하우소스
빨강, 금색, 노랑, 장미색
형제자매다즈보그 (태양), 즈베즈다 (달)
숭배 대상새벽

2. 어원

슬라브어 단어 'zora'는 "새벽, 극광"을 뜻하며, 원시 슬라브어 ''*zoŗà''에서 유래했다. 이 단어는 "보다, 관찰하다"라는 뜻의 슬라브어 동사 ''zrěti'' (원시 슬라브어 ''*zьrěti''에서 유래)와 어원이 같으며, 원래는 "빛나다"를 의미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zara'라는 단어는 "열"을 뜻하는 ''žar'' (원시 슬라브어 ''*žarь'')의 영향을 받아 생겨났을 수 있다. 원시 슬라브어 ''*zoŗà''는 원시 발토-슬라브어 ''*źoriˀ''에서 유래했으며(리투아니아어 ''žarà'', ''žarijà''와 비교), 어원 자체는 불분명하다.[1]

3. 비교 신화

원시 인도유럽 신화의 새벽 여신은 ''*H₂éwsōs''로 재구축되었다. 이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오스, 로마 신화의 아우로라, 베다 신화의 우샤스 등 여러 신화 속 새벽 여신들의 이름을 비교 신화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만들어졌다. 마찬가지로, 새벽 여신들의 공통적인 특징을 바탕으로 원시 인도유럽 여신의 특징 또한 재구성되었다.

3. 1. 공통 특징

조랴 숭배는 민속에서만 증명되지만, 그 뿌리는 인도유럽 고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조랴 자신은 대부분의 새벽 여신(''*H₂éwsōs'')의 특징을 나타낸다.[1] 조랴는 대부분의 새벽 여신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공유한다.

클루도프 시편의 아침과 저녁 조랴


20세기의 슬라브 학자였던 L.A. 자루빈은 슬라브 민속과 인도-아리아 ''리그베다'' 및 ''아타르바 베다''를 비교 연구했는데, 이 문서들에는 태양과 그 동반자들, 즉 새벽의 모습이 보존되어 있었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초기의 물신 숭배(반지나 원의 형태로 나타나는 태양)에서 후기의 의인화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개념에서 유래한다. 13세기 후반의 클루도프 노브고로드 시편에는 두 여성을 묘사한 삽화가 들어 있다. 그 중 한 명은 불타는 듯한 붉은색으로 "아침 조랴"로 묘사되었으며, 오른손에는 반원 형태의 붉은 태양을 들고 있고, 왼손에는 어깨에 걸쳐 있는 횃불을 들고 있는데, 횃불 끝에서 밝은 녹색 줄이 나와 어두운 녹색으로 변한다. 이 줄은 다른 여성의 오른손에서 끝나는데, 이 여성은 녹색으로 "저녁 조랴"로 묘사되었으며, 그녀의 왼쪽 소매에서 새가 나온다. 이것은 아침 조랴가 매일의 여정을 위해 태양을 풀어주고, 해 질 녘에는 저녁 조랴가 태양을 맞이하기 위해 기다리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매우 유사한 모티프가 나시크 동굴의 서기 2~3세기의 인도 나시크의 사원에서도 발견되었다. 부조에는 두 명의 여성이 묘사되어 있는데, 한 명은 횃불을 사용하여 태양의 원에 불을 붙이고, 다른 한 명은 해 질 녘에 그것을 기다리고 있다. 다른 부조에는 새벽의 두 여신, 우샤스와 프라티우샤가 묘사되어 있으며, 새벽을 동반한 태양이 여러 찬가에 등장한다. 바퀴 형태의 태양은 인도-아리아 ''리그베다''나 노르드 ''에다'', 그리고 민속에도 등장한다. 게르만 민족과 슬라브 민족의 연례 축제 기간 동안 중세 작가들에 따르면 태양을 상징하는 바퀴에 불을 붙였다.[6]

시편과 나시크에서 발견된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가 슬라브 지역의 다양한 곳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슬로바키아 농가의 조각 및 채색된 문(오초바 마을)의 경우, 기둥 중 하나에는 황금 머리를 가진 아침 조랴가 조각되어 있고, 그 위에는 광채가 있으며, 더 높이에는 아치형 도로를 따라 굴러가는 태양이 있으며, 다른 기둥에는 저녁 조랴가 조각되어 있고, 그 위에는 지는 해가 있다. 이 부조에는 또한 어두워진 태양이 있는데, 이는 슬라브 민속에 등장하는 "죽은 태양"일 수 있다. 이러한 모티프는 "아침 조랴가 없으면 태양이 뜨지 않는다"는 러시아 속담으로도 확인된다. 이러한 모티프는 또한 19세기 썰매의 뒷면에서 발견되었는데, 썰매에는 원 형태의 태양이 궁전에 있고 두 조랴가 출구에 서 있으며, 트베리 지역의 농민 러쉬니크에는 조랴가 말을 타고 태양으로 달려가고 있는데, 한 명은 빨간색이고 다른 한 명은 녹색이다.[6]

4. 지역별 전승

조랴 숭배는 민속에서만 증명되지만, 그 뿌리는 인도유럽 고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조랴 자신은 대부분의 ''*H₂éwsōs''의 특징을 나타낸다.[25] 조랴는 대부분의 새벽 여신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공유한다.



20세기 슬라브 학자 L.A. 자루빈은 슬라브 민속과 인도-아리아의 ''리그베다'', ''아타르바 베다''를 비교 연구했는데, 이 문서들에는 태양과 그 동반자(새벽)의 모습이 보존되어 있었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초기의 물신 숭배(반지나 원 형태의 태양)에서 후기의 의인화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개념에서 유래한다. 13세기 후반 클루도프 노브고로드 시편에는 두 여성을 묘사한 삽화가 있는데, 한 명은 불타는 듯한 붉은색으로 "아침 조랴"로 묘사되었고, 오른손에는 반원 형태의 붉은 태양을, 왼손에는 어깨에 걸친 횃불을 들고 있다. 횃불 끝에서 밝은 녹색 줄이 나와 어두운 녹색으로 변하는데, 이 줄은 "저녁 조랴"로 묘사된 다른 여성의 오른손에서 끝난다. 그녀의 왼쪽 소매에서는 새가 나온다. 이는 아침 조랴가 매일의 여정을 위해 태양을 풀어주고, 해 질 녘에는 저녁 조랴가 태양을 맞이하기 위해 기다리는 것으로 해석된다.[14]

나시크 동굴의 서기 2~3세기 인도 나시크 사원의 부조에도 매우 유사한 모티프가 나타난다. 여기에는 두 명의 여성이 묘사되어 있는데, 한 명은 횃불로 태양 원에 불을 붙이고, 다른 한 명은 해 질 녘에 그것을 기다린다. 다른 부조에는 새벽의 두 여신 우샤스와 프라티우샤가 묘사되어 있으며, 새벽을 동반한 태양은 여러 찬가에 등장한다. 바퀴 형태의 태양은 인도-아리아의 ''리그베다''나 노르드의 ''에다'', 그리고 민속에도 등장한다. 게르만 민족과 슬라브 민족의 연례 축제 기간 동안 중세 작가들에 따르면 태양을 상징하는 바퀴에 불을 붙였다.[14]

시편과 나시크에서 발견된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는 슬라브 지역 여러 곳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슬로바키아 농가([오초바] 마을)의 조각 및 채색된 문 기둥 중 하나에는 황금 머리를 가진 아침 조랴가 조각되어 있고, 그 위에는 광채가 있으며, 더 높이에는 아치형 도로를 따라 굴러가는 태양이 있다. 다른 기둥에는 저녁 조랴가 조각되어 있고, 그 위에는 지는 해가 있다. 이 부조에는 어두워진 태양도 있는데, 이는 슬라브 민속에 등장하는 "죽은 태양"일 수 있다. "아침 조랴가 없으면 태양이 뜨지 않는다"는 러시아 속담도 이러한 모티프를 확인시켜 준다. 19세기 썰매 뒷면(원 형태의 태양이 궁전에 있고 두 조랴가 출구에 서 있음)이나 트베리 지역 농민 러쉬니크(조랴가 말을 타고 태양으로 달려가는데, 한 명은 빨간색, 다른 한 명은 녹색)에서도 유사한 모티프가 발견된다.[14]

다이바 바이트케비치에네 교수에 따르면, 성모 마리아는 동슬라브 부적에서 여신 조랴를 대체했을 가능성이 높다. 성모 마리아는 러시아 부적에서 "조랴"라고 불리기도 한다.[27] 역사학자 Ефименко, Александра Яковлевна|알렉산드라 예피멘코ru가 1878년에 아르한겔스키에서 수집하여 출판한 부적에서, 화자는 зоря Мария|조랴 마리야ru 와 заря Маремъяния|자랴 마레미야니야ru를 소환하는데, 이는 "마리아-새벽"과 "마레미야니야-새벽"으로 번역된다.[28] 또 다른 부적에서는 "저녁별 마리야"와 "아침별 마레미야나"가 불면증을 없애기 위해 소환된다.[29]

폴란드 민속에서 세 자매 조라(''Trzy Zorze'')는 아침 조라 (폴란드어: ''Zorza porankowa'' 또는 ''Utrenica''), 정오 조라 (''Zorza południowa'' 또는 ''Południca''), 저녁 조라 (''Zorza wieczorowa'' 또는 ''Wieczornica'')로 나타나며, 안제이 시예프스키에 따르면 하루를 세 부분으로 나눈 것을 나타낸다.[9] 그들은 또한 로자니치의 역할을 한다.[10]

우크라이나어는 '*zoŗà*'에서 파생된 단어를 가지고 있다: зі́рка(방언 зі́ра "zira" 및 зі́ри "ziry") "zírka"(작은 별, 별, 별표), зі́рнйця "zirnitsa"(또는 зі́рнйці "zirnytsi", 작은 별, 오로라, 새벽).[19] "하르키우주"(하르키우주)에서 수집된 속담에는 "하늘에는 별(Зірок)이 많지만, 조랴는 아침 별(світова)과 저녁 별(вечірня) 두 개뿐이다."라고 한다.[20] 고아의 탄식에서 상주는 "새벽의 열쇠"("То я б в зорі ключі взяла")를 가져갈 것이라고 말한다.[20] 마법의 사랑 부적에서 소녀는 "세 별 자매"(또는 "새벽 자매")를 부른다.[18]

4. 1. 러시아

러시아 전통에서 조랴는 종종 두 명의 처녀 자매, 즉 새벽의 여신인 조랴 우트렌냐야(Zorya Utrennyaya, útro "아침"에서 유래)와 황혼의 여신인 조랴 베체르냐야(Zorya Vechernyaya, véčer "저녁"에서 유래)로 나타난다.[8] 각 조랴는 태양의 황금 왕좌 양쪽에 서 있었다. 아침 조랴는 태양이 아침에 출발할 때 천상의 궁전 문을 열었고, 저녁 조랴는 태양이 밤을 위해 자신의 거처로 돌아갈 때 문을 닫았다.[8] 조랴의 본부는 부얀 섬에 있었다.

후기 신화에서는 세 명의 조랴와 그들의 특별한 임무에 대해 이야기한다.

20세기 슬라브 학자 L.A. 자루빈은 슬라브 민속과 인도-아리아의 ''리그베다'', ''아타르바 베다''를 비교 연구했는데, 이 문서들에는 태양과 그 동반자(새벽)의 모습이 보존되어 있었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초기의 물신 숭배(반지나 원 형태의 태양)에서 후기의 의인화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개념에서 유래한다. 13세기 후반 클루도프 노브고로드 시편에는 두 여성을 묘사한 삽화가 있다. 한 명은 불타는 듯한 붉은색으로 "아침 조랴"로 묘사되었으며, 오른손에는 반원 형태의 붉은 태양을, 왼손에는 어깨에 걸친 횃불을 들고 있는데, 횃불 끝에서 밝은 녹색 줄이 나와 어두운 녹색으로 변한다. 이 줄은 "저녁 조랴"로 묘사된 다른 여성의 오른손에서 끝나며, 그녀의 왼쪽 소매에서는 새가 나온다. 이는 아침 조랴가 매일의 여정을 위해 태양을 풀어주고, 해 질 녘에는 저녁 조랴가 태양을 맞이하기 위해 기다리는 것으로 해석된다.

나시크 동굴에서 발견된 서기 2~3세기 인도 나시크 사원의 부조에도 매우 유사한 모티프가 나타난다. 여기에는 두 명의 여성이 묘사되어 있는데, 한 명은 횃불로 태양 원에 불을 붙이고, 다른 한 명은 해 질 녘에 그것을 기다린다. 다른 부조에는 새벽의 두 여신 우샤스와 프라티우샤가 묘사되어 있으며, 새벽을 동반한 태양은 여러 찬가에 등장한다. 바퀴 형태의 태양은 인도-아리아의 ''리그베다''나 노르드의 ''에다'', 그리고 민속에도 등장한다. 게르만 민족과 슬라브 민족의 연례 축제 기간 동안 중세 작가들에 따르면 태양을 상징하는 바퀴에 불을 붙였다.

시편과 나시크에서 발견된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는 슬라브 지역 여러 곳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슬로바키아 농가([오초바] 마을)의 조각 및 채색된 문 기둥 중 하나에는 황금 머리를 가진 아침 조랴가 조각되어 있고, 그 위에는 광채가 있으며, 더 높이에는 아치형 도로를 따라 굴러가는 태양이 있다. 다른 기둥에는 저녁 조랴가 조각되어 있고, 그 위에는 지는 해가 있다. 이 부조에는 어두워진 태양도 있는데, 이는 슬라브 민속에 등장하는 "죽은 태양"일 수 있다. "아침 조랴가 없으면 태양이 뜨지 않는다"는 러시아 속담도 이러한 모티프를 확인시켜 준다. 19세기 썰매 뒷면(원 형태의 태양이 궁전에 있고 두 조랴가 출구에 서 있음)이나 트베리 지역 농민 러쉬니크(조랴가 말을 타고 태양으로 달려가는데, 한 명은 빨간색, 다른 한 명은 녹색)에서도 유사한 모티프가 발견된다.

4. 2. 벨라루스

벨라루스 민속에서 조랴는 자라니차(Зараніца) 또는 자라-자라니차(Зара-Зараніца)로 나타난다. 한 구절에서 자라니차는 성 게오르기와 성 니콜라스를 만난다. 비교 신화에 따르면 이들은 신성한 쌍둥이로 기능하며, 인도유럽 신화에서 보통 새벽의 여신의 형제이다. "성 게오르기우스가 성 니콜라스와 함께 걷다가 오로라를 만났다."[15]

민속에서는 수수께끼 형태로도 나타난다.[16] 이는 달은 반응하지 않고 태양의 영향으로 사라지는 이슬에 대한 것이다.[16] '자라(Zara)'는 아마도 단순히 새벽의 여신이며 문자 그대로 "새벽"으로 번역될 수 있으며, '자라니차(Zaranica)'는 애칭이며 그녀에 대한 존경심을 나타낼 수 있다.[15]

벨라루스 전통에서 별은 때때로 '조르키(zorki)'[15]와 '조리(zory)'[16]로 불리며, 예를 들어 '조르니 콜(Zorny Kol)'('별 기둥')과 '폴루노크나 조라(polunochna zora)'('자정의 별')로 알려진 북극성이 있다.[16]

4. 3. 폴란드



조랴 숭배는 민속에서만 증명되지만, 그 뿌리는 인도유럽 고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조랴 자신은 대부분의 ''*H₂éwsōs''의 특징을 나타낸다.[1] 조랴는 대부분의 새벽 여신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공유한다.

20세기의 슬라브 학자였던 L.A. 자루빈은 슬라브 민속과 인도-아리아 ''리그베다'' 및 ''아타르바 베다''를 비교 연구했는데, 이 문서들에는 태양과 그 동반자들, 즉 새벽의 모습이 보존되어 있었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초기의 물신 숭배 (반지나 원의 형태로 나타나는 태양)에서 후기의 의인화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개념에서 유래한다. 13세기 후반의 클루도프 노브고로드 시편에는 두 여성을 묘사한 삽화가 들어 있다. 그 중 한 명은 불타는 듯한 붉은색으로 "아침 조랴"로 묘사되었으며, 오른손에는 반원 형태의 붉은 태양을 들고 있고, 왼손에는 어깨에 걸쳐 있는 횃불을 들고 있는데, 횃불 끝에서 밝은 녹색 줄이 나와 어두운 녹색으로 변한다. 이 줄은 다른 여성의 오른손에서 끝나는데, 이 여성은 녹색으로 "저녁 조랴"로 묘사되었으며, 그녀의 왼쪽 소매에서 새가 나온다. 이것은 아침 조랴가 매일의 여정을 위해 태양을 풀어주고, 해 질 녘에는 저녁 조랴가 태양을 맞이하기 위해 기다리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6]

이와 매우 유사한 모티프가 나시크 동굴의 서기 2~3세기의 인도 나시크의 사원에서도 발견되었다. 부조에는 두 명의 여성이 묘사되어 있는데, 한 명은 횃불을 사용하여 태양의 원에 불을 붙이고, 다른 한 명은 해 질 녘에 그것을 기다리고 있다. 다른 부조에는 새벽의 두 여신, 우샤스와 프라티우샤가 묘사되어 있으며, 새벽을 동반한 태양이 여러 찬가에 등장한다. 바퀴 형태의 태양은 인도-아리아 ''리그베다''나 노르드 ''에다'', 그리고 민속에도 등장한다. 게르만 민족과 슬라브 민족의 연례 축제 기간 동안 중세 작가들에 따르면 태양을 상징하는 바퀴에 불을 붙였다.[6]

시편과 나시크에서 발견된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가 슬라브 지역의 다양한 곳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슬로바키아 농가의 조각 및 채색된 문(오초바 마을)의 경우, 기둥 중 하나에는 황금 머리를 가진 아침 조랴가 조각되어 있고, 그 위에는 광채가 있으며, 더 높이에는 아치형 도로를 따라 굴러가는 태양이 있으며, 다른 기둥에는 저녁 조랴가 조각되어 있고, 그 위에는 지는 해가 있다. 이 부조에는 또한 어두워진 태양이 있는데, 이는 슬라브 민속에 등장하는 "죽은 태양"일 수 있다. "아침 조랴가 없으면 태양이 뜨지 않는다"는 러시아 속담도 이러한 모티프를 보여준다. 19세기 썰매의 뒷면에는 원 형태의 태양이 궁전에 있고 두 조랴가 출구에 서 있는 모습이, 트베리 지역의 농민 러쉬니크에는 조랴가 말을 타고 태양으로 달려가고 있는데, 한 명은 빨간색이고 다른 한 명은 녹색인 모습이 발견되었다.[6]

벨라루스 민속에서 조랴는 자라니차(Зараніца) 또는 자라-자라니차(Зара-Зараніца)로 나타난다. 한 구절에서 자라니차는 성 게오르기와 성 니콜라스를 만나는데, 비교 신화에 따르면 이들은 신성한 쌍둥이로 기능하며, 인도유럽 신화에서 보통 새벽의 여신의 형제이다. "성 게오르기우스가 성 니콜라스와 함께 걷다가 오로라를 만났다."[2]

민속에서 조랴는 수수께끼의 형태로도 나타난다.[8]

"자라-자라니차, 아름다운 처녀가 하늘을 걸어가다 열쇠를 떨어뜨렸다. 달은 그것을 보았지만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해가 그것을 보고 그것을 들어 올렸다."

이것은 달은 반응하지 않고 태양의 영향으로 사라지는 이슬에 대한 것이다.[8] ''자라(Zara)''는 아마도 단순히 새벽의 여신이며 문자 그대로 "새벽"으로 번역될 수 있으며, ''자라니차(Zaranica)''는 애칭이며 그녀에 대한 존경심을 나타낼 수 있다.[2]

벨라루스 전통에서 별은 때때로 ''조르키(zorki)''[15]와 ''조리(zory)''[16]로 불리며, 예를 들어 ''조르니 콜(Zorny Kol)''('별 기둥')과 ''폴루노크나 조라(polunochna zora)''('자정의 별')로 알려진 북극성이 있다.[16]

슬로베니아 민요 "조랴는 반지를 잃었다"(Zorja prstan pogubila)에서, 가수는 어머니(''majka''), 형제(''bratec''), 자매(''sestra'') 그리고 연인(''dragi'')에게 반지를 찾아달라고 부탁한다.[21]

모니카 크로페이에 따르면, 슬로베니아 신화 시 전통에서, 해는 아침에 떠오르며, 아침 새벽인 Sončica (''sonce'' '태양'에서 유래)와 함께 뜨고, 저녁에는 저녁 새벽인 Zarika (''zarja'' '새벽'에서 유래)와 함께 진다.[22] 이 여성 인물들은 또한 슬로베니아 서사 민요에서 그들의 경쟁에 대해 나타난다.[23][24] 패니 코플랜드 역시 두 인물을 신화 속 태양과 새벽으로 해석했으며, "아름다운 조라의 발라드"라는 제목의 또 다른 발라드를 언급했다.[25] 슬로베니아 민속학자 야코브 켈레미나(sl)는 슬로베니아 신화와 민담에 관한 그의 책에서, 조라가 소위 "크레스니크 순환"에서 뱀 여왕(아마도 밤의 화신)의 딸로 나타난다고 말했다.[26]

4. 4.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민속에서 조랴는 자라니차(Зараніца) 또는 자라-자라니차(Зара-Зараніца)로 나타난다. 한 구절에서 자라니차는 성 게오르기와 성 니콜라스를 만나는데, 비교 신화에 따르면 이들은 신성한 쌍둥이로 기능하며, 인도유럽 신화에서 보통 새벽의 여신의 형제이다. "성 게오르기우스가 성 니콜라스와 함께 걷다가 오로라를 만났다."[15]

민속에서 조랴는 수수께끼의 형태로도 나타난다.[16]

이는 달은 반응하지 않고 태양의 영향으로 사라지는 이슬에 대한 것이다.[16] ''자라(Zara)''는 아마도 단순히 새벽의 여신이며 문자 그대로 "새벽"으로 번역될 수 있으며, ''자라니차(Zaranica)''는 애칭이며 그녀에 대한 존경심을 나타낼 수 있다.[15]

벨라루스 전통에서 별은 때때로 ''조르키(zorki)''[15]와 ''조리(zory)''[16]로 불리며, 예를 들어 ''조르니 콜(Zorny Kol)''('별 기둥')과 ''폴루노크나 조라(polunochna zora)''('자정의 별')로 알려진 북극성이 있다.[16]

다이바 바이트케비치에네 교수에 따르면, 성모 마리아는 동슬라브 부적에서 여신 조랴를 대체했을 가능성이 높다. 성모 마리아는 러시아 부적에서 "조랴"라고 불리기도 한다.[27]

역사학자 알렉산드라 예피멘코(Ефименко, Александра Яковлевнаru)가 1878년에 아르한겔스키에서 수집하여 출판한 부적에서, 화자는 зоря Марияru 와 заря Маремъянияru를 소환하는데, 이는 "마리아-새벽"과 "마레미야니야-새벽"으로 번역된다.[28]

또 다른 부적에서는 "저녁별 마리야"와 "아침별 마레미야나"가 불면증을 없애기 위해 소환된다.[29]

4. 5. 슬로베니아

슬로베니아 민요 "조랴는 반지를 잃었다"(Zorja prstan pogubila)에서는 어머니(''majka''), 형제(''bratec''), 자매(''sestra''), 연인(''dragi'')에게 반지를 찾아달라고 부탁한다.[21]

모니카 크로페이에 따르면, 슬로베니아 신화와 시 전통에서 해는 아침 새벽인 Sončica (''sonce'' '태양'에서 유래)와 함께 아침에 떠오르고, 저녁 새벽인 Zarika (''zarja'' '새벽'에서 유래)와 함께 저녁에 진다.[22] 이 여성들은 슬로베니아 서사 민요에서 경쟁 관계로 나타나기도 한다.[23][24] 패니 코플랜드 역시 두 인물을 신화 속 태양과 새벽으로 해석했으며, "아름다운 조라의 발라드"라는 또 다른 발라드를 언급했다.[25] 슬로베니아 민속학자 야코브 켈레미나(sl)는 그의 저서에서 조랴가 "크레스니크 순환"에서 뱀 여왕(아마도 밤의 화신)의 딸로 나타난다고 말했다.[26]

4. 6. 동슬라브

조랴 숭배는 민속에서만 증명되지만, 그 뿌리는 인도유럽 고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조랴 자신은 대부분의 ''*H₂éwsōs''의 특징을 나타낸다.[25] 조랴는 대부분의 새벽 여신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공유한다.

# 성 게오르기우스와 성 니콜라스와 함께 나타난다 (이들은 신성한 쌍둥이로 해석된다).[26]

# 빨강, 금색, 노란색, 장미색[14][15]

# 해외, 즉 부얀 섬에 산다.[16][14]

# 태양의 문을 연다.[17][14]

# 황금 배와 은색 노를 소유하고 있었다.

20세기의 슬라브 학자였던 L.A. 자루빈은 슬라브 민속과 인도-아리아 ''리그베다'' 및 ''아타르바 베다''를 비교 연구했는데, 이 문서들에는 태양과 그 동반자들, 즉 새벽의 모습이 보존되어 있었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초기의 물신 숭배 (반지나 원의 형태로 나타나는 태양)에서 후기의 의인화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개념에서 유래한다. 13세기 후반의 클루도프 노브고로드 시편에는 두 여성을 묘사한 삽화가 들어 있다. 그 중 한 명은 불타는 듯한 붉은색으로 "아침 조랴"로 묘사되었으며, 오른손에는 반원 형태의 붉은 태양을 들고 있고, 왼손에는 어깨에 걸쳐 있는 횃불을 들고 있는데, 횃불 끝에서 밝은 녹색 줄이 나와 어두운 녹색으로 변한다. 이 줄은 다른 여성의 오른손에서 끝나는데, 이 여성은 녹색으로 "저녁 조랴"로 묘사되었으며, 그녀의 왼쪽 소매에서 새가 나온다. 이것은 아침 조랴가 매일의 여정을 위해 태양을 풀어주고, 해 질 녘에는 저녁 조랴가 태양을 맞이하기 위해 기다리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14]

매우 유사한 모티프가 나시크 동굴의 서기 2~3세기의 인도 나시크의 사원에서도 발견되었다. 부조에는 두 명의 여성이 묘사되어 있는데, 한 명은 횃불을 사용하여 태양의 원에 불을 붙이고, 다른 한 명은 해 질 녘에 그것을 기다리고 있다. 다른 부조에는 새벽의 두 여신, 우샤스와 프라티우샤가 묘사되어 있으며, 새벽을 동반한 태양이 여러 찬가에 등장한다. 바퀴 형태의 태양은 인도-아리아 ''리그베다''나 노르드 ''에다'', 그리고 민속에도 등장한다. 게르만 민족과 슬라브 민족의 연례 축제 기간 동안 중세 작가들에 따르면 태양을 상징하는 바퀴에 불을 붙였다.[14]

시편과 나시크에서 발견된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가 슬라브 지역의 다양한 곳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슬로바키아 농가의 조각 및 채색된 문(오초바 마을)의 경우, 기둥 중 하나에는 황금 머리를 가진 아침 조랴가 조각되어 있고, 그 위에는 광채가 있으며, 더 높이에는 아치형 도로를 따라 굴러가는 태양이 있으며, 다른 기둥에는 저녁 조랴가 조각되어 있고, 그 위에는 지는 해가 있다. 이 부조에는 또한 어두워진 태양이 있는데, 이는 슬라브 민속에 등장하는 "죽은 태양"일 수 있다. 이러한 모티프는 "아침 조랴가 없으면 태양이 뜨지 않는다"는 러시아 속담으로도 확인된다. 이러한 모티프는 또한 19세기 썰매의 뒷면에서 발견되었는데, 썰매에는 원 형태의 태양이 궁전에 있고 두 조랴가 출구에 서 있으며, 트베리 지역의 농민 러쉬니크에는 조랴가 말을 타고 태양으로 달려가고 있는데, 한 명은 빨간색이고 다른 한 명은 녹색이다.[14]

다이바 바이트케비치에네 교수에 따르면, 성모 마리아는 동슬라브 부적에서 여신 조랴를 대체했을 가능성이 높다. 성모 마리아는 러시아 부적에서 "조랴"라고 불리기도 한다.[27]

역사학자 Ефименко, Александра Яковлевна|알렉산드라 예피멘코ru가 1878년에 아르한겔스키에서 수집하여 출판한 부적에서, 화자는 зоря Мария|조랴 마리야ru 와 заря Маремъяния|자랴 마레미야니야ru를 소환하는데, 이는 "마리아-새벽"과 "마레미야니야-새벽"으로 번역된다.[28]

또 다른 부적에서는 "저녁별 마리야"와 "아침별 마레미야나"가 불면증을 없애기 위해 소환된다.[29]

5. 민간 신앙에서의 역할

조랴는 슬라브 민속에서 숭배되었으며, 그 기원은 인도유럽 신화의 새벽 여신 ''*H₂éwsōs''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조랴는 ''*H₂éwsōs''의 특징을 대부분 공유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1]



20세기 슬라브 학자 L.A. 자루빈은 슬라브 민속과 인도-아리아 ''리그베다'', ''아타르바 베다''를 비교 연구하여 태양과 그 동반자인 새벽의 모습을 찾았다. 이러한 이미지는 초기 물신 숭배에서 후기 의인화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개념에서 유래한다. 13세기 후반 클루도프 노브고로드 시편에는 두 여성을 묘사한 삽화가 있는데, 붉은색 "아침 조랴"는 붉은 태양을 들고 횃불을 든 모습이고, 녹색 "저녁 조랴"는 새가 나오는 모습이다. 이는 아침 조랴가 태양을 풀어주고 저녁 조랴가 맞이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나시크 동굴의 서기 2~3세기 인도 사원 부조에도 유사한 모습이 발견된다.[6]

슬라브 지역 곳곳에서 시편과 나시크에서 발견된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가 나타난다. 슬로바키아 농가의 조각 및 채색된 문(오초바 마을)에는 황금 머리를 가진 아침 조랴와 지는 해 위의 저녁 조랴가 조각되어 있다. "아침 조랴가 없으면 태양이 뜨지 않는다"는 러시아 속담도 이러한 모티프를 보여준다. 19세기 썰매 뒷면에는 원 형태 태양이 궁전에 있고 두 조랴가 출구에 서 있으며, 트베리 지역 농민 러쉬니크에는 조랴가 말을 타고 태양으로 달려가는 모습이 나타난다.[6]

러시아 전통에서 조랴는 새벽 여신 조랴 우트렌냐야(Zorya Utrennyaya)와 황혼 여신 조랴 베체르냐야(Zorya Vechernyaya) 두 처녀 자매로 나타난다.[8] 아침 조랴는 천상 궁전 문을 열고, 저녁 조랴는 문을 닫는다.[7][6] 조랴의 본부는 부얀 섬에 있었다.[9]

후기 신화에는 세 명의 조랴가 작은곰자리 별자리에 묶인 개를 지키며, 쇠사슬이 끊어지면 세상 종말이 온다는 이야기가 있다.[7]

폴란드 민속에는 '''아침 조라''' (Zorza porankowa|조자 포란코바pl 또는 Utrenica|우트레니차pl), '''정오 조라''' (Zorza południowa|조자 포우드니오바pl 또는 Południca|포우드니차pl), '''저녁 조라''' (Zorza wieczorowa|조자 비에초로바pl 또는 Wieczornica|비에초르니차pl) 세 자매가 등장하며, 하루를 세 부분으로 나눈 것을 나타낸다.[10] 이들은 로자니치 역할을 한다.[11]



폴란드 속담에는 ''Żarze, zarzyczki, jest was trzy, zabierzcie od mojego dziecka płakanie, przywróćcie mu spanie|자르제, 자르지치키, 예스트 바스 트르지, 자비에슈치에 오트 모예고 지에츠카 프와카니에, 프지브루치치에 무 스파니에pl''가 있다.[17]

폴란드 마법 사랑 주술에서 소녀는 새벽에게 연인이 다른 여자를 사랑하지 않도록 강요해 달라고 요청한다.[18]

:''Witajze zorze|비타이제 조제pl''

:''안녕, 샛별아''

여신 자리아(또는 조리라고 불리는 세 명의 신)는 질병을 막는 부적에도 언급되며, 이는 "슬라브 부적에서 매우 인기 있는 모티프"이다.[27]

6. 현대 문화에서의 조랴



20세기 슬라브 학자 L.A. 자루빈은 슬라브 민속과 인도-아리아 ''리그베다'' 및 ''아타르바 베다''를 비교 연구했는데, 이 문서들에는 태양과 그 동반자들, 즉 새벽의 모습이 보존되어 있었다.[30] 이러한 이미지들은 초기의 물신 숭배(반지나 원의 형태로 나타나는 태양)에서 후기의 의인화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개념에서 유래한다. 13세기 후반의 클루도프 노브고로드 시편에는 두 여성을 묘사한 삽화가 들어 있는데, 그 중 한 명은 불타는 듯한 붉은색으로 "아침 조랴"로 묘사되었으며, 오른손에는 반원 형태의 붉은 태양을 들고 있고, 왼손에는 어깨에 걸쳐 있는 횃불을 들고 있는데, 횃불 끝에서 밝은 녹색 줄이 나와 어두운 녹색으로 변한다. 이 줄은 다른 여성의 오른손에서 끝나는데, 이 여성은 녹색으로 "저녁 조랴"로 묘사되었으며, 그녀의 왼쪽 소매에서 새가 나온다. 이는 아침 조랴가 매일의 여정을 위해 태양을 풀어주고, 해 질 녘에는 저녁 조랴가 태양을 맞이하기 위해 기다리는 것으로 해석된다.[30] 매우 유사한 모티프가 나시크 동굴의 서기 2~3세기 인도 나시크의 사원에서도 발견되었다. 부조에는 두 명의 여성이 묘사되어 있는데, 한 명은 횃불을 사용하여 태양의 원에 불을 붙이고, 다른 한 명은 해 질 녘에 그것을 기다리고 있다. 다른 부조에는 새벽의 두 여신 우샤스와 프라티우샤가 묘사되어 있으며, 새벽을 동반한 태양이 여러 찬가에 등장한다. 바퀴 형태의 태양은 인도-아리아 ''리그베다''나 노르드 ''에다'', 그리고 민속에도 등장한다. 게르만 민족과 슬라브 민족의 연례 축제 기간 동안 중세 작가들에 따르면 태양을 상징하는 바퀴에 불을 붙였다.[30]

시편과 나시크에서 발견된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가 슬라브 지역의 다양한 곳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슬로바키아 농가의 조각 및 채색된 문(오초바 마을)의 경우, 기둥 중 하나에는 황금 머리를 가진 아침 조랴가 조각되어 있고, 그 위에는 광채가 있으며, 더 높이에는 아치형 도로를 따라 굴러가는 태양이 있으며, 다른 기둥에는 저녁 조랴가 조각되어 있고, 그 위에는 지는 해가 있다. 이 부조에는 또한 어두워진 태양이 있는데, 이는 슬라브 민속에 등장하는 "죽은 태양"일 수 있다. "아침 조랴가 없으면 태양이 뜨지 않는다"는 러시아 속담으로도 확인된다. 이러한 모티프는 19세기 썰매의 뒷면에서도 발견되었는데, 썰매에는 원 형태의 태양이 궁전에 있고 두 조랴가 출구에 서 있으며, 트베리 지역의 농민 러쉬니크에는 조랴가 말을 타고 태양으로 달려가고 있는데, 한 명은 빨간색이고 다른 한 명은 녹색이다.[30]

"조랴"라는 단어는 루마니아어에서 "새벽"을 뜻하는 단어(zori)로, 콜린다를 부르는 사람(colindători)이 부르는 음악의 이름(zorile)으로 차용어가 되었다.[30][31][32] 샛별은 ''dennica'', ''zornica'', ''zarnica''로도 알려져 있다.[33] 세르보크로아트어에서 금성은 아침에 나타날 때는 ''Zornjača'', 밤에 나타날 때는 ''Večernjača''로 알려져 있다.[34] 민요에서 새벽/샛별은 남성 달의 신부로 묘사된다.[35] 1876년 Rikardo Ferdinand Plohl-Herdvigov가 수집하여 출판한 일부 크로아티아 민요에서 "zorja"는 "Marja"와 함께 "Zorja Marja prsten toči"에서 사용되었고,[36] "Marija sinku načinila košulju"에서 "Zorja, zorija"로 언급되었다.[37]


  • 인기 민요 "조류슈카"(Zoryushka, Зорюшкаru)는 결혼식 날 불린다.
  • 2001년 소설 아메리칸 갓과 그 2017년 텔레비전 각색에서 작가 닐 게이먼은 조랴를 삼위일체 여신으로 묘사하는데, 조랴 우트렌냐야(아침 별), 조랴 폴루노치나야(자정 별), 조랴 베체르냐야(저녁 별)가 그것이다.
  • 조랴는 케빈 헤른의 아이언 드루이드 연대기에 등장한다.
  • 호주 작곡가 줄리안 코크란의 작품 중 하나는 "조랴 베체르냐야"(Zorya Vechernyay'a)라고 명명되었다.
  • 체코 작곡가 플로엑스의 앨범 중 하나는 "조랴"(Zorya)라고 불리며, 앨범의 마지막 곡은 "조랴 폴루노치나야"(Zorya Polunochnaya)라고 불린다.
  • 조랴는 게임 이브 온라인에서 침략하는 전조 세력인 트리글라비안 집단의 지도자로 두드러지게 등장한다.

참조

[1] 논문 More u pričama Ivane Brlić-Mažuranić
[2] 논문 Iš baltų mitinio vaizdyno juodraščių: Aušrinė (ir Vakarinė) https://www.lituanis[...] 2011
[3] 논문 Organized Pagan Cult in Kievan Rus'. The Invention of Foreign Elite or Evolution of Local Tradition?Organizirani poganski kult v kijevski državi. Iznajdba tuje elite ali razvoj krajevnega izročila? 2015-05-05
[4] 논문 The Cosmology of the Ancient Balts
[5] 논문 Dievo vaikaitis: žmogaus vieta lietuvių kosmologijoje https://www.lituanis[...] 2011
[6] 논문 Dangiškųjų vestuvių mitas https://www.lituanis[...] 2019
[7] 서적 Dictionary of Nature Myths: Legends of the Earth, Sea, and Sky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8] 서적 Eos: An enquiry into the theme of lovers' meetings and partings at dawn in poetry De Gruyter Mouton 1965
[9] 논문 Folkloro duomenys - senosios raštijos žinių vertinimo priemonė https://www.lituanis[...] 2009
[10] 기타 Русская народно-бытовая медицина https://archive.org/[...]
[11] 기타 Русская народно-бытовая медицина
[12] 기타 Заря-зарница, красная дѣвица, утренняя Ирина, Дарья полуденная, прійдите, возьмите денной іфикъ и полуденный полу крикъ, отнесите его въ темные лѣса, въ далекіе края, за синія моря, на желтые пески, во имя Отца.
[13] 기타 Nodilova mitološka razmatranja kao arhitekst Pričama iz davnine Ivane Brlić–Mažuranić
[14] 기타 The songs of the Russian people, as illustrative of Slavonic mythology and Russian social life
[15] 기타 Janka Kupała: Der Sänger des weissruthenischen Volkstums
[16] 논문 Astronims in Belarussian folk beliefs https://e-journals.k[...] 2008-12-20
[17] 논문 Dlaczego nie obserwujemy więcej komet? https://www.urania.e[...]
[18] 서적 Charms, Charmers and Charming
[19] 문서 Ukrainian-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20] 문서 Українська мала енциклопедія
[21] 기타 Slovenske narodne pesmi
[22] 논문 Cosmology and Deities in Slovene Folk Narrative and Song Tradition 2015-05-05
[23] 간행물 Uncovering semantic structures within folk song lyrics http://lgm.fri.uni-l[...]
[24] 논문 Najstnikom 'predpisana' slovenska bajčna in mitološka bitja 2011-10-17
[25] 논문 Slovene Folklore 1931
[26] 논문 Slovene Myths 1933
[27] 서적 The Power of Words: Studies on Charms and Charming in Europ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13
[28] 논문 'Wondrous Dressing' with Celestial Bodies in Russian Charms and Lyrical Poetry 2018-04
[29] 기타 Вечерняя заря Марія, звѣзда-звѣздица, утренняя заря Маремьяна, дай рабу (имя) сонъ, возьми безсонницу
[30] 서적 Eos: An enquiry into the theme of lovers' meetings and partings at dawn in poetry Walter de Gruyter 1965
[31] 논문 Slav influence upon the Romanian language–Direct references to Croatian https://hrcak.srce.h[...] 2010-06-30
[32] 서적 Loanwords in the World's Languages
[33] 논문 Curious Star Names in Slavonic Literature 1974
[34] 논문 Od značenja i referencije prema metafori u svjetlu odnosa čovjeka, jezika i svijeta https://hrcak.srce.h[...] 2001-11-15
[35] 서적 Whence the goddesses: a source book Teachers College Press,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1990
[36] 서적 Hrvatske narodne pjesme https://archive.org/[...] Platzer i sin 1876
[37] 서적 Hrvatske narodne pjesme https://archive.org/[...] Platzer i sin 1876
[38] 논문 More u pričama Ivane Brlić-Mažuranić 2007
[39] 백과사전 Zary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