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반니 단돌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반니 단돌로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를 배출한 단돌로 가문 출신으로, 1280년부터 1289년까지 도제직을 수행했다. 그는 볼로냐와 파도바의 포데스타, 베네치아 해군 부대 지휘관 등 여러 공직을 거쳤으며, 도제 재임 기간에는 이스트리아, 트리에스테와 전쟁을 벌이고, 비잔틴 제국과의 경쟁, 교황령과의 갈등을 겪었다. 또한, 단돌로 통치 기간인 1284년에는 베네치아 금화 두카트가 처음 주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돌로가 - 안드레아 단돌로
안드레아 단돌로는 14세기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였으며, 예술 후원, 법전 개정 등의 업적을 남겼고, 지진, 흑사병, 전쟁 등 여러 위기를 겪었으며, 베네치아의 역사를 기록하고 산 마르코 대성당에 묻혔다. - 단돌로가 - 엔리코 단돌로
엔리코 단돌로는 고령과 실명에도 불구하고 제4차 십자군 원정을 이끌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하고 베네치아의 이익을 극대화한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이지만, 콘스탄티노폴리스 약탈을 묵인하여 비잔티움 제국의 문화유산을 파괴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1289년 사망 - 다케다 노부토키
다케다 노부토키는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으로, 아키 슈고를 역임하고 1279년에 출가하여 코우카이로 불렸으며, 그의 증손인 다케다 노부타케가 가이 국 슈고를 계승하여 무로마치·센고쿠 시대까지 이어졌다. - 1289년 사망 - 류경 (고려)
류경은 고려 후기 문신으로, 격변하는 정치적 상황 속에서 국익을 지키려 노력했으며, 과거 급제 후 최씨 정권에서 중용되었고, 왕정 복귀에 기여, 원종과 충렬왕 대에 주요 관직을 역임하며 국정 운영에 참여하고 실록 편찬을 주관하는 등 몽골의 압력 속에서도 고려의 입장을 옹호하고 백성을 보호하려 노력한 인물이다. - 13세기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 야코포 티에폴로
야코포 티에폴로는 13세기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로서, 상인이자 정치가로서 활약하며 신성 로마 제국과의 갈등 해결, 민법 성문화, 종교 단체 지원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 13세기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 마리노 모로시니
마리노 모로시니는 13세기 베네치아의 정치인이자 제44대 베네치아 공화국 도제로서, 재임 기간 동안 평화로운 시기를 보냈으며 바티칸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종교 재판소 설립을 허용했다.
조반니 단돌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직위 |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
재임 시작 | 1280년 |
재임 종료 | 1289년 |
사망일 | 1289년 11월 2일 |
2. 가문
단돌로는 엔리코 단돌로, 프란체스코 단돌로, 안드레아 단돌로 등 세 명의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를 배출해낸 베네치아의 주요 가문 출신이었다.[3] 단돌로 가문 출신의 여성 두 명이 도제와 혼인하기도 했는데, 조반나 단돌로는 파스콸레 말리피에로와, 칠리아 단돌로는 로렌초 프리울리와 혼인했다.[3] 단돌로는 프라 안젤리코, 에우제니오 칸파리, 베니토 무솔리니 등 이탈리아 역사의 많은 중요 인물들의 먼 친척이기도 했다.[3] 조반니 단돌로는 카테리나라는 이름의 여성과 결혼했었다.[3]
조반니 단돌로는 도제로 선출되기 전, 볼로냐와 파도바의 포데스타, 베네치아 해군 부대 사령관 등 여러 공직을 거쳤다. 1284년에는 ''체키노'' (Zecchino)라고 알려진 최초의 베네치아 금화 두카트가 통용되기 시작했다.
3. 생애
단돌로는 산티 조반니 에 파올로 성당에 묻혔으나, 무덤은 사라지고 도제를 기리는 석제 기념비만 남아 있다.
3. 1. 초기 생애
도제로 선출되기 이전 단돌로는 볼로냐와 파도바의 포데스타, 베네치아 해군 부대의 지휘관 등 여러 공직을 거쳤다.[1] 그는 스테판 블라디슬라브와 무역 협정을 체결한 1237년에 라구사의 상업 대표자이기도 했다.[1]
3. 2. 도제 재임 시기 (1280년-1289년)
조반니 단돌로는 도제로 선출되기 전, 볼로냐와 파도바의 포데스타 및 베네치아 해군 지휘관 등 여러 공직을 거쳤다. 1237년에는 라구사와의 무역 협정을 체결한 상업 대표이기도 했다.
단돌로의 재임 기간 동안 베네치아는 여러 전쟁을 치렀다. 도제 선출 당시 이스트리아와 트리에스테를 상대로 군사 작전을 벌이던 중이었고, 이 전쟁은 아퀼레이아 총대주교국과 교황령까지 참전하며 확대되었다. 안코나 및 라벤나와 강화 조약을 체결한 후에는,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미하일 8세가 지원한 그리스인 알렉시오 칼레르기스가 크레타에서 반란을 일으켜 새로운 전쟁이 시작되었다. 이 분쟁은 베네치아가 앙주의 샤를 및 프랑스의 필리프 3세와 강화 조약을 맺고, 오르비에토 조약을 통해 앙주의 샤를과 동맹을 맺으며 종결되었다.
교황령과의 관계는 긴장 상태였다. 베네치아가 시칠리아에 대한 보복을 거부하자 교황 마르티노 4세는 베네치아를 파문했지만, 교황 호노리오 4세가 1287년에 파문을 해제했다.
350px
1284년에는 최초의 베네치아 금화 두카트(''체키노''라고도 불림)가 통용되기 시작했다. 두카트는 베네치아 공화국이 멸망할 때까지 사용되었으며, 24캐럿(99.7%)의 순도와 3.56그램의 무게를 유지했다. 두카트라는 명칭은 그리스도의 그림과 함께 "Sit tibi Christe datus quem tu regis iste ducatus"라는 문구가 새겨진 동전 뒷면에서 유래했다. 앞면에는 베네치아의 수호성인 복음사가 마르코 앞에서 무릎을 꿇은 도제의 모습이 새겨져 있었다.
단돌로는 산 자니폴로에 묻혔으나, 무덤은 사라지고 도제를 기리는 석제 기념비만 남아 있다.
3. 2. 1. 이스트리아, 트리에스테와의 전쟁
단돌로는 도제로 선출되기 전, 볼로냐와 파도바의 포데스타를 역임했고, 베네치아 해군 부대의 지휘관을 맡는 등 여러 공직을 거쳤다. 도제 선출 소식을 들었을 때, 그는 이스트리아와 트리에스테에 맞서 군사 작전을 벌이고 있었다. 이 전쟁은 다음 해에 베네치아의 오랜 숙적인 아퀼레이아 총대주교국과 교황령이 개입하면서 확대되었다. 이후에도 더 많은 전투가 발생했으며, 단돌로의 도제 재임 기간 내내 계속되었다.
1287년 이스트리아에서 다시 발생한 폭동은 프리울리로 퍼졌다. 아퀼레이아 총대주교국과 동맹을 맺은 독일 황제 루돌프 1세가 개입하면서 전쟁은 더욱 커졌고, 베네치아는 강화를 요청할 수밖에 없었다.
3. 2. 2. 크레타 반란과 오르비에토 조약
미하일 8세가 지원한 그리스 귀족 알렉시오스 칼레르기스가 크레타에서 반란을 일으키면서, 동지중해 지배권을 놓고 베네치아와 경쟁하게 되었다. 이 분쟁은 베네치아 공화국이 앙주의 샤를과 프랑스의 필리프 3세와 평화 협정을 맺고, 오르비에토 조약을 통해 앙주의 샤를과 동맹을 맺으면서 종결되었다.
3. 2. 3. 교황령과의 관계
단돌로의 통치 기간 동안 교황령과의 관계는 긴장 상태였다. 베네치아가 시칠리아에 보복 활동을 하라는 교황령의 요청을 거부하자, 교황 마르티노 4세는 베네치아를 파문했다. 이 파문은 마르티노 4세의 후임자인 교황 호노리오 4세에 의해 1287년에 해제되었다. 같은 해 이스트리아에서 다시 발생한 폭동이 프리울리로 퍼지면서, 아퀼레이아 총대주교국과 동맹을 맺은 독일 황제 루돌프 1세가 개입하면서 전쟁은 커졌고, 베네치아는 강화를 요청할 수 밖에 없었다.
3. 2. 4. 이스트리아 폭동과 프리울리 전쟁
1287년 이스트리아에서 폭동이 발생하여 프리울리로 확산되었다. 아퀼레이아 총대주교국과 동맹을 맺은 독일 황제 루돌프 1세가 개입하면서 전쟁은 커졌고, 베네치아는 강화를 요청할 수 밖에 없었다.
3. 3. 베네치아 금화 두카트(체키노) 주조
1284년, 최초의 베네치아 금화 두카트가 통용되기 시작했으며, 나중에는 ''체키노''라고 불렸다. 이 두카트는 베네치아 공화국이 멸망할 때까지 사용되었으며, 항상 같은 무게인 24캐럿(99.7%) 금 3.56그램으로 만들어졌다. 이 동전은 베네치아가 교역하던 모든 국가에서 통용되었다. 두카토라는 이름은 동전 뒷면에 새겨진 비문에서 유래되었는데, "Sit tibi Christe datus quem tu regis iste ducatus"는 그리스도의 그림을 담고 있다. 각 동전의 앞면에는 도시의 수호성인인 복음사가 마르코 앞에서 무릎을 꿇고 있는 통치 도제들의 모습이 새겨져 있었다.
참조
[1]
웹사이트
DANDOLO, Giovanni in "Dizionario Biografico"
http://www.treccani.[...]
2019-04-28
[2]
서적
The dogaressas of Venice : The wives of the doges
https://archive.org/[...]
T. W. Laurie
[3]
서적
The dogaressas of Venice : The wives of the doges
https://archive.org/[...]
T. W. Lauri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