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반니 소란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반니 소란초는 1245년경에 태어난 베네치아의 정치가이자 군인으로, 1312년부터 1328년까지 도제직을 수행했다. 그는 대평의회 의원, 소평의회 의원, 포데스타 등을 역임했으며, 1296년 제노바와의 전쟁에서 함대를 이끌고 흑해로 진출하는 등 군사적 활동도 펼쳤다. 도제 재임 기간에는 교황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달마티아 지역을 정복했으며, 외교와 통상을 통해 베네치아의 이익을 증진했다. 그는 또한 문화인이었으며, 단테 알리기에리와 교류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28년 사망 - 이븐 타이미야
    이븐 타이미야는 1263년 시리아에서 태어나 다마스쿠스에서 활동한 중세 이슬람 학자이며, 몽골의 침입, 수피즘, 이단에 대한 비판과 이슬람 율법의 문자적 해석을 강조했으며, 1328년 감옥에서 사망했다.
  • 1328년 사망 - 원 태정제
    원 태정제는 1293년 가마라의 아들로 태어나 1323년부터 1328년까지 원나라의 카안을 지냈으며, 남파의 변으로 즉위 후 유교적 전통 존중과 무슬림 세력 중용 정책을 펼치다 1328년 사망 후 아들 아리기바가 뒤를 이었으나 "천력의 내란"으로 정권이 붕괴되었다.
  • 1240년 출생 - 치마부에
    치마부에는 13세기 후반부터 14세기 초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활동하며 비잔틴 미술의 영향을 받아 서양 회화의 중세에서 르네상스 시기 전환에 기여했고, 조토 디 본도네의 스승으로 알려져 있다.
  • 1240년 출생 - 교황 베네딕토 11세
    도미니코회 총장 출신으로 제194대 교황에 오른 베네딕토 11세는 짧은 재임 기간 동안 보니파시오 8세의 파문 철회, 프랑스와 잉글랜드 휴전 중재, 새 추기경 임명, 성경 주석 집필 등의 활동을 펼쳤으며 사후 복자로 시복되었다.
  • 14세기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 마리노 초르치
  • 14세기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 마리노 팔리에로
    마리노 팔리에로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였으며, 쿠데타를 시도하다 실패하여 참수되었고, 그의 초상화와 기록은 제거되었다.
조반니 소란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조반니 소란초
소란초 문장
출생1240년
사망1328년 12월 31일 (87-88세)
매장지성 마르코 대성당
직위
이전마리노 조르지
직함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임기1312년 - 1328년
이후프란체스코 단돌로

2. 가문과 출신

조반니 소란초는 산 마르코의 감사였던 안토니오 소란초의 아들로, 1245년경에 태어났다. 그의 가족 거주지가 있었던 Chiesa di San Michele Arcangelo (Venezia, San Marco)|산 미켈레 아르칸젤로it 교구에서 태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지안 자코모 카롤도의 연대기에 따르면, 그는 도제로 임명되었을 때 67세였다고 한다. 현대 족보학자들이 그가 1240년 부라노에서 태어났다고 보고한 것은 근거가 없다.[2]

1321년 8월 8일에 작성된 그의 유언장을 통해 프란체스카 몰린과 결혼하여 3남 3녀를 두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2]

2. 1. 가문 기원

산 마르코의 감사였던 안토니오 소란초의 아들로, 1245년경에 태어났다. 그의 가족 거주지가 있었던 Chiesa di San Michele Arcangelo (Venezia, San Marco)|산 미켈레 아르칸젤로it 교구에서 태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지안 자코모 카롤도의 연대기에 따르면, 그는 도제로 임명되었을 때 67세였다고 한다. 현대 족보학자들이 그가 1240년 부라노에서 태어났다고 보고한 것은 근거가 없다.[2]

1321년 8월 8일에 작성된 그의 유언장을 통해 프란체스카 몰린과 결혼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녀(혹은 우리가 알 수 없는 이전 부인)에게서 그는 세 아들과 세 딸을 두었다. 자녀들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마리노(Caterina와 결혼), 니콜로(사망 전), "Belello"로 알려진 안토니오, 소란조(니콜로 퀘리니와 결혼), 엘레나(산 조반니 디 토르첼로의 베네딕토회 수녀), 폰타나(산타 마리아 마조레의 프란체스코회 수녀).[2]

2. 2. 출생 및 초기 생애

산 마르코의 감사였던 안토니오 소란초의 아들로, 1245년경에 태어났다. 그의 가족의 거주지가 있었던 Chiesa di San Michele Arcangelo (Venezia, San Marco)|산 미켈레 아르칸젤로it 교구에서 태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지안 자코모 카롤도의 연대기에 따르면, 도제로 임명되었을 때 67세였다고 한다.[2] 현대 족보학자들에 따르면, 그가 1240년 부라노에서 태어났다는 것은 근거가 없다.[2]

1321년 8월 8일에 작성된 그의 유언장을 통해 그가 프란체스카 몰린과 결혼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녀(혹은 우리가 알 수 없는 이전 부인)에게서 그는 세 아들과 세 딸을 두었다.[2]

이름설명
마리노Caterina와 결혼
니콜로사망
"Belello" 안토니오
소란조니콜로 퀘리니와 결혼
엘레나산 조반니 디 토르첼로의 베네딕토회 수녀
폰타나산타 마리아 마조레의 프란체스코회 수녀


2. 3. 혼인 및 가족 관계

조반니 소란초는 프란체스카 몰린과 결혼하여 3남 3녀를 두었다.[2] 자녀들의 이름은 아래와 같다.

성별이름비고
아들마리노Caterina와 결혼
아들니콜로요절
아들안토니오"Belello"라는 별명으로 알려짐
소란차니콜로 퀘리니와 결혼
엘레나산 조반니 디 토르첼로의 베네딕토회 수녀
폰타나산타 마리아 마조레의 프란체스코회 수녀


3. 정치 및 군사 경력

소란초는 세기 말, 여러 중요한 군사 작전에서 활약했다. 1296년 봄, 제노바와의 전쟁 중 베네치아 함대를 이끌고 콘스탄티노폴리스로 향했다. 보스포루스 해협에 정박한 적의 갤리선을 격파하고 흑해로의 접근을 확보한 후, 크림반도의 카파에 있는 리구리아 식민지를 공격하여 여러 적선을 약탈하고 파괴했다. 가을에는 함대를 네그로폰테로 철수시키고 안드레아 단돌로에게 맡긴 후 베네치아로 돌아와 영예로운 환영을 받았다.[2]

10년 후 페라라 전쟁에서는 다른 결과를 맞았다. 1307년, 교황령에 맞서 도제 그라데니고의 지원을 제안하기 위해 아초 8세 데스테에게 파견되었다. 후작이 사망한 후 베네치아는 도시를 점령했고, 소란초는 1308년 11월부터 1309년 3월까지 포데스타로 임명되었다. 교황 클레멘스 5세는 1309년 3월 27일 베네치아에 금지령과 파문을 내렸고, 소란초는 포 강 하류 탈환을 위해 함대 지휘를 맡았지만, 작전은 실패로 끝났다.[2]

이러한 실패에도 불구하고, 같은 해 성 마르코 감찰관으로 임명되었고, 그라데니고의 도제 계승 후보 중 한 명이 되었다. 한편, 전쟁의 불리함은 귀족들 사이에 불만을 야기했고, 1310년 6월 바야몬테 티에폴로와 그의 사위 마르코 퀘리니가 주도한 음모가 발생했다. 쿠데타 실패 후, 소란초는 티에폴로의 항복을 협상하는 역할을 맡았다.[2]

이 사건들은 국내외 정책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그라데니고 정부 말기 자다르는 다시 반란을 일으켰고, 그의 후임자 마리노 조르지 치하에서도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2]

3. 1. 초기 관직

대평의회 의원으로 여러 차례 선출되었다 (1264년, 1266년~1268년, 1270년, 1275년, 1281년, 1295년).[2] 포레치의 시장을 역임하기도 했는데, 재임 기간 동안 친아퀼레이아 성향을 가진 지역 주교 보니파시오에 의해 파문을 당했다.[2] 이후 소평의회에 참여했고, 1290년 도제 피에트로 그라데니고가 선출된 후에는 도제 고문이 되었다.[2] 그는 또한 키오자 (1294년), 이스트리아의 이솔라 (세기 말), 풀라 (1299년)의 시장을 역임했다.[2]

3. 2. 도제 선출 이전의 주요 활동

그는 여러 차례 대평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포레치의 시장을 역임했다. 재임 기간 동안 그는 친아퀼레이아 성향을 가진 지역 주교 보니파시오에 의해 파문을 당했다.[2] 이후 그는 소평의회에 참여했고, 1290년 도제 피에트로 그라데니고가 선출된 후에는 도제 고문이 되었다.[2]

그는 또한 키오자 (1294년), 이스트리아의 이솔라 (세기 말), 풀라 (1299년)의 시장을 역임했다.[2] 1300년에는 안드레아 사누도와 함께 시칠리아의 프리드리히 3세에게 외교 사절로 참여했다.[2] 1301년부터 1303년까지, 그리고 1305년부터 1307년까지 자다르 백작을 역임했고, 이집트에 대사로 파견되었다.[2]

3. 3. 군사적 업적

1296년 봄, 제노바와의 전쟁에서 베네치아 함대를 이끌고 콘스탄티노폴리스로 향했다. 보스포루스 해협에서 제노바 갤리선을 격파하고 흑해 접근을 확보했다. 이후 크림반도의 페오도시아(카파)에 있는 리구리아 식민지를 공격하여 적선을 약탈하고 파괴했다.[2]

페라라 전쟁 초기인 1307년, 아초 8세 데스테에게 도제의 지원을 제안하는 외교관으로 활동했다. 1308년부터 1309년까지 페라라의 포데스타(최고 행정관)를 역임했다. 교황 클레멘스 5세가 베네치아를 파문한 이후, 포 강 하류 탈환 작전을 지휘했으나 실패했다.[2]

3. 4. 티에폴로 음모 사건

1310년 6월, 바야몬테 티에폴로와 마르코 퀘리니(소란초의 딸 소란차가 니콜로 퀘리니와 결혼하여 소란초와 관련이 있었다)가 주도한 음모가 발생했다.[2] 쿠데타 실패와 퀘리니의 죽음 이후, 소란초는 티에폴로가 항복하도록 협상하는 역할을 맡았다.[2]

4. 도제 재임 기간 (1312년 - 1328년)

조반니 소란초는 도제 재임 기간 동안 파문 철회와 평화 조약 체결, 자라 반란 진압 등 여러 문제를 해결했다.[2] 그는 프란체스코 단돌로를 아비뇽 교황청에 보내 끈질긴 협상을 통해 1313년 1월 26일 파문을 철회하고, 2월 17일에는 베네치아에 불리했지만 최종 평화 조약(교황 칙서 ''Decet sedis'')을 체결했다.[2] 또한 자라를 포위 공격하여 항복을 받아내고 1313년 9월 복종 조약을 맺었다.[2]

소란초는 음모 생존자들에 대한 재판에서 관용을 베풀지 않았다. 딸 소란차도 남편 니콜로 퀘리니와 함께 추방되었고, 나중에 도시로 돌아오려 했지만 열 명의 평의회의 결정으로 수도원에 유폐되었다.[2]

소란초 정부는 전쟁보다는 외교를 통해 국제 문제를 해결하려 했으며, 마리노 사누토 더 엘더의 십자군 계획을 거부했다. 칸그란데 델라 스칼라와는 1317년 조약을 통해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2]

비잔틴 제국, 트라페준트 제국 등과의 협정으로 해상 무역을 재개하고, 지브롤터 해협을 통해 플랑드르와 잉글랜드에 이르는 경로를 강화했다. 터키와 제노바의 해적 행위는 방해 요인이었다. 육상 무역은 포 계곡의 여러 도시와 협정으로 촉진되었다.[2]

4. 1. 도제 선출 배경

1312년 7월 3일 마리노 조르지 도제가 사망한 이후, 소란초는 기벨린 파벌과 교황 모두에게 환영받는 인물이었다.[2] 그는 교황과의 관계를 개선하고 베네치아의 안정을 되찾을 적임자로 여겨져 1312년 7월 13일 도제로 선출되었다.[2]

4. 2. 교황과의 관계 회복

도제 취임 직후, 조반니 소란초는 프란체스코 단돌로를 아비뇽 교황청에 특사로 보내 끈기 있는 협상을 수행하도록 했다.[2] 그 결과, 1313년 1월 26일에 파문이 철회되었고, 2월 17일에는 베네치아에 불리했지만 최종 평화 조약(''Decet sedis'')이 체결되었다.[2]

4. 3. 자라 반란 진압

그는 자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를 포위 공격하여 항복을 받아냈고, 1313년 9월 복종 조약을 체결했다.[2]

4. 4. 외교 및 통상 정책

조반니 소란초는 전쟁보다는 외교를 통해 국제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그는 마리노 사누토 더 엘더의 십자군 계획을 거부했다. 한편, 베네치아 본토와 관련하여 1317년에 체결된 조약 덕분에 칸그란데 델라 스칼라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전쟁을 피했다.[2]

비잔틴 제국, 트라페준트 제국, 아르메니아, 키프로스, 시칠리아, 튀니스 왕국과의 협정을 체결하여 해상 무역을 재개했다. (터키와 제노바의 일부 해적 행위로 방해받기도 했다.) 또한 지브롤터 해협을 통해 플랑드르와 잉글랜드에 도달하는 경로를 강화했다. 육상 무역도 볼로냐, 브레시아, 코모, 밀라노를 포함한 포 계곡의 여러 도시와 협정을 맺어 촉진했다.[2]

4. 5. 달마티아 정복 완료

1320년대에 시베니크, 스플리트, 과 같은 도시들의 헌신을 통해 달마티아 정복이 완료되었다.[2]

4. 6. 바로치 가문 음모 진압

도제 임기 말, 바로치 가문 구성원들이 꾸민 새로운 음모를 진압했다.[2]

5. 죽음과 유산

조반니 소란초는 사망 후 산마르코 대성당에 묻혔으며, 그의 무덤은 현재까지 보존되어 있다. 20세기 전반 베네치아 국가 기록 보관소에 있던 14세기 그의 이미지가 도난당하는 사건이 있었다.

소란초는 탄토, 알베르티노 무사토 등 여러 지식인들과 교류했으며, 1321년에는 단테 알리기에리를 만나기도 했다.

5. 1. 죽음과 매장

조반니 소란초는 사망 후 산마르코 대성당에 안치되었으며, 그의 무덤은 현재까지 보존되어 있다. 그러나 20세기 전반에 베네치아 국가 기록 보관소에 있던 14세기 그의 이미지가 도난당했다.

5. 2. 도난 사건

20세기 전반, 베네치아 국가 기록 보관소에 있던 14세기 그의 초상화가 도난당했다.

5. 3. 문화적 교류 및 평가

소란초는 문화인이었으며, 여러 지식인들과 교류했다. 라틴어로 시를 쓴 대재상 겸 작가 탄토, 초기 인문주의자 알베르티노 무사토 등과 서신을 주고받았다. 무사토와는 아라곤의 페데리코 3세가 도제에게 기증한 사자 한 쌍에게서 세 마리의 새끼가 태어난 것에 대해 서신을 주고받았는데, 이 사건은 매우 이례적이어서 시립 기록 보관소의 가장 오래된 Libri pactorum에 기록되었다. 1321년에는 시인 단테 알리기에리라벤나 영주 귀도 노벨로 다 폴렌타를 대신하여 외교 임무를 수행하던 중 그를 만나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The dogaressas of Venice : The wifes of the doges http://archive.org/d[...] London : T. W. Laurie 1910
[2] 웹사이트 Soranzo, Giovanni - Treccani https://www.treccani[...] 2024-03-14
[3] 간행물 The dogaressas of Venice : The wives of the doges https://archive.org/[...] London : T. W. Lauri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